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595B1 -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595B1
KR101347595B1 KR1020130024474A KR20130024474A KR101347595B1 KR 101347595 B1 KR101347595 B1 KR 101347595B1 KR 1020130024474 A KR1020130024474 A KR 1020130024474A KR 20130024474 A KR20130024474 A KR 20130024474A KR 101347595 B1 KR101347595 B1 KR 10134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cargo
module
lift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웅
Original Assignee
장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웅 filed Critical 장기웅
Priority to KR102013002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는, 트렁크 내 바닥에 안착되는 매트; 상기 매트의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서 연장된 고정 밴드; 상기 매트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매트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설치 홈 내부에 지지 돌기를 삽입하되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설치 홈 내에 탄성 지지된 탄성 지지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돌기가 화물의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기 실치 홈에서 승강되는 승강 모듈; 상기 승강 모듈의 설치 홈들 사이에서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탈착공;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탈착공에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지지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에 의하면,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조립식 지지벽에 의해 화물이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DEVICE FOR SUPPORTING LOAD FOR TRUN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트렁크에 적재되는 짐의 유동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하고, 더 나아가 차량의 속도 또는 커브 주행 등의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지지 상태를 가변시켜 적재된 짐이 일 측으로 쏠리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렁크는 짐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수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후방의 트렁크는 운전자의 짐을 수납할 수 있게 일정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트렁크에 짐을 실으면 짐을 고정하거나 지지해주는 구조가 없어 차량의 이동시 트렁크 내에서 유동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짐의 경우 트렁크 내부에서 유동하다가 파손이 되고, 식물이 심겨진 화분과 같은 짐 역시 트렁크 내에서 유동되다가 식물이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더불어 불필요한 짐의 유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렁크의 짐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 20-1998-0029846호는 트렁크에 벨트를 형성하여 벨트를 짐에 걸도록 함으로써 짐의 유동성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짐의 높이가 낮거나 기립 구조가 입체적인 경우 띠 형태의 벨트로 지지하는데 한계를 가질 뿐 아니라,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안전벨트와 달리 짐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특정한 형상을 가진 짐을 지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따른다.
또한, 국내 공개 특허 제 10-1996-0054641호는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지지부재의 지지 작용에 의해 적재물을 고정 지지하는 장치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적재물이 식물이 식재된 화분일 경우 지지부재가 화분을 누르게 되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망가지는 문제가 따라, 이 역시 판상 구조의 정형적 형상을 가진 적재물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더불어,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2-0015206호는 고정밴드에 의해 트렁크 내에 설치된 레일과 결합되는 네트를 제공하되 상기 레일에서 고정 밴드를 결합하는 부위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적재물의 사이즈에 따라 네트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일정 높이를 가진 적재물의 경우 네트를 통해 지지될 수 없기에 네트 상에서 적재물이 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 20-1998-0051113호는 트렁크의 바닥 면에 설치된 매트에 스프링의 탄성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매트 위에 적재한 짐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선행기술에 의하면, 차량의 이동 시에 적재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돌기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적재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인정이 된다. 하지만, 갑자기 출발하거나 멈추는 등으로 가속도의 변화가 심한 차량의 특성에 의하여 단순히 돌기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는 적재물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적재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매트에 형성한다는 개념을 적용하되, 가속도 변화 및 적재물의 사이즈에 가변되어 적재물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적재물이 넘어지거나 일 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트렁크용 안전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렁크 내에 설치되어 화물을 안착 지지하는 매트에 화물의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승강되는 승강 모듈을 구비함과 동시에, 지지벽을 화물의 사이즈에 따라 조립 설치함으로써 화물의 일 측 쏠림 내지 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 모듈의 지지 돌기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추가 상승된 승강 모듈의 지지 돌기가 보강 측벽 역할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 모듈의 하부에 모터를 설치하여 승강 모듈의 지지 돌기의 추가 상승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승강 모듈에 압력 감지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압력 감지 여부에 따라 화물이 안착된 승강 모듈과 그렇지 않은 승강 모듈을 자동 구별하고, 화물이 안착되지 않은 승강 모듈를 추가 상승하여 보강 측벽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차량의 주행 속도를 주기적으로 기록하여 관성 방향을 파악함으로 이 방향의 승강 