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98B1 - 이동식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598B1
KR101349598B1 KR1020130007556A KR20130007556A KR101349598B1 KR 101349598 B1 KR101349598 B1 KR 101349598B1 KR 1020130007556 A KR1020130007556 A KR 1020130007556A KR 20130007556 A KR20130007556 A KR 20130007556A KR 101349598 B1 KR101349598 B1 KR 10134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oot support
brake
foo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273A (ko
Inventor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3000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5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사람이 작업대를 밀도록 하거나 동력을 이용하여 바퀴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하지 않고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작업대의 발판 위에서 작업대를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 중인 상태에서 작업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방향 제어가 가능한 바퀴(150)를 구비한 고소 작업대(200)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에 부설되어 발판(140) 위에서 상기 바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대 브레이크(40), 상기 발판(140) 사이로 난 통로(10), 상기 통로(10) 안에 구비되고 움직이며 하단에 작은 바퀴를 장착한 발 지지대(20), 상기 발 지지대(20)에 작업자가 올라서면 상기 작은 바퀴를 정지시키는 발 브레이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발 지지대와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고소 작업대{Working Platform Movable on the Deck}
본 발명은 바퀴가 달린 고소 작업대의 이동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대의 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에 외부의 도움없이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대를 외부의 도움없이 작업자가 발판 위에서 작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발판 위에서 바퀴를 돌려주는 것으로, 발판과 바퀴 이에 동력전달 장치를 구비하여 수동식 혹은 자동식으로 바퀴를 돌려주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의 기술로서 수동식으로 고소 작업대의 발판 위에서 바퀴를 돌려주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655683(2006년12월14일) “누름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에 발판 위에서 페달을 눌러 바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동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0355(2001년04월16일)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전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로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발판과 바퀴사이에 동력전달 장치를 구비하여 수동식 혹은 자동식으로 바퀴를 구동하는 방식의 종래의 기술 중 수동식은 구동장치의 특성상 분해하여 이동하는데 체적이 커지고, 한번의 작업중 이동에 페달을 여러번 밟아야 하는 불편이 있고, 자동식은 무게가 무거워 건설현장이나 정비 작업장 등에서 한 번의 작업을 마치고 다른 작업장으로 이동하는데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발판 위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종래의 기술이 갖는 해체 시 큰 체적, 작업 중 저속, 다른 작업장으로의 이동시 높은 중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이 아니면서도 해체 시 체적이 작고, 단번에 사람이 걷는 정도의 거리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체 시에도 체적이 작고,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부품을 평판형 조립식으로 하여 해체 시 체적을 줄이고, 작업 중 이동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땅에 지지하고 작업대를 미는 방법을 채택, 사람의 걷는 속도와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작업장 이동시 높은 중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을 채택하지 않음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의 무게를 절감하였다.
이동식 고소 작업대 위에서 작업하면서 작업대의 이동에 필요한 사람의 힘이 기계를 사용함에 따른 중간 손실없이 곧바로 전달되고, 사람이 걷는 속도와 같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높은 생산성을 도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일 실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 지지대(20)와 발 브레이크(30)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 브레이크(30)의 일 실시 동작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 지지대(20)와 발 브레이크(30)의 일 실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핀(36)과 누름 볼트(37)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 지지대와 발 브레이크의 또 다른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 브레이크(40)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퀴(150)를 구비한 고소 작업대(200)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에 부설되어 발판(140) 위에서 상기 바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대 브레이크(40), 상기 발판(140) 사이로 난 통로(10), 상기 통로(10) 안에 구비되고 움직이며 하단에 작은 바퀴를 장착한 발 지지대(20), 상기 발 지지대(20)에 작업자가 올라서면 상기 작은 바퀴를 정지시키는 발 브레이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발 지지대와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하여 사람이 서서 걷는 행위를 하는 도중에 작업대가 움직이도록 하여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와 상기 발 지지대에 작업자의 발이 올라서고 고소 작업대를 미는 단계,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올라 서고 상기 발 지지대를 끄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발지지대와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소 작업대(20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10), 세로대(100), 가새(120), 발판(140), 난간(130)과 바퀴(150)를 구비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통로(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발판사이에 발이 빠지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발판의 축방향으로 난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의 발판 중안에 이러한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다수의 발판을 조립할 때 발판 사이를 띄워 구성할 수도 있다.
