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139B1 -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139B1
KR101346139B1 KR1020130071146A KR20130071146A KR101346139B1 KR 101346139 B1 KR101346139 B1 KR 101346139B1 KR 1020130071146 A KR1020130071146 A KR 1020130071146A KR 20130071146 A KR20130071146 A KR 20130071146A KR 101346139 B1 KR101346139 B1 KR 10134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allium
vegetable
salt solution
gar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배송환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주)새롬바이오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롬바이오,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새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3007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알리움속 채소의 숙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숙성 시간이 짧으면서도 유효 성분이 증가된 숙성 채소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IMPROVED PREPARATOIN METHOD OF BLACK GARLIC AND BLACK ONION USING SUPERSATURATED SALT SOLUTION AND COMPOSION FOR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USING THEM}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웰빙이 우리 사회의 주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음에 따라 블랙 푸드 (black food)는 웰빙의 상징으로 부각되었다. 블랙푸드는 항산화 활성, 항암, 항궤양, 항염증, 혈행개선, 지질대서 대선 등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입증되고 있어 기능성 식픔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블랙푸드라고 해서 모두 비슷한 효능과 기능성 성분을 가진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마늘과 양파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를 최소화하면서도 마늘과 양파 고유의 기능성을 최대로 효과적인 가공 방법 및 가공된 마늘, 양파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10-2012-0136898호에는 흑마늘 양갱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10-2012-012573호에는 흑마늘 제조 장치 및 흑마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흑마늘과 흑양파는 가공공정에 있어서 항온 항습장치의 고가의 시설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의할 때 숙성에 1주 내지 2주가 소요되어, 많은 시간과 에너지 투입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숙성 공정상으로는 유효 성분 증가를 위한 숙성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흑마늘, 흑양파의 개선된 제조 방법을 연구하던 중,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 시 빠른 시간 내에 마늘, 양파를 흑마늘, 흑양파로 숙성시키면서도 유효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리움속 채소의 숙성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흑마늘 및 흑양파의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하여 알리움속 채소를 숙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알리움속 채소를 숙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흑마늘 발효물 및 흑양파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6의 생마늘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흡습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의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흡습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의 껍질을 불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흡습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의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2의 껍질을 불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6의 생마늘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1의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2의 껍질을 불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6의 생마늘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의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2의 껍질을 불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6의 생마늘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예 1의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갈변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예 2의 껍질을 불포함하는 생양파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갈변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6은 실시예 6의 생마늘 추출물의 숙성 시간에 따른 갈변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7은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추출물 및 발효물들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다.
도 18은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추출물 및 발효물들의 FRAP 분석에 의한 항산화능을 나타낸다.
도 19는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추출물 및 발효물들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도 20은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투여 시 비만 모델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도 21은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투여 시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도 22는 마늘 및 양파의 추출물, 흑마늘 및 흑마늘의 투여 시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 마우스의 혈청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및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채소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채소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도 1).
또한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과포화 염 용액
본 발명의 과포화 염 용액이란 염을 물에 과포화 상태로 용해시킨 용액을 가리킨다. 상기 염은 가식성 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NaCl), 포타슘 브로마이드(Potassium bromide)(KBr) 및 바륨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Barium chloride dehydrate)(BaCl2·2H2O)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듐 클로라이드이다.
알리움(Allium)속 채소
본 발명의 알리움속 채소는 S-알릴 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채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양파 또는 마늘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원물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원물을 원물보다 표면적이 넓은 상태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것이 흡습율이 높아져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분말화 또는 절단한 상태로 준비하여 이용한다. 이는 알리움속 채소의 분말화, 세절 등을 포함한다.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킴
본 발명은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염 용액에 의하여 절여지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알리움속 채소가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절여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게 되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인 숙성 채소의 제조와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과포화 염 용액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가 위치한 공간의 습도가 조절된다. 그러므로 상기 과포화 염 용액 및 알리움속 채소는 밀폐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된 공간은 항온기, 용기, 항온 조건 하 실내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과포화 염 용액이 알리움속 채소가 위치한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밀폐는 통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조건을 포함한다.
