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76B1 -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76B1
KR101351776B1 KR1020120043632A KR20120043632A KR101351776B1 KR 101351776 B1 KR101351776 B1 KR 101351776B1 KR 1020120043632 A KR1020120043632 A KR 1020120043632A KR 20120043632 A KR20120043632 A KR 20120043632A KR 101351776 B1 KR101351776 B1 KR 10135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warning
automatic winding
winding mean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609A (ko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7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2011/0009Roller-band displays
    • G09F2011/0018Roller-band displays having one motor for each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터널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작동하는 진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진입로에 장착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외부신호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수용수단(10)과, 상기 수용수단(10)에 내장되어 모우터(24)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자동권취수단(20),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펼쳐지거나 감겨져 운전자에게 터널상황을 알려주는 경고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측부에 나란히 장착되면서 회전손잡이(44)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을 감아주는 수동권취수단(40);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상기 수동권취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30)의 유동을 차단하는 중량수단(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에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동권취수단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의 감김 및 펼침공정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자동권취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지보수비가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Device for signify the emergency accidient of tunnel which is used as mannual}
본 발명은 터널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비상시 작동하는 진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입차단장치의 감김 및 펼침에 따른 작업공정으로서 자동 및 수동을 겸용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편리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고속도로 등의 신속한 통행을 위해 산과 같은 장애물을 관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터널은 차량의 주행거리를 최소화하여 주행시간을 단축하는 커다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 내부에서 각종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터널에서 교통사고나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질식사고의 위험성이 클 뿐만 아니라, 상기 터널에 이미 진입한 차량의 경우에는 신속한 대피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인적 및 물적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터널진입차단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공지의 터널진입차단장치(등록번호:10-927571호)에 의하면, 구동축(110)에 의해 막체(10)를 감는 몸체부(100)와, 상기 구동축(110)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부(200),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경로에 설치된 근접센서부(300), 및 상기 근접센서부(3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부(200)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는 상기 구동모터부(200)에 의해 상기 구동축(1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축(110)에 의해 상기 막체(10)가 전체적으로 감겨지거나 펼쳐지는 구조이며, 특히 상기 근접센서부(300)에 의해 상기 막체(10)의 감김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감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는 상기 구동모터부(200)에 의해 상기 막체(10)가 자동으로 감겨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로서, 상기 구동모터부(2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자체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은 물론 사다리 차량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막체(10)를 걷어 올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는, 상기 막체(10)가 단지 자중에 의해 하우징(120)의 하부방향으로 늘어뜨려진 구조이므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막체(10)에 풍력이 가해져 유동하는 경우, 상기 막체(10)에 의한 터널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차량진입을 오히려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 특허등록공보(등록번호; 제10-92757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입차단장치의 감김 및 펼침에 따른 일련의 작업공정으로서 자동 및 수동을 겸용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편리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진입로에 장착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외부신호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수용수단과, 상기 수용수단에 내장되어 모우터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자동권취수단,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의 정역회전과정에서 펼쳐지거나 감겨져 운전자에게 터널상황을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권취수단의 측부에 나란히 장착되면서 회전손잡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경고수단을 감아주는 수동권취수단,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과 상기 수동권취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의 유동을 차단하는 중량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에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동권취수단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의 감김 및 펼침공정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자동권취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지보수비가 절감된다.