모듈을 추가 상승하여 화물이 일 측으로 쏠리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부 면이 평평하지 않는 화물의 단위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승강 모듈의 승강 높이를 차등 설정함으로 화물의 하부에 보다 밀착 지지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는, 트렁크 내 바닥에 안착되는 매트; 상기 매트의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서 연장된 고정 밴드; 상기 매트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매트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설치 홈 내부에 지지 돌기를 삽입하되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설치 홈 내에 탄성 지지된 탄성 지지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돌기가 화물의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기 실치 홈에서 승강되는 승강 모듈; 상기 승강 모듈의 설치 홈들 사이에서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탈착공;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탈착공에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지지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탄성 지지체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되 외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승강 패널; 상기 설치 홈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승강 패널의 승강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승강 스페이스; 상기 승강 패널의 하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샤프트;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 패널이 나사산 결합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승강 패널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 지지 장치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에 의하면,
1)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조립식 지지벽에 의해 화물이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2) 승강 모듈이 추가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승강 모듈의 승강 높이 차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 상승된 승강 모듈이 보강 측벽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3) 모터 구동에 의해 추가 상승되는 승강 모듈을 자동 제어할 뿐 아니라,
4) 화물의 사이즈 내지 차량에 작용되는 관성 및 화물의 하부 면이 평평하지 않고 입체적으로 이루어져 단위 압력이 달라짐에 따라 추가 상승되는 승강 모듈에 의하여 보다 정밀하게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투시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지지 장치에 화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 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투시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지지 장치에 화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지지 장치는 화물(또는 짐, 적재물이라고도 명명한다)을 안착시킬 수 있는 판상 구조의 매트(10)를 기본으로 한 상태에서, 매트(10)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도 1에서는 4개의 모서리)에는 차량의 트렁크 내 결합 부위에 체결 가능한 고정 밴드(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트(10)의 상면에 적재물에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 개의 승강 모듈(30) 및, 상기 승강 모듈(30)의 사이에 조립 형태의 지지벽(40)을 탈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탈착공(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트(10)는 차량의 트렁크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신축력 내지 탄성을 가져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는 합성수지재 내지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트렁크 바닥면 체적에 상응하거나 아니면 그보다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으나, 트렁크 바닥면 자체를 상기 매트(10)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트(10)가 트렁크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차량의 주행 시에 본 발명의 지지 장치 자체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10)의 모서리 부위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 밴드(20)를 트렁크 내 일 측, 즉 결합 부위(트렁크 내의 돌출 부위 등)에 감거나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 모듈(30)은 화물이 안착되는 매트(10)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승강되는 지지 돌기(33)를 구비한 것으로, 화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세부 구성을 구비한다.
승강 모듈(30)을 구성하기 위하여, 매트(10)에 그 상면에서 내부로 함입되도록 다수 개의 설치 홈(31)을 형성하고, 설치 홈(31)에는 지지 돌기(33)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 홈(31)의 입구에는 상기 지지 돌기(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32)을 형성한다.
지지 돌기(33)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나 특히 하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걸림 턱(32)에 걸리는 플랜지(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 홈(31)에는 상기 지지 돌기(33)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3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 지지체(35)는 상기 지지 돌기(33)가 상기 매트(10)에서 돌출되도록 지지 돌기(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 지지체(35)는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 단은 설치 홈(31)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고, 타 단은 지지 돌기(33)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돌기(33)는 설치 홈(31)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체(35)의 지지를 받아 상기 매트(10)에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화물에 의해 지지 돌기(33)가 눌러지면 탄성 지지체(35)가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된다.
즉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트렁크에 화물(L)이 수납되면, 상기 지지 돌기(33)는 화물(L)의 무게에 의해 눌러져 내려간다. 화물(L)에 인접하여 내려가지 않고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33)는 화물의 외면(즉, 측면)을 지지한다.
