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846B1 -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846B1
KR101349846B1 KR1020110078600A KR20110078600A KR101349846B1 KR 101349846 B1 KR101349846 B1 KR 101349846B1 KR 1020110078600 A KR1020110078600 A KR 1020110078600A KR 20110078600 A KR20110078600 A KR 20110078600A KR 101349846 B1 KR101349846 B1 KR 10134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loring
window
substrate
color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578A (ko
Inventor
정두영
Original Assignee
현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63After-treatment with IR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05D2202/25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based on 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되고;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되며;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PREPARING METHOD OF COLORLING PAINT WINDOW PROFILE AND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도료인 수성도료가 직접 착색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랩핑 인쇄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되고;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되며;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창호는 틀재인 창틀과, 상기 창틀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창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틀 및 창짝 전체를 통칭하여 창호라고 명칭하고 있다.
또한, 창호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목재,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창호의 기밀성,방음성,내수성 등의 물성 향상과, 창호의 가공성,시공성 향상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창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는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재질 및 강도의 특성상 창호를 제조시에 창호의 외부에 직접 다양한 문양 및 색상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무늬 또는 칼라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인쇄시트에 접착제가 도포된 구성의 랩핑 인쇄시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창호의 표면에 접착, 사용하여 창호의 목무늬 또는 칼라층의 색상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목무늬 또는 칼라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인쇄시트를 별도로 제작, 접착제를 도포 및, 창호의 평활한 면과 밴딩부위의 창호 표면에 별도로 랩핑 처리를 하여 부착 함으로서,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작업이 번잡하여 투하공수가 증가되며, 제품 불량율이 증가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창호에 부착, 실제 사용시에 외부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해 단시간내에 목무늬 또는 칼라층이 형성된 상기 랩핑 인쇄시트가 색상이 탈색,변질되거나, 상기 시트가 창호의 외부로 이탈되어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외관이 저하되어 소비자가 자연감의 질감을 느낄수가 없었으며, 랩핑 인쇄시트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 및 상기 랩핑 인쇄시트에 도포된 접착제가 유독성 물질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사용시에 새집증후군 현상이 발생되고,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료를 사용하여 창호의 표면에 롤러 또는 분무기와 같은 착색 설비로 목무늬 또는 칼라층을 도포 또는 착색하고 있으나;
이 또한, 창호의 평활한 면 및 밴딩부위에 별도로 도료를 수차례 도포 또는 착색설비로 균일한 두께로 착색을 하여야 하므로, 밴딩부위에 대한 도포 또는 착색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제품 불량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창호의 외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 또는 미 착색되어 창호의 외관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 및,
창호의 내측 또는 외측부위인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만 도포 또는 착색이 불가하여 사용이 곤란하며, 작업이 번잡하여 투하공수가 증가되고, 제조설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인출된 것으로서,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랩핑 인쇄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되고;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되며;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상기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랩핑 인쇄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 및;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된 효과와;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된 효과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창호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도 3은 본 발명 창호의 제조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창호의 다른 실시상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FLOW-SHEET,
도 6은 본 발명 창호의 다른 실시상의 도료착색층과 문양층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창호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창호의 도료착색방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창호의 다른실시상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창호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며,
도 3은 본 발명 창호의 제조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창호의 다른 실시상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FLOW-SHEET이며,
도 6은 본 발명 창호의 다른 실시상의 도료착색층과 문양층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창호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창호의 도료착색방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창호의 다른실시상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를 기재(100)로, 상기 기재(100)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도료인 수성도료가 직접 착색된 도료착색층(110)이 구비된 구성의,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단계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다.(장치구성도 도 7 참조)
S1 단계: 기재의 적층대 적층 및 세척액이 분사되어 기재 표면의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제 1열풍건조기에 의하여 세척액이 건조되는 단계;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100)가,
적층대(210)에 적층 및 상기 기재를 밀어 적층대(210)의 상,하부에 각기 구비된 이송롤러(220)에 기재(100)가 삽입, 회전속도 5 내지 20 RPM으로 회전되는 이송롤러(2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기재(100)가 세척액분사기(250)의 하부로 이송 및, 시너(THINNER)인 세척액이 저장된 세척액저장조(230)에 연결된 세척액공급호스(240)를 통하여 시너인 세척액이 세척액분사기(250)로 이송되어 공기압 0.5 내지 3㎏/㎠로 기재(1)에 분사, 스펀지 또는 롤러브러시로 기재 표면의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제 1열풍건조기(510)의 공기압 2 내지 7㎏/㎠, 35 내지 90℃ 온도의 열풍에 의하여 세척액이 건조된다.