둘째, 상기 중량수단의 자중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이 하부방향으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세팅되므로, 상기 경고수단에 풍력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최소화되어 터널사고의 정보취득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입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입차단장치의 오작동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의 펼침과정을 도시한 작업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의 중량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와 평단면도 및 작업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차단장치의 중량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널진입차단장치(1)는 터널진입로에 장착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외부신호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수용수단(10)과, 상기 수용수단(10)에 내장되어 모우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자동권취수단(20),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펼쳐지거나 감겨져 운전자에게 터널상황을 알려주는 경고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측부에 나란히 장착되면서 회전손잡이(44)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을 감아주는 수동권취수단(40),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상기 수동권취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30)의 유동을 차단하는 중량수단(5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1)는 상기 수용수단(10)과 자동권취수단(20)과 경고수단(30)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수동권취수단(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경고수단(30)이 수동으로 감겨짐은 물론 상기 중량수단(50)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30)의 유동이 차단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10)은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1)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터널의 진입로에 구성된 구조물(미도시)에 설치되며, 그 내부공간에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경고수단(30)과 수동권취수단(40)과 중량수단(50)을 수용하여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물(미도시)은 상기 터널의 진입로에 배치되면서 다수개의 기둥부재와 수평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된 통상적인 철구조물을 의미하며, 상기 터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배치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은, 상기 수용수단(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외부동력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체로서, 상기 수용수단(10)에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고수단(30)을 감아주는 자동감김봉(22) 및, 상기 자동감김봉(22)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우터(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고수단(30)은 상기 수용수단(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권취수단(30)에 감겨져 상기 터널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용수단(10)의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경고체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자동권취수단(20)에 감겨진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상기 수동권취수단(40)에 감겨진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30)의 외표면에 상기 차량의 터널진입의 차단에 필요한 각종 경고문구나 경고문양이 구성되며, 특히 그 소재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날씨에 식별이 용이한 전사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원에서는 상기 경고수단(30)으로서 스크린형태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자동권취수단(20)에 의해 감겨질 수 있다면 엘이디나 엘시디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30)은 상기 수용수단(10)에 장착된 스피커나 경광등과 같은 경고기(35)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권취수단(40)은 상기 수용수단(10)의 내부공간에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된 회전체로서, 상기 자동감김봉(22)의 측부에 나란하게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수동감김봉(42), 및 상기 수동감김봉(42)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손잡이(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수단(50)은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상기 수동권취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고수단(30)의 위치가 항상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수직방향으로 세팅하는 것으로서, 상기 경고수단(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경고수단(30)의 감김 및 펼침과정에서 동시에 회전한다,
또한, 상기 중량수단(50)은 상기 경고수단(30)에 면접촉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의 펼침 및 감김과정에서 정역회전하는 접촉축(52)과; 상기 접촉축(52)의 양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승강체(54); 및 상기 승강체(54)에 결합되면서 상기 경고수단(30)에 자중을 가하는 중량체(5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56)의 외표면에는 고무와 같은 완충재질을 부착하여 쿠션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중량체(56)에 의한 주변기구나 주변물품과의 충돌에 의한 사고나 손상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동권취수단(20)에는 작업자가 누를 때만 작동하는 조이스틱이나 푸쉬버튼 형태의 제어수단(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경고수단(30)이 운전가가 인지할 수 있는 위치 즉, 하강정지 위치까지 도달하는 경우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터널사고가 발생하여 제어수단(60)을 작동하면, 상기 모우터(24)에 의해 상기 자동감김봉(22)이 정회전하므로, 상기 자동감김봉(22)에 감겨져 있던 상기 경고수단(30)이 펼쳐지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경고수단(30)은 상기 중량수단(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수단(10)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세팅되므로, 상기 경고수단(30)에 풍력이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이다.
반면, 상기 터널사고가 해결되어 상기 제어수단(60)을 작동하면, 상기 모우터(24)에 의해 상기 자동감김봉(22)이 역회전하므로, 상기 자동김감봉(22)의 둘레면에 상기 경고수단(30)이 감겨져 리턴한다.
따라서, 상기 터널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어수단(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이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경고수단(30)을 펼쳐주거나 감아주므로, 상기 터널사고에 따른 피해를 줄여주는 것이다.
만일,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1)에 오작동이 발생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이 감겨지지 않으면, 상기 회전손잡이(44)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동감김봉(42)에 상기 경고수단(30)을 감아준다.
