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86B1 -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86B1
KR101351686B1 KR1020120129033A KR20120129033A KR101351686B1 KR 101351686 B1 KR101351686 B1 KR 101351686B1 KR 1020120129033 A KR1020120129033 A KR 1020120129033A KR 20120129033 A KR20120129033 A KR 20120129033A KR 101351686 B1 KR101351686 B1 KR 10135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addle
gear
bicycl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문성
Original Assignee
류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문성 filed Critical 류문성
Priority to KR102012012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프레임(F)의 안장클램프(F1)에 클램핑되는 몸체(10); 몸체(10)의 바닥브라켓(11)의 양측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원통형태의 제1,2수납홈(21)(31)과, 제1,2수납홈(21)(31) 내측 중앙에 제1,2축부지지공(22)(32)을 가지는 제1,2브라켓(20)(30); 제1,2축부지지공(2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웜기어(42)를 가지는 웜축부(40);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52)와, 자전거의 안장(S)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봉(53)과, 랙기어(52)를 핀지지공(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핀(54)을 가가지는 안장지지부(50); 웜축부(40)에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60)(65); 축부(41)의 회전가능하게 끼어진 상태로 제1,2수납홈(21)(31)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제1,2플레이트(60)(65)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3,4플레이트(70)(75); 제3,4플레이트(70)(75)를 제1,2플레이트(60)(65) 측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80)(85); 및 제3,4플레이트(70)(7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2각도조절부(90)(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본 발명은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안장의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 것으로서, 한쌍의 바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발에 의하여 회전되는 페달과, 페달의 회전을 바퀴로 전달하는 체인과, 사용자가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과,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전거는 교통수단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건강증진과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점차 수요가 확산 되고 있다. 특히 산악을 오르내리는 산악자전거의 경우 수요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오르막길을 오르거나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안장의 각도가 변동된다. 즉 경사가 높은 오르막길을 올라갈 때 안장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탑승자의 엉덩이가 후미측으로 미끄러져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탑승자의 엉덩이가 전방측으로 미끄러져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이 경우 운전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고, 장시간 운행시 피로가 쌓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오르막을 오르거나 내리막을 내려갈 때,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안장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는, 자전거프레임(F)의 안장클램프(F1)에 클램핑되는 지지봉(11a)을 가지는 바닥브라켓(11)과, 상기 바닥브라켓(11)의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핀지지공(12a)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브라켓(12)을 가지는 몸체(10); 상기 측벽브라켓(12)의 양측 바닥브라켓(11)의 양측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원통형태의 제1,2수납홈(21)(31)과, 상기 제1,2수납홈(21)(31) 내측 중앙에 제1,2축부지지공(22)(32)을 가지는 제1,2브라켓(20)(30); 상기 제1,2축부지지공(2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축부(41)와, 상기 축부(41) 사이에 웜기어(42)를 가지는 웜축부(40); 상기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52)와, 자전거의 안장(S)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봉(53)과, 상기 랙기어(52)를 상기 핀지지공(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핀(54)을 가가지는 안장지지부(50); 상기 웜축부(40)에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60)(65); 상기 축부(41)의 회전가능하게 끼어진 상태로 상기 제1,2수납홈(21)(31)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플레이트(60)(65)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3,4플레이트(70)(75);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를 제1,2플레이트(60)(65) 측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80)(85); 및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2각도조절부(90)(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라켓(20)(30) 각각은, 측부 상부에 상기 제1,2수납홈(21)(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2장공(23)(33)과, 측부에 상기 제1,2수납홈(21)(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24)(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는, 각각의 