숙성
본 발명의 숙성은 50 내지 90 ℃ 및 상대습도 65 내지 95 %를 유지하면서 1시간 이상 98시간 미만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숙성은 60 ~ 95 ℃ 내에서 수행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숙성은 65 내지 95 %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8 %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수행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4 %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숙성은 1시간 이상 98시간 미만으로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 75 시간 미만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숙성 채소(흑마늘, 흑양파 등)의 제조 방법은 기존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빠른 시간 내에 항산화능 및 S-알릴 시스테인 함량 등이 증가한 숙성 채소를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숙성 단계를 1시간 이상 98시간 미만으로 수행하여도 충분히 숙성 채소를 제조할 수 있으며, 98 시간 이상 숙성시킨다고 하여 숙성 채소의 물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상기 숙성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의 S-알릴 시스테인 함량이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성 채소 내 S-알릴 시스테인 함량은 숙성 전 상기 알리움속 채소 내 S-알릴 시스테인 함량에 비하여 3.5배 이상 높다.
만약 상기 알리움속 채소가 마늘과 같이 S-에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채소라면, 상기 숙성에 의하여 채소 내 S-에틸 시스테인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성 채소 내 S-에틸 시스테인 함량은 숙성 전 상기 알리움속 채소 내 S-에틸 시스테인 함량에 비하여 200 배 이상 높다.
상기 숙성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의 갈변도 및 갈색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알리움속 채소가 마늘, 양파라면 이는 숙성되어 각각 흑마늘, 흑양파로 숙성 채소가 된다.
상기 숙성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에 의하여 알리움속 채소의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게 되며, FRAP 방법에 의한 항산화능 역시 증가하게 된다.
균의 접종 및 발효
본 발명은 알리움속 채소를 숙성시킨 숙성 채소 또는 숙성 채소의 추출물에 균을 접종, 배양하여 숙성 채소 또는 숙성 채소의 추출물을 발효시킨다.
상기 균은 국균 또는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국균은 황국균, 흑국균, 홍국균 등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홍국균이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에 의하여 제조된 알리움속 숙성 채소의 발효물은 상기 숙성 채소의 열수 추출물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하게 높다.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숙성 채소 발효물은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개선 및 치료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숙성 채소 발효물은 비만으로 인하여 증가한 혈중 ALT의 감소능, AST의 감소능,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능 또는 비만으로 인하여 감소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증가능을 갖는다.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숙성 채소 발효물은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개선 및 치료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숙성 채소 발효물은 지방간으로 인하여 간에 축적된 LDL/VLDL-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이 혈액으로 분비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숙성 채소 발효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숙성 채소, 숙성 채소 추출물 또는 숙성 채소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폴리페놀 함량
각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법 (Soong과 Barlow, 2004)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1 mg/mL 농도로 제조한 추출물 0.5 mL에 2N Folin-Ciocalteu reagent 0.25 mL을 가하여 혼합하고, 20% sodium carbonate (Na2CO3)1.25mL을 가하여 상온, 암소에서 40 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로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gallic acid equivalents(mg gallic acid / mg dry sample)로 표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각 시료의 항산화능은 DPPH (2,2-diphenyl-2-picryl htdrazyl)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을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DPPH를 에탄올에 녹여 0.1 mM DPPH 용액을 만든 후, 이 용액 1 mL에 0.1 mg/mL 농도로 제조한 시료용액을 각각 0.5 mL씩 가하여 즉시 5초간 vortex mixer로 혼합하였다. 이를 상온, 암소에서 40 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차이로 하기 식 1과 같이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와 같은 농도의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식 1>
소거 활성(%) = {1-[(O.D. 샘플 - O.D 대조군) / O.D. 블랭크]} x 100
FRAP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Stock solution으로 300 mM acetate buffer (pH 3.6), 40 mM HCl로 용해시킨 10 mM TPTZ(2,4,6-tripyridyl-s-triazine) 용액, 그리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20 mM FeCl·6H2O를 제조하여 사용직전에 이들을 10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37℃, 가온(warming)해준 뒤 FRAP 시약(working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희석한 추출물 100μL에 2,900 μL의 FRAP시약을 혼합하여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UV/VIS spectrophotometer로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갈변도 측정
각 시료들의 농도가 0.1%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수치가 높을수록 갈변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색도 측정
색차계 (CR300 Chroma Meter, Minolta Camera Co.,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Hunter L, a 및 b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L값은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L=0 (black)에서 L=100 (white)까지의 값을 가지며, a값은 색의 적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a=80 (greenness)에서 a=100 (redness), b값은 황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b=80 (blueness)에서 b=70 (yellowness)의 값을 나타낸다.
