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544B1 -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544B1
KR101346544B1 KR1020120037465A KR20120037465A KR101346544B1 KR 101346544 B1 KR101346544 B1 KR 101346544B1 KR 1020120037465 A KR1020120037465 A KR 1020120037465A KR 20120037465 A KR20120037465 A KR 20120037465A KR 101346544 B1 KR101346544 B1 KR 10134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material
control valve
injection control
pist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978A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5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투사재(유리, SUS 볼, SIC, 금강사 등)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면서 브라스트(표면처리)를 실시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분사 제어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사재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부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부품의 마모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30)에 투사재 유입구(31)와 통하는 통로(41)를 갖는 슬리브(40)와 오리피스(65)를 고정하고 상기 T형 니플(80)을 메인 바디(30)와 나사 결합되는 고압 니플 (81) 및 교체가 가능한 파이프 니플(82)로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omitted}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투사재(유리, SUS 볼, SIC, 금강사 등)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면서 브라스트(표면처리)를 실시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투사재가 담긴 호퍼의 직하방에 투사재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벨브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투사재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고 필요에 따라 투사재의 공급량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 브라스트(Shot blast)란, 쇼트(shot) 또는 그릿(grit)이라고 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의 투사재를 피 가공물에 고속으로 투사하여 피 가공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기기로서, 투사재를 투사하는 방법에 따라 흡입식,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 또는 임펠러식 쇼트 브라스트로 대별된다.
상기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는 호퍼 내에 일정량의 투사재를 투입한 상태에서 호퍼 내에 일정 압력(약 5kg/㎠ 정도)을 가하여 호퍼 내의 투사재가 호스를 통해 피가공물 측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임펠러식 쇼트 브라스트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측으로 투사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임펠러의 브레이드(blade)에 의해 투사재가 피 가공물 측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가 산업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예로 도장 전 처리, 버어(Burr) 제거에서부터 항공기 및 우주 개발 산업에서 이용되는 피닝(Peening) 공법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처리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에어를 이용한 브라스트 장비에서 가장 핵심 부품이 투사재의 분사 제어밸브이다.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는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는 투사재가 분사되는 호스를 직접 실린더를 이용하여 눌러서 투사재의 분사를 차단하거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호퍼에서 내려오는 투사재를 직접 차단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제10-2005-0099921호로 특허공개된 도면이다.
호퍼(1)의 직하방에 고정되는 브라켓(14)에는 호퍼의 배출구와 통하여진 통로(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4)에 보울트(15)로 고정되는 바디(16)에는 브라켓에 형성된 통로(14a)와 통하여지는 수직관로(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관로(17)와 교차되게 형성된 수평관로(18)의 일단에는 연장관(5)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에는 플랙시블 호스(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바디(16)의 상부에 형성된 요입홈(16a)에는 우레탄재질의 밸브시트(19)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밸브시트의 중심부에는 브라켓(14)의 통로(14a)를 통해 이송되는 투사재(2)가 통과되도록 취출공(19a)이 형성되어 있고 취출공의 직하방에 접시머리형태의 테이퍼면(1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6)의 저면에 실린더(20)가 고정된 장착판(21)이 보울트(22)에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20)의 중심부에는 테이퍼면(19b)과 대응되는 경사면(23a)을 갖는 밸브체(23)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가 바디(16)의 수직관로(17)상에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바디(16)와 장착판(21)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seal)(2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밸브체(23)가 밸브시트(19)의 취출공(19a)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호퍼(1)의 내부에 작용되는 압축공기 및 연장관(5)을 통해 수평관로(18)상에 작용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투사재(2)가 플랙시블 호스(7)를 통해 고압으로 투사되므로 피 가공물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투사재의 투사를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착판(21)에 설치된 실린더(20)를 구동시켜 밸브체(23)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키기만 하면 도 2b와 같이 밸브체(23)의 경사면(23a)이 밸브시트(19)의 테이퍼면(19b)에 밀착되어 취출공(19a)을 폐쇄하게 되므로 투사재(2)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는 투사재의 차단에 있어서 그 수명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
