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47B1 -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447B1
KR101345447B1 KR1020070041229A KR20070041229A KR101345447B1 KR 101345447 B1 KR101345447 B1 KR 101345447B1 KR 1020070041229 A KR1020070041229 A KR 1020070041229A KR 20070041229 A KR20070041229 A KR 20070041229A KR 101345447 B1 KR101345447 B1 KR 10134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image
feature amount
se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924A (ko
Inventor
마사노리 마치무라
테츠지로 콘도
카즈타카 안도
야스노부 노데
미치마사 오바나
케이 히라이즈미
마사토 아카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0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하는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특징량 추출부(41)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그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한다.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한다. 특징량 추출부(41)는, 재생 위치의 화상으로부터 재생 위치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으로서 추출한다. 동기 검출부(42)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특징량과, 재생위치 특징량을 동기시킨다.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동기한 재생위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한다. 반영부(48)는,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위치의 화상에 대해 처리를 반영시킨다.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41229
화상 처리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한 실시예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특징량 추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화상 신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기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특징량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특징량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동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동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1회째의 편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통상 편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부분 편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7은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8은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록 미디어
13 : 화상 처리 장치
14 : 리모트 컨트롤러
41 : 특징량 추출부
42 : 동기 검출부
43 : 축적 블록
46 : 설정정보 결정부
47 : 지연부
48 : 반영부
61 :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
6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6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소정의 처리를 가한 화상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화상을 간단히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
종래,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 촬상된 화상을 편집하는데는,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시키면서, 각종의 처리를 가하는 조작을 실행하고, 처리 결과로 된 화상을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다는 리니어 편집이 주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리니어 편집인 경우,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가 COPY ONCE 일 때, 한번 VTR(Video Tape Recorder)에 기록한 것을 재생하고, 다시 편집한 영상에 관해서는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화상을 편집시키기 위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기억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3-202944호 공보
그러나, 리니어 편집인 경우, 화상과, 그 화상의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 코드를 동시에 통신함으로써 타임 코드에 맞추어서 편집할 수 있지만, 민생용의 VTR 등에서는 타임 코드는 VTR 내부에 있고, 타임 코드를 외부에 전하는 것은 사실상 할 수 없는 상태이고, 화상과, 화상을 편집시키기 위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동기 (同期)시킬 수 없기 때문에, 조작을 단지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정확하게 화상의 재생에 동기하면서, 화상에 처리를 가하여 표시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한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특징량 추출 수단에는, 상기 화상을 구성하는 소정 영역의 화소의 화소치(畵素値)의 가산치(加算値)를 특징량으로서 추출시킬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에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동기된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또한 마련하고, 상기 설정 수단에는,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가 다시 설정되어 기록되는 경우 ,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시킬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그 설정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를 상기 화상에 대해 반영시키고, 처리가 반영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반영 수단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고,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이 추출되고,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기록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소정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하는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실시예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예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예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특징량 추출부(41))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설정정보 결정부(46))과,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기록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을 구비한다.
상기 특징량 추출 수단에는, 상기 화상을 구성하는 소정 영역의 화소의 화소치의 가산치를 특징량으로서 추출시킬(예를 들면, 도 16의 스텝 S83의 처리)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에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동기 검출부(42))과, 상기 기록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동기된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을 또한 마련하고, 상기 설정 수단에는,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가 다시 설정되어 기록되는 경우 ,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시킬(예를 들면, 도 17의 스텝 S123의 처리) 수 있다.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그 설정정보에 의해 나 타나는 처리를 상기 화상에 대해 반영시키고, 처리가 반영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반영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반영부(48))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고(예를 들면, 도 16의 스텝 S83),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고(예를 들면, 도 17의 스텝 S123),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예를 들면, 도 17의 스텝 S124) 스텝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는,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처리를 시행하여 표시한다. 이때,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하여,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의 정보를 축적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미리 기록된 화상을 재생할 때, 이 축적된 처리 내용의 정보를 판독하여,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여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2)의 동작은, 크게 나누어 편집 모드와 재생 모드의 2개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편집 모드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2)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로부터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을 표시부(3) 에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사용자 등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으로의 처리로서, 예를 들면, 줌, 팬, 틸트 등이 지시되면, 화상 처리 장치(2)는,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설정정보에 대응시켜진 처리를 화상에 시행하여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2)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조작이력 격납부(4)에 축적시킨다.
다음에, 재생 모드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2)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로부터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을 판독함과 함께, 특징량을 추출한다. 이때, 화상 처리 장치(2)는, 조작이력 격납부(4)에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기록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록 미디어(1)로부터 판독한 화상의 특징량에 동기하여 판독함과 함께, 판독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고,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2)는,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한 처리 내용만을 축적하고, 처리 결과인 화상을 기록하는 일 없이, 처리 결과인 화상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로서, COPY ONCE 등의 복제 회수에 제한이 있는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해, 다양한 화상 처리를 가한다는 가공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 처리 장치(2)에 관해 상세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도 2의 화상 처리 장치(2)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 재생부(12)는, 도 1, 도 2의 기록 미디어(1)에 대응하는 기록 미디어(11)에 미리 소정의 형식으로 인코드된 상태로 기록된 화상을 디코드하고, 순차로 화상으로서 특징량 추출부(41) 및 지연부(47)에 공급한다.
