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058B1 -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058B1
KR101350058B1 KR1020110147048A KR20110147048A KR101350058B1 KR 101350058 B1 KR101350058 B1 KR 101350058B1 KR 1020110147048 A KR1020110147048 A KR 1020110147048A KR 20110147048 A KR20110147048 A KR 20110147048A KR 101350058 B1 KR101350058 B1 KR 10135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parts
composi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226A (ko
Inventor
백응률
김한섭
Original Assignee
김한섭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섭,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한섭
Priority to KR102011014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0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타발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나프타와 부틸 스테어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88 내지 98 중량부와 유압작동유 2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은 가공성이 저하되는 제품에 유리하며 우수한 윤활성으로 프레스 가공시 생기는 전기강판의 무기물질 코팅재로 인한 금형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한 윤활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금형의 전단부분에 발생하는 금속 가루를 다이하부와 스트랩에 묻혀 배출되게 하여 금형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Composition of Punch oil for press work}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는 통상적으로 95% 이상의 히드로처리된 중나프타 (hydrotreated heavy naphtha)와 5% 이하의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으로 혼합된 성분이다. 종래의 타발유를 사용할 경우 윤활성이 충분하지 않아 적층된 제품의 프레스 공정에서 엠보에 의한 횡압력이 발생하고 이때 제품이 금형 다이를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큰 마찰열을 발생시켜 하형부 (금형 다이부)가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금형의 전단부위에서 발생하는 코팅가루로 인하여 금형 내부에 잔류하여 클리어런스 흡착으로 금형 파손의 원인이 되고 금형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공성이 저하되는 제품에 유리하며 우수한 윤활성으로 프레스 가공시 생기는 전기강판의 무기물질 코팅재로 인한 금형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타발유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나프타와 부틸 스테어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88 내지 98 중량부와 유압작동유 2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타발유 조성물은 방향성 전기강판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발유 조성물은 종래재에 비하여 유리한 윤활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금형의 전단부분에 발생하는 금속 가루를 다이하부와 스트랩에 묻혀 배출하므로 금형 수명을 연장시키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타발유를 사용했을 경우에 비하여 약 40% 증가된 타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프레스 공정에서 다이와 펀치 사이에 점도가 높은 유막 형성을 함으로서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었는데, 펀칭으로 일어나는 다이부의 모서리의 마모의 감소로 펀치와 다이의 연마 주기를 줄여주는 효과를 얻는 것과 동시에 펀치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부가적인 효과 또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는 통상적으로 95% 이상의 중나프타 (heavy naphtha)와 5% 이하의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으로 혼합되었는데, 이 타발유를 사용할 경우 윤활성이 충분하지 않아 적층된 제품의 프레스 공정에서 엠보에 의한 횡압력이 발생하고 이때 제품이 금형 다이를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큰 마찰열을 발생시켜 하형부 (금형 다이부)가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금형의 전단부위에서 발생하는 코팅가루로 인하여 금형 내부에 잔류하여 클리어런스 흡착으로 금형 파손의 원인이 되고 금형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던 중 본 발명의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는 타발유의 조성물인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에 유압작동유를 첨가함으로, 냉각성 및 기화성이 우수하여 금속 컷팅시 마찰열로 인해 발생하는 고온의 영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금형의 전단부분에 발생하는 금속 가루를 다이하부와 스트랩에 묻혀 배출되게 하여 금형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중나프타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히드로처리된 중나프타 (hydrotreated heavy naphth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히드로처리된 중나프타는 (주) 삼화유업에서 제공된 제품 (CAS 번호 64742-48-9)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나프타와 부틸 스테어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나프타 93 내지 98 중량부 및 부틸 스테어산 0.5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작동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th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Base Oil Interchangeability Guidelines에 광범위하게 명시된 그룹 I-V에 속하는 베이스 오일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파라핀 증류액 (Heavy Praffinic Distillate), 항마모제 및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e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압작동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화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 (Hydrotreated Heavy Praffinic Distillate) 94 내지 98 중량부, 항마모제 1 내지 8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ed) 0.0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일 수 있다.
