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28B1 -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28B1
KR101348628B1 KR1020110118836A KR20110118836A KR101348628B1 KR 101348628 B1 KR101348628 B1 KR 101348628B1 KR 1020110118836 A KR1020110118836 A KR 1020110118836A KR 20110118836 A KR20110118836 A KR 20110118836A KR 101348628 B1 KR101348628 B1 KR 10134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iner
cell guide
slim cell
sl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199A (ko
Inventor
김태석
김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은 선박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가이드하는 슬림 셀 가이드 및 상기 슬림 셀 가이드가 상기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STRUCTURE FOR GUIDE OF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에 따라서 수용공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운반선은 화물창과 상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적재, 배열,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셀 가이드가 화물창 횡격벽 등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셀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엔트리 가이드가 설치된 화물창의 횡격벽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수직길이 전반에 걸쳐 대칭으로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위를 가이드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20피트와 40피트 두 개의 사이즈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에는, 상황에 따라서 20피트 컨테이너(A)와 40피트 컨테이너(B)를 공용으로 적재하기 때문에 먼저, 40피트용 셀 가이드만 설치하여 놓은 후, 2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가 필요한 경우나 선주 등의 요구에 따라서 20피트 컨테이너 전용으로 슬림 셀 가이드(10)를 설치하여 적재와 하역이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선박에 적용되는 슬림 셀 가이드(10)는 그 설치위치와 형태상 작은 공간에 설치를 해야 하고, 슬림 셀 가이드를 위한 텐션바, 셀 가이드 앵글 등 부재 사이즈가 작아 변형이 심하였다. 또한, 설치 작업간 관리가 난이하며 설치를 위하여는 다수의 족장 설치도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슬림 셀 가이드를 고정식으로 설치한 후에는 제거가 불가능하여 40피트 컨테이너 적재까지도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림 셀 가이드가 포함된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착탈식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 적재 시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설치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림 셀 가이드 복수 개를 동시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동 및 배치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가이드하는 슬림 셀 가이드 및 상기 슬림 셀 가이드가 상기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박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선박의 격벽에 설치고정되는 텐션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는 상기 텐션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텐션바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텐션바에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형성되는 제1결합홀과 상기 슬림 셀 가이드에 형성된제2결합홀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선박의 격벽에 설치고정되는 텐션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는 상기 텐션바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텐션바에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구비되는 제1결합홀과,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수용부에 구비되는 결합홀 및 상기 제1결합홀과 결합홀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바 양측으로 상기 슬림 셀 가이드는 한 쌍이 서로 대칭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슬림 셀 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선박의 격벽에 설치고정되는 텐션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는 양측 대칭 구조를 이루되,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장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텐션바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텐션바가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바가 상기 선박의 격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 및 고정부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으로 폴딩 및 펼침이 가능한 자바라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는 상기 자바라유닛의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유닛의 폴딩 및 펼침에 따라 함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바라유닛은 두 개의 고정링크가 "X" 자 형상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단위트러스가 폴딩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고정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링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링크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엔트리 가이드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되, 횡단면상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착탈식으로 슬림 셀 가이드의 설치가 가능하여진다. 그러므로, 40피트 컨테이너와 2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용 구조물을 상황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의 활용 및 설치의 용이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림 셀 가이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서 슬림 셀 가이드를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자바라 형태로 슬림 셀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어 하나의 슬림 셀 가이드의 이동에 의하여 전체 슬림 셀 가이드를 40피트용 또는 20피트용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폴딩된 상태로 두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션바와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션바와 격벽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텐션바와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션바와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림 셀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에 맞도록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접은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101)은 컨테이너가 다수 개 매트리스 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된 적재챔버(30) 내부에 슬림 셀 가이드(120) 및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가 선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위가 안착되어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선박 내 격벽에 직접 또는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박 내 결합되는 텐션바(110)가 구비되도록 한 후, 상기 텐션바(110)에 슬림 셀 가이드(120)가 결합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텐션바(110)는 선박의 화물창 내부 격벽을 가로질러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 셀 가이드(120)는 상부와 하부에 모두 컨테이너의 이동 가이드에 용이하도록 하는 엔트리 가이드(1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엔트리 가이드(125)가 슬림 셀 가이드(120)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이 위치된 부위는 물론 선박의 하부에 이르기까지 컨테이너의 이동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엔트리 가이드(125)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션바(110)와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림 셀 가이드(120)는 단면상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바(1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선박 내 컨테이너가 보관되는 적재챔버의 일변 측에 결합 시에는 하나의 슬림 셀 가이드(120)만이 결합될 것이나, 적재챔버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바(110)의 양측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텐션바(110)에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구비되는 