S2 단계: 세척액이 건조된 기재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착색방지구가 체결, 기재의 비착색 부위가 패쇄 및 착색부위가 개방된 기재가 착색부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세척액이 건조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 착색이 방지되는 용도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해당된 면적이 삽입 가능한 본체(471)의 내부에 삽입부(472)가 구비된 도료착색방지구(470)가 체결되어,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인 비착색 부위가 패쇄 및 착색부위가 개방된 기재(100)가 착색부(400)로 이송된다.
S3 단계: 착색부로 이송된 기재에, 착색부의 개폐조절밸브(460)가 개방, 다수개의 분사노즐에서 수성도료가 분무되어 도료착색층(110) 착색 및,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된 기재 표면에 잔류된 수성도료가 도료저장조로 회수되는 단계;
상기 S2단계를 거친 기재(100)가 착색부(400)의 투입부(420)에 투입 및, 도료공급회수부(300)의 컨트롤룸(340)의 제어에 의하여 착색부의 개폐조절밸브(460)가 개방되어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을 통하여 도료저장조(320)에서 공급되는 수성도료와, 압축공기주입기(331)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진공 스프레이 방식으로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의 압축공기 압력 3 내지 8㎏/㎠, 수성도료의 점도 200 내지 400 mpas, 도막 두께조절기(450)의 도막 압력 40 내지 60 mbar로 유지된 상태로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수성도료가 분무되어, 도막 두께 20 내지 40㎛의 도료착색층(110)이 착색 및;
도료착색층(110) 착색 후, 상기 기재(100)의 표면에 잔류된 수성도료가 착색부(400)의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에서 압축공기주입기(331)로 배출되는 3 내지 8㎏/㎠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의하여 도료 회수배관(322)으로 흡입, 도료저장조(320)로 회수된다.
S4 단계: 도료착색층이 착색된 기재가, 제 2열풍건조기에 의하여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 및 1차건조로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된 기재가, 제 1컨베어(480)에 의하여 1차건조로(610)로 이송되며, 이송시에 제 2열풍건조기(520)에 의하여 공기압 2 내지 7㎏/㎠, 35 내지 90℃ 온도의 열풍에 의하여 상기 기재(100)에 착색된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다.
S5 단계: 1차건조로로 이송된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된 기재가, 1차건조로의 적외선건조기로 1차 건조 및, 2차건조로에서 재건조되어 완제품 제조단계;
상기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 기재가, 제 2컨베어(612)에 의하여 1차 건조로(610)의 본체 내부로 이송되며, 이송시에 1차건조로(610)의 덮개(613)에 장착된 다수개의 적외선건조기(614)에서 방출되는 온도 40 내지 110℃의 적외선에 의하여 상기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 기재(100)가 1차 건조 후, 2차건조로(620)에서 온도 50 내지 130℃로 30 내지 40분간 재건조, 상온에서 냉각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착색두께 15 내지 35㎛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가 제조된다.