상기 항마모제는 당업계에서 윤활유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있어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징크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도데실 포스파이트, 황화 고래 기름 (sperm oil), 황화 테르펜, 징크 디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파라핀 증류액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수화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 (Hydrotreated Heavy Praffinic Distillat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수화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으로 (주) 삼화유업에서 제공된 제품 (CAS 번호 64742-54-7)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발유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나프타 (heavy naphtha)과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88 내지 98 중량부와 유압작동유 2 내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발유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 90 내지 95 중량부와 유압작동유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나프타와 부틸 스테어산의 혼합물 및 유압작동유의 중량부에서 적층력이 우수하고 잔류물질이 적으며 금형 수명과 긴밀한 관계인 타수가 종래의 타발유에 비해 30 만타가 증가하여 타발성이 약 40% 이상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중나프타 및 부틸 스테어산의 혼합물의 중량부가 상기보다 높고 유압작동유의 중량부가 상기보다 낮을 경우 지나친 마찰응력과 잔류물질로 인하여 금형 파손이 일어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의 중량부가 상기보다 낮고 유압작동유의 중량부가 상기보다 높을 경우 지나친 윤활성으로 적층력이 약하거나 적층 엠보의 전단면이 거친 상태이기에 적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타발유는 그 용도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전기강판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성 전기 강판은 무방향성 전기강판과는 달리 2차 재결정을 통해 비정상 결접립 성장을 촉진하여 압연 방향으로 집합조직의 배향성을 더욱 강화시켜 철손 및 자속밀도 특성을 향상시킨 것일 수 있다.
방항성 전기강판은 층간의 절연을 위하여 포르스테라이트 (Mg2SiO4)와 Al을 산화물을 포함한 무기질 코팅재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경도가 높아 금형의 수명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강판과 코팅재의 밀착성이 낮아져 프레스 가공시 전단면 부근에서 코팅가루가 이탈되어 금형 내에 잔류하게 되고 금형 파손을 일으키는 등 가공성이 감소될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의 윤활성이 증가된 타발유 조성물을 가공성 저하를 일으키는 무기질 코팅재를 이용한 방향성 전기강판에 도포함으로 가공성이 저하된 제품의 프레스 공정에서 발생하는 큰 마찰열을 방지할 수 있고 극압 저항성과 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성 전기강판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코어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모터 코어, 변압기 코어, 솔레이드 코어 및 예각 형상의 가지는 제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발유의 전기강판으로의 도포방식은 직접적 도포 및 간접적 도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포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전기강판과 접촉된 천에 본 발명의 타발유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극미세사를 사용하여 타발유를 간접적으로 분무함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전기강판에 도포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타발유 조성물의 제조
95% 이상의 히드로처리된 중 나프타 (hydrotreated heavy naphtha)와 5% 이하의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성분으로 구성된 종래의 타발유에다가, 95% 이상의 정밀 용저-정제된 수화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 (Severely Solvent-Refined Hydrotreated Heavy Praffinic Distillate)와 5% 이하의 항마모 첨가제와 0.5% 이하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ed)로 이루어진 성분으로 구성된 유압작동유를 혼합 (하기 표 1에서 복합 타발유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2: 타발유 조성물의 도포
타발유의 분무 과정의 경우 전기강판이 S루프를 통과 후 피더를 지난 직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어 분무 되는데, 이때 타발유를 직접 도포하는 것이 아닌 전기강판과 접촉된 극미세사의 천에다가 분무함으로서 보다 광범위한 전기강판에 도포가 되도록 한다. 타발유의 도포량은 1ℓ의 양으로 150,000타를 사용함으로 1타에 약 0.007ml의 양으로 전기강판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3: 타발유 조성물의 혼합비의 결정
가로, 세로의 크기가 40mm인 T형 분할형 코어를 0.3mm 두께의 방향성 전기강판을 사용하여 시험 형상 제품을 만들어 우수한 금형 수명을 가지는 타발유와 유압작동유의 적정 비율을 알아내고자 한다. 실시예 1의 타발유 (복합 타발유)의 도포량은 1타에 0.007ml를 사용하였으며 타발 조건은 Burr의 높이가 재료 두께의 10%인 약 0.03mm가 될 때까지 측정하였다.