따라서, 상기 터널진입차단장치(1)의 전장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동권취수단(40)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30)을 신속히 감아 수납하므로, 상기 경고수단(30)의 유지보수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된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터널진입차단장치 10 : 수용수단
20 : 자동권취수단 22 : 자동감김봉
24 : 모우터 30 : 경고수단
35 : 경고기 40 : 수동권취수단
42 : 수동감김봉 44 : 회전손잡이
50 : 중량수단 52 : 접촉축
54 : 승강체 56 : 중량체

Claims (3)

  1. (보정)
    터널진입로에 장착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외부신호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수용수단(10)과; 상기 수용수단(10)에 내장되어 모우터(24)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자동권취수단(20);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펼쳐지거나 감겨져 운전자에게 터널상활을 알려주는 경고수단(30); 상기 자동권취수단(20)의 측부에 나란히 장착되면서 회전손잡이(44)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을 감아주는 수동권취수단(40); 및 상기 자동권취수단(20)과 상기 수동권취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경고수단(30)의 유동을 차단하는 중량수단(50);
    을 포함하며,상기 중량수단(50)은,상기 경고수단(30)에 면접촉하여 상기 경고수단(30)의 펼침 및 감김과정에서 정역회전하는 접촉축(52)과; 상기 접촉축(52)의 양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승강체(54); 및 상기 승강체(54)에 결합되면서 상기 경고수단(30)을 늘어뜨리는 중량체(56);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2. (유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30)은,그 일단부가 상기 자동권취수단(20)에 감겨진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상기 수동권취수단(40)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3. (삭제)
KR1020120043632A 2012-04-26 2012-04-26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35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632A KR101351776B1 (ko) 2012-04-26 2012-04-26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632A KR101351776B1 (ko) 2012-04-26 2012-04-26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609A KR20130120609A (ko) 2013-11-05
KR101351776B1 true KR101351776B1 (ko) 2014-01-15

Family

ID=4985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632A KR101351776B1 (ko) 2012-04-26 2012-04-26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49B1 (ko) 2021-09-06 2022-08-01 조성호 터널진입 경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953A (zh) * 2017-12-23 2018-05-08 南昌首诺科技有限公司 一种地质灾害用塌方安全警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27A (ko) * 2002-02-25 2003-08-30 유니티카 세쯔비 기쥬쯔 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KR20090026240A (ko) * 2008-06-30 2009-03-12 주식회사 거도산업 터널 진입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27A (ko) * 2002-02-25 2003-08-30 유니티카 세쯔비 기쥬쯔 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KR20090026240A (ko) * 2008-06-30 2009-03-12 주식회사 거도산업 터널 진입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49B1 (ko) 2021-09-06 2022-08-01 조성호 터널진입 경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609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4211T3 (es) Una máquina de trabajo autopropulsada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4660B1 (ko) 광고판 겸용 휀스 차단기
AU2015366210A1 (en) Aerial lif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KR101351776B1 (ko) 수동겸용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CN103541315B (zh) 移动警示牌释放装置
KR20120102219A (ko) 접이식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265004B1 (ko)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189010B1 (ko) 접층식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618241B1 (ko) 고소 작업차의 버킷
KR101447991B1 (ko)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US10994652B2 (e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rear vehicle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ame
CN104827980A (zh) 遮挡帘和车辆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KR101266911B1 (ko) 안전기구를 갖는 터널진입차단장치
JP6852236B2 (ja) 遮断装置
US6084507A (en) Truck turning safety gate
JP3197485U7 (ko)
JP3750804B2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JP2019501810A (ja) セルカ棒を利用した車両非常安全装置
CN104309517A (zh) 车载式大型led组合屏及启闭方法
CN104742641B (zh) 一种车轮总成及汽车
KR101294483B1 (ko) 차량용 트렁크를 이용한 경고알림 구조
KR200484011Y1 (ko) 차량장착용 교통 안내장치
CN110847093B (zh) 一种公路护栏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