특징량 추출부(41)는, 화상 재생부(12)로부터 순차로 공급되어 오는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하여, 동기 검출부(42), 및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에 공급한다. 그리고, 특징량 추출부(41)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를 후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4)는, 키나 버튼 등으로 구성되고, 도 1,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에 대한 처리의 내용을 지시할 때 조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발생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패턴을 생성하고, 화상 처리 장치(13)의 수광부(44)에 발광한다.
수광부(44)는,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의 광을 그 발광 패턴에 의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고, 조작정보 인식부(45)에 공급한다.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에의 처리에 대응시켜져 있는 조작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인 조작 신호를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또한, 축적 블록(43)은,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때문에, 조작정보 인식부(45)에서, 축적 블록(43)의 온 또는 오프가 제어되는 조작 정보가 인식된 경우,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축적 블록(43)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반영부(48)에 대해 화상에의 처리 내용을 지시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결정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 및 반영부(48)에 공급한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화상에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복수의 설정항목으로 구성된다. 즉, 설정정보는, 예를 들면, 줌 배율을 나타내는 설정항목,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설정항목, 밝기를 나타내는 설정항목 등의 복수의 설정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밖에, 콘트라스트, 감마 보정, DRC(Digital Reality Creation) 팔레트값(해상도 설정치, 및 노이즈 설정치), 음량, 음성 전환(사용 언어의 전환) 등을 설정항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된 경우,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공급된 설정정보를 반영부(48)에 공급한다.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과,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설정정보를 대응시켜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도 1, 도 2의 조작이력 격납부(4)에 대응하는 것)에 축적시킨다.
동기 검출부(42)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후술하는 검색위치 특징량)중,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 재생 부(12)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화상의 특징량(후술하는 재생위치 특징량)을 검색하고, 동일한 특징량이 검출된 때, 화상의 동기 위치로서 검출 결과를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공급한다. 그리고, 동기 검출부(42)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를 후술한다.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 검출부(42)로부터 동기 위치로서 검출된 특징량(검색위치 특징량)을 취득하면,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하고,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지연부(47)는, 특징량 추출부(41), 동기 검출부(42), 축적 블록(43), 및 설정정보 결정부(46)의 처리에서의 지연 시간만큼,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반영부(48)에 출력한다. 반영부(48)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오는 경우, 지연부(47)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대한 처리를 반영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 또한, 반영부(48)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오지 않는 경우, 지연부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그대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특징량 추출부(41)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DFF(D형 플립플롭)(101)는, 직전의 입력 신호를 기억하고, 도시하지 않은 클록신호 발생기로부터의 클록신호(clk)가 입력되는 타이밍에서 가산기(102)에 출력한다. 또한, DFF(101)는, 입력 신호가 화상의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의 것일 때, 리셋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 신호가 소거되어 출력된다. 즉, 화상 신호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기 데이터 영역과 화상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중 수평 방향의 샘플과 수직 방향의 라인의 둥근표시의 원점(原點)인 프레임 시작점(S)부터 순차로 입력되어 오는 위치의 정보에 따라,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의 동기 데이터인 경우, 리셋 신호가 입력되어, 동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신호가 가산기(102)에 출력되지 않는다. 즉, DFF(101)는, 화상을 구성하는 입력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을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가산기(102)에 공급한다.
가산기(102)는, DFF(10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와, DFF(10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가산하여 DFF(103)에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산기(102)는, DFF(10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와, DFF(10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의 가산 결과중, 하위 8비트를 추출하여 DFF(103)에 공급한다.
DFF(103)는, 가산기(10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클록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클록신호(clk)가 입력되는 타이밍에서 가산기(102) 및 출력부(104)에 공급한다. 또한, DFF(103)는, 프레임 시작점(도면중의 수평 방향의 샘플과 수직 방향의 라인의 둥근표시의 원점)(S)의 신호가 입력될 때, 리셋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 신호가 소거되어 출력된다. 즉, DFF(103)는, 화상을 구성하는 입력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이 가산기(102)에 의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을 출력부(104)에 공급한다.
출력부(104)는, 1프레임(또는, 1필드)의 값이 DFF(103)로부터 공급되어 온 때, 그 값을 프레임(또는, 그 필드)분의 화상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즉, 출력 부(104)는,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이 가산기(102)에 의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의 하위 8비트를 그 프레임(또는, 그 필드)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특징량은, 화상을 1프레임 단위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화소치만)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의 하위 8비트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영역의 중앙 부근의 소정 영역 내의 화소치만의 가산 결과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동기 검출부(42)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특징량 버퍼(141-1) 내지 특징량 버퍼(141-3)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 및 후단의 특징량 버퍼(141-2), 특징량 버퍼(141-3)에 순차로 출력한다. 또한, 특징량 버퍼(141-3)는, 후단(後段)의 특징량 버퍼(14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에만 출력한다.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는, 특징량 버퍼(141-1) 내지 특징량 버퍼(141-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최신의 특징량을 포함한 과거 3프레임분의 특징량을 순차로 취득하고, 이것을 종합하여 재생위치 정보(재생위치 특징량)로서 생성하고, 비교부(143)에 출력한다. 즉,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는, 재생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징량으로서 최신의 프레임으로부터 3프레임 전까지의 합계 4개의 특징량을 사용하여, 재생위치 특징량을 생성한다.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을 연속하는 4개씩 순차로 판독하고, 검색위치 특징량으로서 비교부(143) 및 검출부(145)에 공급한다. 비교부(143)는,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재생위치 특징량과,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로부터 순차로 공급되어 오는 검색위치 특징량을 비교한다. 비교부(143)는,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검색위치 특징량을 검색한 경우, 동기가 검출되었다고 간주하고, 검출 결과로서 동기가 검출된 것을 검출부(145)에 통지한다. 검출부(145)는, 비교부(143)로부터 동기가 검출되었다고 간주된 타이밍에서,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로부터 공급되어 온 검색위치 특징량을 동기 검출 결과로서 출력한다.
