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756B1 -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756B1
KR101346756B1 KR1020110083980A KR20110083980A KR101346756B1 KR 101346756 B1 KR101346756 B1 KR 101346756B1 KR 1020110083980 A KR1020110083980 A KR 1020110083980A KR 20110083980 A KR20110083980 A KR 20110083980A KR 101346756 B1 KR101346756 B1 KR 10134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ower
fixed body
fix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613A (ko
Inventor
송준영
Original Assignee
(주)환경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경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환경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1008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7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Abstract

실내 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몸체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송풍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송풍장치를 평상시에는 승강유닛이 상승동작된 상태에서 실내 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되며, 송풍기의 수리 및 점검이나 청소가 필요할 경우에는 승강유닛을 하강시켜 송풍기를 지상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송풍기의 유지보수 작업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송풍장치{BLOWER}
본 발명은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높은 위치에 설치가 되더라도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장치 중에는 실내의 원활한 공기 순환 등을 목적으로 실내공간의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공장, 실내체육관, 강당처럼 실내공간이 높이가 높고 넓게 마련된 건물은 실내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온도차가 커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소요되는 에어지의 손실이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건물의 상부공간에 설치되는 송풍장치는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 공기의 원활한 대류 작용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 전역의 온도차를 줄이고, 이를 통해 실내공간의 냉난방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송풍장치는 통상 송풍날개와, 송풍날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실내공간의 천장이나 천장에 인접한 구조물 등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내 높은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종래 송풍장치는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송풍장치가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실내 높은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송풍장치를 수리 및 점검해야 하거나 송풍장치를 간단히 청소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송풍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다리나 크레인 등을 동원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된다.
또 작업자가 사다리나 크레인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게 될 경우에는 작업도중 작업자가 낙상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도 발생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높은 위치에 설치가 되더라도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송풍장치는 실내 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몸체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고정몸체 쪽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몸체와 접촉되고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제1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고 상기 송풍기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접촉부에 마련된 이동접점과 상기 제2접촉부에 마련된 고정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구동 시키도록 마련된 승강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 쪽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에 설치된 와인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1접촉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1접촉부의 중심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접점은 상기 와이어 둘레의 제1접촉부에 고리모양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이동접점과 대응하는 고리모양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과 승강구동유닛과 스위치는 상호 대응하는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는 실내공간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고정몸체와, 실내공간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제2고정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몸체에는 상기 제2접촉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 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구동유닛의 와이어에는 상기 제1접촉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는 송풍날개와, 상기 송풍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3상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터로 연결되는 전원선은 제1 내지 제4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전원선 중 어느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몸체 쪽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마련된 것과, 상기 제1 내지 제4전원선 중 나머지 다른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몸체 쪽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실내 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몸체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승강유닛이 상승동작된 상태에서 실내 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되며, 송풍기의 수리 및 점검이나 청소가 필요할 경우에는 승강유닛을 하강시켜 송풍기를 지상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송풍기의 유지보수 작업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송풍기가 고정몸체 쪽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송풍기가 고정몸체 하부로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서 스위치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서 고정접점 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서 이동접점 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실내 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00)와, 송풍기(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고정몸체(100)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유닛(200)을 구비한다.
고정몸체(100)는 천장이나 천장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구조물(1) 등에 브래킷(101)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은 실내 공간 상부를 보강하도록 보 형태로 설치된 H빔이 될 수 있으며, 브래킷(101)은 볼트체결 방식으로 상기 구조물(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300)는 외형이 원통형태이고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으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프레임(310)과, 프레임(310)의 상측 중앙부에 장착된 구동모터(320)와, 구동모터(320)로부터 프레임(310)의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동축(330)과, 구동축(330)에 결합되어 구동축(330)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실내 공간 상부에서 실내 공기의 원활한 대류 작용이 유도되도록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게 된다.
