KR101352717B1 - 청소용 부직포 - Google Patents

청소용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717B1
KR101352717B1 KR1020120134765A KR20120134765A KR101352717B1 KR 101352717 B1 KR101352717 B1 KR 101352717B1 KR 1020120134765 A KR1020120134765 A KR 1020120134765A KR 20120134765 A KR20120134765 A KR 20120134765A KR 101352717 B1 KR101352717 B1 KR 10135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leaning
friction
concave portion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일호
Original Assignee
추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일호 filed Critical 추일호
Priority to KR102012013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면을 닦아 낼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청소면에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면적을 닦아낼 수 있고, 표면 마찰력을 높여 적은 마찰에도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청소용 부직포가 게시된다. 청소용 부직포는 원단과, 상기 원단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단에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시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청소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수용되어 부착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원단에 형성된 볼록부를 통해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이탈시키고 오목부를 통해 이탈된 이물질을 수용함으로써 이물질이 원단에서 이탈해 다시 청소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한 장의 원단으로 기존보다 더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부직포{nonwoven fabric for cleaning }
본 발명은 청소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먼지나 더러워진 바닥을 닦아 내는 청소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바닥에 쌓인 먼지, 머리카락,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하기 위하여 빗자루나 밀대에 걸레를 끼워 사용했다.
최근에는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도구를 원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밀대의 하부에 1회용 건식 또는 습식 청소포를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포의 표면은 단순히 평평하게 이뤄져 바닥을 닦아낼 때 바닥과의 마찰력이 적어 오물이 잘 닦여지지 않고 넓은 면적을 청소 할 때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습식 청소포에 세척액을 첨가해 세척력을 향상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건식 청소포는 바닥과 마찰할 때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정전기가 발생하는 소재로 이뤄져 있으나, 마찰력이 적어 정전기 발생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면을 닦아 낼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청소면에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면적을 닦아낼 수 있는 청소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를 목적은, 청소용 부직포의 표면 마찰력을 높여 적은 마찰에도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청소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부직포는 원단과, 상기 원단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단에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시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청소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수용되어 부착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오목부는 상기 원단을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롤러에 권취하면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밀착된 원단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롤러에 돌출된 서로 이웃하는 돌기 사이에 위치한 원단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는 오목부의 내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청소면과 마찰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사선을 이루도록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원단은, 청소면과의 마찰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수분을 포함하여 청소면과의 마찰시 수분에 의해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원단은 청소면과 마찰시 발생하는 정전기가 증가되도록 파라핀이 도포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터를 기본으로 레이온과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부직포는 원단에 형성된 볼록부를 통해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이탈시키고 오목부를 통해 이탈된 이물질을 수용함으로써 이물질이 원단에서 이탈해 다시 청소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한 장의 원단으로 기존보다 더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의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의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는 원단(100), 볼록부(110), 오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100)은 청소면(f)과의 마찰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수분을 포함하여 청소면(f)과의 마찰시 수분에 의해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원단(100)은 건조된 상태로 사용 시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폴리에스터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단(100)은 폴리에스터와 레이온이 혼합되거나, 폴리에스터와 폴리프로필렌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단(100)은 폴리에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비스코스레이온, 펄프, 죽섬유와 같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100)은 청소면(f)과 마찰시 발생하는 정전기가 증가되도록 파라핀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적어도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섬유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혼합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상기 천연섬유와 상기 합성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다른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천연섬유와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합성섬유와 합성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연섬유로는 예를 들면 비스코스레이온, 솜, 죽섬유, 펄프와 같은 천연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섬유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원단(100)은 상기 비스코스레이온에 상기 펄프 또는 상기 폴리에스터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죽섬유에 상기 펄프 또는 상기 폴리에스터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단(100)은 상기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상기 죽섬유 10% 내지 65%에 상기 폴리에스터 또는 상기 펄프 90% 내지 35%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상기 죽섬유의 비율에 따라 상기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죽섬유와 혼합되는 상기 폴리에스터 또는 상기 펄프와 같은 섬유의 비율은 달라진다. 한편, 상기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상기 죽섬유의 비율은 30% 내지 65%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상기 죽섬유는 30% 이하 65% 이상으로도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에 대하여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함께 설명한다.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의 일측 또는 타측 표면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을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롤러에 권취하면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밀착된 원단(100)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110)는 상기 롤러에 돌출된 서로 이웃하는 돌기 사이에 위치한 원단(100)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110)는 오목부(120)의 내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단차(t)가 형성되어 청소면(f)과 마찰시 이물질(d)을 긁어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d)는 사람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먼지나 머리카락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작은 먼지일 수 있다. 또는, 음식물 부스러기 사람의 피부에서 떨어지는 각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의 높이 차이로 형성된 단차(t)를 통해 청소면(f)에 위치한 이물질(d)을 긁어내 청소면(f)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볼록부(110)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오목부(120)에 상기 청소면(f)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d)이 수용되어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통해 청소면(f)에 분포되어 있는 이물질(d)을 긁어내 수용함으로써 상기 청소용 부직포(1000)가 청소할 수 있는 청소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들과 교호적으로 사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하나의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의 일단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형성된다. 즉 원단(100)이 정사각형이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기준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의 한 변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준 볼록부(110)와 오목부(120)의 양측에 배치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기준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기울어진 측의 반대측인 타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하나의 행에 형성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열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에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의 배열은 서로 이웃하는 열에 형성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 전체에 걸쳐 서로 이웃하는 열에 형성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허니콤(honeycomb)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상기 원단(100)의 일부를 인장시켜 형성된다. 즉, 상기 원단(100)의 일부를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인장시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형성하기 때문에 원단(100)의 일측 또는 타측면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엠보싱 형태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원단(100)보다 세척면과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청소면(f)에 묻은 오물이나 이물질(d)이 잘 닦여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형태로 돌출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통해 상기 원단(100)이 가진 본래의 두께 보다 더 두꺼운 질감을 소비자가 사용 시 느끼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보다 향상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원단(100)을 인장시켜 형성되는 것으로써 원단(10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를 통해 보다 많은 수분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단(100)에 흡수되어 청소용 부직포(1000)의 수분 함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100)에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원단(100)을 공급하여 상기 원단(100)을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권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로 이뤄진 돌기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단(100)을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권취한 다음에는, 분사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권취된 원단(100)에 고압의 물을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다수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상기 원단(100)이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돌기에 밀착된다.
상기 분사유닛(도시되지 않음)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물이 상기 원단(100)을 일정시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원단(100)이 상기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돌기를 따라 인장됨으로써 상기 원단(100)에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형성된 상기 원단(100)은 일정크기로 잘라 포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는 원하는 생산량에 대응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실행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해 상기 청소용 부직포(1000)를 이용해 청소면(f)을 청소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부직포(1000)를 이용해 바닥을 청소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밀대에 상기 청소용 부직포(1000)를 부착하거나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한다. 여기서 밀대는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용 부직포(1000)를 밀대에 고정하는 방식은 밀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청소용 부직포(1000)가 고정된 부분을 청소면(f)에 밀착시킨 후 힘을 주어 앞으로 밀어낸다. 이때, 청소면(f)에 배치된 이물질(d)들이 상기 볼록부(110)를 통해 청소면(f)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이물질(d)들은 상기 오목부(120)에 형성된 공간에 밀려서 수용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오목부(120)에 이물질(d)이 가득 차게 되면 청소용 부직포(1000)를 교체한 후 이어서 청소를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청소용 부직포 (100) : 원단
(110) : 볼록부 (120) : 오목부
(t) : 단차 (d) : 이물질
(f) : 청소면

