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697B1 -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697B1
KR101350697B1 KR1020110124197A KR20110124197A KR101350697B1 KR 101350697 B1 KR101350697 B1 KR 101350697B1 KR 1020110124197 A KR1020110124197 A KR 1020110124197A KR 20110124197 A KR20110124197 A KR 20110124197A KR 101350697 B1 KR101350697 B1 KR 10135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ilter
housing
detection sens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278A (ko
Inventor
서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6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1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concerning gas-producing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가스의 통기성이 증대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체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에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하기 2차 필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1차 필터와; 상기 1차 필터 내부에서 상기 센싱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2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필터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수지 필터이고, 상기 2차 필터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금속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Gas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가스의 통기성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LNG)나 압축천연가스(CNG) 등의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가스를 고압으로 충전한 가스용기(봄베)를 탑재하고, 엔진에 가스용기에 저장된 가스를 공급하여 차량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가스 차량의 경우 가스용기를 포함하는 연료계통에서 가스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기 때문에, 과압안전장치, 가스검출경보시스템, 역류방지장치, 과류방지밸브 등과 같이 가스 안전을 확보하고 가스 누출 등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스검출경보시스템은 차량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해주는 시스템으로,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 향상을 도모하는데 크게 일조하고 있으며, 최근 가스검출경보시스템의 적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스검출경보시스템은 연료계통 등 가스 누출의 위험이 있는 위치에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들을 설치하고, 센서들을 통해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경우 컨트롤러가 차량의 부저나 램프 등을 작동시켜 가스 누출을 경고하는 시스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가스검출경보시스템은 가스 누출 여부를 상시 감시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시스템이므로, 그 구성에 있어서 신뢰성과 내구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누출 감지 센서는 가스 누출을 정확히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해야 하는데, 센서의 성능 향상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누출 감지 센서(10)는 가스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11)와, 상기 센싱부(11)가 수납되는 하우징(12)을 주된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하우징(12)은 센싱부(11)가 수납되면서 차량에 체결되는 본체 하우징(13)과, 센싱부(11)가 수납된 본체 하우징(13)을 덮도록 조립되는 커버(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은 내부의 센싱부(11)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감지해야 하므로 가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특히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또한 센서(10)의 장착 위치가 차량 외부인 점을 감안할 때 하우징(12)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12) 내부에 센싱부(11)를 수납하되, 엇갈린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끼워지는 하우징 본체(13)의 측면판(13a)과 커버(14)의 측면판(14a)의 끼임 구조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직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하우징(12) 내부에 멤브레인 필터(15)를 추가로 설치하여 수분 및 이물질이 센싱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멤브레인 필터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다공성의 멤브레인 필터와, 다공성 멤브레인 표면에 수분 흡착 성질의 입자들을 고정시켜 수분을 흡착, 제거해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멤브레인 필터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수분 유입의 차단 효과는 높으나, 가스가 미세 포어(pore) 사이즈를 갖는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해야 하므로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며, 더욱이 멤브레인 필터의 미세 포어에 오염물질이 조금만 흡착되더라도 가스의 흐름이 크게 방해를 받기 때문에 가스 감지 성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센서가 먼지나 탄화물질 등의 각종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커버와 하우징 본체의 측면판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센서의 청소가 어렵고, 이는 센서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 필터는 쉽게 오염됨에도 불구하고 세척 후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매번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먼지나 물, 오염물질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가스의 통기성이 증대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에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하기 2차 필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1차 필터와; 상기 1차 필터 내부에서 상기 센싱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2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필터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수지 필터이고, 상기 2차 필터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금속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끝단부가 나머지 측면부에 비해 직경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확장된 끝단부와 상기 나머지 측면부 간에 단차진 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는 발포된 수지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필터는 소결된 금속볼 입자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금속 소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필터의 표면에 부식 및 산화 방지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식 및 산화 방지 도금층은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 의하면, 먼지나 물, 오염물질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가스의 통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센서에서는 발포 수지 필터인 1차 필터가 먼지나 오염물질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면서 물 유입을 지연시키고, 세차시나 수분 노출시 1차 필터를 통해 어느 정도의 물 유입이 발생하더라도 금속 소결 필터인 2차 필터가 센싱부로의 물 유입 및 미세 이물질의 유입을 추가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1차 필터는 발포된 수지 간의 틈을 이용하여, 그리고 2차 필터에서는 금속볼 입자 간의 틈을 이용하여 가스를 통과시키므로, 미세 사이즈의 포어를 통해 가스를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필터에 비해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센서의 가스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쉽게 구겨지거나 찢길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에 비해 발포 수지 필터와 금속 소결 필터는 내구성이 좋으며, 오염이 상대적으로 심하게 발생하는 바깥쪽의 발포 수지 필터를 간단히 물로 세척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고, 세척 등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수직 장착시 물이 흘러내리는 경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서 사용되는 발포 수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서 금속 소결 필터의 도금 전 상태와 도금 후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의 수직 장착시 물이 흘러내리는 경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100)는 하우징(120) 내부에 센싱부(130) 주변을 둘러싸도록 컵 형상의 1차 필터(140)와 2차 필터(150)를 2중으로 배치한 2중 필터 구조를 가지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센서(100)는, 차체(1)에 체결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베이스(110)에 고정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센싱부(130)와,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하기 2차 필터(15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1차 필터(140)와, 상기 1차 필터(140) 내부에서 상기 센싱부(1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2차 필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110)는 하우징(120), 1, 2차 필터(140,150), 센싱부(130)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차체(1)에 마운팅되어 체결되는 마운팅부(111)를 가지며, 예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111)는 사각형의 외형을, 마운팅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 부분은 원형의 용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1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에 마운팅부(111)가 접합된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차체 장착 위치에서 고정되는데, 마운팅부(111)의 체결홀(112)에 볼트나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차체(1)와 체결하게 된다.