정량분석
정량분석은 추출물을 1% 용액으로 제조하고, HPLC (Agilent series 1200)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column은 5 μm particles, 4.6×150 mm Eclipse XDB- C18(Agilent)을 사용하였다. UV 210 nm (wavelength), injection volume 5 mL로 적용하였고, 이동상의 유속은 1 mL/min, 조성은 5에서 100 vol.%로 일직선으로 증가되도록 하여 3분 동안 현상태를 유지하고 최종적으로 처음상태로 돌아가 2분을 유지시켰다. 모든 크로마토그래피 진행은 실온에서 실행하였다. 메탄올과 증류수는 HPLC grade를 사용하였고, 표준품 S-알릴-L-시스테인(S-allyl-L-cysteine)(SAC), S-에틸 시스테인 (S-ethyl cysteine) (SEC), S-메틸 시스테인 (S-methyl cysteine) (SMC), 알린(Alliin)은 Sigma사 제품을 이용하였으며, 0~1000 ppm의 농도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모델 동물
체중범위 11 ~ 18g의 실험 동물 (C57BL/6J) 109마리를 검수 및 순화 과정을 거친 후 비만 모델과 비알코올성 모델을 확립하였다
비만 모델은 마우스들에게 고지방 사료(45% fat)를 8주간 자유급식하여 확립하였다. 상기 고지방 사료는 Diet Induced Obesity (DIO)(제조사: Research Diet Inc. (미국), 제품번호 D12451)이었다.
한편,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은 마우스들에게 L-메티오닌(methionine)과 콜린(choline)이 없는 MCD 사료(Methionine & Choline Deficient diet)를 4주간 자유급식하여 확립하였다. 상기 MCD 사료는 MCD (Methionine & Choline Deficient diet)( 제조사 : Dyests Inc. (미국), 제품번호 : 518810)로, “Choline Deficient and Iron Supplemented L-Amino Acid Defined diet without L-Methionine”이었다.
<실험예 1> 양파 및 마늘 분말의 숙성
식용 가능한 Sodium chloride (NaCl), Potassium bromide (KBr) 및 Barium chloride dehydrate (BaCl2·2H2O)의 세 가지 염을 이용하여 과포화 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세 가지 염 용액들을 일정한 크기의 밀폐용기 (155×155×87 mm)에 350 mL을 넣고, 뚜껑을 닫아 온도 80 ℃인 항온기에서 상대습도 (75%, 84% 및 90%)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염 용액들이 담긴 위로 다공성 플레이트(일종의 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플레이트 위에 시료들을 바이알(vial)에 넣어 올려두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염 용액들과 접촉하지 않으며 어느 정도 공간을 두고 위치하였다. 최적 숙성 공정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지름 1.5 cm의 동일한 바이알에 양파와 마늘 분말 시료를 각각 0.7 g씩 넣었다. 이 시료는 포화 염용액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대습도로 조절된 밀폐용기에 보관하며 0, 1, 2, 3, 6, 9, 12, 24, 48, 72 시간 별로 숙성 시키면서 흑마늘 및 흑양파 분말들로 제조하였다. 이 때,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한 시간을 이용하여 최적 숙성 공정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초기 수분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과 양파 분말을 일정한 온도 80 ℃에서 상대습도에 따라 숙성시키는 동안의 수분 흡습량을 살펴보면, 상대습도 90%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숙성 시작 9시간 이후에는 수분의 흡습량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내지 4). 따라서, 안정적인 숙성 공정을 위해 9시간 이상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 내지 9>
실시예 1 : 껍질을 포함한 양파 추출물
불순물을 제거한, 껍질을 포함하는 생양파를 슬라이스 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을 실험예 2에서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양파 추출물의 상기 동결 건조한 분말에 시료 중량에 대하여 5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여, 실험예 3 내지 5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껍질을 미포함한 앙파 추출물
불순물과 껍질을 제거한 생양파를 슬라이스 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상기 분말을 실험예 2에서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양파 추출물의 상기 동결 건조한 분말에 시료 중량에 대하여 5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여, 실험예 3 내지 5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흑양파 추출물
상기 실험예 1에서 수득한 숙성이 완료된 흑양파 분말을 비이커에 넣고 흑양파 중량에 대하여 2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기에서 열수추출 하였다. 열수 추출 후, 추출물을 냉각시키고 원심분리하여 (10,000 rpm, 15 min) 상징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징액은 여과하여 (Watman No.4) 흑양파 추출물 시료로 사용하였다(실시예 3). 한편, 흑양파 추출물의 일부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4 : 흑양파 유산균 발효물
상기 실시예 3의 흑양파 추출물에 유산균 (Lactobacillus brevis)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흑양파 추출물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이을 제균하고,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흑양파 유산균 발효물로서 사용하였다(실시예 4).
