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71B1 -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371B1
KR101350371B1 KR1020120063579A KR20120063579A KR101350371B1 KR 101350371 B1 KR101350371 B1 KR 101350371B1 KR 1020120063579 A KR1020120063579 A KR 1020120063579A KR 20120063579 A KR20120063579 A KR 20120063579A KR 101350371 B1 KR101350371 B1 KR 10135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nit
light source
heat dissipation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316A (ko
Inventor
홍성민
정연택
Original Assignee
정연택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택, 홍성민 filed Critical 정연택
Priority to KR102012006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3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엘이디가 일면에 배치되는 PCB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에 대응하는 전원단자가 상기 PCB의 타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엘이디 광원유닛;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여 조사하며,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집광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 및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PCB 및 상기 단자 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플러그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플러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FULL COLOR LIGHT SOURCE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내부 조명 및 외부 라이트의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의 라이트 및 내/외부 조명으로 엘이디(LED; Light Emitted Diode)가 사용되고 있다. 엘이디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전구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밝기 측면에서 유리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차량의 외부에 사용되는 엘이디는 주로 차량의 전조등보다는 후진 및 브레이크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 다수개가 배치되어 각각의 전구를 대체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엘이디는 전조 등으로 사용하기에는 빛의 세기 측면에서 약하나, 후미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는 전구에 비해 원거리에서 식별성이 좋다.
또한 엘이디는 차량의 내부 미관을 위한 조명으로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엘이디가 내부 조명을 위한 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R.G.B(RED, GREEN, BLUE) 엘이디를 모두 사용한 광원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개의 엘이디를 적용한 광원은, 엘이디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 혹은 엘이디에 연결되는 PCB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열 등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엘이디에 대한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의 엘이디중 하나라도 고장이 발생되면, 전체적인 빛의 세기가 약해지거나 일부 영역의 빛이 약화되고,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131462 호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엘이디가 차량의 광원으로 사용될 때, 열로 인한 엘이디의 고장을 방지하여 엘이디 광원의 내구성을 높이고, 고장 시에 엘이디 광원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엘이디가 일면에 배치되는 PCB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에 대응하는 전원단자가 상기 PCB의 타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엘이디 광원유닛;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여 조사하며,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집광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 및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PCB 및 상기 단자 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플러그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플러그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플러그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를 통해 돌출된 상기 전원단자가 결합되는 단자 삽입체가 설치되며, 엘이디 제어부에 소켓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엘이디는, 상기 PCB 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화이트 엘이디; 상기 화이트 엘이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화이트 엘이디에 대한 양측 중 일 측에 배치되는 레드 엘이디; 및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화이트 엘이디에 대한 양측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블루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PCB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플러스 영역과 마이너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스 영역에는 상기 화이트 엘이디,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레드 엘이디 및 상기 블루 엘이디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스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마이너스 영역에는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레드 엘이디 및 상기 블루 엘이디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마이너스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스 영역과 상기 마이너스 영역은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플러스 단자와 상기 복수의 마이너스 단자는 원주방향을 따른 180도 범위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B의 플러스 영역과 상기 마이너스 영역 사이에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에 대한 복수의 나사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드 엘이디와 상기 블루 엘이디의 PCB 도선은 대칭을 이루며, 상기 화이트 엘이디와 상기 그린 엘이디의 상기 플러스 단자에 대한 PCB 도선과 상기 마이너스 단자에 대한 PCB 도선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방열 리플렉터 유닛의 상기 집광 방열판은 원통형으로 방열을 위한 금속재로 제작되며, 상기 집광 방열판과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 사이에는, 상기 집광 방열판의 내벽에 대해 상기 집광 방열판의 중심축으로 근접하게 경사지는 내주확대 반사면 및 상기 내주확대 반사면에 연결되어 상기 집광 방열판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내주축소 반사면이 마련되는 노즐형상 반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의 상기 단자 결합부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원단자의 누전을 차단하는 절연체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방열판은 방열을 위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PCB의 타면에서 플러스는 플러스 끼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 끼리 상호 대향하게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되, 상기 PCB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이 내부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 몸체; 및 상기 단자 삽입체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되며, 체결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몸체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열 이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컬러 광원장치는, PCB 및 단자 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엘이디 광원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플러그 방열판뿐만 아니라 엘이디 광원의 빛을 조사하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의 집광 방열판이 집광과 함께 방열을 수행함으로써 엘이디가 광원으로 사용될 때, 열로 인한 엘이디의 고장을 방지하여 엘이디 광원의 내구성을 높이고, 엘이디 광원유닛이 소켓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장 시에 엘이디 광원유닛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로부터 커넥터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 리플렉터 유닛과, 엘이디 광원유닛과, 방열 플러그 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유닛과 방열 플러그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우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유닛의 메탈 PCB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는, 다수의 엘이디(105)가 일면에 배치되는 PCB(120)를 구비하며 각각의 엘이디(105)에 대응하는 전원단자(107)가 PCB(120)의 타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엘이디 광원유닛(100)과; 엘이디 광원유닛(100)에 결합되어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여 조사하며 엘이디 광원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집광 방열판(141)이 마련되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전원단자(107)가 삽입되는 단자 결합부(161)가 마련됨으로써 엘이디 광원유닛(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PCB(120) 및 단자 결합부(161)로부터 전달되는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플러그 방열판(165)이 마련되는 방열 플러그유닛(16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에 있어서,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좌우 양측에 방열을 수행할 수 있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방열 플러그유닛(160)이 결합된다.