도 4는 상측의 차체(1) 수평면에 수평 배치되도록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차체(1) 수직면에 수직 배치되도록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보스부(113)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보스부(113)에는 센싱부(130)가 고정된 원통형의 체결부(131)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31)와 베이스(110)의 보스부(113) 간을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나사체결방식, 즉 체결부(131)의 내주면과 이에 접합되는 보스부(113)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131)를 보스부(113)에 나사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부분에는 최외곽으로 배치되는 컵 형상의 하우징(120)이 고정되는데, 상기 하우징(120)은 센싱부(130) 주변의 최외곽으로 배치되어 대형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140,150)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110)의 중앙부분에 컵을 거꾸로 씌워놓은 듯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측면부(121)의 끝단부가 베이스(11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고, 이때 측면부(121)의 끝단부가 베이스(110)에 원형으로 형성된 요입부(1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방식은 분리하여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측면부(121)의 끝단부를 베이스(110)의 요입부(114)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억지끼움방식이 적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측면부(121)의 끝단부와 베이스(110)의 요입부(114) 대응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양측을 나사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측면부(121)에는 가스가 유입되는 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122)은 측면부(121)에서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복수개의 홀(122)이 측면부(12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 수준 이상의 대형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가스의 유입은 원활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슬릿 형상을 갖는 홀의 길이와 폭이 적절히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하우징 구조는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홀(122)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세차시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쉽게 빠질 수 있는 구조인데, 도 4에 나타낸 상부 취부 구조 또는 도 5에 나타낸 수직 취부 구조 모두에서 원활한 물 빠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홀(122)의 크기가 비교적 넓어서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붙어도 쉽게 청소가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하우징(120)의 측면부(121)에서 베이스(110)에 결합되는 끝단부(121a)는 상기 홀(122)이 형성된 나머지 측면부(121b)에 비해 직경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로써 확장된 끝단부(121a)와 홀(122)이 형성된 나머지 측면부(121b) 간의 경계를 따라서 단차진 턱(123)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120)의 측면부(121)에서 베이스(110)의 요입부(114)에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요입부(114)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정 구간만큼의 끝단부(121a)를 나머지 측면부(121b)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하여, 확장된 끝단부(121a)와 나머지 측면부(121b) 간의 경계를 따라서 턱(12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부(121)의 끝단부(121a)는 하우징(120)의 나머지 측면부(121b)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측면부(121)의 끝단부(121a)가 나머지 측면부(121b)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이에 확장된 끝단부(121a)와 나머지 측면부(121b) 간의 경계를 따라 베이스(110)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턱(123)이 형성되고, 이 턱(123)은 하우징(120) 외주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취부 구조에서는 상측의 차체(1)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베이스(110) 위에서 확장된 끝단부(121a)의 외주면, 즉 턱(123)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이렇게 물이 턱(123)을 따라 돌아 흘러내리게 되면서 하우징(120)의 홀(122)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물과 먼지, 오염물질 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1차 필터(140)가 설치되고, 이 1차 필터(14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2차 필터(150)가 설치된다.
상기 1차 필터(140)는 먼지나 물, 오염물질 등의 각종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2차 필터(150)는 센서 발화 차단(온도 상승 및 발화에 의한 폭발 방지, 필터 내, 외부의 직접적인 공기 접촉을 지연하여 발화를 방지함), 센서 열 차단, 미세 이물질 차단의 역할을 한다.