발 브레이크(3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직선형 구조재를 수직으로 세운 하부 몸체(31)와 상기 하부 몸체의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상부 몸체(32)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동 발판(38)과, 상기 하부 몸체(31)를 위로 밀어 올리는 탄성 스프링(33)과 상기 탄성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걸림 턱(34)과 상기 하부 몸체가 위로 올려지는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걸림턱과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한 높이 조절 핀(36)과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접합부 체결간극을 없애주는 누름 볼트(37)로 구성된 집합체로서 고소 작업대의 발판(140)으로부터 바닥까지 연결되어 위로 올려지면 브레이크 기능을 하지않고, 아래로 내려지면 지면과 맞닿아 제동력을 발휘하여 브레이크가 되도록 상하 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임의의 직선형 구조재는 강관 원형 파이프나 강관 각파이프 또는 알루미늄제등 임의의 구조재료를 사용한 작업대 재료를 의미한다. 수직으로 세운다함은 세로대의 방향과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다. 하부 몸체(31)는 발브레이크의 하부에 있는 몸체(Body)라는 의미이고, 상기 하부 몸체의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된다 함은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하나 쌓아 조립한다는 뜻이다. 통상적으로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 간격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30-40cm 정도가 좋으나 반드시 이렇게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자의 편의에 따라 현장여건에 맞게 조절 사용한다. 상부 몸체(32)는 발 브레이크의 상부에 있는 몸체이다.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동 발판(38)은 발판(1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발판으로 이것이 연결되어 있는 하부 몸체의 바닥에서 지면에 닿아 제동력을 주는 발판이라는 의미로 제동 발판이라 한다. 하부 몸체(31)를 위로 밀어 올리는 탄성 스프링(33)은 임의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하부 몸체의 상부 걸림턱을 위로 밀어 올리는 구조이면 된다. 탄성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걸림 턱(34)은 하부 몸체의 중간에 부설한 돌기 또는 구멍과 같은 것으로서 탄성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 하부 몸체가 위로 올려지는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걸림턱 또한 탄성스프링의 아래에 있는 하부 몸체에 부설한 돌기 또는 구멍과 같은 것으로서 기둥과 연동되어 기둥으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한 높이 조절 핀(36)은 구멍과 핀의 한 조로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 구멍을 뚫어 놓았으면 서로 체결할 구멍을 일치시키고 핀을 이들 구멍에 삽입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접합부 체결간극을 없애주는 것은 통상 하부 몸체의 안으로 삽입된 하부 몸체의 체결 간극을 없애주는 것으로 상부 몸체의 외주면과 하부 몸체의 내주면이 단단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서 구현된다. 누름 볼트(37)는 볼트와 너트의 한 쌍 또는 볼트와 하부 몸체에 가공한 암나산의 쎄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나비볼트나 티자형으로 손잡이를 가진 볼트(T Bolt)등으로 만드는 데 작업자의 작업복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손잡이는 둥근머리 구조로 하면 좋다. 집합체는 여러 부재가 집합되어 하나의 기능을 하는 것이고, 고소 작업대의 발판(140)으로부터 바닥까지 연결되어 위로 올려지면 브레이크 기능을 하지 않고, 아래로 내려지면 지면과 맞닿아 제동력을 발휘하여 브레이크가 되도록 상하 운동을 하는 부재라 함은 본 집합체의 최 하부가 땅에 닿으면 제동장치가 되고, 땅에 닿지 않으면 제동력을 상실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제동력을 상실하거나 제동력을 얻는 방법에 대하여 도 4에 설명되어 있다. 도 4의 (1)은 하부 몸체의 최하단이 바닥인 지면에 닿은 상태로 이 경우는 작업자가 제동 발판(38)위에 올라가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 하부 몸체(31)를 아래로 밀어 내린 경우로서 작업자가 제동 발판에 올라가니 하부 몸체가 땅에 닿고, 이로서 제동 바퀴(23)는 구르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제동 발판에서 물러나 발판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면 탄성 스프링은 복원되어 도 4의 (2)와 같이 종전의 위치로부터 dH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 경우 제동 바퀴는 자유로워지게 되어 굴러가게 된다. 이렇게 하부 몸체가 dH만큼 위로 오르면 발판위에 서 있는 작업자는 제동 발판(38)을 앞으로 끌거나 뒤로 밀어 발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동 발판의 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또한, 제동 발판위에 작업자가 올라가 제동 바퀴(23)가 굴러가지 못하는 상태에서 고소 작업대를 밀거나 끌어들이게 되면, 작업자의 발은 고소 작업대와 분리된 발 브레이크 위에 서 있게 되어 발 지지대를 기준으로 작업자가 밀거나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바퀴(150)가 구르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작업자는 발판 위에서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고소 작업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고소작업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고소 작업대의 작업대 브레이크를 잠가두어야 함은 이동식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는 자의 책임이다.
