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951B1 -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951B1
KR101348951B1 KR1020120016959A KR20120016959A KR101348951B1 KR 101348951 B1 KR101348951 B1 KR 101348951B1 KR 1020120016959 A KR1020120016959 A KR 1020120016959A KR 20120016959 A KR20120016959 A KR 20120016959A KR 101348951 B1 KR101348951 B1 KR 10134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key frame
video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486A (ko
Inventor
심춘보
정세훈
권용욱
김재술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유엠솔루션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엠솔루션,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유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2001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9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관리시스템 및 차량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수리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을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차량의 수리과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Th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ustomers}
본 발명은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 차량의 수리 과정에 대한 영상키프레임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고객에게 수리내역과 매칭시켜 제공을 하는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센터에서 고객이 차량의 수리를 받는 과정에서 수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작업자로부터 수리가 필요한 부분 및 수리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듣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결과, 고객은 수리를 받는 부분과 수리 과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게 되어 수리가 완료된 이후에도 어느 부분을 어떻게 수리를 하게 되었는지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많은 부품이 사용되는 특성상 수리를 받는 부품이 매우 다양할 수 밖에 없지만 상기와 같이 자동차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고객으로서는 차량의 수리 이력을 파악하고 기억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자신의 차량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아가, 고객 및 수리된 차량의 이력관리가 필요한 카센터 입장에서도 수리에 대한 정보를 간단한 메모 수준의 기록으로만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과거에 진행된 차량의 수리 이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94657호(2003.12.1.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24315호(2010.03.05.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68444호(2008.07.23.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수리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을 하고, 주요 시점에 대한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수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카센터에서도 차량의 수리 이력을 보다 생생하게 보관하면서 고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은, 차량의 입고가 감지되면 상기 입고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 전송하는 차량인식부; 상기 차량인식부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캡춰부; 상기 영역캡춰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이미지 영역을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영역에서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하여 상기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 상기 입고된 차량의 수리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는 이미지처리부; 상기 수리과정 동안 수리되는 부품에 부착된 바코드(Bar Code)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를 2차원코드로 변환시키는 코드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추출된 상기 영상키프레임 및 상기 코드생성부에서 생성된 2차원코드가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고객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개별프레임 추출하고, 인접한 상기 개별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대비하여 이미지의 변화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율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비된 2개의 개별프레임 중 후순위의 개별프레임을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코드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2차원코드는 상기 영상키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고객에게 상기 영상키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리 내역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방법은, 차량의 입고가 감지되면 상기 입고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정하는 제1단계; 상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독하여 해당 영역 내의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2단계; 상기 입고된 차량의 수리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제3단계;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수리과정 동안 수리되는 부품의 바코드(Bar Code)를 인식하여 2차원코드로 변환시키는 제4단계;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추출된 상기 영상키프레임 및 상기 코드생성부에서 생성된 2차원코드를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차량의 영상키프레임, 즉 주요 수리 과정에 대한 스틸컷으로 차량의 수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수리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카센터 또한 단순한 메모 수준을 넘어서 수리 과정에 영상키프레임을 함께 저장하여 관리를 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고객의 차량을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에서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에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수리 이력 제공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수리 이력의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에 대한 접속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1)은 차량정보수집모듈(10),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 고객관리서버(30) 및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한다.
차량정보수집모듈(10)은 수리를 위해 입고되는 차량이 어느 고객의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것으로서, 입고되는 차량의 번호판을 자동으로 판독하는 것이다. 차량정보수집모듈(10)이 수집한 차량의 번호는 고객관리서버(30)로 전달된다.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은 차량의 수리과정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수리과정에 대한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한다.
영상키프레임이란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스틸컷(Steel Cut)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은 수리과정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동영상 전체를 제공하는 것은 과도한 데이터 전송량을 유발시키므로, 수리 과정 중 주요한 부분에 대한 스틸컷, 즉 사진 이미지 형태의 영상키프레임만을 추출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에서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은 고객관리서버(30)로 전달되어 저장되며, 고객관리서버(30)는 영상키프레임을 차량정보수집모듈 (10)이 수집한 차량의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고객관리서버(30)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서버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객 및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모듈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객관리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영상키프레임이 차량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만일 차량의 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이 되지 않을 경우, 고객관리서버 (30)는 신규 고객의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신규 고객의 등록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개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인적정보입력과정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소유한 차량의 정보, 즉 차량의 제작회사, 구입일자, 색상 및 기어방식 등과 같은 차량정보등록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부(4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와 같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로 본 발명의 차량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인터페이스부(40)는 고객의 차량을 수리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에 제공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40)는 작업장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수단으로서, 작업자는 차량의 수리를 진행하는 동안에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40)는 필요와 용도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0)는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정보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작업자는 차량의 수리와 관련된 사항을 인터페이스(40)에 구비된 정보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입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입고된 고객의 차량에 대해 수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을 입력하거나 수리가 완료된 이후의 결과를 입력할 수 있고, 그 결과 고객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작업자가 입력해 놓은 내용을 확인하면서 차량의 수리에 대한 사항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작업장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40)에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객관리서버(30)가 차량정보수집모듈(10)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수신하면, 고객관리서버(30)의 제어부(미도시)가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작업장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차량정보수집모듈(10)에서의 차량번호 인식과정 및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에서의 영상키프레임 추출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수집모듈(10)은 차량인식부(11), 영역캡춰부(12) 및 정보인식부(13)를 포함한다.