실시예 5 :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상기 실시예 3의 흑양파 추출물에 홍국균(Monascus pilosus)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흑양파 추출물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이을 제균하고,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로서 사용하였다(실시예 5).
실시예 6 : 마늘 추출물
불순물과 뿌리를 제거한 마늘을 슬라이스 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을 실험예 2에서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마늘 추출물의 상기 동결 건조한 분말에 시료 중량에 대하여 5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여, 실험예 3 내지 5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7 : 흑마늘 추출물
상기 실험예 1에서 수득한 숙성이 완료된 흑마늘 분말에 5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블랜딩 한 후 70 ℃에서 30분 동안 교반기에서 열수추출 하였다. 열수추출 후, 냉각시키고 원심분리하여 (10,000 rpm, 15 min) 상징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징액은 여과하여 (Watman No.4) 마늘 추출물 시료로 사용하였다(실시예 7). 마늘 추출물 시료의 일부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8 : 흑마늘 유산균 발효물
상기 실시예 7의 흑마늘 분말로부터 추출한 열수 추출물에 유산균 (Lactobacillus brevis)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이을 제균하고,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흑마늘 유산균 발효물로서 사용하였다(실시예 8).
실시예 9 : 흑마늘 홍국균 발효물
상기 실시예 7의 흑마늘 분말로부터 추출한 열수 추출물에 홍국균(Monascus pilosus)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된 후 이을 제균하고,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흑마늘 홍국균 발효물로서 사용하였다(실시예 9).
<실험예 2> 상대 습도 및 숙성 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
생양파 추출물들(실시예 1 및 2) 및 생마늘 추출물(실시예 6)에 대하여 상대 습도 및 숙성 시간에 따른 숙성 정도를 시험하였다.
<2-1>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습도와 관계없이 숙성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정한 숙성시간 (48시간) 이후에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량이 크지 않았고, 숙성 초기로부터 숙성 시작 후 48시간 동안에 매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습도 별로 살펴봤을 때, 90% 상대 습도로 숙성하는 경우 가장 낮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고, 상대적으로 상대습도 75%와 84%는 90% 상대습도 조건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비교적 높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숙성시킨 양파와 마늘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시료 종류에 상관없이 75% 상대습도에서 숙성 시키는 것이 시간 경과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의 증가치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5 내지 7).
<2-2> 항산화 활성
FRAP 시험에 의하여 상대 습도 및 숙성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숙성시킨 양파(실시예 1 및 2)와 마늘 분말(실시예 6)은 숙성 시간에 따라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고, 상대습도가 75%인 조건에서 가장 놓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90%인 상대 습도에서는 비교적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숙성 시간에 따라, 껍질을 포함한 양파 분말(실시예 1)과 껍질을 포함하지 않은 양파 분말(실시예 2)의 항산화력을 비교해 보면, 숙성시간에 따른 전체적인 항산화력 경향은 동일하지만 겉껍질을 미포함한 경우가 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도 8 내지 10). 이는 양파 성분 자체의 항산화력의 차이보다는 숙성되는 과정 중 일어나는 마이얄 반응의 정도 차이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2-3> DPPH 라디칼 소거능
상대습도 및 숙성 시간에 따라, 마늘과 양파 분말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시험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숙성 시간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늘 분말의 경우는 숙성 시간과 상대습도에 라디칼 소거능을 살펴봤을 때, 숙성 시작 후 24시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48시간과 72시간의 결과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마늘 분말의 경우 24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것이 라디칼 소거 기능을 최대로 볼 수 있는 시점이라고 판단되었다.
양파 분말의 경우는 숙성 조건 중 상대 습도에 관계없이 시간 경과에 따라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숙성 48시간 이후에는 그 기능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양파는 숙성을 통해 최대의 기능성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48시간 이상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마늘과 양파 분말의 시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상대습도 75%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11 내지 13).