외주면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2장공(23)(33)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각도조절부(90)(95)에 연동되는 제1,2작동돌기(71)(76)와, 상기 외주면 측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24)(34)을 따라 움직이는 제1,2가이드돌기(72)(7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24)(34) 각각은, 제1폭(d1)을 가지는 제1,2광폭레일(24a)(34a)과, 상기 제1,2광폭레일(24a)(34a) 보다 작은 제2폭(d2)을 가지는 제1,2단폭레일(24b)(34b)과, 상기 제1,2광폭레일(24a)(34a)과 제1,2단폭레일(24b)(34b)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제1,2경사레일(24c)(34c)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잇어서, 상기 웜기어(42)는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52)는 상기 웜기어(4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레이트(60)(65) 각각은, 그 일측면에 형성된 환 형태의 제1,2치차기어(60a)(65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4플레이트(70)(75) 각각은, 그 타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치차기어(60a)(65a)에 치차결합되는 제3,4치차기어(70a)(75a)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각도조절부(90)(95) 각각은, 핸들(H)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보조레버(91)(96)와, 상기 제1,2보조레버(91)(96)와 연결된 와이어형태의 제1,2철심(92a)(97a)이 내장되는 제1,2케이블(92)(97)과, 상기 제1,2철심(92a)(97a)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2복귀스프링(93)(98)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안장에 탑승한 상태에서, 오르막길을 오르거나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제1보조레버 또는 제2보조레버를 반복적으로 움직여, 안장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르막길을 오를 때나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장(S)의 후미측 또는 전방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항상 올바를 탑승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안정하고 피로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제1,2브라켓, 제1,2플레이트, 제3,4플레이트 및 제1,2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2브라켓에 있어서, 제1,2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도 7은 도 3의 제1,2플레이트의 제1,2치차기어와 제3,4플레이트의 제3,4치차기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1,2각도조절부가 몸체를 감싸는 커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장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자전거는, 한쌍의 바퀴(W1)(W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F)과, 탑승자의 발에 의하여 회전되는 페달(P)과, 페달(P)의 회전운동을 바퀴로 전달하는 체인(C)과, 사용자가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S)과,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핸들(H)로 구성된다. 이때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는, 프레임(F)에 형성된 안장클램프(F1)에 설치되어 안장(S)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조절장치(100)는, 자전거프레임(F)의 안장클램프(F1)에 설치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1,2브라켓(20)(30)과, 제1,2브라켓(20)(30) 사이에 설치되는 웜축부(40)와, 웜축부(40)의 회전에 연동되어 안장(S)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안장지지부(50)와, 웜축부(40)에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60)(65)와, 제1플레이트(60)(65)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3,4플레이트(70)(75)와, 제3,4플레이트(70)(75)를 제1,2플레이트(60)(65) 측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80)(85)과, 제3,4플레이트(70)(7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2각도조부(90)(95)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클램프(F1)에 클램핑되는 지지봉(11a)을 가지는 바닥브라켓(11)과, 바닥브라켓(11)의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핀지지공(12a)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브라켓(12)을 가진다.
제1브라켓(20)은 측벽브라켓(12) 일측의 바닥브라켓(1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브라켓(20)은, 원통형태의 제1수납홈(21)과, 제1수납홈(21) 내측 중앙에 형성된 제1축부지지공(22)과, 측부 상부에 제1수납홈(2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장공(23)과, 측부에 제1수납홈(2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24)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24)은, 제1폭(d1)을 가지는 제1광폭레일(24a)과, 제1광폭레일(24a) 보다 작은 제2폭(d2)을 가지는 제1단폭레일(24b)과, 제1광폭레일(24a)과 제1단폭레일(24b)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제1경사레일(24c)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가이드레일(24)에는 후술할 제3플레이트(70)의 제1가이드돌기(72)가 끼어지며, 제1가이드돌기(72)가 제1광폭레일(24a)에 위치될 때 전후방으로 움직임 가능하다. 그러나 제1가이드돌기(72)가 제1단폭레일(24b)에 위치될 때 전후방으로 움직임은 구속된다.
제2브라켓(30)은 측벽브라켓(12) 타측의 바닥브라켓(1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브라켓(30)은, 원통형태의 제2수납홈(31)과, 제2수납홈(31) 내측 중앙에 형성된 제2축부지지공(32)과, 측부 상부에 제2수납홈(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2장공(33)과, 측부에 제2수납홈(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34)을 포함한다.