즉, 실린더를 이용하여 호퍼에서 내려오는 투사재를 직접 차단하는 방식은 처음 사용하는 얼마간은 매우 효율적으로 작동하나 얼마 지나지 않아 실린더 축 내부로 투사재가 침투되어 결국에 실린더가 파손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한, 투사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부품이 투사재에 의해 마모될 경우 마모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없어 부득이 분사 제어밸브의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되었으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타입의 분사 제어밸브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392396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조절 밸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로써, 밸브본체(110)와, 중간부재(120)와, 커버부재(130)와, 개폐부재(140)와, T-형 닛플(150)과, 유량게이지(210)와, 눈금플레이트(2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유량게이지(210)의 상단부가 커버부재(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에 대응하여 눈금플레이트(220)가 커버부재(130)의 외측면에 제공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본체(110)는 투사재 유입구(1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의 타측에 투사재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재 유입구(111)와 투사재 유출구(112)는 밸브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13)에 의해 연통되어 투사재 유입구(111)로 유입된 투사재가 투사재 유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113)는 수직유로(113a)와 수평유로(11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유로(113a)가 투사재 유입구(111)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수평유로(113b)가 투사재 유출구(11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유로(113a)의 상단부에 상기 개폐부재(130)의 하단부가 위치하여 투사재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10)의 하단에는 청소용 덮개(114)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청소용 덮개(114)는 상기 유로(113)와 밸브본체(110)의 저면(110a)을 연통하는 청소용 개구(115)를 개폐하도록 제공되어 필요시 상기 청소용 덮개(114)를 분리한 후, 청소용 개구(115)를 통해 밸브본체(1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재(120)는 그의 저면이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밸브본체(110)에 장착되며, 중간부재(120)와 밸브본체(11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중간부재(120)의 측면 소정위치에는 에어포트(121)가 구비되어 미도시된 외부기기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게 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그의 하단부가 상기 중간부재(120)의 상단부에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용이하고 견고한 끼움결합을 위해 통상의 열박음 방법을 용해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3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포트(12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131)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131)의 상단부에서 피스톤(131)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샤프트(132)가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 샤프트(132)를 회전시키도록 리미트 샤프트(132)의 상단부에 장착된 핸들(133)이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131)과 커버부재(130)의 사이에 제공되어 피스톤(131)을 밀어내는 스프링(134)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미트 샤프트(132)는 볼트와 같이 그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재(130)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133)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샤프트(132)의 위치를 이동시켜 피스톤(131)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120)와 커버부재(130)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부재(120)의 상면(120a)과 커버부재(130)의 저면(130a)의 사이에는 오링(O-ring)(160)이 제공되어 에어포트(12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40)는 그의 상단부가 상기 피스톤(131)에 연결되어 피스톤(131)과 연동하여 이동하며, 하강 시 그의 하단부가 상기 수직유로(113a)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유로(1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이동 샤프트(141)와 콘부재(142) 및 실부재(14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샤프트(141)은 그의 상단부가 피스톤(131)에 연결됨과 더불어 그의 하단부가 중간부재(120) 및 밸브본체(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밸브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콘부재(142)는 역삼각형형상으로 상기 이동 샤프트(14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실부재(143)는 상기 콘부재(14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이동샤프트(141)가 하강할 경우, 수직유로(113a)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투사재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T-형 닛플(150)은 투사재 유입유로(151)와 투사재 유출유로(152) 및 공기 유입유로(153)가 구비되며, 상기 투사재 유입유로(151)가 상기 밸브본체(110)의 투사재 유출구(112)와 연통되도록 밸브본체(110)에 장착되어 투사재와 고압의 공기를 혼합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유량게이지(210)는 그의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31)에 체결 고정되며, 그의 상단부가 피스톤(13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재(1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눈금플레이트(220)는 상기 유량게이지(210)의 상부 끝단의 위치에 따라 투사재의 유량을 수치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눈금(221)들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130)의 외측면에 제공된다.