송풍날개(340)는 프레임(310) 내측의 구동축(330) 상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상측 수평날개(341), 프레임(310) 내측의 구동축(330) 하부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하측 수평날개(342),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341,342)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측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수직날개(3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풍기(300)의 구조에서 구동모터(320)가 구동하면서 송풍날개(340)가 회전하게 되면, 상측 수평날개(341)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하측 수평날개(342)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수직날개(342)들이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341,342)의 동작에 의해 실내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프레임(31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프레임(310)의 측방(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방식으로 송풍기(300)를 통해 실내공기의 고른 순환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300)를 구비하는 승강유닛(200)이 고정몸체(100)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는 송풍기(300)를 수리 및 점검해야 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송풍기(3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사다리나 크레인 등을 동원할 필요 없이 승강유닛(200)을 지상 쪽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송풍기(300)의 유지보수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때는 송풍기(300)의 유지보수 작업도중 작업자가 낙상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유닛(200)의 승강동작은 승강구동유닛(400)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승강구동유닛(400)은 일단이 승강유닛(300)에 고정되는 와이어(410)와, 와이어(410)의 타단 쪽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100)에 설치된 와인딩장치(4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와인딩장치(420)는 와이어(410)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마련된 와인딩드럼(421)과, 와인딩드럼(421)을 정역회전 시키도록 마련된 와인딩모터(422)와, 지상 쪽 입력장치(미도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와인딩모터(422)의 구동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423)을 구비한다. 컨트롤패널(423)에는 와인딩장치(420)의 구동을 유선이나 리모컨을 통해 지상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제어선(423a)과 리모컨 수신부(423b)를 포함하는 제어모듈들이 탑재된다. 참고로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424는 와인딩드럼(421)과 와인딩모터(422) 사이에 마련된 감속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와인딩드럼(421)에 감겨진 와이어(410)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와인딩장치(420)가 구동될 경우 승강유닛(200)은 실내공간의 지상 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반대로 와인딩드럼(420)에 와이어(410)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와인딩장치(420)가 구동될 경우 승강유닛(200)은 고정몸체(100)가 설치된 상부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송풍기(300)의 구동모터(320)와 와이딩장치(420)의 와인딩모터(422)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20)와 와인딩모터(420)에는 전원선이 연결되는데, 이때 송풍기(300)의 구동모터(320)에 연결되는 전원선(500)의 경우 승강유닛(200)의 승강동작을 감안하여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길게 마련될 필요가 있고, 이럴 경우 전원선(500)이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또한 송풍기(300)의 유지보수 작업 도중 부주의로 송풍기(300)가 구동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송풍날개(340)에 긁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생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구동모터(320)에 연결되는 전원선(70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송풍기(300)의 유지보수 작업 도중 송풍기(300) 구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유닛(200)이 고정몸체(100) 쪽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승강유닛(200)이 송풍기(3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50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500)의 설치를 위해 승강유닛(200)에 있어서 송풍기(300) 상부에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몸체(100)와 접촉되고 송풍기(300)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고정몸체(100)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제1접촉부(611)가 마련된다.
그리고 고정몸체(100) 하단에는 송풍기(3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제1접촉부(611)와 접촉되고 송풍기(300)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611)와 분리되도록 제2접촉부(621)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200)는 제1접촉부(611)에 마련된 이동접점(510)과 상기 제2접촉부(621)에 마련된 고정접점(520)을 포함하여 승강유닛(200)의 승강동작시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며, 구동모터(320)에 연결된 전원선(700)은 먼저 이동접점(510)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다시 고정접점(520)으로부터 외부 전원공급부로 연장된다. 참고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와인딩모터(422)에 연결되는 전원선의 도시는 생략하겠으며,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800은 상기 전원선(700)을 감싸는 보호케이블을 가리킨다.
제1접촉부(611)가 형성되도록 송풍기(300) 상부에는 상부 쪽 직경이 하부 쪽 직경보다 작은 원반형태의 제1접촉부재(610)가 마련된다. 제1접촉부재(610)와 송풍기(300) 사이는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900)를 통해 연결된다.