제2가이드레일(34)은, 제1폭(d1)을 가지는 제2광폭레일(34a)과, 제2광폭일(34a) 보다 작은 제2폭(d2)을 가지는 제2단폭레일(34b)과, 제2광폭레일(34a)과 제2단폭레일(34b)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제2경사레일(34c)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2가이드레일(34)에는 후술할 제4플레이트(75)의 제2가이드돌기(77)가 끼어지며, 제2가이드돌기(77)가 제2광폭레일(34a)에 위치될 때 전후방으로 움직임 가능하다. 그러나 제2가이드돌기(77)가 제2단폭레일(34b)에 위치될 때 전후방으로 움직임은 구속된다.
웜축부(40)는, 제1,2축부지지공(2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축부(41)와, 축부(41) 사이에 웜기어(42)를 포함한다.
웜기어(4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후술할 안장지지부(50)의 핀(54)을 중심축으로 하였을 때 동일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안장지지부(50)는,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52)와, 자전거의 안장(S)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봉(53)과, 랙기어(52)를 핀지지공(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핀(54)을 가진다.
랙기어(52)는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태의 웜기어(4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한 웜기어(42)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랙기어(52)가 웜기어(42)에 밀착되므로, 웜기어(42)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랙기어(52)는 핀(54)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웜축부(40) 및 안장지지부(50)의 구조에 의하여, 웜기어(42)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웜기어(42)에 결합된 랙기어(52)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52) 상부측의 안장지지봉(53)에 지지되는 안장(S)은 후방측 또는 전방측으로 움직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제1,2브라켓, 제1,2플레이트, 제3,4플레이트 및 제1,2스프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2브라켓에 있어서 제1,2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플레이트(60)는 원판형태를 가지며, 웜기어(42)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제1플레이트(60)의 일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 형태의 제1치차기어(6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치차기어(6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직면이 형성된 기어이다.
제2플레이트(65)는 원판형태를 가지며, 웜기어(42)의 타측에 고정된다. 이때 제2플레이트(65)의 일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 형태의 제2치차기어(65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치차기어(65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직면이 형성된 기어이다.
제3플레이트(70)는, 축부(4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어진 상태로 제1수납홈(21)에 끼어진다. 이때 제3플레이트(70)의 타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차기어(60a)에 치차결합되는 제3치차기어(70a)가 형성된다. 제3치차기어(7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직면이 형성된 기어이다.
제3플레이트(70)의 외주면 상부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0)의 제1장공(23)을 관통하며 후술할 제1케이블(92)의 제1철심(92a)이 연결되는 제1작동돌기(71)가 고정된다.
제3플레이트(70)의 외주면 측부에는, 제1브라켓(20)의 제1가이드레일(24)을 따라 움직이는 제1가이드돌기(72)가 고정된다. 제1가이드돌기(72)는 제3플레이트(70)가 회전될 때 제1가이드레일(24)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3플레이트(70)를 제1플레이트(6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제4플레이트(75)는, 축부(41)에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어진 상태로 제2수납홈(31)에 끼어진다. 이때 제4플레이트(75)의 타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치차기어(65a)에 치차결합되는 제4치차기어(75a)가 형성된다. 제4치차기어(75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직면이 형성된 기어이다.
제4플레이트(75)의 외주면 상부측에는 제2브라켓(30)의 제2장공(33)을 관통하며 후술할 제2케이블(97)의 제2철심(97a)이 연결되는 제2작동돌기(76)가 고정된다.
제4플레이트(75)의 외주면 측부에는 제2브라켓(30)의 제2가이드레일(34)을 따라 움직이는 제2가이드돌기(77)가 고정된다. 제2가이드돌기(77)는 제4플레이트(75)가 회전될 때 제2가이드레일(34)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4플레이트(75)를 제2플레이트(65)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도 6 및 도 도 7은 도 3의 제1,2플레이트의 제1,2치차기어와 제3,4플레이트의 제3,4치차기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플레이트(60)(65)의 제1,2치차기어(60a)(65a)와 제3,4플레이트(70)(75)의 제3,4치차기어(70a)(75a)가 결합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플레이트(70)(7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플레이트(60)도 함께 회전된다. 그러나 제3,4플레이트(70)(7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치차기어(70a)(75a)가 제1,2치차기어(60a)(65a)를 타고 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플레이트(60)(65)는 회전되지 않는다.
