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57B1 -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57B1
KR101348857B1 KR1020137013283A KR20137013283A KR101348857B1 KR 101348857 B1 KR101348857 B1 KR 101348857B1 KR 1020137013283 A KR1020137013283 A KR 1020137013283A KR 20137013283 A KR20137013283 A KR 20137013283A KR 101348857 B1 KR101348857 B1 KR 10134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ss
preferable
plan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264A (ko
Inventor
사토시 아카마츠
마사하루 오카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6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between cold roll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2Superplast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질량%로, C:0.0010∼0.0040%, Si:0.005∼0.05%, Mn:0.1∼0.8%, P:0.01∼0.07%, S:0.001∼0.01%, Al:0.01∼0.08%, N:0.0010∼0.0050%, Nb:0.002∼0.020% 및 Mo:0.005∼0.050%를 함유하고, [Mn%]/[P%]가 1.6 이상 45 이하, [C%]-(12/93)×[Nb%]가 0.0005% 이상 0.0025% 이하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하기 식을 만족시키고,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인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8

Description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HIGH-STRENGTH BAKE-HARDENING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판재 등에 사용되는,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BH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1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0-26444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자동차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차체에는 고강도 강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고강도 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얇으면서도 높은 내덴트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르기 위해,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 사용되고 있다.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연질 강판에 가까운 항복 강도를 가지므로, 프레스 성형 시에는 우수한 성형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프레스 성형 후에 도장 베이킹 처리를 행함으로써, 항복 강도를 상승시킨다. 즉,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높은 성형성과 고강도를 함께 실현할 수 있다.
베이킹 경화는 강 중에 고용된 침입형 원소인 고용 탄소나 고용 질소에 의해, 변형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전위가 고착됨으로써 발생하는, 일종의 변형 시효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용 탄소 및 고용 질소가 증가하면 베이킹 경화량(BH량)은 증가한다. 그러나, 고용 원소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상온 시효에 의해 성형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적절한 고용 원소의 제어가 중요하다.
종래의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Mn, P이나, 상온 내시효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Mo에 의해, 딥드로잉 가공성의 지표가 되는 r값(랭크포드값)이나 그 면내 이방성을 나타내는 |Δr|값이 변화되는 것에는 주의하지 않고 있었다.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는 Nb 첨가의 극저탄소강에 있어서 Mn과 P에 의해 고용 강화를 도모하고, C량과 Nb 첨가량의 밸런스로 고용 C량을 조절하여 베이킹 경화성을 부여하고, Mo 첨가로 상온 내시효성을 부여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조직을 미세하게 함으로써 입계 C를 베이킹 경화성 발현에 이용하는 사상으로부터 AlN 분산을 필수로 하고 있어, 이것이 어닐링 시의 입성장 뿐만 아니라 재결정 자체도 저해하기 쉽고, 또한 애당초 Al 첨가량이 높기 때문에 산화물에 기인한 표면 결함이 생기기 쉬운 데다가, r값 등의 딥드로잉 가공성은 물론 그 면내 이방성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자동차 외판용의 상온 내시효성을 갖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면내 이방성을 작게 하기 위해, 냉연율을 C 첨가량의 함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강판은 극저탄소강이 아니라, 마이크로 조직은 페라이트와 저온 변태상으로 이루어지는 DP강과 같은 복합 조직이고, 강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Mo 첨가의 이유도 Cr, V를 포함시켜, 저온 변태상을 얻기 위한 오스테나이트의 켄칭성을 올리기 위한 것이고, r값 자체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 딥드로잉 가공성은 불분명했다.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9-5090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7-08943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42560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BH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방책을 채용한다.
(1)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화학 성분이 질량%로, C:0.0010∼0.0040%, Si:0.005∼0.05%, Mn:0.1∼0.8%, P:0.01∼0.07%, S:0.001∼0.01%, Al:0.01∼0.08%, N:0.0010∼0.0050%, Nb:0.002∼0.020% 및 Mo:0.005∼0.050%를 함유하고,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로 하고, [Mn%]/[P%]의 값이 1.6 이상 45 이하이고, C의 함유량을 [C%], Nb의 함유량을 [Nb%]로 하고, [C%]-(12/93)×[Nb%]로 구해지는 고용 C의 양이 0.0005% 이상 0.0025% 이하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며, 이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1
(2) 상기 (1)에 기재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서는, 상기 화학 성분이, 질량%로, Cu:0.01∼1.00%, Ni:0.01∼1.00%, Cr:0.01∼1.00%, Sn:0.001∼0.100%, V:0.02∼0.50%, W:0.05∼1.00%, Ca:0.0005∼0.0100%, Mg:0.0005∼0.0100%, Zr:0.0010∼0.0500% 및 REM:0.0010∼0.0500%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해도 좋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다.
