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197B1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197B1
KR101351197B1 KR1020110103974A KR20110103974A KR101351197B1 KR 101351197 B1 KR101351197 B1 KR 101351197B1 KR 1020110103974 A KR1020110103974 A KR 1020110103974A KR 20110103974 A KR20110103974 A KR 20110103974A KR 101351197 B1 KR101351197 B1 KR 10135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shock absorbing
absorb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9435A (en
Inventor
신경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신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신경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11010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197B1/en
Publication of KR2013003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길이 방향 끝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여러 단계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고, 끝단의 에지(edge) 부분에 의한 차량 및 탑승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가드레일의 레일플레이트들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단부를 덮도록 측방향으로 절곡된 덮개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일플레이트들의 단부 사이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변형되면서 1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라운드레일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들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플레이트들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guard rail to absorb the impact in a number of stages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guard to improve the safety 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occupants by the edge (edge) of the en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rail,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ail plate of the guard rail, bent laterally to cover the end of the rail plate at one end A cover member having a cover portion; Round rails each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rail plate to conceal between the ends of the rail plates and deform in a vehicle collision, and thus have a primary shock absorbing effect;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ail plates, respectively, and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rail plates and the round rail includes a buffer plate of the 'W' shape that acts as a secondary shock absorber in a vehicle crash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Shock Absorber for Guard Rails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의 길이 방향 끝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여러 단계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고, 끝단의 에지(edge) 부분에 의한 차량 및 탑승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guard rail to absorb shocks in various stages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by the edge portion of the end It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guard rail that can improve the safety by minimizing.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의 중앙선 즉, 차량 주행폭을 한정하는 중앙의 황색실선을 따라 설치되어 마주보며 주행하는 차량의 진로를 엄격히 구분함과 더불어 주행차량의 반대쪽 차선 침범을 억제시킴으로 인해 차량간의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도로 변이나 교량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guardrails are installed along the center line of a road, ie, along the center yellow line, which limits the driving width of the road. The guardrail strictly distinguishes the paths of vehicles facing each other and suppresses the invasion of lanes opposite to the vehicle. It prevents accidents in advance, or is installed on the edge of roads or bridges to prevent departure of the driving vehicle.

이러한 가드레일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가드레일의 단부와 충돌하게 되면, 가드레일의 단부가 날카로운 칼날로 작용하여 차량 내로 파고 들어오면서 차량과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Since the guardrail extends horizontally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rail, the end of the guardrail acts as a sharp blade, digging into the vehicle, causing catastrophic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There was a case.

이에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의 단부에 반호형의 라운드레일을 설치하여 가드레일을 구성하는 내부부품이 외부로 무질서하게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라운드레일이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emi-circular round rai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to effectively prevent disordered exposure of the internal parts constituting the guard rail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round rail is crushed during a vehicle crash. It absorbs shock and improves safety.

그러나, 종래의 가드레일 단부에 설치되는 라운드레일은 차량충돌시 부분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소망하는 정도의 충돌에 저항하기에는 역부족이며, 가드레일의 단부가 여전히 날카로운 칼날 작용을 하여 차량을 파고드는 현상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라운드레일과 같은 완충구조물은 충격흡수보다는 미관상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었다.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round rail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rail can be expected to partially absorb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rashes, it is insufficient to resist a desired collision, and the end of the guardrail still has a sharp blade action.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digging into the vehicle was not sufficiently suppress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structure, such as the round rail, the situation was to achieve aesthetic purposes rather than shock absorption.