상기 발 지지대에 작업자의 발이 올라서고 고소 작업대를 미는 단계,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올라 서고 상기 발 지지대를 끄는 단계는 도 4에 (1)과 도 4의 (2)에 예시된 바를 참고하여 제동 발판위에 작업자가 올라가 고소 작업대를 밀면 발 지지대에 작업자의 발이 올라서고 고소 작업대를 미는 단계가 구현되며, 발판위에 작업자가 올라가 제동발판을 당기거나 밀면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올라 서고 상기 발 지지대를 끄는 단계가 구현되며, 이 동작을 반복하여 고소 작업대는 원하는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발 지지대(20)와 발 브레이크(30)의 구성은 바닥판(22)을 전술한 지면에 평행한 방식을 벗어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에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바닥판은 도 7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평행인 평판 형식으로 할 수도 있고, 도 7의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동 발판(38)은 도 7의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으로 하여 발에 거는 센달(Sandal)형으로 할 수도 있고, 도 7의 (2)와 같이 평판을 사용한 일반적인 작은 발판 모양으로 하여 발로서 이동시키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고, 작은 발판에 사람의 몸통까지 올라오는 핸들을 장착한 형태로 하여 손으로 잡아 당기거나 미는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특히 몸통까지 올라오는 핸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손잡이가 발판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 브레이크(30)는 도 7의 (1)과 같이 단일 기둥형으로 할 수도 있고, 도 7의 (20)와 같이 다수 기둥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의 (2)는 2개의 기둥형으로서 ㅠ자형의 외곽 양 기둥의 하단에는 제동바퀴가 있는 발지지대이고, 내부 양 기둥은 전술한 발 지지대와 상대운동을 하는 발 브레이크이다.
작업대 브레이크(40)는 발판의 상부에 부설한 핸들, 상기 핸들에 일단이 체결된 연결 선, 롤러에 일체화된 기어형 제동판, 상기 기어형 제동판의 회전을 정지하게하거나 해제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누르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대 브레이크(40)는 도 8의 일 실시예가 나타난 롤러 부분과 통상의 자전거 핸들에서 브레이크에 이르는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통상의 작업대용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발판에서 내려오지 않고 발판위에서 작업대의 제동을 가하여야 하므로 발판위에서 작업대 브레이크의 제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핸들이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 브레이크는 작업자가 크게 구부리지 않고 손이나 발로 동작시킬 수 있는 핸들이 있어야 하므로 본 핸들은 적어도 발판위의 가로대나 세로대, 난간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연결선은 핸들과 잠금 부재를 연결하는 기계적 구조이면 된다. 와이어를 사용하거나 환봉등의 구조재를 사용한다. 바퀴의 제동은 확실한 원격 작동을 위하여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어형 제동판을 별로로 구비한 롤러를 사용할 경우 제동력의 확실을 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동시에는 기어의 파인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잠금 부재와 이 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을 활용하여 잠금 부재를 누르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잠금 부재는 세로대에 안내 기초를 두고,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어의 파인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막대 구조이면 된다. 핸들과 연동되는 와이어나 로프등을 사용한 연결 선은 장력에 대항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이어야 한다. 여기서 핸들과 연동되는 로프등 본 작업대 브레이크에 대하여는 기어형 제동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브레이크 구조를 참고하여 실시하면 쉽게 응용할 수 있다.
발 지지대(20)는 바닥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제동 바퀴(23)와 상기 제동 바퀴의 상단에 연결된 바닥 판(22)과 상기 바닥 판(22) 위에 수직으로 서 있으면서 상기 발 지지대(20)를 감싸고 있는 기둥(21)과 상기 발 지지대(20)가 상부로 이탈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24)로 구성된 집합체로서 상기 제동 바퀴의 구름운동을 통하여 상기 발 지지대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발 지지대(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 실제로 발을 지지하는 것은 제동 발판이나 이 제동발판이 최종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본 발 지지대 이므로 이렇게 명명하였다. 바닥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제동 바퀴(23)는 통상의 바퀴를 사용한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최소한 3개 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통상의 이동 장치의 바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통상적으로 진행방향의 바퀴는 고정형을, 뒤따르는 바퀴는 회전형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 제동 바퀴의 상단에 연결된 바닥 판(22)은 넓은 판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바닥 판(22) 위에 수직으로 서 있다함은 바닥 판의 중간 또는 대칭되는 위치에 용접이나 볼트체결, 힌지등의 방법으로 조립하여 수직으로 서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발 지지대(20)를 감싸고 있다함은 발 지지대의 하부 몸체를 감싸는 것으로 발지지대의 하부 몸체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면 실시하기가 매우 쉽다. 기둥(21)은 통상의 구조재를 사용하되 그 안으로 하부 몸체가 오르고 내리면서 동일 축을 유지할 수 있는 안내구조를 갖는 것이어야 한다. 상기 발 지지대(20)가 상부로 이탈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은 하부몸체가 기둥의 안에서 오르고 내리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너무 위로 올라가거나 너무 아래로 내려오면 기둥으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므로 이 기둥 안에서 안내되면서 상하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둥의 상하부 또는 기둥의 중간에 홈을 파고, 기둥의 일정 높이 구간을 포위하도록 하는 하부 몸체의 돌기를 만들면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탈 방지 부재(24)는 돌기나 길게 파인 홈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 제동 바퀴의 구름운동을 통하여 상기 발 지지대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제동 바퀴를 구르게 하여 발 지지대가 이동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진행방향의 선행 바퀴에 방향전환 핸들을 구비하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 분야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작업자는 반드시 1인을 지칭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아니하며 하나의 고소 작업대위에 올라 갈 수 있는 모든 작업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작업대를 밀고 가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통상 작업자 한명이 작업대와 발지지대를 밀고, 당기는 행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작업대와 발지지대를 밀고 당기는 행동을 할 경우에는 이들을 한명의 작업자로 볼 수도 있다. 또, 다수의 작업하는 사람들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 위에서 작업하다가 그 중 한명이 작업대와 발지지대를 밀고 당기는 행동을 할 경우에는 그 밀고 당기는 일을 하는 사람을 제외한 다수의 작업하는 사람들은 본 발명에서 작업자로 호칭되지 않는다.
10 : 통로
20 : 발 지지대
30 : 발 브레이크
40 : 작업대 브레이크
200 : 고소 작업대