<2-4> 유효성분
마늘과 양파 분말의 숙성 시간과 상대습도에 따른 유효 성분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75% 및 84%의 상대습도에서 숙성시키는 동안 마늘과 양파 분말에서 SAC (S-ally cystein) 및 SEC (S-ethyl cystein)과 같은 황화합물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늘 분말(실시예 6)의 경우 SEC 함량이 초기 함량(5.66μg/g)에 비하여 48시간 숙성 후에 무려 1260μg/g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표 1). 이러한 수용성 유황화합물은 경구 섭취에 의하여 대부분이 혈액으로 흡수되며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및 간보호부터 아울러 전립선암, 대장암을 포함한 피부암, 폐암, 림프종, 백혈병, 림프암 등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종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양파 분말(실시예 1 및 2)의 경우 상대습도와 숙성 시간에 따라 SAC (S-ally cystein)의 함량이 7배 이상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표 2). SAC는 숙성시킨 흑양파에서만 볼 수 있는 유용성분으로 다양한 건강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숙성을 통해 그 유용 성분의 함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양파나 마늘 특유의 냄새나 자극성을 감소시키면서 그 고유의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결과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시험결과들을 토대로 봤을 때, 상대습도 75% 또는 84%에서 48시간 이상 마늘과 양파를 숙성시키는 것이 유용 성분의 기능성을 얻을 수 있는 적합한 공정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1
실시예 6의 마늘 분말의 숙성 조건에 따른 유효성분 변화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2
실시예 1 및 2의 양파 분말의 숙성 조건에 따른 유효성분 변화
<2-5> 갈변도 및 색도
생마늘, 생양파가 갈변되면서 흑마늘, 흑양파로 불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대습도 및 숙성 시간에 따른 마늘 분말 및 양파 분말의 갈변도 및 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2-1> 내지 <2-3>의 결과들은 갈변도 및 색도 변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2-2>에서는 상대습도 75%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갈변도 및 갈색도 역시 상대습도 75%에서 48시간 이상 숙성시킨 양파와 마늘 분말 시료들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숙성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변화 중, 갈색 색소의 생성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도 14 내지 16, 표 3).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3
<실험예 3> 숙성 및 발효에 따른 항산화 활성
마늘과 양파의 숙성 및 발효 과정이 마늘과 양파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마늘 및 양파의 숙성 및 발효 공정이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숙성시킨 시료들의 항목별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숙성 후 발효 공정을 더 진행한 경우 그 증가폭은 더욱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마늘의 경우, 숙성 공정만을 거친 마늘(실시예 7)은 숙성을 하지 않은 마늘(실시예 6)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2.5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숙성 후 발효 공정을 더한 경우(실시예 8 및 9)에는 어떤 공정 처리도 거치지 않은 마늘(실시예 6)에 비하여 무려 4배 이상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숙성 후 발효시킬 때에 어떤 발효종을 이용했느냐의 차이 또한 명확히 나타났다. 즉,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실시예 8)에는 숙성 공정만을 거친 마늘 시료의 폴리페놀 함량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홍국균을 이용한 경우(실시예 9)에는 크게 증가폭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양파 시료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양파는 껍질의 포함 여부보다는 숙성 공정의 유무 또는 슥성 후 발효 유무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를 숙성시킨 후 홍국균으로 발효시킨 시료(실시예 5)는 숙성이나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는 양파(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무려 8배 이상 총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양파와 마늘과 같이 황 화합물의 함유량이 높은 식품 시료는 숙성 후 발효에 있어서 홍국균이 그 기능성 유용 성분의 제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숙성과 발효 공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수용성 황화합물의 함량이 정량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도 17 내지 19), (표 4).