상기 구성의, S1 내지 S5단계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랩핑 인쇄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구성의 제조방법과;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된 구성의 제조방법과;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된 구성의 제조방법과;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S3 단계가, S31 단계로 대체된 구성의, S1, S2, S31, S4, S5단계로 구성된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장치구성도 도 9 참조)
S31 단계: 착색부로 이송된 기재에, 착색롤로 수성도료가 코팅된 도료착색층(110) 착색 단계;
상기 S2단계를 거친 기재(100)가 착색부(400)에 구비된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로 통과, 도료저장조(320)에서 상기 하부착색롤(492)의 하부에 구비된 바스(493)에 공급되는 수성도료가 하부착색롤(492)에 적재 및, 상기 하부착색롤의 상부에 적층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수성도료가 코팅되는 착색롤 코팅방식에 의하여,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되며, 착색시에 착색부(400)에 구비된 도막두께조절기(450)에 의하여 도막 두께 20 내지 40㎛으로 도료착색층(110)이 조절된다.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S1 내지 S5 단계, 또는 상기 S1, S2, S31, S4, S5 단계에, S6 단계가 추가된 구성의, S1 내지 S6 단계로 구성된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제품구성도 도 6 참조)
S6 단계: 완제품의 도료착색층(110) 외부에, 음각 엠보스롤로 목 무늬 또는 타형상 무늬인 문양층을 추가 형성 후, 2차건조로에서 재 건조되는 단계;
상기 S5 단계를 거친 완제품의 도료착색층(110) 외부에, 음각 엠보스롤로 수성도료 또는 유성도료가 엠보싱 처리된 목 무늬 또는 타형상 무늬인 문양층(120)을 추가 형성 후, 2차건조로(620)에서 온도 50 내지 130℃로 30 내지 40분간 재건조, 상온에서 냉각되어 상기 도료착색층층(110)의 외부에 목무늬 또는 타형상 무늬인 문양층(120)이 추가 구비된 창호(1000)가 제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S3 단계 또는 S31 단계의 도료착색층(110)의 착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수성도료가, 유성도료로 대체 사용 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S3 단계의 개폐조절밸브(460)가, 수성도료와 유성도료의 개폐조절밸브인 복수개의 개폐조절밸브(460,460')로 구성 될 수도 있다.(장치 구성도 도 10 참조)
또한, 상기 도료착색층(110) 또는 문양층(120)에 사용되는 수성도료 또는 유성도료는, 본 출원인이 별도의 특허로 등록 받은 특허 등록 제 10-0630300호로서;
상기 수성도료는, 주재료로 폴리우레탄 수지 20 내지 50중량%를 용제인 이소프로필 알콜15 내지 20중량%,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3.0 내지 10중량% 및 물 32 내지 50중량%에 분산시킨 액상의 폴리우레탄수지 분산체(Polyyrethane Dispersion Resin)를 도료 전체조성에 대하여 35 내지 75중량%가 사용되며;
상기 주재료에, 색상 형성을 위한 안료 15 내지 25 중량%와;
부재료로, 용제 3.0 내지 7.0 중량%와;
습윤,슬립성부여,처짐방지,분산,소포등을 위한 첨가제 2.0 내지 5.0중량%와;
희석을 위한 물 5.0 내지 28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유성도료는, 주재료로 아크릴수지 30 내지 55중량%를 용제인 MEK 5.0 내지 15중량%,이소부틸 아세테이트 10 내지 15중량%,톨루엔 30 내지 40중량%에 분산시킨 액상의 아크릴수지분산체를 전체조성에 대하여 35 내지 75중량%가 사용되며;
상기 주재료에 안료 15 내지 25 중량%와;
용제 8.0 내지 35 중량%와;
첨가제 2.0 내지 5.0 중량%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를 기재(100)로, 상기 기재(100)에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되는 제조장치인,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는;
1)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의 적층과, 상기 기재에 적재된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용도의 이물질제거부(200) 및,
2) 도료저장조에 저장된 도료가 착색부로 공급 또는 착색부에서 도료저장조로 회수되는 용도의 도료 공급회수부(300)와,
3) 기재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가 착색되어 도료착색층이 형성되는 용도의 착색부(400)와,
4) 세척액 건조와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되는 용도의 예비건조부(500)와,