(4)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화학 성분이 질량%로, :C:0.0010∼0.0040%, Si:0.005∼0.05%, Mn:0.1∼0.8%, P:0.01∼0.07%, S:0.001∼0.01%, Al:0.01∼0.08%, N:0.0010∼0.0050%, Nb:0.002∼0.020%, Mo:0.005∼0.050%, Ti:0.0003∼0.0200% 및 B:0.0001∼0.0010%를 함유하고,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로 하고, [Mn%]/[P%]의 값이 1.6 이상 45 이하이고, Nb의 함유량을 [Nb%], Ti의 함유량을 [Ti%]로 하고, [Nb%]/[Ti%]의 값이 0.2 이상 40 이하이고, B의 함유량을 [B%], N의 함유량을 [N%]로 하고, [B%]/[N%]의 값이 0.05 이상 3 이하이고, [C%]-(12/93)×[Nb%]-(12/48)×[Ti'%]로 나타나는 고용 C가 0.0005% 이상 0.0025% 이하이고, 상기 [Ti'%]는 [Ti%]-(48/14)×[N%]≥0의 경우, [Ti%]-(48/14)×[N%]이고, [Ti%]-(48/14)×[N%]<0의 경우, 0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며, 이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2
(5) 상기 (4)에 기재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서는, 상기 화학 성분이 질량%로, Cu:0.01∼1.00%, Ni:0.01∼1.00%, Cr:0.01∼1.00%, Sn:0.001∼0.100%, V:0.02∼0.50%, W:0.05∼1.00%, Ca:0.0005∼0.0100%, Mg:0.0005∼0.0100%, Zr:0.0010∼0.0500% 및 REM:0.0010∼0.0500%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해도 좋다.
(6)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다.
(7)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1), (2), (4),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학 성분을 갖는 슬래브를, 1200℃ 이상의 가열 온도, 900℃ 이상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얻는 열연 공정과, 상기 열연 강판을 700℃ 이상 800℃ 이하에서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권취된 상기 열연 강판을, 적어도 400℃로부터 250℃로 강하될 때까지 0.01℃/초 이하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권취 후 냉각 공정과, 산세 후 냉연할 때의 냉연율 CR%가,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 Mo의 함유량을 [Mo%]로 하고, 하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조건으로 냉연하는 냉연 공정과, 770℃ 이상 820℃ 이하에서 연속 어닐링하는 연속 어닐링 공정과, 1.0% 이상 1.5% 이하의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조질 압연 공정을 구비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3
[수학식 3]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4
(8) 상기 (7)에 기재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조질 압연 공정 전에,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을 부여하는 도금 공정을 더 구비해도 좋다.
상술한 방책에 따르면, Mn, P등의 합금 첨가의 영향을 명확화하여, 딥드로잉 가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냉연율을 조정함으로써,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BH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강판의 냉연율 CR%와 성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강판의 성분 및 제법에 대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강판의 화학 성분을 적절하게 제어한 후에, 소정의 냉연율의 냉연을 실시함으로써,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이고, 베이킹 경화성(BH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 상술한 지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 함유하는 화학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각 화학 성분의 함유율은 모두 질량%이다.
(C:0.0010∼0.0040%)
C는 고용 강화와 베이킹 경화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C가 0.0010% 미만인 경우, 매우 낮은 탄소 함량에 의해 인장 강도가 낮고, Nb 첨가에 의한 결정립의 미세화 효과를 도모해도 강 중에 존재하는 절대 탄소 함량이 낮으므로, 충분한 베이킹 경화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0.0040%를 초과하면, 강 중의 고용 C량이 높아져 베이킹 경화성이 매우 높아지지만, 시효 후 YP-El≤0.3%의 상온 내시효성이 확보되지 않아, 프레스 성형 시에 스트레처 스트레인이 발생하므로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C는 0.0010∼0.0040%로 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용 C를 0.0005∼0.0025%로 함으로써 30㎫ 이상의 BH량의 베이킹 경화성과 0.3% 이하의 시효 후 YP-El의 상온 내시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
C의 하한값은 0.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의 상한값은 0.0038%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i:0.005∼0.05%)
Si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지만, 성형성의 열화가 현저하다. 즉, Si는 가능한 한 낮게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상한을 0.05%로 한다. 단, 함유량을 저하시키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여, 하한값을 0.005%로 한다.