제1스프링(80)은, 제1수납홈(21)에 내장되어 제3플레이트(70)를 제1플레이트(60) 측으로 가압하고, 제2스프링(85)은, 제2수납홈(31)에 내장되어 제4플레이트(80)를 제2플레이트(65) 측으로 가압한다.
도 8은 제1,2각도조절부가 몸체를 감싸는 커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각도조절부(90)는, 핸들(H)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보조레버(91)와, 제1보조레버(91)와 연결된 와이어형태의 제1철심(92a)이 내장되는 제1케이블(92)과, 제1철심(92a)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귀스프링(93)을 포함한다. 이때 제1케이블(92)은 몸체(10)를 감싸는 커버(13)에 설치되고, 커버(13)에는 제1복귀스프링(93)이 수납되는 제1철심스프림수압홈(1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철심(92a)은 탑승자가 제1보조레버(91)를 작동시킬 때 연동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72)와 연결되어 있다. 제1철심(92a)은 제1보조레버(91)의 작동에 연동되어 제1가이드돌기(72)가 고정된 제3플레이트(7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1철심(92a)은 제1복귀스프링(93)과 연결되어, 제1보조레버(91)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제2각도조절부(95)는, 핸들(H)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보조레버(96)와, 제2보조레버(96)와 연결된 와이어 형태의 제2철심(97a)이 내장되는 제2케이블(97)과, 제2철심(97a)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98)을 포함한다. 이때 제2케이블(9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감싸는 커버(13)에 설치되고, 커버(13)에는 제2복귀스프링(98)이 수납되는 제2철심스프림수압홈(1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철심(97a)은 탑승자가 제2보조레버(96)를 작동시킬 때 연동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돌기(77)와 연결되어 있다. 제2철심(97a)은 제2보조레버(96)의 작동에 연동되어 제2가이드돌기(77)가 고정된 제4플레이트(75)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2철심(97a)은 제2복귀스프링(98)과 연결되어, 제2보조레버(96)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 상기한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가이드돌기(72)(77)가 제1,2단폭레일(24b)(34b)에 위치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플레이트(70)(75)의 제3,4치차기어(70a)(70b)는 제1,2플레이트(60)(65)의 제1,2치차기어(60a)(65a)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탑승자가 안장(S)에 탑승한 상태로 안장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보조레버(91) 또는 제2보조레버(96)를 잡아당긴다.
예를 들면 오르막길을 올라갈 때 손가락으로 제1보조레버(91)를 잡아당기면, 제1철심(92a)은 제1작동돌기(71)를 잡아당겨 제3플레이트(7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72)는 제1경사레일(24c)을 지나 제1광폭레일(24a)로 진입하게 되고, 제3플레이트(70)는 제1스프링(80)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3치차기어(70a)는 제1치차기어(60a)에 치차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1보조레버(91)를 좀더 잡아당기면, 제1작동돌기(71)가 더욱 움직이면서 제3플레이트(70)를 좀더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60)는 함께 회전되면서 웜기어(4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1보조레버(91)로부터 손가락을 놓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제1복귀스프링(93)은 제1철심(92a)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제1철심(92a)은 제1작동돌기(71)를 밀어 제3플레이트(7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치차기어(70a)가 제1치차기어(60a)를 타고 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60)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제1가이드돌기(72)는 제1광폭레일(24a)에 위치되므로, 제3치차기어(70a)가 제1치차기어(60a)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관계에 따라, 제1보조레버(91)를 반복적으로 잡아당기면,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된 랙기어(52)는 전방측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52) 상부측의 안장지지봉(53)에 지지되는 안장(S)은 전방측으로 움직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반대로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손가락으로 제2보조레버(96)를 잡아당기면, 제3철심(97a)은 제3작동돌기(76)를 잡아당겨 제4플레이트(7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돌기(77)는 제2경사레일(34c)을 지나 제2광폭레일(34a)로 진입하게 되고, 제4플레이트(75)는 제2스프링(85)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4치차기어(75a)는 제2치차기어(65a)에 치차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2보조레버(96)를 좀더 잡아당기면, 