5) 예비건조된 도료착색층이 1,2차에 거쳐 건조되는 용도의 건조부(600)로, 구성되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를 기재(100)로, 상기 기재(100)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도료인 수성도료가 직접 착색된 도료착색층(110)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200)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100)가 적층되는 적층대(210)와, 적층대에 적층된 기재의 이송을 위한 상기 적층대의 상,하부에 각기 구비된 이송롤러(220)와, 상기 적층대의 상부에 구비된 시너인 세척액이 저장되는 세척액저장조(230)와, 세척액저장조(230)와 세척액분사기(250)에 연결되어 세척액이 세척액분사기(250)로 공급되는 세척액공급호스(240)와, 상기 적층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기재에 세척액이 분사되는 세척액분사기(25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이물질제거부(200)에 의하여, 적층대(210)에 기재(100)가 적층 및 상기 기재를 밀어 적층대(210)의 상,하부에 각기 구비된 이송롤러(220)에 기재(100)가 삽입, 이송롤러(220)의 회전속도 5 내지 20 RPM 회전에 의하여 기재(100)가 세척액분사기(250)로 전진 이동되며,
세척액저장조(230)에 저장된 시너인 세척제가 세척액공급호스(240)를 통하여 공기압 0.5 내지 3㎏/㎠ 으로 세척액분사기(250)로 공급, 상기 기재(100)에 세척액이 분사 후, 스펀지 또는 롤러브러시로 상기 기재 표면의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구성의, 이물질제거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 공급회수부(300)는;
점도 200 내지 400 mpas 범위의 수성도료 생성을 위한 물의 저장, 공급, 회수를 위한 용도의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와 도료저장조에 연결되어 도료저장조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 배관과, 물 저장조로 물이 회수되는 물 회수 배관(31) 및,
수성도료가 저장되는 도료저장조(32)와, 상기 도료저장조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수성도료에 물이 혼합된 점도 200 내지 400 mpas 범위의 수성도료가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도료 공급배관과,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 기재 표면에 잔류된 수성도료가 도료저장조로 회수되는 도료 회수배관(33,34)과,
도료 공급회수부의 외부에 설치된 압축공기주입기에서 주입된 압축공기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로 공급 및,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서 압축공기 주입기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용도의, 압축공기주입기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배관 및 압축공기 배출배관과;
상기 도료저장조의 내부에, 압축공기의 압력 3 내지 8㎏/㎠, 물과 도료가 혼합된 수성도료의 점도 200 내지 400 mpas로 조절 및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로 수성도료의 공급과,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에 상기 기재 표면에 잔여된 수성도료의 회수와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주입기로 배출되는 용도의 제어 장치인 컨트롤룸(3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착색부(400)는;
본체(4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재(100)가 투입, 착색되는 투입부(420)와,
상기 기재에 도료착색층(110)을 착색하기 위한 상기 투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도료 공급회수부(300)의 도료 공급,회수배관(321,322)과 압축공기 공급,배출배관(332,333)에 연결되어 수성도료가 투입부(420)에 투입된 기재(100)로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과,
기재의 외부이탈이 방지되는, 상기 본체(4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적치대(440)와,
도료착색층(110)을 착색시에 도막두께가 조절되는, 상기 본체(410)의 하부에 구비된 도막두께조절기(450)와,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에 수성도료의 공급이 조절되는,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의 외부에 구비된 개폐조절밸브(460)와,
기재(100)의 착색 작업시에 기재(100)의 비착색부 형성을 위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결합되는 본체(471)의 내부에 삽입부(472)가 구비된 도료착색방지구(470)와, 기재의 이송을 위한 제 1컨베어(48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착색부(400)에 의하여,