따라서, 엘이디 광원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외부로 충분히 방출할 수 있으므로,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엘이디, PCB(120)의 회로도선 및 다수의 엘이디(105)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자들(미도시)을 열로부터 보호하여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돌출된 전원단자(107)가 방열 플러그유닛(160)의 단자 결합부(16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광원유닛(1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엘이디 광원유닛(100)을 방열 플러그유닛(160)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즉, 엘이디 광원유닛(100)은 다수의 엘이디(105)가 PCB(120)와 함께 모듈로 제작되어 제공되므로, 다수의 엘이디(105)나 PCB(120)에 대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원단자(107)를 단자 결합부(161)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엘이디 광원유닛(10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차량에 엘이디를 사용하는 광원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그 엘이디 광원장치에 대한 고장이 발생할 때, 차량 수리센터에서는 엘이디나 PCB(120)를 수리하기 보다는 여분으로 있는 엘이디 광원모듈을 갖고서 교체할 수 있다.
최근의 차량은 생산조립 및 정비의 용이성을 위해 가능한 거의 모든 부분품이 모듈로 제작되며, 교체 시에는 모듈 전체를 교체하게 된다.
또한, 엘이디 광원유닛(100)과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 및 방열 플러그유닛(160)은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후술되는 커넥터 유닛(170)으로부터 방열 플러그유닛(160)이 분리됨으로써 엘이디 광원유닛(100)이 교체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커넥터 유닛(170)의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토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의 엘이디 광원유닛(100)은 방열 기능을 갖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방열 플러그유닛(160)에 의해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는 이들과 함께 교체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때,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방열 플러그유닛(160) 자체에 의한 수동적 방열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 및 방열 플러그유닛(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량에서 제공할 수 있는 냉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능동적 방열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능동적 방열 수단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의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냉기 및 한 영역에서는 열을 흡수하며 타 영역에서는 흡수된 열을 방출하는 열전 소자인 냉열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유닛과 방열 플러그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우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유닛의 메탈 PCB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엘이디(105)는, PCB(120) 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화이트 엘이디(111)와; 화이트 엘이디(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린 엘이디(112)와; 한 쌍의 그린 엘이디(112)에 교차하는 방향의 화이트 엘이디(111)에 대한 양측 중 일 측에 배치되는 레드 엘이디(113)와; 한 쌍의 그린 엘이디(112)에 교차하는 방향의 화이트 엘이디(111)에 대한 양측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블루 엘이디(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이트 엘이디(111)가 중앙에 배치될 때, 화이트 엘이디(11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그린 엘이디(112)가 배치되고, 이에 교차하는 상/하측에 레드 엘이디(113)와 블루 엘이디(114)가 배치되는데, 화이트 엘이디(111)를 중심으로 모든 엘이디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화이트 엘이디(111)의 화이트 색상과, 레드 엘이디(113), 그린 엘이디(112), 및 블루 엘이디(114)의 RGB 색상이 엘이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구동신호에 따라 혼합됨으로써 모든 색이 구현될 수 있다.
엘이디 제어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각각의 전원단자(107)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각각의 엘이디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수의 엘이디(105)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로부터 다수의 엘이디(105)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엘이디(105)는 리드선 타입뿐만 아니라 표면실장타입으로 PCB(1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PCB(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플러스 영역(121)과 마이너스 영역(122)으로 구분된다.