Si의 하한값은 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i의 상한값은 0.04%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n:0.1∼0.8%)
Mn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인장 강도 300㎫ 이상 450㎫ 이하의 강도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Mn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적절한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또한 0.8%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성형성이 열화되므로, 0.1∼0.8%로 한다.
Mn의 하한값은 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n의 상한값은 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0.01∼0.07%)
P은 Mn과 마찬가지로, 고용 강화 원소로서 인장 강도 300㎫ 이상 450㎫ 이하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P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적절한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또한 0.07%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2차 가공 취화를 일으키므로, 0.01∼0.07%로 한다.
P의 하한값은 0.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의 상한값은 0.058%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Mn과 P은 모두 고용 강화 원소이지만, Mn량과 P량의 비(Mn/P)가 1.6 미만 또는 45.0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서는,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로 하고, [Mn%]/[P%]의 값이 1.6 이상 45.0 이하로 되도록 Mn량과 P량이 제어되고, 이에 의해 성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인장 강도 300㎫ 이상 450㎫ 이하를 확보한다.
[Mn%]/[P%]의 값의 하한값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n%]/[P%]의 값의 상한값은 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0.001∼0.01%)
S은 함량이 많은 경우, 과도한 석출물에 의한 재질 열화가 발생하므로, 그 첨가량을 0.01% 이하로 한다. 단, 함유량을 저하시키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여, 하한값을 0.001%로 한다.
S의 하한값은 0.00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의 상한값은 0.007%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l:0.01∼0.08%)
Al은 통상 강의 탈산을 위해 0.01% 이상 첨가하지만, 0.08%를 초과하면 산화물 기인의 표면 결함이 생기기 쉬우므로, 0.01∼0.08%로 한다.
Al의 하한값은 0.019%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l의 상한값은 0.067%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0.0010∼0.0050%)
N는 고용 질소의 잔존에 의해 항복 강도가 증가하지만, 탄소에 비해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고용 질소로 존재하는 경우, 고용 탄소에 비해 상온 내시효성의 열화가 매우 심각하다. 이로 인해, N의 범위는 0.0010∼0.0050%로 한다.
N의 하한값은 0.001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의 상한값은 0.004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b:0.002∼0.020%)
Nb는 강력한 탄질화물 형성 원소로, 강 중에 존재하는 탄소를 NbC 석출물로서 고정하여, 강 중 고용 탄소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강 중 고용 탄소를 잔존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고용 탄소에 의한 베이킹 경화성과 내시효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Nb 함량을 0.002∼0.020%로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용 C를 0.0005∼0.0025%로 한다. 이에 의해, 30㎫ 이상의 BH량의 베이킹 경화성과 0.3% 이하의 시효 후 YP-El의 상온 내시효성에 기여한다.
Nb의 하한값은 0.00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b의 상한값은 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o:0.005∼0.050%)
Mo은 고용 상태에서 존재 시, 결정립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P에 의한 결정립계의 파괴를 방지, 즉 내2차 가공 취성을 개선하고, 또한 고용 탄소와의 친화력에 의해 탄소의 확산을 억제함으로써 내시효성을 향상시켜, 0.3% 이하의 시효 후 YP-El의 상온 내시효성에 기여한다. 이로 인해, 하한값은 0.005%로 한다. 한편, 제조 비용 및 첨가량 대비 효과 등을 고려하여 상한값은 0.050%로 한다.
Mo의 하한값은 0.006%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o의 상한값은 0.048%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잔량부는 Fe 및 그 밖의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불가피 불순물은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의 함유량이면 허용되지만, 가능한 한 적은 쪽이 좋다.
(고용 C:0.0005∼0.0025%)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고용 C를 0.0005∼0.0025% 함유한다. 고용 C의 하한값은 0.0006%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용 C의 상한값은 0.0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 상술한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용 C는 [C%]-(12/93)×[Nb%]로 구해진다. 여기서, [C%] 및 [Nb%]는 C 및 Nb 각각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300㎫ 이상 450㎫ 이하의 인장 강도와, 평균 r값≥1.4의 우수한 딥드로잉 가공성과, |Δr|≤0.5의 작은 면내 이방성과, 30㎫ 이상의 베이킹 경화성과, 시효 후 YP-El≤0.3%의 상온 내시효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하기의 화학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해도 좋다.