기재(100)가 착색부(400)의 투입부(420)에 투입 및, 도료 공급회수부(300)의 컨트롤룸(340)의 제어에 의하여 착색부의 개폐조절밸브(460)가 개방되어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을 통하여 도료저장조(320)에서 공급되는 수성도료와, 압축공기주입기(331)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진공 스프레이 방식으로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의 압축공기 압력 3 내지 8㎏/㎠, 수성도료의 점도 200 내지 400 mpas, 도막 두께조절기(450)의 도막 압력 40 내지 60 mbar로 유지된 상태로, 투입부(420)에 투입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수성도료가 분무되어, 도막 두께 20 내지 40㎛의 도료착색층(110)이 착색 및;
도료착색층(110) 착색 후, 상기 기재(100)의 표면에 잔류된 수성도료가 착색부(400)의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에서 압축공기주입기(331)로 배출되는 3 내지 8㎏/㎠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의하여 도료 회수배관(322)으로 흡입, 도료저장조(320)로 회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예비건조부(500)는;
이물질제거부(200)의 세척액분사기(250)의 측면과, 착색부 본체(480)의 측면에 장착된, 본체(511,521)와 상기 본체(511,521)의 전면부에 열풍배출구(512,522)가 각기 구비된 다수개의 제 1,2열풍건조기(510,520)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 1열풍건조기(510)의 열풍배출구(512)로 배출된 공기압 2 내지 7㎏/㎠, 35 내지 90℃ 온도의 열풍에 의하여, 이물질제거부(200)에서 착색부(400)로 기재(100)가 이송시에 상기 기재에 잔류된 세척액이 건조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 2열풍건조기(520)의 열풍배출구(522)로 배출된 공기압 2 내지 7㎏/㎠, 35 내지 90℃ 온도의 열풍에 의하여, 착색부(400)에서 기재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착색된 도료착색층(110)이 1차건조로(610)로 이송시에 상기 기재에 착색된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건조부(600)는;
착색부(400)의 측면에 장착된 본체(611)와, 상기 본체(611)의 하부에 상기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 기재(100)의 이송을 위한 제 2컨베어(612)가 장착되고, 상기 제 2컨베어의 외부에 적층된 덮개(613)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적외선건조기(614)가 구비된 1차건조로(610)와,
상기 1차 건조로(610)의 외부에 구비된, 본체(621)와 상기 본체의 내부가 오븐(522)으로 구성된 2차건조로(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컨베어(612)에 의하여 예비건조부의 제 2열풍건조기에서 도료착색층이 예비건조된 기재가 1차 건조로(610)의 덮개(611) 내부로 이송되며,
이송시에 1차건조로(610)의 덮개(613)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적외선건조기(614)에서 방출되는 온도 40 내지 110℃의 적외선에 의하여, 상기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 기재(100)가 1차 건조 후,
2차건조로(620)의 오븐에서 온도 50 내지 130℃로 30 내지 40분간 재건조, 상온에서 냉각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착색두께 15 내지 35㎛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가 제조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착색부(400)의 도료착색방지구(47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471) 및 상기 본체(471)의 내부에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해당된 면적이 삽입 가능한 삽입부(472)가 구비된 도료착색방지구(470)로 구성되며,
예비건조부(500)의 제 1열풍건조기(510)로 세척액이 건조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체결, 착색부(400)에서 기재(100)에 도료착색층(110)을 착색시에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가 패쇄, 비착색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에 의하여;
특히, 종래기술의 창호의 미적향상 효과를 위하여 창호의 외부에 접합, 사용되는 랩핑 인쇄시트의 문제점인 박리현상 발생과, 새집증후군 발생에 의한 인체에 유해하며,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구성의 제조장치
(2000)와;
소비자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에 균일한 두께로 직법 착색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창호의 미적효과가 최대한 증진된 구성의 제조장치(2000)와;
인체에 무해한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에 의하여 인체의 건강이 증진된 구성의 제조장치(2000)와;
창호의 외측부위 또는 내측부위인 창호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로히 수성도료가 사용된 도료착색층 형성이 가능하여, 그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구성의, 제조장치(20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가;
