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682B1 -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82B1
KR101352682B1 KR1020110143632A KR20110143632A KR101352682B1 KR 101352682 B1 KR101352682 B1 KR 101352682B1 KR 1020110143632 A KR1020110143632 A KR 1020110143632A KR 20110143632 A KR20110143632 A KR 20110143632A KR 101352682 B1 KR101352682 B1 KR 10135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polypropylene resin
resin composi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312A (ko
Inventor
서석규
김창희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고;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 및 고무성분으로 작용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피쉬아이의 발생률이 낮고, 고투명성을 나타내는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은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전자제품 및 광학 필름의 보호필름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제조되는 보호필름은 전자 제품의 부품 및 광학 필름의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 자체가 조립 이전 단계까지만 사용되는 일회용이긴 하나, 보호필름이 붙어있는 상태에서 광학필름의 표면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보호필름 자체의 결함이 광학 필름의 결함으로 인지될 가능성이 있어 고투명성을 가지면서 낮은 피쉬아이 발생률을 가진 보호필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피쉬아이의 발생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Todd가 “Polymer Lami Coat Conf. 1992.”에서 발표한 “Characterization of gels in polyethylene film”를 보면 피쉬아이의 발생원인을 4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크게 외부 이물질 혼입과 수지 자체의 특성에 의한 발생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수지 자체의 특성에 의한 피쉬아이 발생을 낮추기 위해서 수지의 가교 현상을 조절하거나 또는 투명성이 낮은 수지를 이용하여 피쉬아이를 가리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고투명성을 가지면서 낮은 피쉬아이 발생률을 가진 보호필름을 제조하는데 여전히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필름 제막시 낮은 마찰력을 나타내어 후공정이 용이하고, 낮은 피쉬아이(Fish-eye) 발생률을 가지면서, 고투명성의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렌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용제추출고무 함량(자일렌 추출물)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가 2.0 dl/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에틸렌 함량이 용제추출고무 내 에틸렌 함량을 기준으로 45 mol%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의 에틸렌 함량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용제추출고무 함량(자일렌 추출물)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 포함되고,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가 2.0 dl/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에틸렌 함량이 용제추출고무 내 에틸렌 함량을 기준으로 45 mol%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필름 제막시 낮은 마찰력은 나타내어 필름의 후가공이 용이하고, 우수한 내열성 및 절단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피쉬아이의 발생이 적은 고투명성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정밀도 및 고투명성이 요구되는 전자 제품 및 광학 필름의 표면용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렌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렌드된 수지를 포함하기에 보호필름의 절단성 및 투명성을 개선시키고, 상기 보호필름의 피쉬아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블렌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로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에틸렌 함량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의 상호 작용성이 떨어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끼리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보호필름에 피쉬아이가 발현되거나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필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보호필름 제조에 따른 후공정의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은 상기 블렌드 수지에서 자일렌(Xylene) 용제로 추출한 용제추출고무의 함량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용제추출고무의 함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높아져서 보호필름의 제단 시 칼날의 마모가 증가되고, 이물질이 혼입이 쉬워져 상기 보호필름이 오염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공정 진행 시 용융상태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사슬끼리 뭉침이 발생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피쉬아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 자체가 끈적끈적한 특성을 띄게 되어 필름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상기 보호필름을 말려진 롤에서 풀 때 점착층과의 이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에틸렌 함량은 상기 용제추출고무 내 에틸렌 함량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함량은 45 mol%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mol%이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45 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틸렌 함량이 높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존재하게 되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사슬 간에 뭉침(agglomeration) 및 얽힘이 쉽게 발생하여 보호필름에 피쉬아이가 증가될 수 있고, 투명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고유점도는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고유점도는 2.0 dl/g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dl/g,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 dl/g이다. 