구분 시험
재료
복합 타발유의 비율
(종래재:유압작동유)
금형 수명
(타수)
금형 파손 여부 적층력 잔류 물질
(코팅재)
비고
종래재 1 10:00 700,000 파손 bad 많음 부적합
비교재 2 9.5 : 0.5 1,000,000 정상 good 보통 적합
3 9.0 : 1.0 1,000,000 정상 good 적음 적합
4 8.5 : 1.5 1,000,000 정상 normal 적음 부적합
5 8.0 : 2.0 1,050,000 정상 bad 적음 부적합
6 7.5 : 2.5 1,050,000 정상 bad 적음 부적합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1번의 경우 지나친 마찰응력과 잔류물질로 인하여 금형 파손이 일어난다. 시험 4번은 적층 엠보의 전단면이 거친 상태이므로 적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시험 5번과 6번의 경우 적층력이 약한 것은 지나친 윤활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적층력이 우수하고 잔류물질이 적으며 금형 수명과 긴밀한 관계인 타수가 종래재에 비해 30만타가 증가하여 타발성이 약 40% 증가한 시험 3번이 금형 수명이 우수한 복합 타발유의 적정 혼합 비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시험 2번의 경우 잔류 물질이 남아있었으나 시험 3번의 경우와 동일한 타수를 가지며 적층력이 우수하였다.

Claims (2)

  1. 중나프타 (heavy naphtha), 부틸 스테어산 (butyl stearate) 및 유압작동유를 포함하는 타발유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나프타와 부틸 스테어산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88 내지 98 중량부와 유압작동유 2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작동유는 중파라핀 증류액 (Heavy Praffinic Distillate), 항마모제 및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발유 조성물은 방향성 전기강판에 도포되는,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KR1020110147048A 2011-12-30 2011-12-30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KR10135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48A KR101350058B1 (ko) 2011-12-30 2011-12-30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048A KR101350058B1 (ko) 2011-12-30 2011-12-30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226A KR20130078226A (ko) 2013-07-10
KR101350058B1 true KR101350058B1 (ko) 2014-01-15

Family

ID=4899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048A KR101350058B1 (ko) 2011-12-30 2011-12-30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394B1 (ko) * 1988-11-15 1995-11-2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가공용 윤활유 조성물
US6172013B1 (en) 1997-09-17 2001-01-09 Exxon Chemical Patents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mprising trinuclear molybdenum compound and diester
US20040014613A1 (en) 1999-07-15 2004-01-22 Ashland Inc. Penetrating lubricant composition
JP2008013682A (ja) 2006-07-06 2008-01-24 Nippon Oil Corp 金属加工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394B1 (ko) * 1988-11-15 1995-11-2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가공용 윤활유 조성물
US6172013B1 (en) 1997-09-17 2001-01-09 Exxon Chemical Patents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mprising trinuclear molybdenum compound and diester
US20040014613A1 (en) 1999-07-15 2004-01-22 Ashland Inc. Penetrating lubricant composition
JP2008013682A (ja) 2006-07-06 2008-01-24 Nippon Oil Corp 金属加工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226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4383B (zh) Lubricants for metal processing
CN104371807A (zh) 一种导轨油及其生产方法
CN104450107A (zh) 一种齿轮用润滑油
CN106566606A (zh) 一种用于厚板的高性能冲压油
TW200538542A (en) Lubricant composition for metal forming
CN103710110A (zh) 拉拔高张力钢板的润滑剂
KR101350058B1 (ko) 프레스 가공용 타발유 조성물
CN106467847A (zh) 铝合金板材拉伸润滑油
CN103571585A (zh) 汽车板材构件冲压成型润滑剂
JP3678938B2 (ja) 金属の高温塑性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樹脂フィルム
CN104046444A (zh) 一种稳定的防锈润滑油
CN103740442A (zh) 一种防锈润滑油
EP0569006B1 (en) Aluminum plate excellent in formability
CN103602379B (zh) 一种防锈润滑油
CN104450058A (zh) 一种防锈润滑油
RU2265645C2 (ru) Способ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металлов
CN104357154A (zh) 一种防锈环保润滑油
JP2004323613A (ja) 高潤滑防錆処理金属板
JP2022030694A (ja) 表面処理鋼板及び加工材の製造方法
CN104450078A (zh) 一种碳钢温锻造润滑剂组合物
Hoshino et al. Effect of Tool Materials on Frictional Properties of Galvannealed Steel Sheets
CN103627472B (zh) 钴及其合金板带材成品冷轧润滑剂
CN103695090A (zh) 一种铝线精拉的润滑剂
CN106811276A (zh) 一种轧制油及其制备方法
CN108998173A (zh) 金属加工用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