또한 1차 필터(140)와 2차 필터(150)를 통과한 미세 수분은 고온 상태인 센싱부(130)의 열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센싱부(130)는 감지 작동 중 고온으로 발열하게 되는데, 공지된 접촉 연소식 가스 센서의 경우 감지소자와 보상소자의 비드 2개로 구성되고, 이때 전압을 인가하면 소자 표면 온도가 대략 350℃로 유지되며, 가연성 가스가 감지소자에 접촉하면 감지소자의 표면에서 연소반응이 발생하여 비드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1차 필터(140)와 2차 필터(150)를 통과한 미세 수분은 고온으로 가열된 센싱부(130)에 의해 증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에서 1차 필터(140)와 2차 필터(150)는 모두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1차 필터(140)로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수지 필터가 사용되고, 2차 필터(150)로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금속 필터가 사용된다.
이때, 1차 필터(140)로는 발포된 수지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것을, 2차 필터(150)로는 소결된 금속볼 입자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금속 소결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발포체는 발포된 수지가 틈을 두고 일부분이 서로 융착된 구조를 가지며, 금속 소결체는 금속볼 입자가 틈을 두고 일부분이 서로 융착된 구조를 가진다.
결국, 본 발명의 센서(100)에서는 1차 필터(140), 즉 발포 수지 필터가 먼지나 각종 오염물질 등 이물질의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면서 물 유입을 지연시키고, 세차시나 수분 노출시 1차 필터(140)를 통해 어느 정도의 물 유입이 발생하더라도 2차 필터(150), 즉 금속 소결 필터가 센싱부(130)로의 물 유입 및 미세 이물질의 유입을 추가로 차단하게 된다.
더욱이 1차 필터(140)와 2차 필터(150)를 통과한 미세 수분은 고온 상태인 센싱부(130)의 열에 의해 제거되므로 물 유입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2중 필터 구조에서 1차 필터(140)는 발포된 수지 간의 틈을 이용하여, 그리고 2차 필터(150)에서는 금속볼 입자 간의 틈을 이용하여 가스를 통과시키므로, 미세 사이즈의 포어(pore)를 통해 가스를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필터에 비해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센서의 가스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쉽게 구겨지거나 찢길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에 비해 발포 수지 필터(140)와 금속 소결 필터(150)는 내구성이 좋으며, 오염이 상대적으로 심하게 발생하는 바깥쪽의 발포 수지 필터(140)를 간단히 물로 세척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고, 세척 등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금속 소결 필터는 직접적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경우 부식이나 산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깥쪽의 1차 필터(140)로 발포 수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깥쪽의 1차 필터(140)가 상대적으로 오염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세척만으로 쉽게 재사용이 가능한 발포 수지 필터를 1차 필터(140)로 사용한다.
아울러, 발포 수지 필터의 경우 사용 온도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센싱부(130)의 열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면서 고온의 환경에 항시 노출되는 2차 필터(150)로는 금속 소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수지 필터(14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원료를 발포제 및 기타 첨가제와 혼합한 뒤 금형에 사출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컵 형상의 필터를 제조하는데, 발포시 수지 간의 틈(mesh)이 발생하여 가스 흐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물 유입은 지연시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출 감지 센서에서 사용되는 발포 수지를 촬영한 사진으로, 이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촬영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 발포 수지 필터(140)는 한쪽 끝이 막혀 있고 반대쪽 끝이 개구된 컵 형상으로 제작되며, 이때 개구된 필터 끝에는 플랜지(14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0) 내부에 발포 수지 필터(140)를 넣은 뒤, 발포 수지 필터(140)의 플랜지(141)가 하우징(120)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턱(124)과 베이스(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하우징(120)을 베이스(110)에 고정시키면, 발포 수지 필터(140)가 하우징(12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금속 소결 필터(150)는 원구 타입의 작은 금속볼(예컨대, 직경 0.40 ~ 0.125 mm 범위의 금속볼)들을 가공 틀에 넣고 가열하여 용융점 부근에서 소결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고, 이때 볼과 볼 사이의 틈(mesh)이 형성되어 가스 흐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2차적 이물질 유입은 방지함).
금속 소결 필터(150)의 재료로는 동, 주석의 금속볼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결 공정을 통해 필터 형상을 완성한 후 부식 및 산화 방지 도금을 실시하여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금 재료로는 은(A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8은 도금하기 전의 금속 소결 필터(150)와 은을 도금한 최종 완성품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금속 소결 필터(150) 역시 한쪽 끝이 막혀 있고 반대쪽 끝이 개구된 컵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때 개구된 필터 끝에 플랜지(151)를 형성한다.