또한, 도로의 분기점과 같은 곳에서는 별도의 폐타이어를 구비한 완충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사고예방을 위한 대체기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나, 이 또한 시설물이 노상에 무질서하게 노출되는 것이므로 도시미관을 크게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t was used as an alternative function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installing a buffer structure with a separate waste tire, such as at the junction of roads, but this also damages the city's aesthetics since the facilities are exposed to the road unorderedly.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여러 단계에 걸쳐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더불어, 가드레일 단부의 에지(edge) 부분이 칼날 작용을 하는 것을 억제하여 차량 및 탑승자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rail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in various stages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It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guardrail that can suppress the action of the blad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safe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도로 중앙이나 도로변에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플레이트를 구비한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들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일플레이트들의 단부 사이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변형되면서 1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라운드레일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들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플레이트들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posts are provided at any interval at the center of the road or on the side of the road,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st and extending in parall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guard rai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having a pair of rail plates to absorb the impact during a vehicle crash,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ail plates to A round rail which conceals between end portions and at the same time deforms in a vehicle collision to perform primary shock absorption;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ail plates, respectively, and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rail plates and the round rail includes a buffer plate of the 'W' shape that acts as a secondary shock absorber in a vehicle crash It provide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 rail,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도로 중앙이나 도로변에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플레이트를 구비한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끝단부와 포스트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일플레이트의 단부와 포스트 사이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변형되면서 1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라운드레일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끝단부 및 포스트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t the end of the guardrail having a plurality of posts provided at arbitrary intervals at the center of the road or on the side of the road, and a rail plat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st and extend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rails installed to absorb shocks during a vehicle collision,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 and the post of the rail plate, respectively, concealing between the end and the post of the rail plate A round rail that deforms during impact and acts as a primary shock absorber;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 and the post of the rail plat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rail plate and the round rail is a buffer plate of the 'W' shape that acts as a secondary shock absorption when the vehicle crashes It provide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comprising a.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레일플레이트의 단부를 덮도록 측방향으로 절곡된 덮개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end of the rail plate, the cover having a cover portion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to cover the end of the rail plate at one end The member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트플레이트와,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추가적인 완충 작용을 하는 보조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rail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pl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and the mount plate elastic force during a vehicle collis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uffer member to provide an additional buffering a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에 충돌하게 될 때, 상기 라운드레일과 완충플레이트 등이 소정의 시차를 두고 여러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찌그러지거나 수축되는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rail end, the round rail and the cushioning plate, etc. absorb shocks while causing deformation, which is sequentially crushed or shrunk over several steps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Thus, a very good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ost.

또한, 레일플레이트의 날카로운 단부가 커버부재에 의해 덮여지게 되는 경우, 레일플레이트의 단부가 날카로운 칼날 작용을 하는 것이 억제됨과 더불어 레일플레이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일플레이트의 단부가 차량을 파고들어 차량을 손상시키는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harp end of the rail plate is covered by the cover member, the edge of the rail plate is suppressed from performing a sharp blade action and the end of the rail plate is bent inward. Therefore, the end of the rail plate can be minimized to damage the vehicle by digging into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 of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3 show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ad.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가드레일은 도로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중앙분리대로서 기능하는 가드레일로서, 도로의 중앙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플레이트(2)를 구비한다. 상기 포스트(1)의 양측부에는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을 고정하기 위한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태의 결합부재(1a)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a)는 포스트(1)와 개별체로 이루어져 포스트(1)의 상단부 양측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요소이지만, 포스트(1)의 일부분으로 간주함이 타당할 것이다. 1 to 3 show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rail of this embodiment is a guardrail installed at a central part of the road and functioning as a median separator,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st 1 and posts 1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enter of the road. A pair of rail plates 2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running direction is provided. Coupling members 1a in the form of hollow circular pipes for fixing the rail plates 2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ost 1. The coupling member 1a is a component that is composed of the post 1 and is fix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ost 1, but it would be reasonable to regard it as a part of the post 1.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은 기다란 평판을 상하방향을 따라 'S'자형으로 연속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길이방향 끝단부는 다른 부분과 연속된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날카로운 에지(edge)를 갖게 된다. The rail plates 2 are formed of a continuous bent in an 'S' shape along an elongated flat plate.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ail plate 2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continuous with the other part to have a sharp edg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각각의 레일플레이트(2)들의 단부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10)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각각의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라운드레일(20)과,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20) 사이에 배치되는 대략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30)와,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트플레이트(40)와,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완충부재(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to 3,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member 10 fixed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an end of each of the rail plates 2, and both ends thereof respectively. A round rail 20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rail plate 2 of the rail plate 2, and a buffer plate having a substantially 'W' shape dispos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rail plates 2 and the round rail 20 ( 30), the mounting plate 4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install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mount plate 40 Consists of the configuration.