상기 착색부(400)의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
432,433,434)이,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로 대체된 구성의,
착색부 본체(410)의 상,하부에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이 구비 및, 상기 하부 착색롤(492)의 하부에 도료 공급배관(321)이 연결된 바스(493)가 구비되고, 착색부 본체(410)의 하부에 도막두께조절기(450)가 구비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로 구성되어;
기재(100)가 착색부 본체(410) 상,하부에 구비된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로 통과, 도료저장조(320)에서 도료공급배관(321)을 통하여 상기 하부착색롤(492)의 하부에 구비된 바스(493)에 공급되는 수성도료가 하부착색롤(492)에 적재 및,
상기 하부착색롤(492)의 상부에 적층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수성도료가 코팅되는 착색롤 코팅방식에 의하여, 상기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착색층이 착색되며, 착색시에 착색부 본체(410)의 하부에 구비된 도막두께조절기(450)에 의하여 도막 두께 20 내지 40㎛의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가;
상기 착색부(400)의 개폐조절밸브(460)가, 수성도료와 유성도료의 개폐조절밸브인 복수개의 개폐조절밸브(460,460')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도료착색층(110) 외부에, 음각 엠보스롤로 수성도료 또는 유성도료를 엠보싱 처리하여, 상기 도료착색층(110)의 외부에 목 무늬 또는 타형상 무늬인 문양층(120)이 추가 구비된 구성의,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로 구성 될 수도 있다.(제품 구성도 도 6 참조)
1000 창호(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
100: 기재
110: 도료착색층
120: 문양층
2000 제조장치
200 이물질제거부
210: 적층대 220: 이송롤러
230: 세척액저장조 240: 세척액공급호스
250: 세척액분사기
300 도료 공급회수부
310: 물 저장조
311: 물 공급배관 312: 물 회수배관
320: 도료저장조
321: 도료 공급배관 322: 도료 회수배관
330: 압축공기 공급 및 배출 설비
331: 압축공기주입기 332: 압축공기 공급배관
333: 압축공기 배출배관
340: 컨트롤룸
400 착색부
410: 본체 420: 투입부
430 분사노즐
431 제 1 분사노즐 432 제 2 분사노즐
433 제 3 분사노즐 434 제 4 분사노즐
440 적치대 450 도막두께조절기
460, 460' 개폐조절밸브
470 도료착색방지구
471 본체 472 삽입부
480: 제 1컨베어
490 착색롤
491, 492: 상,하부 착색롤 493: 바스
500 예비건조부
510: 제 1열풍건조기
511: 본체 512: 열풍배출구
520: 제 2열풍건조기
521: 본체 522: 열풍배출구
600 건조부
610: 1차건조로
611: 본체 612: 제 2컨베어
613: 덮개 614: 적외선건조기 620: 2차건조로
621: 본체 622: 오븐

Claims (14)

  1. 삭제
  2.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를 기재(100)로, 상기 기재(100)에 다음과 같은 S1 단계 내지 S5 단계로, 도료착색층(110)이 착색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

    S1 단계: 기재의 적층대 적층 및 세척액이 분사되어 기재 표면의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제 1열풍건조기에 의하여 세척액이 건조되는 단계;
    S2 단계: 세척액이 건조된 기재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착색방지구가 체결, 기재의 비착색 부위가 패쇄 및 착색부위가 개방된 기재가 착색부로 이송되는 단계;
    S31 단계: 착색부로 이송된 기재에, 착색롤로 수성도료가 코팅된 도료착색층(110) 착색 단계;
    S4 단계: 도료착색층이 착색된 기재가, 제 2열풍건조기에 의하여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 및 1차건조로로 이송되는 단계;
    S5 단계: 1차건조로로 이송된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된 기재가, 1차건조로의 적외선건조기로 1차 건조 및, 2차건조로에서 재건조되어 완제품 제조단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1, S2, S31, S4, S5 단계에 하기의 S6 단계가 추가된 구성의, S1, S2, S31, S4, S5, S6 단계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

    S6 단계: 완제품의 도료착색층(110) 외부에, 음각 엠보스롤로 목 무늬 또는 타형상 무늬인 문양층을 추가 형성 후, 2차건조로에서 재 건조되는 단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31 단계의 도료착색층(110)의 착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수성도료가, 유성도료로 대체 사용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방법.