Claims (9)

  1. 원단;
    상기 원단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단에 형성되어 청소면과의 마찰시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청소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수용되어 부착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사선을 이루도록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원단을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롤러에 권취하면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밀착된 원단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롤러에 돌출된 서로 이웃하는 돌기 사이에 위치한 원단부분에 형성되고 오목부 내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청소면과 마찰 시, 이물질을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부직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청소면과의 마찰 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파라핀이 도포되고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부직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수분을 포함하여 청소면과의 마찰시 수분에 의해 마찰력을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부직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터를 기본으로 레이온과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부직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부직포.
KR1020120134765A 2012-11-26 2012-11-26 청소용 부직포 KR10135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5A KR101352717B1 (ko) 2012-11-26 2012-11-26 청소용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5A KR101352717B1 (ko) 2012-11-26 2012-11-26 청소용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717B1 true KR101352717B1 (ko) 2014-01-16

Family

ID=5014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65A KR101352717B1 (ko) 2012-11-26 2012-11-26 청소용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852A (ja) * 1998-12-07 2000-06-20 Sugiyama:Kk 使い捨て床シート
JP2004313425A (ja) 2003-04-16 2004-11-11 Unitika Tsusho Ltd 拭き取りシート
JP2006305175A (ja) * 2005-04-28 2006-11-09 Sugiyama:Kk 拭き取りシート
KR20120107843A (ko) * 2009-06-24 2012-10-04 제이엔씨 파이버스 주식회사 표면 요철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852A (ja) * 1998-12-07 2000-06-20 Sugiyama:Kk 使い捨て床シート
JP2004313425A (ja) 2003-04-16 2004-11-11 Unitika Tsusho Ltd 拭き取りシート
JP2006305175A (ja) * 2005-04-28 2006-11-09 Sugiyama:Kk 拭き取りシート
KR20120107843A (ko) * 2009-06-24 2012-10-04 제이엔씨 파이버스 주식회사 표면 요철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051B2 (en) Non-woven fabric substrate for wiping sheet
EP2134227B1 (fr) Article d'entretien et de nettoyage
US9204775B2 (en) Scrubbing strip for a cleaning sheet, cleaning sheet used therewith, and method of making
US7356869B2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RU2608283C2 (ru) Полотно для протирк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9339165B2 (en) Replaceable cleaning pads for cleaning device
US9788701B2 (en) Non-woven fabric substrate for wiping sheet
US20070180640A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10694719B2 (en) Self-cleaning pet grooming scrub brush
US10694915B2 (en) Sheet with tow fiber and movable strips
CN103260495A (zh) 拖把
US20160128540A1 (en) Replaceable cleaning pads
KR20080004612A (ko) 와이핑 부재 및 세척품
CN204016200U (zh) 清洁用纤维布
KR101352717B1 (ko) 청소용 부직포
JP5421765B2 (ja) 清掃シート
JP5201666B2 (ja) 清掃用具
US20190223665A1 (en) Utility wash cloth
US20160262590A1 (en) Cleaning Cloths with Discrete Scrubbing Elements to Facilitate Removal of Grease, Grime and Dirt
JP2007244750A (ja) 洗浄用たわし
JP2006068208A (ja) 清掃用シート
KR20140033888A (ko) 물티슈용 원단
JP2017070645A (ja) たわし
JP2003135352A (ja) 汚れ拭き編物
JP2004057302A (ja) 汚れ取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