상기 커버부재(10)는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단부에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를 덮도록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덮개부(11)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10)가 덮개부(11)를 갖게 되면, 덮개부(11)로 인하여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칼날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 억제되어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차량 내측으로 파고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has a cover portion 11 bent at right angles inward to cover an end portion of the rail plate 2 at an outer end portion thereof. When the cover member 10 has the cover portion 11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rail plate 2 by the cover portion 11 is suppressed to act like a blade so that the end of the rail plate 2 The phenomenon of digging into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상기 커버부재(10)의 상당부와 하단부는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연접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0)에는 레일플레이트(2)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볼트체결공(12)들이 형성되어 있다. Corresponding portions and lower ends of the cover member 10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ail plate 2. The cover member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12 for fastening the bolt with the rail plate 2.

상기 커버부재(10)는 상기 라운드레일(20) 및 완충플레이트(30)와 함께 겹쳐지면서 레일플레이트(2)의 외측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10)와 라운드레일(20) 및 완충플레이트(30)를 서로 겹쳐서 결합시키게 되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over member 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plate 2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while overlapping with the round rail 20 and the buffer plate 30. When the cover member 10 and the round rail 20 and the buffer plate 3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work is facilitated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상기 라운드레일(20)은 대략 'U'자형으로 만곡된 평판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각각의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라운드레일(20)의 양단부에는 레일플레이트(2)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볼트체결공(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레일(20)은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단부 사이의 공간을 은폐시켜 레일플레이트(2) 사이의 구조물들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에는 찌그러지는 변형을 일으키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The round rail 20 has a flat plate shape curv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ly coupled to ends of the respective rail plates 2.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22 for bolting with the rail plate 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und rail 20. The round rail 20 conceals the space between the ends of the rail plates 2 to prevent the structures between the rail plates 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deforms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It acts as a shock absorber.

상기 완충플레이트(30)는 양단부가 상기 커버부재(10) 및 라운드레일(20)과 함께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양단부에도 레일플레이트(2)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볼트체결공(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플레이트(30)는 상기 커버부재(10) 및 라운드레일(20)과 함께 겹쳐지면서 레일플레이트(2)에 고정되는 바,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볼트체결공(32)과 라운드레일(20)의 볼트체결공(22), 커버부재(10)의 볼트체결공(12)들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Both ends of the buffer plate 30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ail plates 2 together with the cover member 10 and the round rail 20.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holes 32 for bolt fastening with the rail plate 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ffer plate 30.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plate 30 is fixed to the rail plate 2 while overlapping with the cover member 10 and the round rail 20, and the bolt fastening hole 32 of the buffer plate 30 is fixed. The bolt fastening hole 22 of the round rail 20 and the bolt fastening hole 12 of the cover member 1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완충플레이트(30)는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W'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2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 내측면은 포스트(1)의 외면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ffer plate 30 has a substantially 'W'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rail plates 2 and the round rails 20 so as to absorb a secondary impact during a vehicle collision. Will be Here, the inn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is preferabl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1).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는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는 가운데 부분이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운트플레이트(40)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원호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운트플레이트(40)가 원호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면, 차량 충돌시 마운트플레이트(40)에 의한 완충 작용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The mount plate 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plate 30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In this embodiment, the mount plate 40 has a flat surface in the center portion, but as shown in FIG. 4, the mount plate 40 may be made of an arc-shaped plate with convexly curved outwards. When the mount plate 40 is formed of an arc-shaped plat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shock absorbing effect of the mount plate 40 can be increas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3차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평판을 'S'자형으로 다단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충돌시 수축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가하여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외측 단부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된다.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mount plate 40 to provide a third cushioning action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during a vehicle collision.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shock absorbing member 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stage bent plate in the 'S' shape, and the shock absorbing action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while shrinking and deforming during a vehicle crash.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coupled to the outer end is fixed to the mount plate 40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상기 보조완충부재(50)에 의한 완충 작용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보조완충부재(50) 사이에 중공의 사각 완충파이프(60)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완충파이프(60)는 중공관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형에 의해 충격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In order to double the buffering effect by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a hollow rectangular buffer pipe 60 is add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as shown in FIG. You can also install Since the buffer pipe 60 is made of a hollow tube structure, it can absorb the impact load by deformation.