금속 소결 필터(150)의 고정 방법은, 베이스(110)의 보스부(113) 내측으로 금속 소결 필터(150)를 넣은 뒤, 금속 소결 필터(150)의 플랜지(151)가 보스부(113)와 체결부(131)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부(131)를 보스부(113)에 체결하면, 금속 소결 필터(150)가 발포 수지 필터(14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차체 100 : 가스 누출 감지 센서
110 : 베이스 111 : 마운팅부
112 : 체결홀 113 : 보스부
114 : 요입부 120 : 하우징
121 : 측면부 122 : 홀
123 : 턱 124 : 단차턱
130 : 센싱부 131 : 체결부
140 : 1차 필터(발포 수지 필터) 141 : 플랜지
150 : 2차 필터(금속 소결 필터) 151 : 플랜지

Claims (6)

  1. 차체에 체결되는 베이스(110)와;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홀(122)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베이스(110)에 고정 설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센싱부(130)와;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서 하기 2차 필터(15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1차 필터(140)와;
    상기 1차 필터(140) 내부에서 상기 센싱부(13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2차 필터(150);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필터(140)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수지 필터이고, 상기 2차 필터(150)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가지는 금속 필터이며,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부(121) 끝단부를 베이스(110)의 요입부(114) 대응면에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부(121)에서 베이스(110)의 요입부(114)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요입부(114)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정 구간만큼의 끝단부(121a)를 나머지 측면부(121b)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하여, 확장된 끝단부(121a)와 나머지 측면부(121b) 간의 경계를 따라서 턱(12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측의 차체(1)를 따라 흘러내린 물이 상기 턱(123)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면서 하우징(120)의 홀(122)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부(121)에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12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140)는 발포된 수지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필터(150)는 소결된 금속볼 입자 간의 미세 틈을 가지는 금속 소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150)의 표면에 부식 및 산화 방지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및 산화 방지 도금층은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KR1020110124197A 2011-11-25 2011-11-25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KR10135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97A KR101350697B1 (ko) 2011-11-25 2011-11-25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97A KR101350697B1 (ko) 2011-11-25 2011-11-25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78A KR20130058278A (ko) 2013-06-04
KR101350697B1 true KR101350697B1 (ko) 2014-01-10

Family

ID=4885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197A KR101350697B1 (ko) 2011-11-25 2011-11-25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18B1 (ko) 2018-04-20 2018-09-12 김영수 가스 감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379B1 (ko) * 2020-03-10 2022-06-30 주식회사농심 생면 생산공정의 침지수 pH 조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31Y1 (ko) * 1993-12-18 1996-05-0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가스센서용 필터(Filter)
JP2009092587A (ja) * 2007-10-11 2009-04-30 Honda Motor Co Ltd ヒータ内蔵型ガスセンサの制御装置
JP2010002217A (ja) * 2008-06-18 2010-01-07 Honda Motor Co Ltd ガスセンサ
WO2011089879A1 (ja) * 2010-01-21 2011-07-28 ホーチキ株式会社 感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31Y1 (ko) * 1993-12-18 1996-05-0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가스센서용 필터(Filter)
JP2009092587A (ja) * 2007-10-11 2009-04-30 Honda Motor Co Ltd ヒータ内蔵型ガスセンサの制御装置
JP2010002217A (ja) * 2008-06-18 2010-01-07 Honda Motor Co Ltd ガスセンサ
WO2011089879A1 (ja) * 2010-01-21 2011-07-28 ホーチキ株式会社 感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18B1 (ko) 2018-04-20 2018-09-12 김영수 가스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78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251B1 (ko) 통기 필터 부착 하우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통기 필터부착 하우징의 제조 방법
KR20190127934A (ko) 통기 유닛
KR101580756B1 (ko) 통기 부재
TWI725968B (zh) 氣壓過濾器及濾芯
KR101350697B1 (ko) 차량용 가스 누출 감지 센서
KR20180063236A (ko) 통합적 압력 보상 수단을 구비하는 마개 플러그
CN101312854A (zh) 通气部件
KR20110014582A (ko) 구동 장치용 하우징, 구동 장치 및 압력 보상 막의 내밀성 테스트 방법
WO2014073096A1 (ja) 電子部品収容構造
CN103781527A (zh) 用于过滤器的密封装置
JP2007087666A (ja)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AU2006302895A1 (en) Air filter with composite plastic and urethane end cap
CN105386901B (zh) 过滤元件和过滤系统
JP2023090739A (ja) 通気ユニット
JP2007048585A (ja) 筐体の通気構造
US7055369B2 (en) Gas detector having clog-resistant intake filter and protective cap
KR20140035873A (ko) 가스 발생기
JP4803813B2 (ja) 車載用ガス検出装置
JP2007081976A (ja) 防水通気構造体
US20150369788A1 (en) Sensor Device,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9537378A (ja) 無線装置を含むランフラット安全バンド
CN105386902B (zh) 过滤器元件和过滤器系统
CN107709076B (zh) 燃料盖
JP6579747B2 (ja) 車載ドリンクホルダー構造
US20150136545A1 (en) Waterproof device for drum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