제2작동돌기(77)가 더욱 움직이면서 제4플레이트(75)를 좀더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2플레이트(65)는 함께 회전되면서 웜기어(42)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2보조레버(96)로부터 손가락을 놓게 되면, 제2복귀스프링(98)은 제2철심(97a)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제2철심(97a)은 제2작동돌기(76)를 밀어 제4플레이트(7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치차기어(75a)가 제2치차기어(65a)를 타고 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플레이트(65)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제2가이드돌기(77)는 제2광폭레일(34a)에 위치되므로, 제4치차기어(75a)가 제2치차기어(65a)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한 동작관계에 따라, 제2보조레버(96)를 반복적으로 잡아당기면,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된 랙기어(52)는 후방측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52) 상부측의 안장지지봉(53)에 지지되는 안장(S)은 후방측으로 움직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오르막길을 오르거나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탑승자는 제1보조레버(91) 또는 제2보조레버(96)를 반복적으로 움직여, 안장(S)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오르막길을 오를 때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장(S)의 후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장(S)의 전방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올바를 탑승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안정하고 피로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몸체 11 ... 바닥브라켓
11a ... 지지봉 12 ... 측벽브라켓
12a ... 핀지지공 20, 30 ... 제1,2브라켓
21, 31 ... 제1,2수납홈 22, 32 ... 제1,2축부지지공
23, 33 ... 제1,2장공 24, 34 ... 제1,2가이드레일
24a, 34a ... 제1,2광폭레일 24b, 34b ... 제2광폭레일
24c, 34c ... 제1,2경사레일 40 ... 웜축부
41 ... 축부 42 ... 웜기어
50 ... 안장지지부 52 ... 랙기어
53 ... 안장지지봉 54 ... 핀
60, 65 ... 제1,2플레이트 60a, 65a ... 제1,2치차기어
70, 75 ... 제3,4플레이트 70a, 75a ... 제3,4치차기어
71, 76 ... 제1,2작동돌기 72, 77 ... 제1,2가이드돌기
80, 85 ... 제1,2스프링 90, 95 ... 제1,2각도조절부
91, 96 ... 제1,2보조레버 92, 97 ... 제1,2케이블
92a, 97b ... 제1,2철심 93, 98 ... 제1,2복귀스프링

Claims (6)

  1. 자전거프레임(F)의 안장클램프(F1)에 클램핑되는 지지봉(11a)을 가지는 바닥브라켓(11)과, 상기 바닥브라켓(11)의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핀지지공(12a)이 형성된 한쌍의 측벽브라켓(12)을 가지는 몸체(10);
    상기 측벽브라켓(12)의 양측 바닥브라켓(11)의 양측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원통형태의 제1,2수납홈(21)(31)과, 상기 제1,2수납홈(21)(31) 내측 중앙에 제1,2축부지지공(22)(32)을 가지는 제1,2브라켓(20)(30);
    상기 제1,2축부지지공(2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축부(41)와, 상기 축부(41) 사이에 웜기어(42)를 가지는 웜축부(40);
    상기 웜기어(42)에 기어결합되는 랙기어(52)와, 자전거의 안장(S)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봉(53)과, 상기 랙기어(52)를 상기 핀지지공(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핀(54)을 가가지는 안장지지부(50);
    상기 웜축부(40)에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60)(65);
    상기 축부(41)의 회전가능하게 끼어진 상태로 상기 제1,2수납홈(21)(31)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플레이트(60)(65)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3,4플레이트(70)(75);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를 제1,2플레이트(60)(65) 측으로 가압하는 제1,2스프링(80)(85); 및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2각도조절부(90)(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라켓(20)(30) 각각은, 측부 상부에 상기 제1,2수납홈(21)(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2장공(23)(33)과, 측부에 상기 제1,2수납홈(21)(31)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24)(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4플레이트(70)(75)는, 각각의 외주면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2장공(23)(33)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각도조절부(90)(95)에 연동되는 제1,2작동돌기(71)(76)와, 상기 외주면 측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24)(34)을 따라 움직이는 