상기 결과들로 볼 때, 포화 염용액을 이용하여 생양파 및 생마늘을 숙성 하는 것은 기존의 흑마늘 및 흑양파 제조 공정에 비하여, 숙성 시간을 매우 단축시키며, 그 비용 절감에도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숙성에 따른 효과를 볼 때, NaCl 포화 염용액을 이용하여 75%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숙성 및 발효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
실시예 1 내지 9의 추출물 및 발효물에 대하여 유효 성분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숙성 및 발효에 따라 유효 성분이 증가하며, 특히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실시예 5) 및 흑마늘 홍국균 발효물(실시예 9)의 경우 그 증가 폭이 현저히 큰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4
S-메틸-시스테인 (SMC), S-에틸-시스테인 (SEC), S-알릴-L-시스테인(S-allyl-L-cysteine)(SAC)
<실험예 5> 간 기능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 사료로 유도된 비만 모델 마우스 및 MCD 사료로 유도된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 마우스에서 숙성 및 발효 공정을 거친 마늘과 양파의 간 기능 또는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5-1> 정상 마우스 및 비만 또는 지방간 모델 마우스의 Quality Control
정상 대조군, 상기 비만 모델 마우스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모델 마우스의 혈청 내 ALT, AST,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5
OB-NC군: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 음성대조군(비만 시험군의 채혈 및 부검일 동일),
OB-A군: 고지방사료에 의한 비만을 유도한 비만 대조군,
HS-NC군: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 음성대조군(지방간 시험군의 채혈 및 부검일 동일),
HS-A군: MCD사료에 의한 비알콜성 지방간을 유도한 지방간 대조군,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5-2> 비만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시험
비만 모델 마우스는 군 분리일로부터 8주간 매일 1회,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 마우스는 4주간 1회 시료(실시예 1 내지 9의 추출물 및 발효물)를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이 때, 투여 용량은 1회당 500mg/kg, 투여액량은 5ml/kg을 투여하였다. 마우스들의 체중은 군 분리 후부터 시험 종료일까지 매주 3회씩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 시 모든 군(음성대조군, 비만 시험군, 지방간 시험군)의 개체들을 마취하고, 개복하여 심장채혈을 시행하였다.
채혈한 혈액샘플들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분석용 키트를 이용하여 지질 대사능(총 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와 간 기능(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ALT))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때, 시험계획서에는 HDL-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LDL-콜레스테롤을 계산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본 키트는 LDL/VLDL-콜레스테롤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HDL-콜레스테롤을 측정하지 않았다. 모든 군(음성 대조군, 비만 시험군, 지방간 시험군)의 개체에서 심장, 간,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비만 시험
그 결과, 비만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흑양파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3 내지 5)과 흑마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7 내지 9)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이 증가하였다(p<0.05). 생양파 추출물 투여군(실시예 1, 및 2)과 생마늘 투여군(실시예 6)은 체중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도 20).
한편, 간 기능 검사 결과, 음성대조군 대비 대부분의 시험군들(실시예 1, 2, 5 내지 8)의 ALT, AST 수치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경향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음성 대조군에 대비하여,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이 ALT와 AST를 각각 25.4%, 28.3% 감소시켜 고지방사료에 의해 증가한 비만 시험군의 간 기능 수치를 가장 많이 감소시켰다.
지질 대사능 검사 결과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군(실시예 1 내지 9)의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단, 생마늘 투여군(실시예 6)은 총 콜레스테롤이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장기 무게 측정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험군들(실시예 1 내지 9)의 심장,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간의 무게는 음성대조군에 대비할 때,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과 모든 마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들(실시예 6 내지 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표 6).
그러므로, 고지방 사료에 의한 비만 유도 모델 마우스에서는 시료들 중에서 흑양파 발효물(실시예 5)이 비만에 의해 증가된 간 수치를 감소시켜 간 기능 개선 효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6
비만 모델 마우스의 혈청 분석
비알코올성 지방간 시험
MCD 사료(Methionine & Choline Deficient diet)에 의한 비알콜성 지방간 유도 모델 마우스에서의 실험결과는 하기와 같다.
체중 측정 결과는 지방간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험군들(실시예 1 내지 9)의 체중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도 21).
간 기능 검사 결과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양파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ALT와 AST의 수치 변화가 크지 않았다. 한편, 마늘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대비하여, 생마늘 추출물 투여군(실시예 6)을 제외한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실시예 7), 흑마늘 유산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8), 흑마늘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9)에서 ALT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지질 대사능 검사 결과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험군들(실시예 1 내지 9)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중,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이 음성대조군 대비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45.3% 증가하여 가장 큰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LDL/VLDL-콜레스테롤 수치는 음성 대조군 대비 껍질 미포함 생양파 추출물 투여군(실시예 2), 흑양파 추출물 투여군(실시예 3),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그 외 시험군들(실시예 1, 4, 6 내지 9)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는 음성 대조군 대비 모든 시험군들(실시예 1 내지 9)에서 변화가 크지 않았다.
장기 무게 측정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험군들(실시예 1 내지 9)의 심장, 간,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다.