제1접촉부재(610)에서 직경이 작은 상부 쪽은 삽입부(610a)를 형성하고, 제1접촉부(611)는 삽입부(610a) 상면을 통해 마련된다. 그리고 고정몸체(100)의 하단 내측으로는 상기 삽입부(610a)가 일치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수용부(101)가 마련되며, 수용부(101) 내벽은 삽입부(610a)가 수용부(101)에 끼워지거나 수용부(101)에서 하부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삽입부(610a)를 가이드하게 되며, 제2접촉부(621)는 삽입부(101) 안쪽 상부에 결합되는 제2접촉부재(620)의 하면을 통해 마련된다.
따라서 승강유닛(200)이 상승동작되는 과정에서 제1접촉부재(610)의 삽입부(610a)는 상기 수용부(101) 내측벽에 가이드되면서 수용부(101) 내부에 일치되도록 수용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500)를 이루는 고정접점(520)에 이동접점(510)이 접촉되어 구동모터(320)에 전원이 인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에서 반대로 승강유닛(200)이 하강동작 하게 되면 이동접점(510)이 고정접점(5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구동모터(320)에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10)의 단부는 승강유닛(400)의 안정적인 승강동작을 위해 제1접촉부재(610)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제1접촉부(611) 중심을 통과하여 제1접촉부재(610) 안쪽으로 고정되는데, 이동접점(510)은 제1접촉부(611)에 상기 와이어를 중심으로 하는 고리모양으로 마련되고, 고정접점(520)은 이러한 이동접점(510)과 대응하는 고리모양으로 제2접촉부(621)에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접점(520)과 이동접점(510)이 이와 같이 고리형태를 이루게 되는 스위치(500)는 승강유닛(200)의 상승과정에서 와이어(410)에 연결된 제1접촉부재(610)가 미세하게 회전하거나 삽입부(61a)와 수용부(10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미세한 유격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이동접점(510)이 고정접점(520)과 원활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승강유닛(200)의 승강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20)로 항시 정확하게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고정접점(520)과 이동접점(510) 간의 접촉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 이동접점(510)은 상부로 돌출된 돌출형 고리모양을 이루며, 고정접점(520)은 이동접점(510)이 내부에 끼워지도록 상부로 함몰된 함몰형 고리모양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동접점(510)은 고정접점(520)에 안내되어 치합되는 방식으로 고정접점(520)에 보다 원활히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612는 삽입부 상부 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가리키며, 또 다른 미설명 부호 102는 삽입부(610a)가 수용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612)가 걸려 지지되도록 마련된 걸림턱을 가리킨다. 걸림턱(102)에 대한 걸림돌기(612)의 걸림 구속 동작은 승강유닛(200)의 하강 동작시 승강유닛(200)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에서는 승강유닛(200)의 승강과정에서 송풍기(300)의 하중을 보다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100)와 승강구동유닛(400)과 스위치(500)가 상호 대응하는 복수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몸체(100)는 실내공간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고정몸체(100A)와, 실내공간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제2고정몸체(100B)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승강구동유닛(400)은 상기 제1고정몸체(100A) 쪽과 제2고정몸체(100B) 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고정몸체(100A,100B) 하부에는 각각 제2접촉부재(620)가 마련되고, 각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이어(410)에는 제1접촉부재(610)가 각각 연결된다.
또 한 쌍의 제1접촉부재(610)는 각각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900)를 통해 송풍기(300)와 연결되는데, 이중 하나의 연결부재(900)는 송풍기(300) 프레임(310) 상부 일측의 양쪽에 양단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900)는 프레임(310) 상부 타측의 양쪽에 양단이 연결되며, 각 제1접촉부재(610)는 하부 쪽의 대응하는 연결부재(900)의 중앙에 고리 등을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고정몸체(100A,100B)의 높이가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으나, 송풍기(3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양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이어(410)의 길이를 달리 할 경우 제1 및 제2고정몸체(100A,100B)의 높이는 상호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3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320)는 그 효율을 고려하여 3상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마련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320)로 연결되는 전원선(700)은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을 포함하여 4가닥으로 마련된다.