즉, 상기 눈금플레이트(220)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그의 표면상에 다수개의 눈금(221)들이 상기 유량게이지(21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눈금(221)들은 유량게이지(210)의 이동범위, 즉 상기 유량게이지(210)가 하사점에 위치하였을 때와 유량게이지(210)가 상사점에 위치되었을 때 유량게이지(210) 상부 끝단(211)이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유량게이지(210)의 위치에 따라 투사재 유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에어포트(121)를 통한 고압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즉 브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31)이 하사점에 위치하면 상기 피스톤(131)에 연결된 개폐부재(140)의 하단부가 수직유로(113a)를 폐쇄하여 투사재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포트(121)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131)은 스프링(134)을 압축하며 상승하게 되고, 이때 피스톤(131)은 상기 리미트 샤프트(132)의 하단부에 접촉이 이루어져 구속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131)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유량게이지(210)와 개폐부재(140)도 연동하여 이동됨으로써, 폐쇄된 유로(113)를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유량게이지(210)는 유로(113)의 개방 정도에 따라 투사재의 배출유량을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131)의 상향 이동에 의해 개폐부재(140)는 상승하게 되고, 개폐부재(140)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수직유로(113a)를 폐쇄하고 있던 실부재(142)가 상승하여 유로(113)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131)의 상단부에 연결된 유량게이지(210)는 상기 피스톤(131)의 상승거리, 즉 개폐부재(140)의 상승거리 만큼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유량게이지(210)의 상부 끝단이 가리키는 눈금(221)의 수치의 읽음으로서 밸브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투사재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133)의 회전시켜 리미트 샤프트(132)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공기압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131)의 정지 위치도 변화되고, 이때 피스톤(131)의 위치 변화와 함께 그 위치가 이동된 유량게이지(210)의 상부 끝단이 가리키는 눈금(221)의 수치를 읽음으로서 변화된 투사재의 공급유량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사 제어밸브는 피스톤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유량게이지가 구비되고, 이 유량게이지의 위치에 따라 투사재의 공급유량을 나타내는 다수의 눈금들이 형성된 눈금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작업자는 분사 제어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투사재의 정확한 유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브라스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투사재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부딪혀 마모가 쉽게 일어나는 밸브 본체 및 T형 나플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이 마모될 경우 이들 부품의 전체를 교체하여야 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전체 부품의 교체에 따라 작업이 지연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분사 제어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투사재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부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부품의 마모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사재를 분사하거나, 양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투사재 유입구 및 투사재 유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고정되며 에어포트를 갖는 보조 바디와, 상기 보조 바디에 고정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핸들과, 상기 메인 바디의 투사재 유출구에 결합되어 공기압에 의해 투사재를 피가공물 측으로 공급하는 T형 니플로 구성된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투사재 유입구와 통하는 통로를 갖는 슬리브를 고정하고 상기 T형 니플을 메인 바디와 나사 결합되는 고압 니플 및 교체가 가능한 파이프 니플로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분사 제어밸브는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투사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부품이 내구성을 가지므로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투사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마모가 일어나는 부품이 교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분사 제어밸브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셋째, 분사 제어밸브의 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률 감소 및 쇼트 브라스트 장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넷째, 실시간으로 작업자가 투사재의 분사 양을 조절 할 수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제품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도 2a는 밸브체가 투사재 이동경로를 개방한 상태도