다음에,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3의 화상 처리 장치(13)에 의한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축적 블록(43)은, 온의 상태로 제어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다.
스텝 S1에서, 지연부(47)는 새로운 화상이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새로운 화상이 공급되어 올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화상 재생부(12)가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지연부(47)가, 새로운 화상이 공급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2에서, 지연부(47)는, 공급되어 온 화상을 1프레임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해 기억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화상을 1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지만, 당연한 것이면서, 화상은 1프레임 단위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1필드 단위로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3에서, 특징량 추출부(41)는, 특징량 추출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재 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온 1프레임분의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즉, 지연부(47)가, 새로운 화상을 1프레임분 지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할 때, 마찬가지로, 1프레임분의 화상이 특징량 추출부(41)에도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이밍에서, 동일한 화상이, 한편으로는 지연을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또 한편으로는 특징량이 추출된다.
여기서, 도 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특징량 추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DFF(103)는, 프레임 시작점(S)(도 5)에 의해 리셋된다.
스텝 S22에서, 미처리의 화소가 선택되고, 스텝 S23에서,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로 1프레임분의 화상부터 미처리의 화소가 순차로 판독되고,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초의 화소(프레임 시작점(S)의 화소)인 경우, 동기 데이터에 포함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이므로, 스텝 S25에서, DFF(101)는 리셋되고, 0을 화소치로서 출력한다. 한편, 래스터 스캔 순서로 처리 대상이 되는 화소가 선택되고,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영역 내인 경우, 스텝 S24에서, DFF(101)는, 클록신호의 발생 타이밍에서 화소치를 가산기(102)에 공급한다.
스텝 S26에서, 가산기(102)는, 입력된 화소치와, DFF(10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가산하여 DFF(103)에 공급한다.
스텝 S27에서, DFF(103)는, 클록신호의 발생 타이밍에서 가산기(102)로부터 공급되어 온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를 가산기(102)로 되돌린다. 이때, DFF(103)는, 가산 결과를 출력부(104)에도 공급하지만, 출력부(104)는, 가산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
스텝 S28에서, 미처리의 화소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미처리의 화소가 있는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22로 되돌아온다. 즉, 1프레임분의 화소가 전부 처리될 때까지, 스텝 S22의 처리 내지 스텝 S28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1프레임분의 화소의 전부가 처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9에서, 출력부(104)는, DFF(10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가산 결과, 즉, 화상 데이터 영역에 속하는 화소치의 누적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를 1프레임의 화상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1프레임분의 화상 신호로부터 화상 데이터 영역의 모든 화소치의 누적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가, 그 프레임의 특징량으로서 추출되게 된다.
여기서, 도 7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4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의 처리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2배의 줌 처리를 지시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4)의 발광 패턴이 수광부(44)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부(44)로부터 수광한 발광 패턴에 의거한 신호가, 조작정보 인식부(45)에 공급됨에 의해,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하고, 그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 하여, 조작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로서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반영부(48)에 대한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결정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 및 반영부(48)에 공급한다. 즉, 지금의 경우, 2배의 줌 처리를 화상에 시행한 것이 지시되어 있기 때문에, 반영부(48)에 대해 2배의 줌 처리를 시행하는 지시를 내리기 위한 설정항목이 변경되도록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 및 반영부(48)에 공급된다.
스텝 S6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과 함께,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설정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으로써, 특징량과 설정정보를 축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C1)을 소정의 어드레스(A)에 기록시킨 경우, 그 m배의 어드레스, 즉, 어드레스 m×A에, 특징량(C1)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E1)를 기록시킨다. 또한, 도 9에서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내부에서의 특징량과 설정정보가 기록된 어드레스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마찬가지로 하여, 특징량(C2)을 어드레스(B)에 기록시킬 때, 대응하는 설정정보(E2)를 m×B에 기록시키고, 또한, 특징량(C3)을 어드레스(C)에 기록시킬 때, 대응하는 설정정보(E3)를 m×C에 기록시킨다. 이와 같이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기록시킴에 의해, 특징량이 정해지면, 특징량의 어드레스로부터 설정정보의 어드레스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징 량 설정정보 축적부(62) 내에서의 특징량마다의 설정정보의 검색을 스무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징량 및 설정정보는, 동일한 처리가 연속하여 지정되어 있는 기간에 대해 연속하여 기록된다. 즉, 예를 들면, 도 9에서의 특징량(C1) 내지 특징량(C3)은, 모두 1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하여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기간의 프레임 수의 특징량이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설정정보에 관해서도, 예를 들면, 도 9에서의 설정정보(E1) 내지 설정정보(E3)는, 특징량(C1) 내지 특징량(C3)에 대응시켜진 어드레스로부터, 어느것이나 1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하여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기간의 프레임 수의 설정정보가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스텝 S7에서, 반영부(48)는, 지연부(4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에 대해,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온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처리를 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내용에 따른 처리를 반영시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스텝 S8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동작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동작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즉,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화상에 대해 처리를 시행하는 지시가 계속 나오고 있는 한, 스텝 S1의 처리 내지 스텝 S8의 처리가 반복되어, 특징량과 함께,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처리 내용에 수반한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간다. 이 스텝 S1의 처리 내지 스텝 S8의 처리가 반복되는 동작 상태가,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편집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다.