상기 플러스 영역(121)에는 화이트 엘이디(111), 한 쌍의 그린 엘이디(112), 레드 엘이디(113) 및 블루 엘이디(114)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스 단자(125a,125b,125c,125d)가 배치되며, 마이너스 영역(122)에는 화이트 엘이디(111), 한 쌍의 그린 엘이디(112), 레드 엘이디(113) 및 블루 엘이디(114)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마이너스 단자(126a,126b,126c,126d)가 배치될 수 있다.
즉, PCB(120)에서 다수의 엘이디(105)의 플러스 영역(121)과 마이너스 영역(122)은 상호 대칭을 이루며, 복수의 플러스 단자(125a,125b,125c,125d)와 복수의 마이너스 단자(126a,126b,126c,126d)는 원주방향을 따른 180도 범위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러스 영역(121)과 마이너스 영역(122)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스 단자(125a,125b,125c,125d)와 복수의 마이너스 단자(126a,126b,126c,126d)에는 전원단자(107)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전원단자(107)는, 복수의 플러스 단자(125a,125b,125c,125d)와 마이너스 단자(126a,126b,126c,126d)에 대응하게 배치되는데, PCB(120)의 타면에서 플러스는 플러스끼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 끼리 상호 대향하게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되, PCB(12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드 엘이디(113)와 블루 엘이디(114)의 PCB 도선(12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화이트 엘이디(111)와 그린 엘이디(112)의 플러스 단자(125)에 대한 PCB 도선(127)과 마이너스 단자(126)에 대한 PCB 도선(127)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각각의 플러스 단자(125)와 각각의 마이너스 단자(126)는 각각의 PCB 도선(127)을 통해 레드 엘이디(113)와 블루 엘이디(114)에 연결된다.
또한 그린 엘이디(112)와 화이트 엘이디(111)의 플러스 단자(125)와 마이너스 단자(126)는 외견상 동일한 PCB 도선(127)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복층의 절연되어 중첩 배치된 각각의 PCB 도선(127)에 의해 연결된다.
PCB 도선(127)의 중첩 및 적층배치는 제한된 PCB(120) 영역에서도 도선의 배치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CB(120)는 플러스 영역(121)과 마이너스 영역(122)의 양측 영역으로 분리되고, 이에 대응하게 전원단자(107)가 PCB(120) 배후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스 단자(125)와 마이너스 단자(126)는 전원단자(107)를 통해 방열 플러그유닛(160)을 매개로 커넥터 유닛(170)에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 유닛(170)에는 소켓방식으로 엘이디 제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엘이디(105)는 엘이디 제어부에 속한 엘이디 드라이버부터 구동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엘이디(105)가 배치되는 영역을 PCB(120)의 전방으로 상정할 때, 전원단자(107)가 돌출되게 배치되는 영역을 후방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PCB(120)와, 방열 플러그유닛(160)에는 각각 나사홀(129a,129b,129c)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나사가 상기 나사홀(129a,129b,129c)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PCB(120)와, 방열 플러그유닛(16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100)에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이 결합된다.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의 집광 방열판(141)은 원통형으로 방열을 위한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집광 방열판(141)과 엘이디 광원유닛(100) 사이에는, 집광 방열판(141)의 내벽에 대해 집광 방열판(141)의 중심축으로 근접하게 경사지는 내주확대 반사면(145) 및 내주확대 반사면(145)에 연결되어 집광 방열판(141)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내주축소 반사면(146)이 마련되는 노즐형상 반사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의 노즐형상 반사부(150)는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10-1131462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131462 호에 개시된 리플렉터의 내부구조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 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의 방열 기능에 대해서 주로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은 엘이디 광원유닛(100)으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방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집광 방열판(141)이 금속재 또는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재질의 접합 또는 복층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집광 방열판(141)의 내주면은 엘이디 빛을 반사하여 외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연마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은 대기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좋은 금속재뿐만 아니라 비금속재로도 제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 리플렉터 유닛(140)과 결합되어 있는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열 플러그유닛(160)에는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전원단자(107)가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단자 결합부(161)가 마련된다. 즉 엘이디 광원유닛(100)은 방열 플러그유닛(160)에 소켓방식으로 결합되어 분리 및 결합이 정확하고, 높은 작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방열 플러그유닛(160)의 단자 결합부(161)에는, 전원단자(107)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전원단자(107)의 누전을 차단하는 절연체(166)가 설치되며, 플러그 방열판(165)은 방열을 위한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절연체(166)는 단자 결합부(161)에 삽입되어 결합된 관형으로서 전원단자(107)가 단자 결합부(161)에 삽입될 때, 단자 결합부(161)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방열판(165)으로 전원단자(107)의 누전을 차단하여, 전원단자(107)에 대한 구동신호가 약해지거나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방열 플러그유닛(160)에는 단자 결합부(161)를 통과하여 돌출된 전원단자(107)가 결합되는 단자 삽입체(173)가 설치되는 커넥터 유닛(170)이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170)은, 방열 플러그유닛(160)이 내부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 몸체(171)와, 단자 삽입체(173)가 설치되며 방열 플러그유닛(160)에 대향하도록 커넥터 몸체(171)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172)와, 커넥터 몸체(171)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되며 체결홈(174)이 형성되는 체결판(17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유닛(170)은 방열 플러그유닛(160)의 단자 결합부(161)를 통과하여 돌출된 전원단자(107)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172)를 포함한다. 