한편, 화물이 제거되면 탄성 지지체(35)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지지 돌기(33)가 상기 매트(10)에서 다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지지 돌기(33)가 형성된 복수 개의 승강 모듈(30)을 화물의 무게와 형상에 따라 눌러지는 정도와 개수가 가변되는바, 이에 따라 화물의 이동이 방지되고,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벽(40)은 상기 승강 모듈(30)의 기능을 보강하여 화물이 차량의 주행 시에 심하게 일 측으로 쏠리거나 유동되는 문제를 차단하는 것으로, 매트(10)에 형성된 탈착공(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벽(40)은 신축력 내지 휨성, 탄성을 구비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내측 면(화물을 향한 면)에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돌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벽(40)은 측면에 형성된 조립부(42)와, 상하 부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탈착부(41)를 구비한다.
조립부(42)는 일정 사이즈로 이루어진 지지벽(이를 유닛이라고 함)(40)끼리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구조 외에 다양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립부(42)에 의하여 지지벽(40)끼리 상호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지벽(40) 전체의 조립 길이 증가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탈착부(41)는 매트(10)에 고정을 시키거나 지지벽(40)의 높이를 늘리기 위하여 매트(10) 끼리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술한 승강 모듈(30)과 같이 탈착공(50)의 입구에 걸림 턱을 구비하고 탈착부(41)의 단부에 플랜지를 구비하여 쉽사리 매트(또는 다른 지지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벽(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매트(10)에 안착되는 화물의 사이즈에 따라 화물의 측부를 가변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매트(10) 상에 화물을 안착시킨 다음 화물의 둘레 부위에 해당되는 매트(10)의 탈착공(50)에 지지벽(40)을 끼움 결합할 수 있고 화물의 길이에 상응하게 지지(40)벽을 조립부(42)를 통해 복수 개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화물의 형상이 직육면체 내지 정육면체가 아니라도 신축력을 가진 지지벽(40)이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원형, 타원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연결이 된 지지벽(40) 및 탈착공(5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벽(40)에 의하여, 화물의 사이즈 및 형상에 상관없이 휨성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지지벽(40) 상호 간 결합이 되어 매트(10)에 부착되어 화물의 측벽을 지지할 수 있어, 화물의 사이즈 내지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화물의 측부를 밀착 보호함으로 화물이 일 측으로 쏠리거나 넘어지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 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른 승강 모듈(30)의 변형 실시예는 상기 지지 돌기(33)의 승강 높이를 승강 모듈(30) 별로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탄성 지지체(35)의 하단과 연결된 승강 패널(36)을 구비함과 동시에 설치 홈(31)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승강 패널(36)의 하단에 승강 스페이스(60)를 마련하고 승강 패널(36)이 설치 홈(31)에서 승강 스페이스(60)에 의해 확장된 측벽과 나사산 결합을 하되 모터(39)의 구동력으로 승강 패널(36)을 회전하여 나사산을 따라 승강 패널(36)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대한 승강 모듈의 변형 실시예는, 도 1의 탄성 지지체(35)의 하단을 승강 패널(36)에 결합을 하는데 승강 패널(36)의 하부에는 설치 홈(31)이 확장되어 마련된 추가 공간인 승강 스페이스(60)가 구비되고 이 승강 스페이스(60)가 형성된 설치 홈(31)의 내측 벽에 나사산(37)을 구비함과 동시에 승강 패널(36)의 외주 면에도 역시 나사산(37)을 구비한다.