한편, 스텝 S4에서,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9로 진행하고, 동기 검출부(42)는, 동기 검출 처리를 실행하여,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과,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대응시켜져 있는 특징량의 동기를 검출한다.
여기서,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동기 검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41에서, 동기 검출부(42)의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특징량이 공급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공급되어 올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스텝 S3의 특징량 추출 처리에 의해 특징량이 추출되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지금 현재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이 공급되어 온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는, 검색 위치의 특징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i)를 0으로 초기화한다.
스텝 S43에서,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취득함과 함께, 특징량 버퍼(141-1) 내지 특징량 버퍼(141-3)에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취득한다. 즉, 특징량 버퍼(141-1)는, 새롭게 특징량이 공급되어 오면,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 및 특징량 버퍼(141-2)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버퍼(141-2)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 및 특징량 버퍼(141-3)에 공급한다. 또한, 특징량 버퍼(141-3)는, 특징량 버 퍼(141-2)로부터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에 공급한다. 결과로서,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에는, 최신의 프레임의 특징량과, 특징량 버퍼(141-1) 내지 특징량 버퍼(141-3)에 각각 기억되어 있던 과거 3프레임분의 특징량이 공급되어 오게 된다. 그래서,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는, 재생중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4프레임분의 특징량을 재생위치 특징량으로서 비교부(143)에 공급한다.
스텝 S44에서,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의 최후의 위치로부터 i번째부터 연속한 4프레임의 특징량을 검색위치 특징량으로서 판독 비교부(143) 및 검출부(145)에 공급한다.
스텝 S45에서, 비교부(143)는, 재생위치 특징량 생성부(142)로부터 공급되어 온 재생중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과거 3프레임분의 합계 4개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재생위치 특징량과,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로부터 공급되어 온,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의 최후의 위치로부터 i번째부터 연속하는 4프레임의 특징량, 즉 최후의 위치부터 i번째 내지 (i-3)번째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검색위치 특징량을 비교한다.
스텝 S46에서, 비교부(143)는,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6에서, 예를 들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8에서,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에 관해, 재생위치 특징량과 비교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48에서, 모든 특징량과 비교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49에서,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는, 카운터(i)를 1 인크리먼트하고, 그 처리는, 스텝 S44로 되돌아온다. 즉, 이 처리에 의해 재생위치 특징량과, 검색위치 특징량이 일치하지 않고, 또한,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과 비교될 때까지, 스텝 S44 내지 S46, S48, S49의 처리가 반복되고, 순차로 1프레임 간격으로 어긋나면서, 연속한 4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검색위치 특징량과, 재생위치 특징량의 비교가 반복된다.
즉, 검색위치 특징량이란, 예를 들면, 도 11의 우상부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순차로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중, 지금의 경우, 연속하는 4개의 특징량의 덩어리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면중 세로로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의 매스는, 1프레임분의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고, 도면중, 좌단(左端)의 직사각형 형상의 매스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선두의 위치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면중, 우단의 직사각형 형상의 매스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최후의 위치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 즉, 최후에 축적된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사선부의 G1, G2는 동일한 연속하는 특징량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재생위치 특징량이란, 도 11의 우하부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재생중의 특징량을 포함한 연속하는 4프레임분의 특징량의 덩어리이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위치 특징량(G2)으로 나타나는 경우, 검색위치 특징량(G0)과 비교할 때,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동기 위치로서 는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과의 비교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카운터(i)가 1 인크리먼트되어, 검색위치 특징량(G0')과 재생위치 특징량(G2)이 비교된다. 이와 같이, 검색위치 특징량이 도면중의 왼쪽 방향으로 1프레임 간격으로 어긋나면서, 재생위치 특징량(G2)과의 비교가 반복된다.
스텝 S46에서, 예를 들면, 재생위치 특징량(G2)과 검색위치 특징량(G1)이 비교되는 경우, 검색위치 특징량(G1)이 재생위치 특징량(G2)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치하였다고 판정되고, 스텝 S47에서, 비교부(143)는, 일치한 것을 검출부(145)에 통지한다. 검출부(145)는, 이 통지에 의거하여, 지금 현재 검색위치 특징량 판독부(144)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검색위치 특징량의 선두 위치, 즉, 최후의 위치부터 i번째의 특징량을 동기 위치 정보로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공급한다.