MCD 사료에 의해 비알콜성 지방간을 유도하게 되면, 간의 LDL/VLDL-콜레스테롤이 혈액으로 분비되지 못하고 간에 축적되게 되어 LDL/VLDL-콜레스테롤 수치가 간조직에는 높고, 혈액에는 낮게 된다. 상기 결과들은, 음성대조군 대비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의 LDL/VLDL-콜레스테롤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음성대조군 대비 45.3%가 증가하였다. 이는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이 간에 축적된 LDL/VLDL-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을 혈액으로 분비시킴으로서 혈청 내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지질 대사능에 대하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2, 표 7).
Figure 112013055216311-pat00007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시료들 중에서 흑양파 홍국균 발효물 투여군(실시예 5)이 고지방 사료에 의한 비만 유도 모델 마우스에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가장 높고, MCD 사료에 의한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도 지질 대사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18)

  1.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및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채소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포화 염 용액 및 알리움속 채소는 밀폐된 공간 내에 위치하여 숙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상대습도 65 내지 95 %를 유지하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S-알릴 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마늘 또는 양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의 S-알릴 시스테인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채소 내 S-알릴 시스테인 함량은 숙성 전 상기 알리움속 채소 내 S-알릴 시스테인 함량에 비하여 3.5배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움속 채소는 채소 원물을 분말화 또는 절단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포화염 용액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가 위치한 공간의 습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에 의하여 상기 알리움속 채소의 갈변도,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1시간 이상 98시간 미만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국균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채소 발효물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채소 발효물은 상기 숙성 채소의 열수 추출물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국균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국균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국균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과포화 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포화 염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알리움속 채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알리움속 채소를 50 내지 9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숙성 채소를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숙성 채소에 국균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30071146A 2013-06-20 2013-06-20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4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46A KR101346139B1 (ko) 2013-06-20 2013-06-20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46A KR101346139B1 (ko) 2013-06-20 2013-06-20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139B1 true KR101346139B1 (ko) 2013-12-31

Family

ID=4998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146A KR101346139B1 (ko) 2013-06-20 2013-06-20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94A1 (ko) * 2014-04-22 2015-10-29 천현수 마늘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마늘 발효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7B2 (ko) * 1986-08-15 1992-01-22
KR20090016528A (ko) * 2007-08-11 2009-02-16 김명선 참숯 발효 숙성실을 이용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
KR101201852B1 (ko) * 2010-05-14 2012-11-15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식물성유산균을 이용한 효모추출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발효흑마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505292A (ja) * 2009-09-23 2013-02-14 ファーマキ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アリル−l−システイ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胃腸疾患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17B2 (ko) * 1986-08-15 1992-01-22
KR20090016528A (ko) * 2007-08-11 2009-02-16 김명선 참숯 발효 숙성실을 이용한 숙성마늘의 제조방법
JP2013505292A (ja) * 2009-09-23 2013-02-14 ファーマキ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アリル−l−システイ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胃腸疾患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201852B1 (ko) * 2010-05-14 2012-11-15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식물성유산균을 이용한 효모추출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발효흑마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94A1 (ko) * 2014-04-22 2015-10-29 천현수 마늘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마늘 발효 조성물
CN106255421A (zh) * 2014-04-22 2016-12-21 千贤树 大蒜发酵组合物的制造方法及大蒜发酵组合物
CN106255421B (zh) * 2014-04-22 2019-12-20 千贤树 大蒜发酵组合物的制造方法及大蒜发酵组合物
US10517915B2 (en) 2014-04-22 2019-12-31 Hyun Soo CHUN Method for preparing garlic-fermented composition and garlic-fermented composition prepared by sam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1437B1 (en) Aging inhibitor
JP4358957B2 (ja) フリーラジカル又は活性酸素を消去もしくは低減する剤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Ryu et al. Antioxidant effect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black raspberry during fermentation protect against liver cirrhosis-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JP2006014730A (ja) 食品
KR10110593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김치의 제조방법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139B1 (ko) 과포화 염 용액을 이용한 흑마늘 및 흑양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질 대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7209193B2 (ja) 自然発がん予防剤
KR102396588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CN103461415B (zh) 一种泥螺面包及其加工方法
JP2007037525A (ja) 健康食品
KR102294278B1 (ko) 발효오디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85437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558134B1 (ko)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3905A (ko)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102331207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070009208A (ko) 항비만 기능성 백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5438B1 (ko) 발효오디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49705B1 (ko) 마늘분말 및 시금치 분말을 이용한 돼지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20110022485A (ko) 흑마늘과 상황균사체를 이용한 생리활성 강화 보쌈용 김치
KR102152022B1 (ko) 항산화능을 갖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