이 때, 승강 패널(36) 및 이에 접촉하는 설치 홈(31)의 내측 벽의 단면은 원 내지 타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 패널(36)의 중심에서는 수선 방향으로 하방 연장된 샤프트(38)가 연결되고 이 샤프트(38)는 매트의 후면으로 노출이 되어 사용자가 이를 돌려 수동으로 승강 패널(36)을 승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작동의 편의성을 재고하고 더 나아가 후술할 컨트롤러(100)에 의한 제어를 위하여, 샤프트(38)의 하단에 샤프트(38)와 연결된 상태로 모터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모터(39)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38)가 회전이 되면 승강 패널(36)을 회전시켜 나사산(37)을 따라 승강 패널(36)을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모터(39)는 정역 회전을 지원하여 모터(39)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패널을 상승 내지 하강할 수 있고, 더불어 모터(39)의 회전수에 따라 승강 패널(36)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 3에 의한 승강 모듈(30)(또는 지지 돌기)은 도 1에서의 승강 모듈(또는 지지 돌기)보다 큰 사이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터(39)는 후술할 컨트롤러(100)의 전원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즉, 도 3의 승강 패널(36)이 상승함에 따라 이에 부착된 지지 돌기(33)가 도 1에서의 지지 돌기(33)보다 높게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승강 모듈의 실시예는 모터(39)의 회전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승강 모듈(36)에서 지지 돌기(33)의 돌출 높이를 각 승강 모듈에 따라 차등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100)와 함께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의 돌출 높이를 탄력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라 화물을 보다 탄력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제를 마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상기 모터(39)의 구동을 개별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에 따라 화물에 작용되는 관성에 의해 화물이 일 측으로 쏠리는 문제를 도 3에 따른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의 승강 높이 조절에 의해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러(100)는 상기 매트(10)의 하단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패널 형상으로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0)는 전원 공급부(110), 스위치(115), 압력 감지 센서(120),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 관성 제어 모듈(140), 편중 제어 모듈(15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전원 공급부(110)는 상기 모터(39)를 비롯하여 기타 전원 기반 작동을 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와 같은 자체 전원은 물론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여 차량의 시거잭 내지 기타 전원부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15)는 상기 모터(39)의 구동 및 회전 방향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매트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승강 모듈(30)에 연번을 부여하고 연번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치(115)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115)를 조작하여 각각의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를 상승 내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위치(115)는 도 3에 의한 승강 모듈(30)에서 지지 돌기(33)의 돌출 높이를 사용자가 수동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승강 모듈(30)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압력 감지 센서(120)는 각각의 승강 모듈(30)의 개수에 상응하게 각 승강 모듈에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승강 모듈(30) 중에서 승강 패널(36)의 상면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돌기(33)가 화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탄성 지지체(35)를 압축하면 탄성 지지체(35)의 압축에 따른 반발력이 승강 패널(36)에 작용되는데 승강 패널(36)에 형성된 이 압력 감지 센서(120)에서 이러한 압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120)는 압력의 고저에 따라 개략적으로 화물의 하중을 계산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자신이 장착된 승강 모듈(30)에 작용한 개별 압력의 전재 및 그 고저(정밀 제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오차가 포함 압력 수치로 표현 가능)를 측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120)는 컨트롤러(100)의 후술할 다양한 모듈과 연동되어 압력 감지 정보를 컨트롤러(100)의 각 모듈에 전송하여, 컨트롤러(100)에 의한 승강 모듈(30)의 개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이러한 압력 감지 정보는 샤프트(39)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된 케이블을 따라 압력 감지 센서(120)에서 컨트롤러(100)에 연결되어 유선 전송 방식으로 컨트롤러(1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은 압력 감지 센서(120)와 연동되어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 각각에 압력이 가해지는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화물의 안착되는 매트(10)의 부위(이를 '안착 부위'라 한다)를 파악하고 이 안착 부위 외각에 위치한 승강 모듈(30)에서의 지지 돌기(33)의 돌출 높이를 모터(39)의 구동 제어(회전 방향 및 회전수 제어)에 의해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은 위치 판단부(131), 승강 조절부(13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 판단부(131)는 상기 승강 모듈(30)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압력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통해 전체의 승강 모듈들 중에서 압력이 감지된 승강 모듈(30)의 존재를 파악하여 최종적으로 매트(10)에서의 안착 부위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위치 판단부(131)에 의하여 매트(10) 상에서 화물이 안착한 위치, 안착 부위 및 안착 면적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승강 조절부(132)는 상기 위치 판단부(131)에서 파악한 승강 모듈(30)의 주변 둘레 부위에 위치한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승강 조절부(132)에서는 위치 판단부(131)에 의해 화물이 안착된 매트(10) 상 위치를 파악하고 그 주변의 승강 모듈(30) 각각에 장착된 모터(39)를 구동하여 해당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를 추가 상승시킴으로써, 화물의 측면을 이러한 지지 돌기(33)가 감싸 마치 화물이 추가 상승된 지지 돌기(33) 사이에 파묻힌 형태를 지니도록 하여 화물이 유동되지 않고 추가 상승된 지지 돌기(33) 사이에서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에 의하여 화물이 안착된 매트(10) 상 부위 주변의 승강 모듈(30)에 설치된 지지 돌기(33)를 강제 상승시킴으로써 화물이 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관성 제어 모듈(140)은 차량의 속도 증감에 따른 가속도를 판단하여 화물이 차량 진행 방향 내지 반대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쏠리는 것을 예측하여 해당 부위에 형성된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를 상승시킴으로 이러한 관성에 의한 화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관성 제어 모듈(140)은 위치 판단부(141), 속도 감지부(142), 관성 파악부(143), 승강 조절부(144)로 이루어진다.