Claims (5)

  1. 바퀴(150), 발판(140) 위에서 상기 바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대 브레이크(40),상기 발판(140) 사이로 난 통로(10)를 구비한 고소 작업대(200)에 있어서,

    상기 통로(10) 안에 구비되고 움직이며 하단에 작은 바퀴를 장착한 발 지지대(20);
    상기 발 지지대(20)에 작업자가 올라서면 상기 작은 바퀴를 정지시키는 발 브레이크(30);를
    포함하되,

    상기 발 지지대(20)는,
    바닥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제동 바퀴(23);
    상기 제동 바퀴의 상단에 연결된 바닥 판(22);
    상기 바닥 판(22) 위에 수직으로 서 있으면서 상기 발 지지대(20)를 감싸고 있는 기둥(21);
    상기 발 지지대(20)가 상부로 이탈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발 브레이크(30)는,
    임의의 직선형 구조재를 수직으로 세운 하부 몸체(31);
    상기 하부 몸체의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상부 몸체(32);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동 발판(38);
    상기 하부 몸체(31)를 위로 밀어 올리는 탄성 스프링(33);
    상기 탄성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걸림 턱(34);
    상기 하부 몸체가 위로 올려지는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걸림턱(35);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한 높이 조절 핀(36);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접합부 체결간극을 없애주는 누름 볼트(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발 지지대와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2. 바퀴(150), 발판(140) 위에서 상기 바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대 브레이크(40),상기 발판(140) 사이로 난 통로(10)를 구비한 고소 작업대(200)에 있어서,

    상기 통로(10) 안에 구비되고 움직이며 하단에 작은 바퀴를 장착한 발 지지대(20);
    상기 발 지지대(20)에 작업자가 올라서면 상기 작은 바퀴를 정지시키는 발 브레이크(30);를
    포함하되,