한편, 스텝 S48에서, 축적되어 있는 모든 검색위치 특징량과의 비교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0에서, 검출부(145)는,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검색위치 특징량이 존재하지 않아, 동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과,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동기 검출부(42)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특징량만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과 비교함으로써 우연히 특징량이 일치하여 버려서, 틀린 위치에서 동기가 검출될 가능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레임의 특징량뿐만 아니라, 재생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과거 3프레임분의 4프레임에서 비교함에 의 해 정확하게 동기 검출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특징량을 사용함에 의해, 각 프레임 단위에서의 타임 코드 대신에 특징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타임 코드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프레임 단위에서의 동기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7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10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에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로 진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0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47의 처리에 의해 동기 위치 정보가 공급되어 온 경우,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처리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특징량은, 설정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처리에 의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의 유무가 판정된다.
스텝 S11에서, 예를 들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10에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설정정보 결정부(46)에 대해 설정정보를 공급하지 않는다. 이 처리에 의해, 설정정보 결정부(46)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의 공급이 없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반영부(48)에 대해 처리를 지정하는 설정정보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결과로서, 반영부(48)는, 지연부(47)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1프레임분의 화상을, 그대로의 상태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한편, 스텝 S11에서, 예를 들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3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동기 위치 정보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하고, 그 처리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즉, 지금의 경우, 설정정보 결정부(46)에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기 때문에,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의 설정정보가 반영부(48)에 공급되고, 그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지연부(47)에 축적되어 있던 1프레임분의 화상에 처리가 반영되고, 표시부(15)에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 S1 내지 S4, 스텝 S9 내지 S13, 및 스텝 S7, S8의 처리가,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미리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재생할 때, 재생되고 있는 화상에 시행하는 처리를 지시하면, 지시를 받은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정보가 축적된 다. 또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가 기록됨에 의해, 미리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재생할 때, 재생하고 있는 화상의 특징량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타임 코드와 같이 특징량을 사용함으로써,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과의 동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동기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에 의해, 재생하고 있는 화상에 처리가 반영된다.
결과로서, 타임 코드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축적된 설정정보에 의거한 편집 처리를 화상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록되는 것은 특징량과 설정정보뿐이고, 미리 기록되어 있는 화상이 일체 기록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COPY ONCE 등의 제한이 마련되어 있는 화상이라도, 편집 처리를 시행한 상태에서 반복하여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징량은, 이상에서는, 1프레임분의 화상 신호중의 화상 데이터 영역의 화소치의 적산치를 이용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그 이외의 특징량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움직임 벡터(vector)(모든 화면 움직임과 로컬 움직임), 특정한 파형(波形) 패턴이 얼마만큼 출현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축소화상에서의 화소치의 적산치, 화상의 특정 부분의 화소치의 적산치, 이들을 복수프레임분 이용한 값, 또는, 이들의 복수의 특징량의 조합 등이라도 좋다.
그런데, 사용자가 화상 처리 장치(13)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화상을 편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복수의 설정항목을 동시에 변경시키도록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상의 줌의 중심위치 및 줌 배율을 변화시키고 싶은 경우,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설정항목과, 줌 배율을 나타내는 설정항목은 서로 관련이 있는 설정항목이기 때문에, 그들의 설정항목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서로 관련이 있는 설정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브라이토네스, 및 색의 진함 등이 있다. 이들의 3개의 설정항목은 서로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설정항목이 조정되면, 그에 수반하여 다른 2개의 설정항목도 조정될 필요가 있고, 이른바 검은색 찌부러듬이나 횐색 들뜸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그들의 값이 조정된다.
그러나, 복수의 설정항목을 동시에 변화시키도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은, 사용자는 화상의 편집을 복수회 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상의 줌의 중심위치 및 줌 배율을 변화시키고 싶은 경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시각(時刻)에서 어느 한쪽만을 변화시키도록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한다.
그리고, 도면중, 종축은, 설정항목의 값, 즉 줌 배율 및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K11)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곡선(K12)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시각(t1)부터 시각(t2)까지의 기간에서, 줌 배율만이 변화하도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면, 설정항목으로서의 화상의 줌 배율은, 곡선(K11)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대해, 줌의 중심위 치는, 그 값이 변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곡선(K1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값, 즉 편집 전의 값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각(t2)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을 중단하고, 그 후 시각(t3)에서, 줌의 중심위치가 변화하도록 재차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면, 설정항목으로서의 화상의 줌의 중심위치는, 곡선(K1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대해, 줌 배율은, 시각(t2) 이후, 그 값이 변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곡선(K11)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각(t2)에서 최후에 지정된 값 그대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설정된,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 및 줌의 중심위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가 특징량과 대응시켜져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해 재생이 지시되면, 화상 처리 장치(1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재생한 화상에 그 설정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를 반영시킨다.
그리고, 화상의 재생중에,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다시 화상의 편집을 지시하면,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던 설정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기록된다.
또한, 도면중, 종축은, 줌 배율 및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K21)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곡선(K22)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되는 곡선(K11)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곡선(K12)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시각(t1)부터 시각(t21)까지의 기간에서, 곡선(K11) 및 곡선(K12)에 의해 도시되는 설정항목의 값에 의거하여 화상이 재생된 후, 시각(t21)에서, 줌 배율이 변화하도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면, 시각(t21) 이후, 설정항목으로서의 화상의 줌 배율은, 곡선(K21)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대해, 시각(t21) 이후, 화상의 편집, 즉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변경이 지시되어 있지만, 줌의 중심위치의 값은, 그 값이 변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각(t21)에서의 값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하도록 지시된 값인 것으로 되고, 곡선(K2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각(t21)에서의 값 그대로가 된다.