한편,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자바라와 같이 'S'자형으로 구불구불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지만, 이외에도 탄성 변형에 의해 충격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한 쌍의 원호형 플레이트의 만곡된 중간부를 서로 접합시켜 대략

Figure 112011079623597-pat00001
자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완충부재(50)로서 공기가 채워진 쿠션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made of a 'S'-shaped winding plate, such as bellows, but can be made in any shape that can absorb the impact load by elastic deformation in addition 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formed by joining curved middle portions of a pair of arc-shaped plates to each other.
Figure 112011079623597-pat00001
You might have a chil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may be used, such as a cushion filled with ai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ts as follows.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가 가드레일의 레일플레이트(2)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행 차량이 임의의 방향에서 가드레일의 단부에 충돌하게 되면, 차량의 범퍼 부분이 충격흡수장치의 라운드레일(20)에 먼저 충돌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traveling vehicle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 rail in any direction while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ail plate 2 of the guard rail, the bumper portion of the vehicle is shock absorbed. It will first hit the round rail 20 of the device.

이 때, 라운드레일(20)이 먼저 찌그러지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이어서 라운드레일(20) 내측의 완충플레이트(30) 및 보조완충부재(50)가 순차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충격이 시차를 두고 수회에 걸쳐 흡수되므로 우수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und rail 20 is first crushed to absorb the shock, and then the shock absorbing plate 30 and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nside the round rail 20 are sequentially deformed to absorb the shock. do. Therefore, when the vehicle crash, the shock is absorbed several times at a tim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cellent buffering effect.

이 때,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날카로운 단부는 상기 커버부재(10)의 덮개부(11)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이므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날카로운 칼날 작용을 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차량을 파고들어 차량을 손상시키는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harp end of the rail plate 2 is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11 of the cover member 10, the end of the rail plate 2 is suppressed from having a sharp blade action. Thus, the end of the rail plate 2 can minimize the effect of digging into the vehicle and damaging the vehicle.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는 한 쌍의 레일플레이트(2)가 도로를 따라서 2열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로변이나 교량 등에 레일플레이트(2)가 1열로 설치되는 가드레일에도 유사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guardrai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llustrates that a pair of rail plates (2) is applied to the guard rail for the central separator installed side by side in two rows along the road, but as shown in FIG. Likewise, it can be appli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guard rails in which the rail plates 2 are installed in one row on roadsides or bridges.

즉,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커버부재(10)가 단일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U'자형으로 이루어진 라운드레일(20)의 양단부가 각각 레일플레이트(2)의 끝단부와 포스트(1), 엄밀히 말하면 포스트(1)의 일측 결합부재(1a)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30)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끝단부 및 포스트(1)의 결합부재(1a)에 고정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마운트플레이트(40)가 고정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 사이에 보조완충부재(50)가 설치되어 추가적인 완충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7, one cover member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a single rail plate 2, both ends of the round rail 20 made of 'U' shape each rail plate End of (2) and the post (1), strictly speaking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1a) of the post (1) is fixed to the 'W' shaped buffer plate 30 of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action Both ends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end of the rail plate 2 and the coupling member (1a) of the post (1). In addition, as 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plate 4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plate 30, the secondary buffer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mount plate 40 Member 50 is installed to provide additional cushioning effect.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에 충돌하게 될 때, 상기 라운드레일(20)과 완충플레이트(30) 및 보조완충부재(50)들이 소정의 시차를 두고 여러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찌그러지거나 수축되는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 rail end, the round rail 20, the buffer plate 30, and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various stages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As a result, the shock absorbed while causing the deformation to be crushed or contracted. Thus, a very good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ost.