(Ti:0.0003∼0.0200%)
Ti은 Nb를 보완하는 원소로, Nb와 동일한 이유로 0.0003∼0.0200%의 범위에서 함유된다.
Nb, Ti 복합 첨가의 경우, 고용 C는 [C%]-(12/93)×[Nb%]-(12/48)×[Ti'%]로 구해진다. 여기서, [C%] 및 [Nb%]는 C 및 Nb 각각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또한, [Ti'%]는 [Ti%]-(48/14)×[N%]≥0의 경우, [Ti%]-(48/14)×[N%]이고, [Ti%]-(48/14)×[N%]<0의 경우, 0이다.
이 경우에도 고용 C의 함유량은 0.0005∼0.0025%이면 된다.
Ti의 하한값은 0.00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i의 상한값은 0.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Nb와 Ti은 모두 고용 C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탄질화물 형성능의 차이 등으로부터 고용 C량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Nb의 함유량을 [Nb%], Ti의 함유량을 [Ti%]로 하고, [Nb%]/[Ti%]의 값이 0.2 이상 40 이하로 되도록 Nb량과 Ti량을 제어해도 좋다.
[Nb%]/[Ti%]의 값의 하한값은 0.3인 것이 바람직하고, 0.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b%]/[Ti%]의 값의 상한값은 3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0.0001∼0.0010%)
B는 입계에 편석하여 2차 가공 취화 방지를 위해 첨가한다. 그러나, 일정량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 강도의 증가 및 연성의 현저한 감소가 일어나는 재질 열화가 발생하므로, 적정 범위의 첨가가 필요하고, 0.0001∼0.0010%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B의 하한값은 0.000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의 상한값은 0.0008%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와 N는 BN를 형성함으로써 고용 B에 의한 입계 강화 효과를 저감시키는 경우가 있고, 그것을 억제하기 위해, B의 함유량을 [B%], N의 함유량을 [N%]로 하고, [B%]/[N%]의 값이 0.05 이상 3 이하로 되도록 B량과 N량을 제어해도 좋다.
[B%]/[N%]의 값의 하한값은 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N%]의 값의 상한값은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서는 인성 및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화학 성분에다가 Cu, Ni, Cr, V, W, Sn, Ca, Mg, Zr, REM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켜도 좋다.
(Cu:0.01∼1.00%)
Cu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u의 함유량을 0.01∼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1.00%를 초과하는 Cu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Cu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1%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Cu의 하한값은 0.0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u의 상한값은 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i:0.01∼1.00%)
Ni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Ni의 함유량을 0.01∼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1.00%를 초과하는 Ni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Ni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1%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Ni의 하한값은 0.0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i의 상한값은 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r:0.01∼1.00%)
Cr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r의 함유량을 0.01∼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1.00%를 초과하는 Cr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Cr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1%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Cr의 하한값은 0.02%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r의 상한값은 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n:0.001∼0.100%)
Sn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Sn의 함유량을 0.001∼0.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100%를 초과하는 Sn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Sn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01%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Sn의 하한값은 0.0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n의 상한값은 0.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V:0.02∼0.50%)
V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V의 함유량을 0.02∼0.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50%를 초과하는 V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V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2%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V의 하한값은 0.03%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V의 상한값은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W:0.05∼1.00%)
W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W의 함유량을 0.05∼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1.00%를 초과하는 W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W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5%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W의 하한값은 0.07%인 것이 바람직하고, 0.0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W의 상한값은 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a:0.0005∼0.0100%)
Ca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a의 함유량을 0.0005∼0.0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0100%를 초과하는 Ca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Ca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005%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Ca의 하한값은 0.0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a의 상한값은 0.0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g:0.0005∼0.0100%)
Mg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Mg의 함유량을 0.0005∼0.0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0100%를 초과하는 Mg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Mg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005%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Mg의 하한값은 0.0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g의 상한값은 0.0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Zr:0.0010∼0.0500%)
Zr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Zr의 함유량을 0.0010∼0.05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0500%를 초과하는 Zr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Zr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010%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Zr의 하한값은 0.0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Zr의 상한값은 0.0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EM:0.0010∼0.0500%)
REM(rare earth metal)에 의한 인성 및 연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REM의 함유량을 0.0010∼0.05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0.0500%를 초과하는 REM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성 및 연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고, 또한 REM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0.0010% 미만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REM의 하한값은 0.0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EM의 상한값은 0.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연율을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딥드로잉 가공성과 면내 이방성의 저감을 실현한다. 이하, 이와 같이 냉연율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집합 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박강판에서는 판면에 평행한 {111}면이 많을수록 r값이 높아지고, 판면에 평행한 {100}면이나 {110}면이 많을수록 r값이 낮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에서는, 그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수학식 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5
을 만족시키고, 우수한 평균 r값과 Δr을 양립시키고 있다.