차량인식부(11)는 고객 차량의 입고 여부를 센싱하고, 차량이 입고되면 차량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번호판 인식에 사용될 기본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이미지 촬영에는 IP 카메라 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아날로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다양한 촬영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IP카메라 등으로 촬영된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영역캡춰부(12)로 전달된다.
영역캡춰부(12)는 상기 차량인식부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게 되며, 정보인식부(13)는 영역캡춰부(12)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영역을 수신받아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함으로써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한다.
인식된 차량의 번호는 고객관리서버(30)로 전달되며, 고객관리서버(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수리과정에 대한 영상키프레임을 차량의 번호에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21), 이미지처리부(22) 및 코드생성부(23)를 포함한다.
영상촬영부(21)는 입고된 차량의 수리과정을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동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 전송하기에 용이한 IP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촬영부(21)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스마트폰의 동영상 촬영수단을 활용하여 작업 현황, 구체적으로 차량의 수리 전 상태 및 수리 후의 상태와 작업 과정을 스마트폰의 동영상 촬영수단으로 촬영을 하고,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전송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부(21)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스틸컷을 촬영하여 전송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상촬영부(21)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는 이미지처리부(22)로 전달된다.
이미지처리부(22)는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한다. 이미지처리부(22)는 일단 동영상으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개별프레임을 추출하고, 시간적으로 인접한 개별프레임을 대비하여 이미지의 유사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미지의 변화율을 산출한다. 산출된 변화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어떠한 개별프레임이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될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변화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시간상 후순위의 개별프레임을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변화율을 산정하는 기준 요소로는 이미지의 바탕색의 변화 정도 또는 이미지의 데이터 용량의 변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의 변화율을 확인하게 되면, 수리 과정에서 주된 변화가 발생되는 시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리 부품의 제거 또는 교체 등이 있을 경우, 제거 또는 교체 전후로 이미지의 변화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므로 해당 시점의 이미지를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을 하게 되면 고객은 영상키프레임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주요 수리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생성부(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드생성부(23)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QR 코드 등과 같은 2차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QR 코드는 종래의 바코드(Bar Code)보다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2차원 코드로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영상키프레임을 QR 코드로 변환하여 고객에게 제공을 할 경우 고객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서 QR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원하는 영상키프레임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코드생성부(23)에서 생성되는 QR 코드는 수리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수리 부품의 바코드(Bar Code)를 읽어 들이고, 이에 영상키프레임을 병합하여 QR 코드를 생성하게 되면 고객은 해당 QR 코드로부터 영상키프레임과 수리 부품에 대한 정보를 일체로 간단히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코드생성부(23)에서 생성된 QR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는 차량 번호에 매칭되어 고객관리서버(30)에 저장되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다.
고객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수리가 이루어진 부품 및 수리 과정에 대한 영상키프레임을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수리 과정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고객에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키프레임에 대한 설명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수리를 담당한 작업자가 영상키프레임에 대한 설명을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입력을 해놓으면 해당 내용을 고객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객의 고유 차량번호를 이용해서 수리 이력을 고객관리서버(30)에서 통합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결과 고객은 5 도에서와 같이 자신의 과거 수리 이력을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는 고객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고객은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관리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고객은 유/무선 정보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신의 차량의 수리 과정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제공되는 영상키프레임을 통해 수리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차량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차량관리방법에서는, 고객의 차량이 입고될 경우(S1) 자동으로 차량의 이미지가 촬영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이 확정되며(S2), 상기 번호판 해당 영역 내의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함으로써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게 된다(S3). 번호판 영역 확정 및 차량 번호의 인식 과정에서는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판의 바탕색, 번호판에 사용되는 문자 및 숫자 정보 등이 사용할 수 있다. 인식된 차량의 번호는 고객관리서버(30)로 전달된다 (S4).