또한, 레일플레이트(2)의 날카로운 단부가 상기 커버부재(10)의 덮개부(11)에 의해 덮여지게 되므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날카로운 칼날 작용을 하는 것이 억제됨과 더불어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가 차량을 파고들어 차량을 손상시키는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arp end of the rail plate 2 is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11 of the cover member 10, the edge of the rail plate 2 is suppressed from the sharp blade action and the rail plate 2 The end of is bent inward. Thus, the end of the rail plate 2 can minimize the effect of digging into the vehicle and damaging the vehicl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레일플레이트(2)가 포스트(1)의 상단에 2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단 하나의 열로 배열된 구조의 가드레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레일플레이트(2)가 포스트(1)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2열씩 또는 1열씩 배열된 구조의 가드레일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플레이트(2)가 포스트(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열씩 복층으로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충격흡수장치를 상부 및 하부의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충격흡수장치를 상부 및 하부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하나의 라운드레일(20)의 양단부를 상부와 하부의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동시에 결합시키고, 하나의 완충플레이트(30)의 양단부를 상부와 하부의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동시에 결합시켜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ail plate 2 is applied to the guard rail of the structure arranged in two rows side by side on the top of the post 1, or arranged in only one row, the rail plate 2 is a post ( The same or similar applies to the guard rail of the structure arranged in two rows or one row at each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1). For example, when the rail plate 2 is installed in two layers, respectively, in two rows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post 1, 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mounted at the ends of the rail plate 2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lthough individually installed in each, the shock absorbing device may be installed while connecting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ail plates 2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at is, both ends of one round rail 20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ail plates 2, and both ends of one buffer plate 30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ail plates 2. It may be combined at the same time to configure the shock absorber.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 : 포스트 2 : 레일플레이트
10 : 커버부재 11 : 덮개부
20 : 라운드레일 30 : 완충플레이트
40 : 마운트플레이트 50 : 보조완충부재
60 : 완충파이프
1: Post 2: Rail Plate
10: cover member 11: cover
20: round rail 30: buffer plate
40: mount plate 50: auxiliary buffer member
60: buffer pipe

Claims (10)

도로 중앙이나 도로변에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플레이트(2)를 구비한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각각의 레일플레이트(2)들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일플레이트(2)들의 단부 사이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변형되면서 1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라운드레일(20)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플레이트(2)들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2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3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 내측면은 포스트(1)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It has a plurality of posts (1) are installed at any distance at the center of the road or on the side of the road, and a pair of rail plates (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st (1) and extending in parallel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guard rail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to absorb the impact during a vehicle crash,
Round rails 20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espective rail plates 2 to conceal between the ends of the rail plates 2 and deform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reby acting as a primary shock absorber;
'W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ail plates 2, respectively, and disposed between the ends of the rail plates 2 and the round rails 20 to absorb secondary shocks during a vehicle collision.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comprising a buffer plate (30) shaped,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post (1).
도로 중앙이나 도로변에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1)와, 상기 포스트(1)의 양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플레이트(2)를 구비한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끝단부와 포스트(1)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와 포스트(1) 사이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변형되면서 1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라운드레일(20)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끝단부 및 포스트(1)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끝단부와 상기 라운드레일(2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2차 충격 흡수 작용을 하는 'W'자 형태의 완충플레이트(3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 내측면은 포스트(1)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At the end of the guardrail having a plurality of posts (1) which are provided at an arbitrary distance at the center or side of the road, and a rail plate (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ost (1) and extend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guard rails installed to absorb shocks during a vehicle crash,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ail plate 2 and the post 1, respectively, to conceal between the end of the rail plate 2 and the post 1 and to deform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reby acting as a primary shock absorber. Round rail 20 and;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ail plate (2) and the post (1),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rail plate (2) and the round rail (20) to absorb secondary shock when a vehicle crash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comprising a buffer plate (30) of the 'W'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post (1).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를 덮도록 측방향으로 절곡된 덮개부(11)를 갖는 커버부재(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The cover part (1) according to claim 1 or 2, having a cover portion (11)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rail plate (2) and bent laterally so as to cover an end of the rail plate (2) at one end thereof.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와 라운드레일(20)과 상기 완충플레이트(30)는 서로 중첩되면서 레일플레이트(2)의 단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The shock absorber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ver member (10), the round rail (20), and the buffer plate (30) overlap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rail plate (2).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트플레이트(40)와,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추가적인 완충 작용을 하는 보조완충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Mounting plate 4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plate 30, and install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mount plate 40 to collide with the vehicle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buffer member (50) that provides an additional buffering action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평판을 'S'자형으로 다단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7]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formed by bending a flat plate in an 'S'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완충부재(50)는 한 쌍의 원호형 플레이트의 만곡된 중간부를 서로 접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is formed by joining curved middle portions of a pair of arc-shaped plates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플레이트(4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원호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mount plate (40) comprises an arc-shaped plate that is convexly curved outwa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플레이트(30)의 중앙부와 상기 보조완충부재(50)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의 완충파이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hollow buffer pipe (60) install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30) and the auxiliary buffer member (50).
KR1020110103974A 2011-10-12 2011-10-12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KR101351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74A KR101351197B1 (en) 2011-10-12 2011-10-12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74A KR101351197B1 (en) 2011-10-12 2011-10-12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35A KR20130039435A (en) 2013-04-22
KR101351197B1 true KR101351197B1 (en) 2014-01-15