즉, 시각(t1)부터 시각(t21)까지의 기간에서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의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설정정보가 판독되어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되고, 반영부(48)에 의해,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의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설정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편집 내용이 화상에 반영되고, 편집된 화상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그리고, 시각(t21)에서, 줌 배율이 변화하도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 러(14)를 조작하면, 설정정보 결정부(46)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최후에 공급된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중, 줌 배율을 나타내는 설정항목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값으로 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설정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에 공급하여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시킨다. 이때,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중, 줌 배율을 나타내는 설정 항목 이외의 설정항목의 값은, 그 값을 유지하도록 지시되었다고 되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최후에 공급된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의 값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는, 시각(t21) 이후 그 값이 변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각(t21)에 있어서의 값이 되도록 조작되었다고 되어, 시각(t21) 이후는, 지금까지의 값으로부터 시각(t21)에서의 값으로 재기록되어 버린다. 즉, 재편집 후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1번째의 편집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화상의 편집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정항목만을 변화시키도록 설정정보의 설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집 모드에서, 도 13 및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그 값이 변화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설정항목이 재기록되도록 설정정보의 설정이 행하여지는 경우를 통상편집 모드라고 칭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정항목만을 변화시키도록 설정정보의 설정이 행하여지는 경우를 부분편집 모드라 고 칭한다.
도 14는 부분편집 모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서, 도 1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부분편집 모드에서는,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2)는, 예를 들면, DVD 등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로부터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을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사용자 등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에의 처리로서, 예를 들면, 줌, 팬, 틸트 등이 지시되면, 화상 처리 장치(2)는,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중,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설정정보를 설정함과 함께, 설정정보에 대응시켜진 처리를 화상에 시행하여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2)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조작이력 격납부(4)에 축적시킨다.
여기서, 도 14에서의 기록 미디어(1), 화상 처리 장치(2), 표시부(3), 및 조작이력 격납부(4)의 각각은, 도 3에서의 기록 미디어(11), 화상 처리 장치(13), 표시부(15), 및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화상 처리 장치(13)에서는,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함에 의해, 통상편집 모드 또는 부분편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통상편집 모드 또는 부분편집 모드를 선택하면, 수광부(44)는,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의 광을, 그 발광 패턴에 의거하여 리모트 컨 트롤러(14)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고,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 장치(13)의 각 부분이 통상편집 모드 또는 부분편집 모드의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통상편집 모드를 선택하면, 화상 처리 장치(13)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 및 줌의 중심위치가 변화하도록 편집된 화상의 재생중에,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부분편집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화상의 편집을 지시하면,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중, 사용자에서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기록된다.
또한, 도면중, 종축은, 줌 배율 및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K31)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곡선(K32)은,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되는 곡선(K11)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 배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곡선(K12)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시각(t1)부터 시각(t31)까지의 기간에서, 곡선(K11) 및 곡선(K12)에 의해 도시되는 설정항목의 값에 의거하여 화상이 재생된 후, 시각(t31)에서, 줌 배율이 변 화하도록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면, 시각(t31) 이후, 설정항목으로서의 화상의 줌 배율은, 곡선(K31)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대해, 줌의 중심위치는, 시각(t31) 이후, 그 값이 변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곡선(K3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으로서의 줌의 중심위치의 각 시각에서의 값 그대로가 된다.
즉, 부분편집 모드에서는, 화상이 이전에 편집된 일이 있는 경우, 화상의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설정항목중, 새롭게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지시된 설정항목의 값만이 변화하도록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지시되어 있지 않은 설정항목은, 이전 편집된 때에 설정된 값 그대로가 된다.
다음에, 도 1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부분편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장치(13)에 의한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81에서, 지연부(47)는 새로운 화상이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1에서, 새로운 화상이 공급되어 오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1로 되돌아오고, 새로운 화상이 공급되어 올 때까지, 판정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화상 재생부(12)가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여 지연부(47)에 공급하고, 새로운 화상이 공급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2로 진행하고, 지연부(47)는, 공급되어 온 화상을 1프레임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해 기억한다.
스텝 S83에서, 특징량 추출부(41)는, 특징량 추출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온 1프레임분의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즉, 지연부(47)가, 새로운 화상을 1프레임분 지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할 때, 마찬가지로, 1프레임분의 화상이 특징량 추출부(41)에도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이밍에서, 동일한 화상이, 한편으로는 지연을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또 한편으로는 특징량이 추출된다. 또한, 스텝 S83에서 행하여지는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량 추출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반복이 되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84에서, 동기 검출부(42)는, 동기 검출 처리를 실행하여,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과,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대응시켜져 있는 특징량의 동기를 검출한다. 또한, 스텝 S84에서 행하여지는 동기 검출 처리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검출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반복이 되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동기 검출 처리가 행하여지면, 스텝 S85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동기 검출부(42)로부터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동기 위치 정보가 공급되어 온 경우,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 에,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스텝 S85에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86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스텝 S87로 진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85에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86으로 진행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특징량은, 설정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처리에 의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의 유무가 판정된다.