위치 판단부(141)는 상기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의 위치 판단부(13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압력 감지 센서(120)와의 작용에 의해 화물이 안착된 매트 상 위치를 판단한다.
속도 감지부(142)는 차량의 수행 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이는 차량의 중앙 관제 센터(ECU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기록/저장하는 장치) 내지 GPS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GPS 장치는 시중에 널리 이용되는 차량 장착용 네비게이션, 과속 단속 파악 장치 등과 같은 것이 존재하는바, 속도 감지부(142)는 이와 같은 차량 외부 연결 장치인 GPS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를 차량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아니면 속도 감지부(142) 자체에 GPS 기능을 탑재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를 자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성 파악부(143)는 상기 속도 감지부(142)에서 전송받은 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록하여, 시간 및 속도의 증감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성 파악부(143)는 A 시점에 차량 주행 속도가 60km/h 였는데, 10초 후인 B 시점에 차량 주행속도가 20km/h 로 감속이 되었다면 차량 내 운전자는 물론 화물이 차량 주행 방향인 앞쪽으로 쏠리는 관성이 발생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성 파악부(143)는 차량의 속도 변화 및 주기에 따라 화물에 작용되는 관성(순간적으로 속도 증가가 클 경우 뒤쪽으로 쏠리고, 속도 감소가 클 경우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 및 화물 쏠림 방향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승강 조절부(144)는 상기 관성 파악부(143)에서 판단한 관성 발생 여부는 물론 관성이 발생하였을 때 화물 위치 주변에서 화물 쏠림 방향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 각각을 강제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앞쪽으로 쏠리는 관성이 발생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 승강 조절부(144)는 화물의 위치 주변 부위 중 차량 주행 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승강 모듈(30)의 모터(39)들을 구동하여 해당 승강 모듈(30)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 돌기(33)를 강제 상승시킨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화물이 어느 일 측으로 쏠릴 것이 예측되었을 때 쏠리는 방향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를 상승시킴으로써, 강제 상승된 지지 돌기(33)가 화물의 측면에 접촉하여 쿠션 및 유동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화물의 안정성을 한층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편중 조절 모듈(150)은 화물의 하부 면이 평평하지 않고 입체적일 경우 화물이 매트(10)에서 들뜨는 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물의 하부 면과 밀착함으로 화물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장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위치 판단부(151), 편중 압력 비교부(152), 차등 승강 조절부(153)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판단부(151)는 상기 안착 위치 감지 모듈(130) 및 관성 제어 모듈(140)의 위치 판단부(131,14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편중 압력 비교부(142)는 압력이 가해진 승강 모듈(30)에서의 압력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압력이 낮은 압력 감지 센서(120)가 설치된 승강 모듈(30)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화물이 안착된 위치 내에서 압력이 낮은 것은 화물이 평평하지 않고 압력 감소치에 상응하게 들떠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등 승강 조절부(153)는 상기 편중 압력 비교부(152)에서 판단한 압력 감지 정보의 고저에 따라 차등적으로 해당 압력 감지 센서(120)가 설치된 승강 모듈(30) 내의 모터(39)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해당 승강 모듈(30)의 지지 돌기(33)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차등 승강 조절부(153)는 A 지점의 승강 모듈(30)에서의 압력 감지 정보가 0, B 지점의 승강 모듈(30)에서의 압력 감지 정보가 1, C~F 지점에서의 압력 감지 정보가 2일 경우, A,B 지점이 들떠있는 것으로 판단을 하되 A,B 지점에서 들떠 있는 편차가 있다는 것을 판단하여 가령 A 지점에서의 지지 돌기(33)는 2만큼 상승시키고, B 지점에서의 지지 돌기(33)는 1만큼 상승을 시킨다. 물론 이러한 개별 제어를 위하여 모터(39)의 회전수에 따라 상승되는 지지 돌기(33)의 높이 정보는 미리 컨트롤러이 별도의 저정부(메모리 등)에 기록되어 있다는 전제를 가진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바닥이 평평하지 않고 입체적으로 이루어져 매트(10)와 완전한 접촉을 이루지 못하는 화물의 경우에 해당 입체 형상에 따라 그 하부에 위치한 지지 돌기(33)의 상승 높이를 차등 상승시킴으로써 화물이 매트(10)에 보다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지지를 보장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매트 20: 고정 밴드