여기서, X선 회절 적분 강도비라 함은, 무방향성 표준 시료의 X선 회절 적분 강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강도이다. X선 회절은 에너지 분산형 등 통상의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X(222)/{X(110)+X(200)}의 값은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는 도금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도금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전기 아연 도금, 용융 아연 도금,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이나 알루미늄 도금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열연 공정과, 권취 공정과, 권취 후 냉각 공정과, 냉연 공정과, 연속 어닐링 공정과, 조질 압연 공정을 적어도 구비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연 공정)
열연 공정에서는 상기의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열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한다. 가열 온도는 열간 압연 전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충분히 균질화될 수 있는 1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0℃ 이상으로 설정되고, 열연 마무리 온도는 Ar3 온도인 900℃ 이상, 바람직하게는 9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 이상으로 설정된다.
(권취 공정)
권취 공정에서는 열연 강판을 700℃ 이상 800℃ 이하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한다.
권취 온도가 700℃보다도 낮은 경우, NbC 등의 탄화물의 석출이 권취 후의 코일 서랭 중에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열연판에 과잉으로 고용 탄소가 잔존하므로, 계속되는 냉연 후의 어닐링 시에 r값의 양호한 집합 조직이 발달하지 않아, 딥드로잉 가공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한편, 권취 온도가 800℃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열연 조직이 조대화되고, 마찬가지로 계속되는 냉연 후의 어닐링 시에 r값의 양호한 집합 조직이 발달하지 않아, 딥드로잉 가공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권취 온도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7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20℃이다. 또한, 권취 온도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7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80℃이다.
(권취 후 냉각 공정)
권취 후 냉각 공정에서는, 권취 후의 열연 강판을 0.0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8℃/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6℃/초 이하의 냉각 속도로 냉각한다. 이 냉각 속도에 의한 냉각은 적어도 강판 온도가 400℃로부터 250℃까지 강하될 때까지의 온도역에서 행하면 된다. 이는, 이 온도역에서는 탄소의 고용한이 충분히 낮고 또한 탄소의 확산도 충분히 일어나므로 미량의 고용 탄소도 탄화물로서 석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권취 후의 냉각 속도가 0.01℃/초를 초과하면 열연판에 과잉의 고용 탄소가 잔존하므로, 계속되는 냉연 후의 어닐링 시에 r값의 양호한 집합 조직이 발달하지 않아, 딥드로잉 가공성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권취 후의 냉각 속도의 하한에 대해서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0.001℃/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2℃/초 이상으로 해도 된다.
(냉연 공정)
냉연 공정에서는 권취 및 산세 후의 열연 강판을 냉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한다.
냉연율 CR%는 평균 r값≥1.4의 우수한 딥드로잉 가공성과 |Δr|≤0.5의 작은 면내 이방성을 얻기 위해, Mn, P, Mo의 양에 따라서 하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만족시키도록 설정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6
[수학식 3]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7
여기서, CR%는 냉연율(%), [Mn(%)], [P(%)], [Mo(%)]는 각각 Mn, P, Mo의 질량%를 나타낸다.
수학식 2가 평균 r값≥1.4를 만족시키는 조건, 수학식 3이 |Δr|≤0.5를 만족시키는 조건이고, 양자를 만족시키는 조건으로 면내 이방성이 작고 딥드로잉 가공성이 양호한 냉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판의 냉연율 CR%와 성분의 관계를 나타낸다.
(연속 어닐링 공정)
연속 어닐링 공정에서는 냉연 강판을 770℃ 이상 820℃ 이하에서 연속 어닐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은 Nb 첨가 극저탄소강(Nb-SULC)이므로, Ti 첨가 극저탄소강(Ti-SULC)보다 재결정 온도가 높게 재결정을 완료시키기 위해 770℃ 이상 820℃ 이하로 설정한다.
연속 어닐링 온도의 하한값은 780℃인 것이 바람직하고, 7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속 어닐링 온도의 상한값은 81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질 압연 공정)
조질 압연 공정에서는 연속 어닐링 후의 냉연 강판을 1.0% 이상 1.5% 이하의 압연율로 조질 압연을 실시하여,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을 제조한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을 이용하여 고용 C를 갖는 것에 의한 프레스 성형 시의 스트레처 스트레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조질 압연율은 통상의 극저탄소강(SULC)보다 높은 1.0% 이상 1.5% 이하로 한다.