    상기 발 지지대(20)는,
    바닥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제동 바퀴(23);
    상기 제동 바퀴의 상단에 연결된 바닥 판(22);
    상기 바닥 판(22) 위에 수직으로 서 있으면서 상기 발 지지대(20)를 감싸고 있는 기둥(21);
    상기 발 지지대(20)가 상부로 이탈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발 브레이크(30)는,
    임의의 직선형 구조재를 수직으로 세운 하부 몸체(31);
    상기 하부 몸체의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상부 몸체(32);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동 발판(38);
    상기 하부 몸체(31)를 위로 밀어 올리는 탄성 스프링(33);
    상기 탄성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걸림 턱(34);
    상기 하부 몸체가 위로 올려지는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걸림턱(35);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한 높이 조절 핀(36);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접합부 체결간극을 없애주는 누름 볼트(37);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 지지대에 작업자의 발이 올라서고 고소 작업대를 미는 단계;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올라서고 상기 발 지지대를 끄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발지지대와 상기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이동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브레이크(40)는

    발판의 상부에 부설한 핸들;
    상기 핸들에 일단이 체결된 연결 선;
    롤러에 일체화된 기어형 제동판;
    상기 기어형 제동판의 회전을 정지하게하거나 해제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를 누르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발 지지대와 발판에 작업자의 몸이 번갈아가며 올라서고 미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KR1020130007556A 2013-01-23 2013-01-23 이동식 고소 작업대 KR10134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56A KR101349598B1 (ko) 2013-01-23 2013-01-23 이동식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56A KR101349598B1 (ko) 2013-01-23 2013-01-23 이동식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73A KR20130015273A (ko) 2013-02-13
KR101349598B1 true KR101349598B1 (ko) 2014-01-08

Family

ID=4789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56A KR101349598B1 (ko) 2013-01-23 2013-01-23 이동식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520B (zh) * 2017-04-19 2019-03-01 北京理工大学 适用于铁路轨道的自锁作业平台
KR102653833B1 (ko) * 2019-09-20 2024-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 탱크
CN113668829A (zh) * 2021-08-30 2021-11-19 安徽金寨抽水蓄能有限公司 一种球阀本体巡视检查路线用脚手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000B1 (ko) * 1995-01-11 1999-01-15 나사균 전화교환대 m.d.f 작업용 사다리의 제동장치구조
KR20100022886A (ko) * 2008-08-20 2010-03-03 김정곤 바퀴 회전 자동 고정장치
KR20120000558A (ko) * 2011-12-12 2012-01-02 주식회사백상 회전과 동시에 걷는 고소 작업대 및 이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000B1 (ko) * 1995-01-11 1999-01-15 나사균 전화교환대 m.d.f 작업용 사다리의 제동장치구조
KR20100022886A (ko) * 2008-08-20 2010-03-03 김정곤 바퀴 회전 자동 고정장치
KR20120000558A (ko) * 2011-12-12 2012-01-02 주식회사백상 회전과 동시에 걷는 고소 작업대 및 이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73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1679B (zh) 一种多用可伸展自控升降的机械平台
CN105507572B (zh) 可行走的脚手架
CN106677512B (zh) 一种高层建筑可调滑轨式悬梁操作平台
KR101349598B1 (ko) 이동식 고소 작업대
US7228936B2 (en) Mobile scaffolding braking system
WO2015122760A1 (en) Rolling scaffolding
CN103422662A (zh) 用于电梯井现浇的整体移动式施工平台及其使用方法
CN206987381U (zh) 一种工具式电梯井模板平台
CN107013030B (zh) 吊装式电梯井施工平台装置及该电梯井施工方法
JP2010115758A (ja) 可搬式作業台装置
KR101146735B1 (ko)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CN203877847U (zh) 抽油机维修安全操作平台
CN205893930U (zh) 一种自行式吊篮装置
CN205476384U (zh) 可行走的脚手架
JP5887209B2 (ja)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KR20130021436A (ko) 경사지에서 걷는 고소 작업대
CN204454160U (zh) 步行楼梯加装悬挂式电梯
CN210140981U (zh) 一种建筑施工用施工架
CN209875043U (zh) 一种用于门式启闭机的升降梯
CN208884951U (zh) 一种稳定性能好的建筑用登高架
CN203145818U (zh) 方便移动的安全作业梯
TWM498752U (zh) 自走式人員升降工作台
CN204531349U (zh) 防坠装置及附着导轨防坠升降脚手架
CN216713746U (zh) 一种建筑安装服务用脚手架固定机构
CN109488098A (zh) 一种分段组立式电力钢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