  5. 삭제
  6.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를 기재(100)로, 상기 기재(100)에 도료착색층(110)이 착색되는 제조장치인,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가;
    1)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의 적층과, 상기 기재에 적재된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용도의 이물질제거부(200) 및,
    2) 도료저장조에 저장된 도료가 착색부로 공급 또는 착색부에서 도료저장조로 회수되는 용도의 도료 공급회수부(300)와,
    3) 기재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도료가 착색되어 도료착색층이 형성되는 용도의 착색부(400)와,
    4) 세척액 건조와 도료착색층이 예비 건조되는 용도의 예비건조부(500)와,
    5) 예비건조된 도료착색층이 1,2차에 거쳐 건조되는 용도의 건조부(60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100)가 적층되는 적층대(210)와, 적층대에 적층된 기재의 이송을 위한 상기 적층대의 상,하부에 각기 구비된 이송롤러(220)와, 상기 적층대의 상부에 구비된 시너인 세척액이 저장되는 세척액저장조(230)와, 세척액저장조(230)와 세척액분사기(250)에 연결되어 세척액이 세척액분사기(250)로 공급되는 세척액공급호스(240)와, 상기 적층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기재에 세척액이 분사되는 세척액분사기(25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회수부(300)가;
    점도 200 내지 400 mpas 범위의 수성도료 생성을 위한 물의 저장, 공급, 회수를 위한 용도의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와 도료저장조에 연결되어 도료저장조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 배관과, 물 저장조로 물이 회수되는 물 회수 배관(31) 및,
    수성도료가 저장되는 도료저장조(32)와, 상기 도료저장조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수성도료에 물이 혼합된 점도 200 내지 400 mpas 범위의 수성도료가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도료 공급배관과,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 기재 표면에 잔류된 수성도료가 도료저장조로 회수되는 도료 회수배관(33,34)과,
    도료 공급회수부의 외부에 설치된 압축공기주입기에서 주입된 압축공기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로 공급 및,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서 압축공기 주입기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용도의, 압축공기주입기와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배관 및 압축공기 배출배관과;
    상기 도료저장조의 내부에, 압축공기의 압력 3 내지 8㎏/㎠, 물과 도료가 혼합된 수성도료의 점도 200 내지 400 mpas로 조절 및 착색부의 다수개의 분사노즐로 수성도료의 공급과, 기재에 도료착색층 착색 후에 상기 기재 표면에 잔여된 수성도료의 회수와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주입기로 배출되는 용도의 제어 장치인 컨트롤룸(36)이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400)가;
    본체(410)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재(100)가 투입, 착색되는 투입부(420)와,
    상기 기재에 도료착색층(110)을 착색하기 위한 상기 투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도료 공급회수부(300)의 도료 공급,회수배관(321,322)과 압축공기 공급,배출배관(332,333)에 연결되어 수성도료가 투입부(420)에 투입된 기재(100)로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과,
    기재의 외부이탈이 방지되는, 상기 본체(4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적치대(440)와,
    도료착색층(110)을 착색시에 도막두께가 조절되는, 상기 본체(410)의 하부에 구비된 도막두께조절기(450)와,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에 수성도료의 공급이 조절되는, 상기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의 외부에 구비된 개폐조절밸브(460)와,
    기재(100)의 착색 작업시에 기재(100)의 비착색부 형성을 위한,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결합되는 본체(471)의 내부에 삽입부(472)가 구비된 도료착색방지구(470)와, 기재의 이송을 위한 제 1컨베어(48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1000)의 제조장치(2000).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건조부(500)가;
    이물질제거부(200)의 세척액분사기(250)의 측면과, 착색부 본체(480)의 측면에 장착된, 본체(511,521)와 상기 본체(511,521)의 전면부에 열풍배출구(512,522)가 각기 구비된 다수개의 제 1,2열풍건조기(510,52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600)가;
    착색부(400)의 측면에 장착된 본체(611)와, 상기 본체(611)의 하부에 상기 도료착색층(110)이 예비 건조된 기재(100)의 이송을 위한 제 2컨베어(612)가 장착되고, 상기 제 2컨베어의 외부에 적층된 덮개(613)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적외선건조기(614)가 구비된 1차건조로(610)와,
    상기 1차 건조로(610)의 외부에 구비된, 본체(621)와 상기 본체의 내부가 오븐(522)으로 구성된 2차건조로(62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400)의 도료착색방지구(470)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471) 및 상기 본체(471)의 내부에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호인 기재(100)의 내측부위 또는 외측부위에 해당된 면적이 삽입 가능한 삽입부(472)가 구비된 도료착색방지구(47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400)의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인 제 1,2,3,4 분사노즐(431,432,433,434)이,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로 대체된 구성의,
    착색부 본체(410)의 상,하부에 착색롤(490)인 상,하부 착색롤(491,492)이 구비 및, 상기 하부 착색롤(492)의 하부에 도료 공급배관(321)이 연결된 바스(493)가 구비되고, 착색부 본체(410)의 하부에 도막두께조절기(45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400)의 개폐조절밸브(460)가, 수성도료와 유성도료의 개폐조절밸브인 복수개의 개폐조절밸브(460,460')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하는,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장치(2000).