조질 압연율의 하한값은 1.05%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질 압연율의 상한값은 1.4%인 것이 바람직하고, 1.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금 공정)
또한, 연속 어닐링 공정과 조질 압연 공정 사이에,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을 행하는 도금 처리 공정을 도입해도 좋다. 도금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전기 아연 도금, 용융 아연 도금,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이나 알루미늄 도금을 들 수 있고, 그 조건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표 1, 표 2의 성분 범위의 강 슬래브 A∼U를 표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열연, 권취, 권취 후 냉각, 산세 후 냉연, 연속 어닐링 및 조질 압연을 실시하여, 시료 1∼29를 제조하였다. 표 4에는 시료 1∼29에 대해, 인장 강도(㎫), BH값(㎫), 평균 r값, |Δr| 및 시효 후 YP-El(%)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BH(%)는 베이킹 경화성을 나타내고, BH 시험의 예비 변형량은 2%, 도장 베이킹 처리에 대응하는 시효 조건은 1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20분간으로 하고, 재인장 시에 있어서 상부 항복점에서 평가한 BH량을 측정하였다. 시효 후 YP-El(%)는 상온 시효성의 평가 지표이고, 100℃의 온도 조건 하에서 1시간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인장 시험을 했을 때의 항복점 연신이다.
냉연 강판의 L방향(압연 방향), D방향(압연 방향과 45°를 이루는 방향) 및 C방향(압연 방향과 90°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각각 JIS Z 2201로 규정되는 5호 시험편을 잘라내고, JIS Z 2254의 규정에 준거하여 각각의 r값(rL, rD, rC)을 구하고, 하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따라서 평균 r값과 면내 이방성(Δr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부여한 소성 변형은 규정대로 균일 연신의 범위 내에서 15%로 하였다.
[수학식 4]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8
[수학식 5]
Figure 112013045944240-pct00009
에너지 분산형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하여, 강판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을 측정하여, T=X(222)/{X(110)+X(200)}의 값(T값)을 구하였다.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0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2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3
표 1∼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비교예는 인장 강도, BH, 평균 r값, |Δr|값, 시효 후 YP-El 중 어느 하나의 값이 뒤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본 발명예는 인장 강도, BH, 평균 r값, |Δr|값, 시효 후 YP-El 모두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을 갖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고 딥드로잉 가공성이 양호한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화학 성분이 질량%로,
    C:0.0010∼0.0040%,
    Si:0.005∼0.05%,
    Mn:0.1∼0.8%,
    P:0.01∼0.07%,
    S:0.001∼0.01%,
    Al:0.01∼0.08%,
    N:0.0010∼0.0050%,
    Nb:0.002∼0.020% 및
    Mo:0.005∼0.050%
    를 함유하고,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로 하고, [Mn%]/[P%]의 값이 1.6 이상 45 이하이고,
    C의 함유량을 [C%], Nb의 함유량을 [Nb%]로 하고, [C%]-(12/93)×[Nb%]로 구해지는 고용 C의 양이 0.0005% 이상 0.0025% 이하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며,
    이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수학식 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성분이 질량%로,
    Cu:0.01∼1.00%,
    Ni:0.01∼1.00%,
    Cr:0.01∼1.00%,
    Sn:0.001∼0.100%,
    V:0.02∼0.50%,
    W:0.05∼1.00%,
    Ca:0.0005∼0.0100%,
    Mg:0.0005∼0.0100%,
    Zr:0.0010∼0.0500% 및
    REM:0.0010∼0.0500%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4. 화학 성분이 질량%로,
    C:0.0010∼0.0040%,
    Si:0.005∼0.05%,
    Mn:0.1∼0.8%,
    P:0.01∼0.07%,
    S:0.001∼0.01%,
    Al:0.01∼0.08%,
    N:0.0010∼0.0050%,
    Nb:0.002∼0.020%,
    Mo:0.005∼0.050%,
    Ti:0.0003∼0.0200% 및
    B:0.0001∼0.0010%
    를 함유하고,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로 하고, [Mn%]/[P%]의 값이 1.6 이상 45 이하이고,
    Nb의 함유량을 [Nb%], Ti의 함유량을 [Ti%]로 하고, [Nb%]/[Ti%]의 값이 0.2 이상 40 이하이고,