즉, 전원단자(107)가 커넥터(172)의 단자 삽입체(17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172)에는 엘이디 제어부의 엘이디 드라이버 및 컨트롤러가 소켓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플러스 단자(125)와 마이너스 단자(126), 전원단자(107), 단자 결합부(161), 및 단자 삽입체(173)는 인접한 것끼리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172)의 단자 삽입체(173)는 커넥터(17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커넥터 몸체(171)의 내측에 배치되는 커넥터(172)는 체결판(175)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단자 삽입체(173)는 커넥터(172)의 우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72)의 우측 부위에 엘이디 제어부가 결합될 수 있는데, 엘이디 제어부는 커넥터(172)의 우측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미도시)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소켓에는 단자 삽입체(173)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단자 삽입체(17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커넥터(172)의 단자 삽입체(173)가 엘이디 제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소켓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유닛(170)은 엘이디 광원유닛(100)에 구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엘이디 제어부에 소켓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원단자(107)가 일측에 결합되고, 엘이디 제어부가 타측에 결합되는 단자 삽입체(173)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 광원유닛(100)에 대한 소켓방식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제공하여 엘이디 광원유닛(100)의 교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매개구조이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커넥터 몸체(171)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방열 플러그유닛(160)의 노출을 허용하고,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져 방열 플러그유닛(16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방열 이격판(17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넥터 몸체(171)는 커넥터(172)의 좌측부위와 이격되어 커넥터(172)를 감싸고, 커넥터(172)와 이격되어 있는 환형의 틈새로 방열 플러그유닛(160)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방열 플러그유닛(160)에 접촉되어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데, 원주 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되어 있는 방열 이격판(177)에 의해 방열 플러그유닛(160)에 대한 대기 냉각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방열 이격판(177)은 원활한 열의 방출을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면에 방열 핀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100: 엘이디 광원유닛 105: 다수의 엘이디
107: 전원단자
111: 화이트 엘이디 112: 그린 엘이디
113: 레드 엘이디 114: 블루 엘이디
120: PCB 121: 플러스 영역
122: 마이너스 영역 125: 플러스 단자
126: 마이너스 단자 127: PCB 도선
129: 나사 결합홀 140: 방열 리플렉터 유닛
141: 집광 방열판 145: 내주확대 반사면
146: 내주축소 반사면 150: 노즐형상 반사부
160: 방열 플러그유닛 161: 단자 결합부
165: 플러그 방열판 166: 절연체
170: 커넥터 유닛 171: 커넥터 몸체
172: 커넥터 173: 단자 삽입체
174: 체결홈 175: 체결판

Claims (12)

  1. 다수의 엘이디가 일면에 배치되는 PCB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원단자가 상기 PCB의 타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엘이디 광원유닛;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여 조사하며,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복수의 집광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리플렉터 유닛; 및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각각의 전원단자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PCB 및 상기 단자 결합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플러그 방열판이 마련되는 방열 플러그유닛과;
    상기 방열 플러그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를 통해 돌출된 상기 전원단자가 결합되는 단자 삽입체가 설치되며, 엘이디 제어부에 소켓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이 내부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 몸체;
    상기 단자 삽입체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에 대향하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와;
    커넥터 몸체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되며 체결홈이 형성되는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몸체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열 이격판을 포함하며,
    방열 리플렉터 유닛과, 엘이디 광원유닛과, 방열 플러그유닛에 형성된 나사홀을 체결나사가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될 수 있어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이디는,
    상기 PCB 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화이트 엘이디;