상기 고유점도가 2.0 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사이의 친화도가 떨어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사슬 간의 얽힘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보호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피쉬아이가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 및 고무성분으로 작용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는 보호필름의 절단성 및 투명성을 개선시키고, 상기 보호필름의 피쉬아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는 통상적인 중합방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의 에틸렌 함량은 FT-IR로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에틸렌 함량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고무성분으로 작용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사슬 간에 뭉침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보호필름에 피쉬아이가 발현되거나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필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보호필름 제조에 따른 후공정의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함량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에서 자일렌(Xylene) 용제로 추출한 용제추출고무의 함량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높아져서 보호필름의 제단 시 칼날의 마모가 증가되고 칼날 성분에 따른 이물질이 혼입되어 상기 보호필름이 오염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공정 진행 시 용융상태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사슬끼리 뭉침이 발생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피쉬아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 자체가 끈적끈적한 특성을 띄게 되어 필름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상기 보호필름을 말려진 롤에서 풀 때 점착층과의 이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에서 에틸렌 함량은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에틸렌 함량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함량은 45 mol%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mol%이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45 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의 중합시 고분자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가 생성되어 보호필름의 피쉬아이로 나타날 수 있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 사슬 간의 뭉침(agglomeration) 및 얽힘이 쉽게 발생하여 보호필름에 피쉬아이가 증가되고, 투명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고유점도는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고유점도는 2.0 dl/g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dl/g,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 dl/g이다. 상기 고유점도가 2.0 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무성분으로 작용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사슬간의 얽힘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보호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피쉬아이가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다분산성 지수(Polydispersity Index: PI)가 2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다분산성 지수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호필름을 제막하기 위해 압출기에 열을 가할 때, 고분자량의 분포가 많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고, 이러한 용융되지 않은 수지에 의해서 상기 보호필름의 피쉬아이가 급격히 증가될 수 있으며, 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좁은 분자량 분포로 인하여 압출시 스크류의 부하가 증가하여 필름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다분산성 지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유변학적 방법을 통해서 회전형 점도계(Rotational Viscometer; Rheometric Dynamic Spectrometer, RDS)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1 내지 10 g/10분(ASTM D 1238, 230 ℃, 2.16 Kg에서 측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g/10분 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1 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제막시 또는 압출시 부하가 상승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떨어져서 보호필름을 원하는 생산성으로 얻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10 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이에서 압출되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보호필름 두께의 균일성이 악화되고, 필름 성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각종 첨가제, 보강재, 충진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제품 및 광학필름 등에 이용되는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필름 제막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T-다이 캐스팅 방식, 블로운 필름, 이축연신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호필름은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사용한다면 동일한 필름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필름의 제조
< 실시예 1~3>
1)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블렌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용융 블렌드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하였다.
2) 필름의 제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T-다이 캐스팅 방식으로 제막하여 두께 0.04 mm의 필름을 얻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필름에 대한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 실시예 4>
표 1에 제시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얻었다.
< 비교예 1~4>
표 1에 제시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블렌드 수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필름에 대한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의 물성 측정 방법
1)용융 지수( Melt index )
ASTM D 1238 조건에 따라 230℃,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다분산성 지수( Polydispersity index , PI )
분자량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유변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과 손실 탄성률(loss modulus)의 교점인 교차 탄성률(crossover modulus(Gc))을 이용하여 다음식으로부터 다분산성지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1104020621-pat00001

3)고무성분의 자일렌 추출분( Xylene Soluble , X.S., 중량%)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자일렌에 1%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4)고무성분의 고유점도 ( Xylene Soluble - intrinsic viscosity , X.S.- IV , dl/g %)
고무성분의 고유점도로서, 자일렌에 150℃로 용해하여 고유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고무고무성분 내 에틸렌 함량( ethylene propylene rubber - ethylene , EPR-C2, 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자일렌 용제 추출분의 에틸렌 분율로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720,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7)흐림도
ASTM D 1003 조건에 따라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8)광택도
ASTM D 2457 조건에 따라 필름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9)마찰계수
마찰계수는 정마찰계수로 ASTM D 1894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 값이 낮을수록 필름간의 마찰이 적어 점착제 도포 후에도 풀림이 용이하다.
10) 피쉬아이
필름 성형 후 광학 피쉬아이 카운터(Futec Max eye C)로 개수를 측정하여 단위면적당 발생 개수로 환산하여 기재하였다. 원형이 아닌 타원형의 피쉬아이는 장축을 기준으로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 면적을 5회 측정한 평균이다.