30: 승강 모듈 31: 설치 홈
32: 걸림 턱 33: 지지 돌기
34: 플랜지 35: 탄성 지지체
36: 승강 패널 37: 나사산
38: 샤프트 39: 모터
40: 지지벽 41: 탈착부
42: 조립부 50: 탈착공
60: 승강 스페이스 100: 컨트롤러
110: 전원 공급부 115: 스위치
120: 압력 감지 센서 130: 안착 위치 감지 모듈
131: 위치 판단부 132: 승강 조절부
140: 관성 제어 모듈 141: 위치 판단부
142: 속도 감지부 143: 관성 파악부
144: 승강 조절부 150: 편중 조절 모듈
151: 위치 판단부 152: 편중 압력 비교부
152 : 차등 승강 조절부

Claims (6)

  1.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로서,
    트렁크 내 바닥에 안착되는 매트;
    상기 매트의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서 연장된 고정 밴드;
    상기 매트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매트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설치 홈 내부에 지지 돌기를 삽입하되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설치 홈 내에 탄성 지지된 탄성 지지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돌기가 화물의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기 설치 홈에서 승강되는 승강 모듈;
    상기 승강 모듈의 설치 홈들 사이에서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탈착공;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탈착공에 탈착부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지지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탄성 지지체의 하단을 고정 지지하되 외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승강 패널;
    상기 설치 홈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승강 패널의 승강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승강 스페이스;
    상기 승강 패널의 하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샤프트;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 패널이 나사산 결합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 지지 장치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각각의 승강 모듈들에 설치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의 압력 감지 정보들을 전달받아 화물의 하중이 미치는 승강 모듈의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상기 승강 모듈들의 외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 모듈을 상기 모터 구동 제어에 의해 상승시키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안착 위치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각각의 승강 모듈들에 설치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의 압력 감지 정보들을 전달받아 화물의 하중이 미치는 승강 모듈의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판단부와,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주기적으로 파악 및 기록하는 속도 감지부 및,
    상기 속도 감지부에서 기록된 주행 속도의 변화를 통해 차량에 쏠리는 관성의 존재 및 방향을 파악하는 관성 파악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상기 승강 모듈들의 외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 모듈 중에서 상기 관성 파악부에서 파악된 관성 방향에 위치한 상기 승강 모듈을 상기 모터 구동 제어에 의해 상승시키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관성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각각의 승강 모듈들에 설치된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의 압력 감지 정보들을 전달받아 화물의 하중이 미치는 승강 모듈의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상기 승강 모듈들 각각의 압력 감지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편중 압력 비교부 및,
    상기 편중 압력 비교부에 따라 상기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기 승강 모듈들의 모터 회전수를 차등 조절하여, 상기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기 승강 모듈의 승강 높이를 차등 제어하는 차등 승강 조절부로 구성된 편중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6. 삭제
KR1020130024474A 2013-03-07 2013-03-07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KR10134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74A KR101347595B1 (ko) 2013-03-07 2013-03-07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74A KR101347595B1 (ko) 2013-03-07 2013-03-07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595B1 true KR101347595B1 (ko) 2014-01-03