제1결합홀(117)과,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에 구비되는 제2결합홀(127) 및 상기 제1결합홀(117)과 제2결합홀(127)에 동시에 결합되는 결합볼트(60) 및 결합너트(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1결합홀(117)은 상기 텐션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위치로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홀(117)에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의 제2결합홀(127)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결합볼트(60) 및 결합너트(65)를 이용 결합함으로써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가 상기 텐션바(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상기 결합볼트(60)의 헤드부와 결합너트(65)가 은폐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는 은폐홈(미도시)이 구비되도록 하여, 컨테이너의 이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엔트리 가이드(125)는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의 상부와 하부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엔트리 가이드(125)는 컨테이너의 적재 시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위 양측면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횡단면상 십자 형태로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5)에 결합된다. 즉, 하나의 엔트리 가이드(125)를 기준으로 네 개의 컨테이너 모서리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션바가 격벽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있어서 상기 격벽(58)은 고정브라켓(1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바(110)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70)에 구조적으로 1차 고정이 되도록 하는 고정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13)는 일종의 후크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70)에는 상기 후크 형상의 고정부(113)가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홈(173) 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텐션바(110)와 고정브라켓(170)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결합홀(115,175)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115,175)에 결합볼트(50) 및 결합너트(55)를 이용 상기 양 부재(110,170)의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착탈식으로 슬림 셀 가이드(120)의 설치가 가능하여진다. 예를 들어, 40피트 컨테이너와 20피트 컨테이너 두 개의 사이즈의 컨테이너가 주로 적재되어 운반된다고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40피트용 셀 가이드가 설치되는데, 선박의 컨테이너 적재 적재챔버 내부에 상술한 텐션바(110)를 설치하고, 슬림 셀 가이드(120)를 일정 위치마다 체결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2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구조물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바(110)에 상기 제1결합홀(117)의 위치를 다양한 컨테이너의 크기에 호환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텐션바(110)와 슬림 셀 가이드(12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컨테이너의 크기에 맞는 가이드 구조물을 선박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션바와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102)은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가 상기 텐션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양측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되, 각각 대면되는 부위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텐션바(110)가 관통되도록 하는 수용부(1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3)에는 상기 텐션바(110)에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형성된 상기 제1결합홀(117)에 대응되는 제2결합홀(127)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결합볼트(60) 및 결합너트(65)에 의하여 한 쌍의 슬림 셀 가이드(120)를 결합시키는 보조결합홀(1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는 상기 텐션바(110)가 수용부(12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결합홀(122)을 이용 대응된 위치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텐션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림 셀 가이드(12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홀(127)이 상기 제1결합홀(117)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결합볼트(60) 및 결합너트(65)를 이용하여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를 텐션바(1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나타난 효과와 더불어 상기 슬림 셀 가이드(120)가 텐션바(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슬림 셀 가이드(120)를 텐션바(110)의 일측에 모두 겹쳐진 폴딩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적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수화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되므로 적재챔버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텐션바(11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슬림 셀 가이드(12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텐션바(110)와 슬림 셀 가이드(1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103)은 텐션바(1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체된 대칭 구조를 이루는 슬림 셀 가이드(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130)는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장슬롯(1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슬롯(135)은 상기 텐션바(110)가 관통 가능한 크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슬림 셀 가이드(130)의 경우 상기 텐션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텐션바(110)에는 제1결합홀(117)이 구비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130)에는 제1결합홀(117)에 대응되는 결합홀(137)이 구비되어 슬림 셀 가이드의 결합홀(137)과 제1결합홀(117)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슬림 셀 가이드(130)를 텐션바(110)의 일단부 측으로 이동시켜 모두 겹쳐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 텐션바(110)의 소정 위치마다 체결하여 적절한 사이즈의 컨테이너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에 있어서 슬림 셀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다수 개의 슬림 셀 가이드를 동시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유닛이 구비되며, 이하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림 셀 가이드(150)는 상측에서 보아 "+"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소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측이 관통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지는 장관통부(155)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관통부(155)가 구비된 면에 수직한 양측면 상부에는 힌지홀(15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홀(151)이 형성된 동일 면에 있어서 대략 중앙부로부터 하부 일정 영역에는 장슬릿(1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홀(151) 및 장슬릿(15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관통부(155) 내측으로 삽입된 한 쌍의 고정링크(190) 각각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즉, 상기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104)은 연결유닛으로서 두 개의 고정링크(190)가 "X" 자 형상으로 대략 중앙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단위트러스 다수 개가 폴딩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자바라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슬림 셀 가이드(150)에 구비된 상기 힌지홀(151)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행선을 따라 상기 슬림 셀 가이드(150)의 폴딩 및 펼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장슬릿(152)에 삽입된 고정링크(190)의 일단부는 상기 장슬릿(152) 내측에서 상대회전과 동시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앙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두 개의 고정링크(190) 중 일측 고정링크(190)에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고정편(180)이 설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180)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링크(190)에 