스텝 S86에서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스텝 S85에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S87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는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표준치를 설정정보의 각 설정항목의 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표준치로 설정된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89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86에서,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88로 진행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 위치 정보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스텝 S87에서 표준치가 설정되거나, 또는 스텝 S88에서 설정정보가 판독되 면, 스텝 S89에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화상에 소정의 처리가 가하여지고, 특징량 및 설정정보가 기록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 즉 화상의 편집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록중 플래그를 기억하고 있다. 화상의 편집중인 경우, 기록중 플래그는 세워지고, 화상의 편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기록중 플래그는 내려간다.
스텝 S89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져 있다고 판정된 경우,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특징량과 설정정보가 대응시켜져서 기록되기 때문에, 처리는 스텝 S9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89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90으로 진행하고, 조작정보 인식부(45)는,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의 처리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2배의 줌 처리를 지시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4)의 발광 패턴이 수광부(44)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부(44)로부터 수광한 발광 패턴에 의거한 신호가, 조작정보 인식부(45)에 공급됨에 의해,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스텝 S90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에의 처리에 대응시켜져 있는 조작 정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그리고,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설정정보 결정부(46)에 조작 정보가 공급되면, 처리는 스텝 S91로 진행한다.
스텝 S91에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억하고 있는 기록중 플래그를 세우고, 처리는 스텝 S92로 진행한다.
스텝 S91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지거나, 또는 스텝 S89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우지고 있다고 판정되면, 스텝 S92에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록 처리를 행하고, 처리는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또한, 기록 처리의 상세는 후술하지만, 기록 처리에서, 화상 처리 장치(13)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에 따라, 그 조작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에 반영시키고, 설정정보를 축적한다.
또한, 스텝 S90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반영부(48)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스텝 S90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스텝 S92에서 기록 처리가 행하여지면, 스텝 S93에서, 반영부(48)는, 지연부(4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에 대해,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온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처리를 가하여,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따른 처리를 반영시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스텝 S94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동작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화상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동 작의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1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처리 장치(13)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받은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축적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재생하고 있는 화상에 가하여진 처리를 반영하여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받은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축적함에 의해,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하는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16의 스텝 S92의 처리에 대응하는 기록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21에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22에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록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설정정보 결정부(46)에는, 화상에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정보의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가 공급되는 일이 있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그와 같은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가 공급되면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스텝 S122에서, 기록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계속해서 설정정 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시키기 때문에, 스텝 S123으로 진행하고,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에, 취득한 조작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조작 내용을 반영시킨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 내용이 반영된 설정정보를 반영부(48) 및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취득한 조작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조작 내용이, 화상에 2배의 줌 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내용인 경우, 설정정보 결정부(46)는, 화상에 2배의 줌 처리가 시행되도록,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중, 줌 배율을 나타내는 설정항목의 값만을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시 설정한다. 따라서, 설정정보 결정부(46)가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의 설정항목중, 조작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 항목 이외의 설정항목의 설정치는 그대로의 값으로 된다. 즉,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설정항목중, 사용자에서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된다.
사용자의 조작 내용이 설정정보에 반영되면, 스텝 S124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과 함께,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설정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으로써, 특징량과 설정정보를 축적시키고, 처리는 도 16의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도 9에 도시한 특징량(C1) 내지 특징량(C3)이 기록되어 있다고 하면,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되어 있 는 특징량의 최후의 위치, 즉 특징량(C3)의 뒤에 추가하여 기록시키고, 그 m배의 어드레스에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를 기록시킨다.
이와 같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되어 있는 특징량의 최후의 위치에 추가하여 기록시켜서, 동기하는 특징량이 검색되는 경우에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되어 있는 특징량의 최후의 위치로부터 순번대로 검색함으로써, 동일한 프레임의 화상에 대해 편집 작업이 복수회 행하여졌다고 하여도, 항상 최후에 편집된 때의 설정정보에 대응시켜진 특징량이 검색된다.