Family

ID=5014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74A KR101347595B1 (ko) 2013-03-07 2013-03-07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5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8394B2 (en) 2016-07-07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cover system and related method
KR20190060644A (ko) * 2017-11-24 2019-06-03 씨아이티 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보드
CN113232751A (zh) * 2021-06-15 2021-08-10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人工智能搬运装置
KR20220056685A (ko) * 2020-10-28 2022-05-06 차형진 운송충격 완화장치 및 이를 갖는 운송장치
KR102439528B1 (ko) * 2021-04-27 2022-09-01 홍영표 적재함 화물 이송장치
CN117068051A (zh) * 2023-10-12 2023-11-17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货物定位装置及方法
KR102604264B1 (ko) * 2022-06-13 2023-11-21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7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트렁크용 짐받이판
JP2003095021A (ja) * 2001-09-25 2003-04-03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7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트렁크용 짐받이판
JP2003095021A (ja) * 2001-09-25 2003-04-03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8394B2 (en) 2016-07-07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cover system and related method
US10369873B2 (en) 2016-07-07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cover system and related method
KR20190060644A (ko) * 2017-11-24 2019-06-03 씨아이티 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보드
KR102073212B1 (ko) * 2017-11-24 2020-02-05 씨아이티 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보드
KR20220056685A (ko) * 2020-10-28 2022-05-06 차형진 운송충격 완화장치 및 이를 갖는 운송장치
KR102522482B1 (ko) 2020-10-28 2023-04-14 차형진 운송충격 완화장치 및 이를 갖는 운송장치
KR102439528B1 (ko) * 2021-04-27 2022-09-01 홍영표 적재함 화물 이송장치
CN113232751A (zh) * 2021-06-15 2021-08-10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人工智能搬运装置
KR102604264B1 (ko) * 2022-06-13 2023-11-21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CN117068051A (zh) * 2023-10-12 2023-11-17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货物定位装置及方法
CN117068051B (zh) * 2023-10-12 2023-12-19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货物定位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595B1 (ko) 차량의 트렁크용 화물 지지 장치
JP6757891B2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に搭載されるラック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KR101743585B1 (ko) 균형유지 기능이 구비된 드론용 이착륙 시스템
US10093286B2 (en) Timer based vehicle leveling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9533858A (ja) 車両が走行するトラックに対して車両の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86237B1 (ko) 하역매트의 경사면 형성을 이용한 적재물 하역 장치
CN107554227A (zh) 移动式机器人高度自适应底盘及自适应方法
CN214986817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塑料托盘
KR101521587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이동대차
US9403648B2 (en) Electric device for lifting moving sidewalk for vehicle
CN207015674U (zh) 一种托盘规格可调的包装生产线
CN107934842A (zh) 一种轻量货物的电动搬运装置
KR101733425B1 (ko) 비닐 하우스의 눈 제거 장치
CN108871862B (zh) 一种粮库粮面移动装置平台
JP4463836B2 (ja) エンジン・ミッションの搬送用吊り具
CN105110190A (zh) 带活动配重系统的轮胎吊车配重控制方法
CN214003944U (zh) 一种便于操作的安全起重装置
CN211478239U (zh) 一种总磷总氮在线检测仪
CN209428063U (zh) 一种物流运输用叉装机
JPH0524795A (ja) 昇降装置
CN209582643U (zh) 一种新型胶管存放自动循环货架
CN108049670B (zh) 立体自行车库
CN207466816U (zh) 具有越障能力的微小型多功能无人搬运车
CN220410754U (zh) 一种建材运输机器人及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