    B의 함유량을 [B%], N의 함유량을 [N%]로 하고, [B%]/[N%]의 값이 0.05 이상 3 이하이고,
    [C%]-(12/93)×[Nb%]-(12/48)×[Ti'%]로 나타나는 고용 C가 0.0005% 이상 0.0025% 이하이고,
    상기 [Ti'%]는 [Ti%]-(48/14)×[N%]≥0의 경우, [Ti%]-(48/14)×[N%]이고, [Ti%]-(48/14)×[N%]<0의 경우, 0이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이며,
    이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판 두께의 1/4 두께의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면에 평행한 {222}면, {110}면 및 {200}면의 각 X선 회절 적분 강도비 X(222), X(110) 및 X(200)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키고,
    인장 강도가 300㎫ 이상 4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경화성, 상온 내시효성 및 딥드로잉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면내 이방성이 작은,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수학식 1]
    Figure 112013045944240-pct0001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성분이 질량%로,
    Cu:0.01∼1.00%,
    Ni:0.01∼1.00%,
    Cr:0.01∼1.00%,
    Sn:0.001∼0.100%,
    V:0.02∼0.50%,
    W:0.05∼1.00%,
    Ca:0.0005∼0.0100%,
    Mg:0.0005∼0.0100%,
    Zr:0.0010∼0.0500% 및
    REM:0.0010∼0.0500%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학 성분을 갖는 슬래브를, 1200℃ 이상의 가열 온도, 900℃ 이상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얻는 열연 공정과,
    상기 열연 강판을 700∼800℃에서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권취된 상기 열연 강판을, 적어도 400℃로부터 250℃로 강하될 때까지 0.01℃/초 이하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권취 후 냉각 공정과,
    산세 후 냉연할 때의 냉연율 CR%가, Mn의 함유량을 [Mn%], P의 함유량을 [P%], Mo의 함유량을 [Mo%]로 하고, 하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조건으로 냉연하는 냉연 공정과,
    770℃ 이상 820℃ 이하에서 연속 어닐링하는 연속 어닐링 공정과,
    1.0% 이상 1.5% 이하의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조질 압연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3046123453-pct00016

    [수학식 3]
    Figure 112013046123453-pct00017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 압연 공정 전에,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금층을 부여하는 도금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37013283A 2010-11-29 2011-04-27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8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4447 2010-11-29
JP2010264447 2010-11-29
PCT/JP2011/060273 WO2012073538A1 (ja) 2010-11-29 2011-04-27 高強度焼付硬化型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64A KR20130072264A (ko) 2013-07-01
KR101348857B1 true KR101348857B1 (ko) 2014-01-07

Family

ID=4617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283A KR101348857B1 (ko) 2010-11-29 2011-04-27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02031B2 (ko)
JP (1) JP5043248B1 (ko)
KR (1) KR101348857B1 (ko)
CN (1) CN103228808B (ko)
BR (1) BR112013012808B1 (ko)
MX (1) MX345579B (ko)
TW (1) TWI435940B (ko)
WO (1) WO2012073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919B2 (ja) * 2011-12-08 2013-10-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時効性と焼付き硬化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5773093B2 (ja) * 2013-07-24 2015-09-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容器用鋼板
CN103757535A (zh) * 2013-12-18 2014-04-30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具有烘烤硬化特性的冷轧深冲钢及生产方法
CN104946974B (zh) * 2015-05-13 2017-08-08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超低碳烘烤硬化钢板坯固溶碳含量的控制方法
CN107287512A (zh) * 2016-04-13 2017-10-24 Posco公司 拉拔性优异的烘烤硬化钢及其制造方法
EP3526360A1 (en) 2016-10-17 2019-08-21 Tata Steel IJmuiden B.V. Steel for painted parts
MX2019004458A (es) * 2016-10-17 2019-06-17 Tata Steel Ijmuiden Bv Sustrato de acero para partes pintadas.