KR1020110078600A 2011-08-08 2011-08-08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KR10134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600A KR101349846B1 (ko) 2011-08-08 2011-08-08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600A KR101349846B1 (ko) 2011-08-08 2011-08-08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78A KR20130016578A (ko) 2013-02-18
KR101349846B1 true KR101349846B1 (ko) 2014-01-15

Family

ID=4789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600A KR101349846B1 (ko) 2011-08-08 2011-08-08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07Y1 (ko) * 2003-03-10 2003-06-18 (주)한국자외선 자동도장설비의 스프레이 로봇트
KR100812725B1 (ko) * 2006-10-23 2008-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로봇의 위치 각도 제어 방법
KR20080047093A (ko) * 2006-11-24 2008-05-28 하진철 건축자재용 pvc 하이샤시의 도장방법
WO2010132116A1 (en) 2009-05-13 2010-11-18 The Sherwin-Williams Company Wood stain appearance on a non-wood subs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07Y1 (ko) * 2003-03-10 2003-06-18 (주)한국자외선 자동도장설비의 스프레이 로봇트
KR100812725B1 (ko) * 2006-10-23 2008-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로봇의 위치 각도 제어 방법
KR20080047093A (ko) * 2006-11-24 2008-05-28 하진철 건축자재용 pvc 하이샤시의 도장방법
WO2010132116A1 (en) 2009-05-13 2010-11-18 The Sherwin-Williams Company Wood stain appearance on a non-wood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78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6172B2 (en) Wood-like coating method for substrate
CN104772265B (zh) 流平性天然石质漆外保温装饰板喷漆生产线
CN109413234A (zh) 一种喷涂渐变复合板手机背壳
CN103753656B (zh) 一种柔性复合薄木及其加工方法
CN103770430A (zh) 一种柔性复合装饰薄木饰面工艺
KR101699415B1 (ko) 기능성 패널 제조 자동화 장치
CN102390064B (zh) 一种复合涂装木制品的生产方法
MX2011000827A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compuesto de multiples capas en una nstalacion de revestimiento capaz de limpiar in situ y uso del compuesto de multiples capas producido de este modo para la aplicacion transdermiaca o la aplicacion en cavidades corpor
CN111976256A (zh) 一种层压包覆材料的膜制造工艺
KR101349846B1 (ko) 도료착색층이 구비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CN101279552A (zh) 一种竹制品喷花工艺
CN103252309B (zh) 一种石塑仿木地板表面处理方法
KR100798959B1 (ko) 칼라층이 형성된 창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JP2009202590A (ja) 塗装木質床材の製造方法
CN101767360A (zh) 木质地板加工方法
US20100310826A1 (en) Wood stain appearance on a non-wood substrate
KR102156508B1 (ko) 입체무늬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78188B1 (ko) 칼라보드의 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11451114A (zh) 一种木饰面uv辊涂全开放哑光面涂装施工工艺
CN210856787U (zh) 一种包覆膜及家具
CN216993442U (zh) 一种具有耐黄变光固化涂装饰的面板
CN211645772U (zh) 一种水性漆生产的4d免漆木纹纸
CN109386101A (zh) 保温装饰一体化板生产方法
KR100921024B1 (ko) 나무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20110129779A (ko) 내,외장재용 칼라 대리석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