Family

ID=4843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74A KR101351197B1 (en) 2011-10-12 2011-10-12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1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75B1 (en) * 2015-07-02 2016-04-18 대진건설(주) The Rotary shock absorber device for guardra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447B1 (en) * 2022-06-15 2023-05-26 (주)엠에스로드 Apparatus for relieving impact on vehicle in tun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21Y1 (en) * 1991-06-13 1993-05-17 김재헌 Device for absorbing shock on the road
JP2000170131A (en) 1998-12-10 2000-06-2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Protection fence end cushioning device
KR20000058242A (en) * 1999-11-25 2000-10-05 김성희 The shock absorber for cars
KR200293141Y1 (en) 2002-07-12 2002-10-2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Safety guard rail structure for absorption of impact for corner part of crossing r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21Y1 (en) * 1991-06-13 1993-05-17 김재헌 Device for absorbing shock on the road
JP2000170131A (en) 1998-12-10 2000-06-2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Protection fence end cushioning device
KR20000058242A (en) * 1999-11-25 2000-10-05 김성희 The shock absorber for cars
KR200293141Y1 (en) 2002-07-12 2002-10-2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Safety guard rail structure for absorption of impact for corner part of crossing r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75B1 (en) * 2015-07-02 2016-04-18 대진건설(주) The Rotary shock absorber device for guard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35A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75B1 (en) Guard rail structure
KR101056065B1 (en) Double guard fence
JP2015094100A (en) Sleeve beam for guard rail end part buffering
KR100949451B1 (en) Landfill type median strip
KR101351197B1 (en)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KR200391835Y1 (en) Complex guard fence for vehicle
KR20130104091A (en) Guard rail structure
KR101379607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1170330B1 (en) Median strip guardrail equipped with buffer structure
KR101791997B1 (en) Shock-absorbing guardrail for road having buffer structure
KR100949450B1 (en) Anchor type median strip
KR101655390B1 (en) guardrail apparatus having shock absorbing and reinforcing structure
KR102592572B1 (en) Guard rail
KR100682791B1 (en) Guard beam for protecting cars impact
KR101613275B1 (en) The Rotary shock absorber device for guardrail
KR20190073193A (en) Guard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and fixing funtion
KR102157872B1 (en) Coupling structure for rail and rail of guard rail using road
KR101192586B1 (en)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KR20120090908A (en)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KR101177530B1 (en) Guide rall for shock absorber
KR101669595B1 (en)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guard rail
KR100900792B1 (en) Impact barrier for road
KR101141690B1 (en) Guard rail having asymmetric shock absorbing member
KR100889943B1 (en) Crash cushion using cutting energy of steel plates
KR200207038Y1 (en) A median strip of the hig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