이상에서 차량에 대한 기본 정보가 수집이 되면, 이후로는 차량의 수리 과정에 대한 정보 수집이 진행된다. 즉, 해당 차량에 대한 수리 과정이 동영상으로 촬영이 되어 수리 과정에 대한 기본 정보가 수집이 되고(S5), 이후 동영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즉, 과도한 용량을 동영상 전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동영상의 제공은 더더욱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관리방법에서는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한다(S6).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는 상세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은 S2에서 수집된 차량 번호에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된다(S6). 이 경우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은 QR 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S7). 이후 고객은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차량의 수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데 된다(S8)
1 : 차량관리시스템 10 : 차량정보수집모듈
11 : 차량인식부 12 : 영역캡춰부
13 : 정보인식부 20 : 동영상정보수지모듈
21 : 영상촬영부 22 : 이미지처리부
23 : 코드생성부 30 : 고객관리서버
40 : 인터페이스부

Claims (7)

  1. 차량의 입고가 감지되면 상기 입고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 전송하는 차량인식부(11)와, 상기 차량인식부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캡춰부(12), 및 상기 영역캡춰부로부터 상기 추출된 이미지 영역을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영역에서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하여 상기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13)를 포함하는 차량정보수집모듈(10);
    상기 입고된 차량의 수리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21)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는 이미지처리부(22), 및 상기 수리과정 동안 수리되는 부품에 부착된 바코드(Bar Code)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와 상기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을 병합하여 2차원코드로 변환시키는 코드생성부(23)를 포함하는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22)에서 추출된 상기 영상키프레임 및 상기 코드생성부(23)에서 생성된 2차원코드가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고객관리서버(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22)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개별프레임을 추출하고, 인접한 상기 개별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대비하여 이미지의 변화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율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비된 2개의 개별프레임 중 후순위의 개별프레임을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고객에게 상기 영상키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리 내역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5. 차량정보수집모듈(10)과,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과, 고객관리서버(30) 및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하는 차량관리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수집모듈(10)이 차량의 입고가 감지되면 입고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정하는 제1단계;
    상기 차량정보수집모듈(10)이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독하여 해당 영역 내의 문자 및 숫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2단계;
    상기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이 상기 입고된 차량의 수리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제3단계;
    상기 동영상정보수집모듈(20)이 상기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수리과정 동안 수리되는 부품의 바코드(Bar Code)를 인식하여 인식된 바코드와 상기 추출된 영상키프레임을 병합하여 2차원코드로 변환시키는 제4단계; 및,
    고객관리서버(30)가 상기 추출된 영상키프레임 및 상기 생성된 2차원코드를 상기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영상키프레임을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시간의 순서에 따라 개별프레임을 추출하고, 인접한 상기 개별프레임을 대비하여 이미지의 변화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율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대비된 2개의 개별프레임 중 후순위의 개별프레임을 영상키프레임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영상키프레임이 매칭되는 상기 차량의 수리 내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KR1020120016959A 2012-02-20 2012-02-20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4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59A KR101348951B1 (ko) 2012-02-20 2012-02-20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59A KR101348951B1 (ko) 2012-02-20 2012-02-20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486A KR20130095486A (ko) 2013-08-28
KR101348951B1 true KR101348951B1 (ko) 2014-01-15

Family

ID=4921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59A KR101348951B1 (ko) 2012-02-20 2012-02-20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504B1 (ko) * 2013-10-21 2020-09-28 박경수 고객의 차량상태를 서비스하는 방법
CN106504267B (zh) * 2016-10-19 2019-05-17 东南大学 一种虚拟人运动数据关键帧抽取方法
KR102489937B1 (ko) * 2021-12-24 2023-01-20 주식회사 정직한친구들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제품 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100024315A (ko) * 2008-08-25 2010-03-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정비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100024315A (ko) * 2008-08-25 2010-03-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정비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486A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938A (ko) 픽쳐 기반의 차량 손해 평가 방법 및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CN105354773B (zh) 一种用于交通事故现场证据保全及验证的系统
CN107944378A (zh) 一种自助服务的身份识别方法及自助服务系统
CN109829370A (zh) 人脸识别方法及相关产品
KR101348951B1 (ko) 차량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218599A (zh) 基于人脸识别第二代居民身份证的认证系统和认证方法
CN105512920A (zh) 网络购票处理方法和服务器
CN106713859A (zh) 一种图片视觉监控搜索系统及其搜索方法
CN112668562B (zh) 一种客户识别方法及装置
KR101334744B1 (ko) 무인대출 처리방법
CN111523348A (zh) 信息生成方法和装置、用于人机交互的设备
CN105427480A (zh) 一种基于图像分析的柜员机
JP6476166B2 (ja) 本人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本人情報取得方法
JP670240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006884B2 (en) Recycling analyzing system, recycling analyzing program, and recycling analyzing method
JP2008197674A (ja) 支援情報提供方法、支援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管理システム
JP4150651B2 (ja) 支援情報提供方法、支援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管理システム
JP2010088756A (ja) 疲労管理装置、および疲労管理方法
CN114359997A (zh) 业务引导方法及系统
Irraivan et al. Development of a Two-Factor Authentication System for Enhanced Security of Vehicles at a Carpark
CN110662106B (zh) 一种录像回放的方法及装置
Stickdorn et al. Mobile Ethnography
CN113705988A (zh) 一种监理人员绩效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15587829A (zh) 一种菜品推荐方法及系统
WO2020232889A1 (zh) 支票取现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