또한, 스텝 S122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5로 진행하고,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억하고 있는 기록중 플래그를 내린다. 그리고, 설정정보 결정부(46)는, 기억하고 있는 설정정보를 반영부(48)에 공급하고, 처리는 도 16의 스텝 S93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처리 장치(13)는, 사용자에 의해 화상에의 처리가 지시되면,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설정항목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함에 의해, 복수의 설정항목이 동시에 변화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각 설정항목의 값이 간단하게 소망한 값으로 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받은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축적함에 의해,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하는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설정정보가 복수의 설정항목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또한 하나의 설정항목이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로 구성되도록 하고, 그들의 파라미터중의 하나만이 변화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그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하나의 설정정보가, 줌 배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줌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2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될 때,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2개의 파라미터중의 어느 한쪽의 값만이 변화하도록 설정정보를 설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18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1)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211)는, ROM(Read Only Memory)(212), 또는 기록부(21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213)에는, CPU(2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억된다. 이들의 CPU(211), ROM(212), 및 RAM(213)은, 버스(21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CPU(211)에는 또한, 버스(21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21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1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217)가 접속되어 있다. CPU(211)는, 입력부(216)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1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21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부(218)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로 이루어지고, CPU(2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통신부(21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219)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록부(218)에 기록하여도 좋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22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31)가 장착된 때, 그것들을 구동하고, 그곳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기록부(218)에 전송되고, 기록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플렉시 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인 리무버블 미디어(231),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격납되는 ROM(212)이나, 기록부(218)를 구성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격납은, 필요에 따라 루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219)를 통하여,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소정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에 처리를 가하는 일 없이, 화상을 재생시킬 때마다 화상에 대해 정확하게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동기된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가 다시 설정되어 기록되는 경우 ,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추출 수단은, 상기 화상을 구성하는 소정 영역의 화소의 화소치의 가산치를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그 설정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를 상기 화상에 대해 반영시키고, 처리가 반영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반영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상기 기록 스텝에서 기록되는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스텝과,
    상기 기록 스텝으로부터,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동기된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스텝은,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가 다시 설정되어 기록되는 경우,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이 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설정항목으로 구성되는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상기 기록 스텝에서 기록되는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스텝과,
    상기 기록 스텝으로부터,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동기된 특징량에 대응시켜져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스텝은,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가 다시 설정되어 기록되는 경우, 판독된 상기 설정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설정항목 중, 지정된 설정항목만이 변화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기록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41229A 2006-05-01 2007-04-2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345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7661A JP4839952B2 (ja) 2006-05-01 2006-05-01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6-00127661 2006-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924A KR20070106924A (ko) 2007-11-06
KR101345447B1 true KR101345447B1 (ko) 2013-12-27

Family

ID=3843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29A KR101345447B1 (ko) 2006-05-01 2007-04-2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077978B2 (ko)
EP (1) EP1852869A1 (ko)
JP (1) JP4839952B2 (ko)
KR (1) KR101345447B1 (ko)
CN (1) CN1010683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960B2 (ja) 2007-01-29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96194B2 (ja) * 2008-03-17 2012-12-12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586880B2 (ja) * 2008-05-14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086049A1 (ja) * 2010-12-24 2012-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画面作成システム
JP5387701B2 (ja) * 2011-02-25 2014-01-15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470A (ja) 2002-06-14 2004-01-22 Shinmei Ind Co Ltd シーケンス制御装置
JP2005327242A (ja) 2004-05-14 2005-11-24 Omron Corp 特定被写体検出装置
JP2006109005A (ja) 2004-10-04 2006-04-20 Canon Inc 画像出力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4615T2 (de) * 1990-09-19 1997-07-24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e und apparat zur regelung der anzeige des dargestellten bildes
JP3298211B2 (ja) * 1993-02-16 2002-07-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及びビデオ再生装置
JP3877371B2 (ja) * 1997-02-26 2007-02-07 株式会社東芝 映像再生装置
JP3506410B2 (ja) * 1997-04-23 2004-03-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劇的映像制作支援方法および装置
JP3325809B2 (ja) * 1997-08-15 2002-09-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制作方法及び装置及び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013675A (ja) * 1998-06-24 2000-01-14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GB9815638D0 (en) * 1998-07-20 1998-09-16 Danmere Limited Identification of video storage media
US7031385B1 (en) * 1999-10-01 2006-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cene change of a compressed moving-pictur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1119664A (ja) * 1999-10-20 2001-04-27 Toshiba Corp 映像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3202944A (ja) 2001-10-31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作指示装置
JP3991196B2 (ja) 2001-12-18 2007-10-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サーバ
JP2003187217A (ja) 2001-12-20 2003-07-04 Nef:Kk 画像検索システム
JP3964796B2 (ja) * 2002-01-17 2007-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赤目検出および修正方法
JP3744464B2 (ja) * 2002-05-20 2006-02-0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006628B2 (ja) 2002-07-03 2007-11-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106390A (ko) * 2003-03-31 2005-11-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그것의 기록 시스템
JP4285287B2 (ja) * 2004-03-17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50105399A (ko) * 2004-05-01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05533A (ja) * 2004-06-16 2006-01-05 Seiko Epson Corp 動画像の再生時における画像の動きの速度調整
JP3927974B2 (ja) * 2004-09-09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処理装置及び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816140B2 (ja) * 2006-02-28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670683B2 (ja) * 2006-02-28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470A (ja) 2002-06-14 2004-01-22 Shinmei Ind Co Ltd シーケンス制御装置
JP2005327242A (ja) 2004-05-14 2005-11-24 Omron Corp 特定被写体検出装置
JP2006109005A (ja) 2004-10-04 2006-04-20 Canon Inc 画像出力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2869A1 (en) 2007-11-07
JP2007300477A (ja) 2007-11-15
US20120057793A1 (en) 2012-03-08
KR20070106924A (ko) 2007-11-06
CN101068330A (zh) 2007-11-07
JP4839952B2 (ja) 2011-12-21
US8077978B2 (en) 2011-12-13
US20070297677A1 (en) 2007-12-27
US8401302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14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95796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7068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062153B2 (en) Reproducing apparatus with sub-picture processing function
US80732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KR101345447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30902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4978765B2 (ja) 再生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10108123A (ja) 画像再生装置
JP200816725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63605B2 (ja) 動画像再生装置および動画像再生方法
JP2003264773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4325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52317A (ja) 再生装置
JP2004166127A (ja) 動画像加工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283967A (ja) ダイジェスト映像ファイル作成方法及び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1016551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121227A (ja) カメラレコーダの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