구동모터(320)에 연결된 이러한 4가닥의 전원선(710,720,730,740)은 2가닥씩 분리된 상태로 각 제1접촉부재(610)의 이동접점(510)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다시 고정접점(520)으로부터 외부 전원공급부로 연장되는데, 상기 스위치(500)는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 중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제1몸체 쪽 제1접촉부(611)와 제2접촉부(621) 사이에 마련된 것과,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 중 나머지 다른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제2몸체 쪽 제1접촉부(611)와 제2접촉부(621) 사이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각각의 양 스위치(500)의 제1접촉부(611)에 마련되는 고리형상의 이동접점(510)은 내측에 마련된 내측이동접점(511)과 외측에 마련된 외측이동접점(512)을 포함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제2접촉부(621)에 마련되는 고리형상의 고정접점(520)은 내측이동접점(511)에 대응하도록 내측에 마련된 내측고정접점(521)과 외측이동접점(512)에 대응하도록 외측에 마련된 외측고정접점(522)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송풍장치의 이용도중 양쪽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이어(410)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연신되는 경우와 같이 양 쪽 제1접촉부재(610)의 위치가 달라질 때는 송풍기(3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원활한 송풍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접촉부재(610)에는 각각 반대 쪽 접촉부재의 수평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감지센서(a)가 설치된다. 수평감지센서(a)는 발광센서와, 발광센서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423)은 수평감지센서(a)를 통해 전달받은 양 쪽 제1접촉부재(610)의 수평상태 유무 신호에 따라 양 제1접촉부재(610)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양쪽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인딩모터(422)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고 양쪽 제1접촉부재(610)의 위치가 수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양쪽 제1접촉부재(610)가 수평을 이룰 때까지 양쪽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인딩모터(422)의 회전수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송풍기(300)가 바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 승강유닛(200)은 스위치(500)의 고정접점(520)과 이동접점(510)이 접촉되도록 승강된 상태가 되며, 이때는 구동모터(320)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지상에 있은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조작할 경우 송풍기(300)는 언제든지 구동되어 실내 공기순환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송풍기(300)를 수리 또는 점검해야 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송풍기(3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지상에 있는 사용자는 이번에는 리모컨 등을 조작하여 상기 와인딩드럼(421)에 감겨진 와이어(410)가 풀리도록 와인딩장치(42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승강유닛(200)의 하강동작에 따라 스위치(500)의 이동접점(510)이 고정접점(5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송풍기(300)의 구동모터(320)로 인가되던 전원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지상 쪽으로 하강하여 전원이 차단된 상태의 송풍기(30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정몸체(100)에 마련되는 고정접점(520)과 승강유닛(200) 쪽 제1접촉부재(610)에 마련된 이동접점(510)을 포함하는 스위치(500)를 구비하여 승강유닛(200)의 하강 동작시 송풍기(300)에 전원 인가가 차단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는 승강유닛(200)의 승강동작을 감안하여 송풍기(300)의 구동모터(320)로 연결되는 전원선(700)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전원선(700)이 낭비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100: 고정몸체 200: 승강유닛
300: 송풍기 400: 승강구동유닛
500: 스위치 510: 이동접점
520: 고정접점 610: 제1접촉부재
611: 제1접촉부 620: 제2접촉부재
621: 제2접촉부 700: 전원선

Claims (7)

  1. 실내 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00)와, 송풍기(30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몸체(100)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 승강유닛(200)과,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고정몸체(100) 쪽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500)와, 상기 승강유닛(200)을 승강구동 시키도록 와이어(410) 및 상기 와이어(410)의 일단 쪽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100)에 설치된 와인딩장치(420)를 포함하는 승강구동유닛(400)을 구비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몸체(100)와 접촉되고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몸체(100)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제1접촉부(6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100)는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611)와 접촉되고 상기 송풍기(300)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촉부(611)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제2접촉부(621)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500)는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제1접촉부(611)에 마련된 이동접점(510)과 상기 제2접촉부(621)에 마련된 고정접점(5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부(611)가 형성되도록 상기 송풍기(300) 상부에는 상기 송풍기(300)와 함께 승강하도록 상부 쪽 직경이 하부 쪽 직경보다 작은 원반형태의 제1접촉부재(610)가 마련되고, 상기 제1접촉부재(610)에서 직경이 작은 상부 쪽은 삽입부(610a)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부(611)는 상기 삽입부(610a)의 상면을 통해 마련되며,