제1,2가이드돌기(72)(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24)(34) 각각은, 제1폭(d1)을 가지는 제1,2광폭레일(24a)(34a)과, 상기 제1,2광폭레일(24a)(34a) 보다 작은 제2폭(d2)을 가지는 제1,2단폭레일(24b)(34b)과, 상기 제1,2광폭레일(24a)(34a)과 제1,2단폭레일(24b)(34b)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제1,2경사레일(24c)(34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42)는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52)는 상기 웜기어(4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레이트(60)(65) 각각은, 그 일측면에 형성된 환 형태의 제1,2치차기어(60a)(65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4플레이트(70)(75) 각각은, 그 타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치차기어(60a)(65a)에 치차결합되는 제3,4치차기어(70a)(75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각도조절부(90)(95) 각각은, 핸들(H)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보조레버(91)(96)와, 상기 제1,2보조레버(91)(96)와 연결된 와이어형태의 제1,2철심(92a)(97a)이 내장되는 제1,2케이블(92)(97)과, 상기 제1,2철심(92a)(97a)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2복귀스프링(93)(9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KR1020120129033A 2012-11-14 2012-11-14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KR10135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33A KR101351686B1 (ko) 2012-11-14 2012-11-14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33A KR101351686B1 (ko) 2012-11-14 2012-11-14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686B1 true KR101351686B1 (ko) 2014-01-23

Family

ID=5014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33A KR101351686B1 (ko) 2012-11-14 2012-11-14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6258A (zh) * 2015-10-12 2015-12-30 浙江通达电器有限公司 快速调整底座角度装置及电动工具
WO2017014408A1 (ko) * 2015-07-21 2017-01-26 황성만 자전거의 안장 경사각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6Y1 (ko) * 2000-10-11 2001-05-02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KR200233268Y1 (ko) * 2001-02-24 2001-09-25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6Y1 (ko) * 2000-10-11 2001-05-02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KR200233268Y1 (ko) * 2001-02-24 2001-09-25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408A1 (ko) * 2015-07-21 2017-01-26 황성만 자전거의 안장 경사각 조절장치
US10399625B2 (en) 2015-07-21 2019-09-03 Soung Man HWANG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CN105196258A (zh) * 2015-10-12 2015-12-30 浙江通达电器有限公司 快速调整底座角度装置及电动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281B2 (ja) 自転車サドル角度調節装置
CN101801778B (zh) 踏板作为发动机的微型踏板车
JP5722580B2 (ja) 自転車のサドル角度調節装置
US10399625B2 (en)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WO2014151694A1 (en) In line derailleur
KR101351686B1 (ko) 자전거 안장 각도 조절장치
US20150197311A1 (en) Foot-sliding quad vehicle with tilt-grip steering
JPWO2019064416A1 (ja) 手動用車輪付移動体
CN108275237A (zh) 一种全自动自行车
KR101521347B1 (ko) 보조 안장과 짐받이가 겸용되는 자전거용 보드
KR101228803B1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KR101917796B1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101658215B1 (ko) 레일 자전거
JP3186475U (ja) 自転車用後輪支持装置
CN112519868B (zh) 一种山道滑车的脚踏机构
CN112316445B (zh) 一种山道滑车
KR20110097057A (ko) 묘기 자전거
US20220297786A1 (en) Multifunctional assisted ergonomic tricycle type device
KR101213826B1 (ko) 와이어의 힘 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전거
KR101471102B1 (ko) 자전거
WO2022157655A1 (en) A vehicle, in particular of the cycling type, especially in the form of a bicycle
KR101744216B1 (ko) 자전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05452B1 (ko) 케이블 마운팅장치
TWI254687B (en) Structure for a power-assisted skating sco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