11) 프로필렌 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720,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폴리프로필렌 수지 구조
용융지수,
g/10분
8 8 8 8 8
8
8
8
분자량분포,
다분산지수
3.3 3.3 3.3 3.4 3.5
3.3
3.3
3.3
랜덤
중합체
수지구조
에틸렌함량, 중량% 0.8 0.8 0.8 0.8 2.8 3.4 0.8 0.8
고무성분
구조
고무성분의
함량, 중량%
10 10 20 10 10
10
30
10
고무성분의
고유점도, dl/g
1.3 2.0 1.9 1.5 1.3
1.3
1.3
3.0
고무성분의
에틸렌함량, mol%
15 15 15 15 15
15
15
55
광학특성 흐림도, % 0.8 0.9 0.6 0.5 0.3 0.3 0.5 4.2
광택도, % 86.6 85.3 89.2 88.5 91.4 89.9 88.2 66.1
마찰계수 정마찰계수 1.1 1 1.3 1.2 >2.0 >2.0 >2.0 0.8
Fish-eye,
개/m2
0.3mm이상 11 12 8 3 10 14 12 31
0.2~0.3mm 72 89 76 55 68 52 93 154
0.1~0.2mm 158 183 209 102 144 183 193 37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필름 제막시 낮은 마찰력을 나타내고, 고투명성 및 낮은 피쉬아이 발생률을 가진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 및 고무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에 필름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필름이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필름의 후가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무성분의 고유점도 및 고무성분 내 에틸렌 함량이 각각 2.0 dl/g 및 45 mol%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감소하고, 피쉬아이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필름 제막시 낮은 마찰계수를 나타내어 필름의 후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피쉬아이 발생률이 낮은 고투명성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정밀한 측정이 요구되는 전자 제품 및 광학 필름의 표면 검사시 이용될 수 있는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블렌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용제추출고무 함량(자일렌 추출물)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가 2.0 dl/g 이하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에틸렌 함량이 용제추출고무 내 에틸렌 함량을 기준으로 45 mol% 이하이고,
    상기 블렌드 수지의 용융지수가 1 내지 10 g/10분(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수지의 다분산지수가 2.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의 에틸렌 함량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부분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용제추출고무 함량(자일렌 추출물)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용제추출고무의 고유점도가 2.0 dl/g이하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의 에틸렌 함량이 용제추출고무 내 에틸렌 함량을 기준으로 45 mol%이하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1 내지 10 g/10분(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공중합체의 다분산지수가 2.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143632A 2011-12-27 2011-12-27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5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32A KR101352682B1 (ko) 2011-12-27 2011-12-27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32A KR101352682B1 (ko) 2011-12-27 2011-12-27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12A KR20130075312A (ko) 2013-07-05
KR101352682B1 true KR101352682B1 (ko) 2014-01-17

Family

ID=489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632A KR101352682B1 (ko) 2011-12-27 2011-12-27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42Y1 (ko) * 2014-08-11 2015-04-08 장부영 항온 항습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535A (ja) * 1994-09-21 1996-04-09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50067654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용융장력을 지닌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JP2006188562A (ja) 2004-12-28 2006-07-20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ブロック共重合体によ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材料
KR100705656B1 (ko) 2005-02-17 2007-04-10 (주)폴리머스넷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소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535A (ja) * 1994-09-21 1996-04-09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50067654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용융장력을 지닌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JP2006188562A (ja) 2004-12-28 2006-07-20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ブロック共重合体によ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材料
KR100705656B1 (ko) 2005-02-17 2007-04-10 (주)폴리머스넷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소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12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852B2 (ja) 押出しコーティングのために改善された樹脂組成物
JP6015857B2 (ja) 加工助剤、及び組成物
KR101298417B1 (ko) 내백화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필름
EP2992050B1 (en) Low density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with good melt strength and high density
WO2012170526A1 (en) Improved resin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KR101007785B1 (ko) 보호필름용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KR101352682B1 (ko)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09329B1 (ko)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CN114044966A (zh) 一种抗雾化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64584B1 (ko) 수축율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50145016A (ko)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101645100B1 (ko)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9774B1 (ko) 고무제품 포장용 필름의 기능성 소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448420B1 (fr) Compositions glissantes, anti-bloquantes et de qualité optique à base de copolymères d&#39;éthylène de faible cristallinité
KR101208294B1 (ko)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WO2010137718A1 (ja) 押出成形時のメヤニ発生を抑制するポリマー微粒子
KR101330968B1 (ko)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보호필름
KR101208186B1 (ko) 고투명성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101233917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보호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100801552B1 (ko) 표면특성 및 가공특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조성물
KR101927002B1 (ko)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20040067414A (ko)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2187020B1 (ko) 무광층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무광필름 제조방법
KR100947191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