도 2b는 밸브체가 투사재 이동경로를 폐쇄한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분사 제어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사 제어밸브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결합상태도로써,
도 6a는 투사재 이동경로가 개방된 상태도
도 6b는 투사재 이동경로가 폐쇄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사 제어밸브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결합상태도로써, 본 발명은 메인 바디(30)에 투사재 유입구(31) 및 투사재 유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사재 유입구(31)에는 호퍼(34)의 배출구와 고정되는 니플(33)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바디(30)에 투사재 유입구(31)와 통하는 통로(41)를 갖는 슬리브(40)가 고정되어 있으며 슬리브의 일단에는 초경재질의 오리피스(65)가 위치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호퍼(34) 내에 있던 투사재(35)가 투사재 유입구(31) 및 통로(41)를 통해 빠른 속도로 슬리브(40)에 부딪혀 슬리브(40)와 오리피스(65)가 마모되더라도 메인 바디(30)로부터 슬리브(40)와 오리피스(65)를 교체하면 되므로 메인 바디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30)의 일 측(도면 상 우측)에 에어포트(51)를 갖는 보조 바디(5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바디(50)의 일 측으로는 실린더 바디(6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바디(60)의 내부에는 스프링(61)으로 탄력 설치되는 피스톤(62)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62)에 너트(65)로 고정된 피스톤 로드(63)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바디(60)에는 피스톤(6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핸들(70)이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바디(30)의 투사재 유출구(32)에는 공기압에 의해 투사재를 피가공물 측으로 공급하는 T형 니플(8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T형 니플(80)을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이던 종래와는 달리 메인 바디(30)와 나사 결합되는 고압 니플(81) 및 교체가 가능한 파이프 니플(82)로 분할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이는, 콤프레셔 공기압력에 의해 투사재가 파이프 니플(82)의 내부를 빠른 속도로 이동함에 따라 파이프 니플(82)이 마모되더라도 T형 니플을 전체적으로 교체하던 종래와는 달리 파이프 니플(82)만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부재(64)를 내구성이 우수한 우레탄재질을 적용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오리피스(65)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초경 재질을 적용하여 수명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2)은 에어포트(51)에 결합되는 원터치 피팅이고, (91)(90)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 및 리테이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포트(51)에 결합된 원터치 피팅(52)을 통해 콤프레셔의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피스톤(62)이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 상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이므로 도 6a와 같이 개폐부재(64)가 투사재의 이동통로를 폐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실린더 바디(60)에 나사 결합된 핸들(70)은 공급하고자 하는 투사재(35)의 양에 따라 적절한 상태로 조절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가공물 측으로 투사재(35)를 투사하기 위해 에어포트(51)로 콤프레셔의 공기압을 작용시키면 작용된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62)이 핸들(70)의 끝단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62)과 피스톤 로드(63)로 고정되어 투사재 이동통로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부재(64)가 투사재 이동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사재 이동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화살표방향을 따라 공급되면 호퍼(34) 내의 투사재(35)가 투사재 유입구(31)를 통해 메인 바디(30)의 내부로 빠르게 공급되는데, 이 때 메인 바디(30)의 내부로 이동되는 투사재는 투사재 유입구(31) 및 슬리브(40)에 형성된 통로(41)를 통해 유입되어 슬리브(40)와 오리피스(65)의 내주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재의 유입에 따른 메인 바디(30)의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 후, 메인 바디(30)의 내부로 유입된 투사재(35)는 이동통로를 따라 투사재 유출구(32)로 빠져 나와 고압 니플(81)을 통해 파이프 니플(82)로 유입되는데, 이 때 파이프 니플(82)의 내부에는 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빠르게 통과하고 있으므로 투사재(35)가 빠르게 피가공물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시 파이프 니플(82)이 투사재에 의해 마모가 일어나면 종래의 분사 제어밸브에서 T형 니플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파이프 니플(82)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신속한 재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30 : 메인 바디 31 : 투사재 유입구
32 : 투사재 유출구 40 : 슬리브
41 : 통로 50 : 보조 바디
51 : 에어포트 60 : 실린더 바디