    상기 화이트 엘이디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화이트 엘이디에 대한 양측 중 일 측에 배치되는 레드 엘이디; 및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화이트 엘이디에 대한 양측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블루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PCB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플러스 영역과 마이너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스 영역에는 상기 화이트 엘이디, 상기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레드 엘이디 및 상기 블루 엘이디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스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마이너스 영역에는 상기 화이트 엘이디, 한 쌍의 그린 엘이디, 상기 레드 엘이디 및 상기 블루 엘이디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는 마이너스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영역과 상기 마이너스 영역은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플러스 단자와 상기 복수의 마이너스 단자는 원주방향을 따른 180도 범위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의 플러스 영역과 상기 마이너스 영역 사이에는, 상기 방열 리플렉터 유닛에 대한 복수의 나사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엘이디와 상기 블루 엘이디의 PCB 도선은 대칭을 이루며, 상기 화이트 엘이디와 상기 그린 엘이디의 상기 플러스 단자에 대한 PCB 도선과 상기 마이너스 단자에 대한 PCB 도선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호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리플렉터 유닛의 상기 집광 방열판은 원통형으로 방열을 위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집광 방열판과 상기 엘이디 광원유닛 사이에는,
    상기 집광 방열판의 내벽에 대해 상기 집광 방열판의 중심축으로 근접하게 경사지는 내주확대 반사면 및 상기 내주확대 반사면에 연결되어 상기 집광 방열판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내주축소 반사면이 마련되는 노즐형상 반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플러그유닛의 상기 단자 결합부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원단자의 누전을 차단하는 절연체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방열판은 방열을 위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PCB의 타면에서 플러스는 플러스 끼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 끼리 상호 대향하게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되, 상기 PCB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되며, 체결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12. 삭제
KR1020120063579A 2012-06-14 2012-06-14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KR10135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79A KR101350371B1 (ko) 2012-06-14 2012-06-14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79A KR101350371B1 (ko) 2012-06-14 2012-06-14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6A KR20130140316A (ko) 2013-12-24
KR101350371B1 true KR101350371B1 (ko) 2014-01-13

Family

ID=4998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79A KR101350371B1 (ko) 2012-06-14 2012-06-14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0705B2 (en) * 2015-03-31 2019-04-16 Koninklijke Philips N.V. LED lighting module with heat sink and a method of replacing an LED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075A (ja) * 2004-09-07 2006-03-23 Valeo Vision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JP2007115594A (ja) * 2005-10-21 2007-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照明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10008116A (ko) * 2009-07-16 2011-01-26 정천수 광섬유와 발광다이오드 기반 장식타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075A (ja) * 2004-09-07 2006-03-23 Valeo Vision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JP2007115594A (ja) * 2005-10-21 2007-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照明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10008116A (ko) * 2009-07-16 2011-01-26 정천수 광섬유와 발광다이오드 기반 장식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6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5203B2 (ja) ブロック組立構造を有するled照明装置
US8348471B2 (en) LED lamp assembly
CN101165396B (zh) 半导体灯
JP5968911B2 (ja) 照明装置
JP2007324137A (ja) 照明装置
JP2015060753A (ja) Ledモジュ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用灯具
US9534774B2 (en) Retrofit LED-lamp
US10197263B2 (en) Omnidirectional light emission LED lamp
JP2013243092A (ja) Led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5835815B2 (ja) モジュール式発光ダイオード回路組立体のための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925497A (zh) 新型led灯
KR20230175149A (ko) 차량용 램프의 led 광원 모듈
JP2012119243A (ja) Led標準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灯具
KR101350371B1 (ko) 차량용 풀컬러 광원장치
JP5828714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TW201530835A (zh) 高照度表面黏著型led的散熱結構
CN203836672U (zh) 新型led灯
JP2013211235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CN102913792A (zh) 照明led灯
KR101762319B1 (ko) 조명 장치
TWM460801U (zh) 車燈之led發光模組
WO2023282041A1 (ja) 車両用灯具
JP2016162735A (ja) 照明装置及びヒートシンク
KR101347392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50114319A (ko)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엘이디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