    상기 고정몸체(100) 하단 내측으로는 상기 삽입부(610a)가 일치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수용부(101)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101) 내벽은 상기 삽입부(610a)가 수용부(101)에 끼워지거나 수용부(101)에서 하부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삽입부(610a)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접촉부(621)는 상기 수용부(101) 안쪽 상부에 결합되는 제2접촉부재(620)의 하면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410)의 타단은 상기 제1접촉부재(610)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접촉부(611)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접촉부재(610) 안쪽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접점(510)은 상기 와이어(410)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410) 둘레의 제1접촉부(611)에 원형의 고리모양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접점(520)은 상기 이동접점(510)과 일치되는 원형의 고리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접점(510)과 고정접점(520)이 상호 치합되는 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접점(510)과 고정접점(520) 중 어느 하나는 산 형태로 돌출된 고리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접점(510)과 고정접점(520)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골 형태로 함몰된 고리모양으로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610a) 외주에는 걸림돌기(612)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101) 내주에는 상기 삽입부(610a)가 수용부(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612)가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102)이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102)에 대한 상기 걸림돌기(612)의 걸림구속 동작은 상기 승강유닛(200)의 하강 동작시 상기 승강유닛(200)의 자중에 의해 해제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00)과 승강구동유닛(400)과 스위치(500)는 상호 대응하는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00)는 실내공간 상부 일측에 마련된 제1고정몸체(100A)와, 실내공간 상부 타측에 마련된 제2고정몸체(1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몸체(100A,100B)에는 상기 제2접촉부(621)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승강구동유닛(400)은 상기 제1고정몸체(100A)와 제2고정몸체(100B) 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구동유닛(400)의 와이어(410)에는 상기 제1접촉부(611)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300)는 송풍날개(340)와, 상기 송풍날개(3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2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320)는 3상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터(320)로 연결되는 전원선(700)은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500)는 상기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 중 어느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몸체(100A) 쪽 상기 제1접촉부(611)와 상기 제2접촉부(621) 사이에 마련된 것과, 상기 제1 내지 제4전원선(710,720,730,740) 중 나머지 다른 2가닥의 중도를 스위칭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몸체(100B) 쪽 상기 제1접촉부(611)와 제2접촉부(621) 사이에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KR1020110083980A 2011-08-23 2011-08-23 송풍장치 KR10134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80A KR101346756B1 (ko) 2011-08-23 2011-08-23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80A KR101346756B1 (ko) 2011-08-23 2011-08-23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613A KR20130021613A (ko) 2013-03-06
KR101346756B1 true KR101346756B1 (ko) 2013-12-31

Family

ID=4817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980A KR101346756B1 (ko) 2011-08-23 2011-08-23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81B1 (ko) * 2021-09-27 2023-10-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 실링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5795A (ja) * 1991-06-12 1992-12-17 Tokyo Electric Co Ltd 電動昇降装置
JP2002247923A (ja) * 2001-02-23 2002-09-03 Matsushita Seiko Co Ltd 昇降式防霜ファ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5795A (ja) * 1991-06-12 1992-12-17 Tokyo Electric Co Ltd 電動昇降装置
JP2002247923A (ja) * 2001-02-23 2002-09-03 Matsushita Seiko Co Ltd 昇降式防霜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613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687A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US7033048B2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200326792Y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1346756B1 (ko) 송풍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8893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KR101279263B1 (ko) 화재경보장치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KR20200057303A (ko) 가변형 카메라 지주대 구조체
JP2018168575A (ja) 可動作業床装置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2080509B1 (ko) 케이블 방식을 활용한 승강 투광장치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KR101614655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KR10053358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1587184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1624862B1 (ko) 다기능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