61 : 스프링 62 : 피스톤
63 : 피스톤 로드 64 : 개폐부재
65 : 오리피스 70 : 핸들

Claims (3)

  1. 투사재 유입구(31) 및 투사재 유출구(32)를 갖는 메인 바디(30)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에 고정되며 에어포트(51)를 갖는 보조 바디(50)와, 상기 보조 바디에 고정되는 실린더 바디(60)와, 상기 실린더 바디(60)에 스프링(61)으로 탄력 설치되는 피스톤(62)과,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피스톤 로드(63)에 고정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4)와, 상기 실린더 바디(60)에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6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핸들(70)과, 상기 메인 바디(30)의 투사재 유출구(32)에 결합되어 공기압에 의해 투사재를 피가공물 측으로 공급하는 T형 니플(80)로 구성된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30)에 투사재 유입구(31)와 통하는 통로(41)를 갖는 슬리브(40) 및 오리피스(65)를 고정하고 상기 T형 니플(80)을 메인 바디(30)와 나사 결합되는 고압 니플 (81) 및 교체가 가능한 파이프 니플(82)로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4)가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65)가 초경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KR1020120037465A 2012-04-10 2012-04-10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KR10134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65A KR101346544B1 (ko) 2012-04-10 2012-04-10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65A KR101346544B1 (ko) 2012-04-10 2012-04-10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78A KR20130114978A (ko) 2013-10-21
KR101346544B1 true KR101346544B1 (ko) 2013-12-31

Family

ID=4963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465A KR101346544B1 (ko) 2012-04-10 2012-04-10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331A (ko) 2015-05-13 2015-06-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압식 블라스팅 장치용 미디어 분사제어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9455B (zh) * 2021-05-27 2022-07-12 上海恩耀机电有限公司 压铸件的加工工艺及其切割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55Y1 (ko) * 2003-10-29 2004-01-24 김용대 쇼트에어블라스트용 에어밸브
KR200392396Y1 (ko) * 2005-05-16 2005-08-17 김용대 유량게이지가 구비된 그리트 조절 밸브장치
KR20050099921A (ko) * 2004-04-12 2005-10-17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KR20080081260A (ko) * 2005-11-03 2008-09-09 파인컷 악티에볼라그 커팅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55Y1 (ko) * 2003-10-29 2004-01-24 김용대 쇼트에어블라스트용 에어밸브
KR20050099921A (ko) * 2004-04-12 2005-10-17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KR200392396Y1 (ko) * 2005-05-16 2005-08-17 김용대 유량게이지가 구비된 그리트 조절 밸브장치
KR20080081260A (ko) * 2005-11-03 2008-09-09 파인컷 악티에볼라그 커팅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331A (ko) 2015-05-13 2015-06-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압식 블라스팅 장치용 미디어 분사제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78A (ko) 201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44B1 (ko)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TWI551780B (zh) 用於一往復式氣動馬達之端帽總成、往復式氣動馬達及自一往復式氣動馬達中之ㄧ閥桿移除污染物之方法
CA3058494C (en) Water-abrasive-suspension cutting system and method for water-abrasive-suspension cutting
MY168640A (en) Liquid material discharge mechanism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CN105666344A (zh) 喷砂机及其供砂系统和流量控制阀
JP2014176908A (ja) 湿式ブラスト用噴射ガン
CN110524437B (zh) 一种液固前混合腔的喷射装置
KR200392396Y1 (ko) 유량게이지가 구비된 그리트 조절 밸브장치
JP6700956B2 (ja) 往復動ポンプ
CN205253408U (zh) 喷嘴套装和喷枪
CN104858745B (zh) 一种应用于阀面的研磨装置及其研磨方法
CN105937627A (zh) 双阶挤注机的液控单向连接器
RU2367678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резак
CN107178623A (zh) 喷砂机及其供砂系统和流量控制阀
CN202162709U (zh) 一种新型喷丸喷嘴
KR101214425B1 (ko) 고압 슬러리 분사용 밸브
CN105065238B (zh) 具有翻盖式护膜板的液压隔膜往复泵
CN201329549Y (zh) 连续作业喷砂机
CN109333375A (zh) 一种前磨料混合水射流喷丸设备
CN204725275U (zh) 一种应用于阀面的研磨装置
KR200354546Y1 (ko)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KR20050099921A (ko) 직압식 쇼트 브라스트의 투사재 분사 제어밸브
CN210397051U (zh) 一种微晶耐磨砖生产用气动隔膜泵
CN214289099U (zh) 定量胶枪
WO2018161442A1 (zh) 一种用于液体加工的柱塞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