힌지유닛(18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고정편(180)의 타단부는 고정홀(18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80)이 연결된 고정링크(190)에 중앙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른 고정링크(190)는 제1고정홀(191)과 제2고정홀(19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홀(191)과 제2고정홀(193)은 상기 고정편(180)의 고정홀(183)을 상기 각 고정홀(191,193)과 동일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별도의 결합볼트 등을 이용 고정 가능한 위치로 형성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선박의 격벽에는 별도의 힌지브라켓(91) 및 장슬릿(95)이 구비된 슬릿브라켓(92)이 설치되어 단위 트러스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링크(190)의 일단부가 힌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이용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에 맞게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104)은 트러스구조가 적용된 자바라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L피트 길이를 가지는 컨테이너의 가이드용으로 적용 시에는 도 9의 상측 도면과 같은 L피트 길이 간격으로 슬림 셀 가이드(150)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편(180)을 회전시켜 상기 제2고정홀(193)에 상기 고정편(180)의 고정홀(181)이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결합볼트(미도시)로 상기 고정홀(183)과 제2고정홀(193)을 동시에 체결하면 전체 슬림 셀 가이드가 소정 간격(L)을 유지한 채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R피트 컨테이너 가이드용으로 적용 시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을 접어 슬림 셀 가이드(150)간의 폭이 R피트 길이를 이루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고정편(180)의 고정홀(183)을 상기 제1고정홀(191)의 위치에 오도록 한 후, 결합볼트를 상기 고정홀(183)과 제1고정홀(191)에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슬림 셀 가이드(150)간의 폭이 R피트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나의 슬림 셀 가이드(150)의 이동을 통하여 다수의 슬림 셀 가이드를 동일 간격을 가지도록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이 접힌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슬림 셀 가이드(150)를 폴딩시킨 후, 나머지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착탈식으로 슬림 셀 가이드의 설치가 가능하여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40피트 컨테이너와 20피트 컨테이너의 적재용 구조물을 상황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의 활용 및 설치의 용이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림 셀 가이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서 슬림 셀 가이드를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텐션바 또는 고정링크 등 별도의 지지부재와 연결된 형태로 착탈유닛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선박의 격벽에 직접 슬림 셀 가이드가 설치 시에는 상기 슬림 셀 가이드에 구비된 결합홀만으로도 착탈유닛의 기능을 이루게 됨은 물론이다.
101,102,103,104: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110: 텐션바
113: 고정부 117: 제1결합홀
120,130,150: 슬림 셀 가이드 125: 가이드앵글
127: 제2결합홀 175: 고정브라켓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선박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재를 안내하는 슬림 셀 가이드;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링크가 X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단위 트러스의 일측이 선박 화물창의 격벽에 고정되어 타측으로 폴딩 및 펼침이 가능하여 상기 슬림 셀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자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링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슬림 셀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링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X자형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고정링크의 어느 하나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X자형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고정링크의 다른 하나에 타단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편이 구비되며, 상기 X자형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고정링크의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편의 타단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18836A 2011-11-15 2011-11-15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KR10134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36A KR101348628B1 (ko) 2011-11-15 2011-11-15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36A KR101348628B1 (ko) 2011-11-15 2011-11-15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99A KR20130053199A (ko) 2013-05-23
KR101348628B1 true KR101348628B1 (ko) 2014-01-16

Family

ID=4866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36A KR101348628B1 (ko) 2011-11-15 2011-11-15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627B (zh) * 2018-10-29 2020-12-18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集装箱船活动导架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685A (en) * 1977-04-20 1978-11-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isplacable cell guide for container ship
JPS5594884A (en) * 1979-01-09 1980-07-18 Shigenobu Furukawa Method of loading container
JPS5741286A (en) * 1980-08-20 198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Dismountable type light weight cell structure for container ship
JPH0483993A (ja) * 1990-07-25 1992-03-17 Nishihara Eisei Kogyosho:Kk 配管内移動物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685A (en) * 1977-04-20 1978-11-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isplacable cell guide for container ship
JPS5594884A (en) * 1979-01-09 1980-07-18 Shigenobu Furukawa Method of loading container
JPS5741286A (en) * 1980-08-20 198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Dismountable type light weight cell structure for container ship
JPH0483993A (ja) * 1990-07-25 1992-03-17 Nishihara Eisei Kogyosho:Kk 配管内移動物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99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3637C2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ых колоннообразных грузов
FI70854C (fi) Hopfaellbart lastunderlag
KR20160001058A (ko) 운반용 조립 박스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KR20130075180A (ko) 선박
CN106536380A (zh) 空运集装箱和/或空运货盘
GB2078681A (en) Air freight container
KR1013486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AU2005288910A1 (en) Folding sub-dividing element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frames
CN202953141U (zh) 一种集装箱船船舱导向装置
GB2585108A (en) A collapsible multi-tray packaging with flexible insert cells for transport of goods
US7690522B2 (en) Extendable cargo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2012210957A (ja) 折畳み式のフレーム型コンテナ
JP5015328B2 (ja) クロスビームを利用したコンテナ運搬船の隔壁構造物
CN101468729A (zh) 可拆卸托盘箱及其组装方法
KR101488384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20130319887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KR101564812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CN106185067A (zh) 堆码大型货物的方法、运输框架以及具有其的运输单元
JP2007261673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414203Y1 (ko) 접이식 저장랙
US10633175B2 (en) Air cargo container with cable tensioned door
AU2014100187B4 (en) A container and a divider panel therefor
WO2023177338A1 (en) A beam for a chain conveyor
US11040825B2 (en) Cargo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