US10907236B2 (en) * 2017-04-19 2021-02-02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 rolled steel sheet for drawn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9063081A1 (de) 2017-09-28 2019-04-04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9440006B (zh) * 2018-11-22 2020-11-03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外板用烘烤硬化钢及其生产方法
CN110117758B (zh) * 2019-05-31 2021-05-04 张家港扬子江冷轧板有限公司 耐低温冲击的仪表外壳零件及其制备方法
CN114411055A (zh) * 2021-12-31 2022-04-29 河钢股份有限公司 一种220MPa级烘烤硬化高强钢及其生产方法
CN115418549A (zh) * 2022-09-13 2022-12-02 攀钢集团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低成本烘烤硬化冷轧钢板的生产方法及冷轧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856A (ja) * 1993-12-28 1995-07-25 Nippon Steel Corp 常温遅時効性と焼付硬化性に優れた冷延鋼板
KR20010023455A (ko) * 1998-06-30 2001-03-26 데라카도 료우지 소부경화성이 우월한 냉연강철판
JP2002012920A (ja) 2000-04-28 2002-01-15 Sumitomo Metal Ind Ltd 耐常温時効性、加工性、塗装焼付硬化性に優れた薄鋼板の製造方法
KR100685037B1 (ko) 2005-09-23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내시효성이 우수한 고장력 소부경화형 냉간압연강판,용융도금강판 및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5395T2 (de) * 1991-02-20 1998-09-10 Nippon Steel Corp Kaltgewalztes stahlblech und galvanisiertes kaltgewalztes stahlblech mit hervorragender formbarkeit und einbrennhärtbarkei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69325791D1 (de) * 1992-09-14 1999-09-02 Nippon Steel Corp Ferristisch einphasiges kaltgewalztes Stahlblech oder zinkplattiniertes Stahlblech zum Tiefziehen ohne Kaltalterungserscheinung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0130733A (ja) * 1996-10-22 1998-05-19 Kawasaki Steel Corp 時効劣化の少ない焼き付け硬化性鋼板の製造方法
TW515847B (en) * 1997-04-09 2003-01-01 Kawasaki Steel Co Coating/baking curable type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ain aging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589036B2 (ja) * 1997-08-05 2004-11-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絞り性と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4001084A1 (ja) * 2002-06-25 2005-10-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42560B2 (ja) 2002-12-18 2008-02-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付硬化性に優れ、かつ面内異方性の小さい自動車外板パネル部品用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833042A (zh) 2003-09-26 2006-09-13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深冲性优良的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CA2747654C (en) * 2003-09-30 2015-04-21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yield ratio and high-strength thin steel sheet superior in weldability and ductility, high-yield ratio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thin steel sheet, high-yield ratio high-strength hot-dip galvannealed thin steel sheet, and methods of production of same
US20070181232A1 (en) 2004-03-25 2007-08-09 Posco Cold rolled steel sheet and hot dipped steel sheet with superior strength and bake harden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el sheets
EP2806046B1 (en) * 2006-03-16 2019-07-03 JFE Steel Corporation Cold-roll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856A (ja) * 1993-12-28 1995-07-25 Nippon Steel Corp 常温遅時効性と焼付硬化性に優れた冷延鋼板
KR20010023455A (ko) * 1998-06-30 2001-03-26 데라카도 료우지 소부경화성이 우월한 냉연강철판
JP2002012920A (ja) 2000-04-28 2002-01-15 Sumitomo Metal Ind Ltd 耐常温時効性、加工性、塗装焼付硬化性に優れた薄鋼板の製造方法
KR100685037B1 (ko) 2005-09-23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내시효성이 우수한 고장력 소부경화형 냉간압연강판,용융도금강판 및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2808A8 (pt) 2018-04-17
BR112013012808A2 (pt) 2016-09-13
KR20130072264A (ko) 2013-07-01
US9702031B2 (en) 2017-07-11
MX345579B (es) 2017-02-07
BR112013012808B1 (pt) 2018-07-17
WO2012073538A1 (ja) 2012-06-07
JP5043248B1 (ja) 2012-10-10
MX2013005882A (es) 2013-09-06
JPWO2012073538A1 (ja) 2014-05-19
US20130240094A1 (en) 2013-09-19
CN103228808A (zh) 2013-07-31
CN103228808B (zh) 2014-05-28
TWI435940B (zh) 2014-05-01
TW201229252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857B1 (ko) 고강도 베이킹 경화형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5286B1 (ko)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강 및 제조방법
JP5042232B2 (ja) 成形性及びメッキ特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これを用いた亜鉛系メッ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9657B2 (ja) 耐時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5306A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1888799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16864B1 (ko) 냉연강판 제조 방법
KR20100025922A (ko) 고용 탄소/질소 복합형 소부경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3139B1 (ko)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3905A (ko) 성형성 및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강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647B1 (ko)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6933A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2131B1 (ko) 소부경화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5860A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463B1 (ko) 항복강도가 낮은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WO2006118425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and high yield ratio,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6118424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less anisotrop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15032B1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4621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0973A (ko) 소성이방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KR101344663B1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0635A (ko)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6320B1 (ko) 항복강도 및 연신율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7765B1 (ko)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31254A (ko) 내시효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소부경화형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