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169B1 -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169B1
KR101344169B1 KR1020127007305A KR20127007305A KR101344169B1 KR 101344169 B1 KR101344169 B1 KR 101344169B1 KR 1020127007305 A KR1020127007305 A KR 1020127007305A KR 20127007305 A KR20127007305 A KR 20127007305A KR 101344169 B1 KR101344169 B1 KR 10134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or
converter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561A (ko
Inventor
게이이치 시라이시
마사히코 오카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kinet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4Control effected upon non-electric prime mover and dependent upon electric output value of the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ercharger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제 1 발전기 (34) 는, 과급기 (3) 의 회전축 (33) 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발전을 실시한다. 제 2 발전기 (4) 는, 발전 및 출력축 (25) 의 구동을 실시한다. 제 1 컨버터 (5) 는, 제 1 발전기 (34) 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제 2 컨버터 (6) 는, 제 2 발전기 (4) 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제 1 컨버터 (5)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항상 변환하거나, 또는 제 1 컨버터 (5) 가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 2 발전기 (4) 에 공급한다. 인버터 (7) 는, 제 1 및 제 2 컨버터 (5, 6) 의 적어도 일방이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AND SHIP}
본 발명은,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특히 발전기와 직결된 과급기를 갖는 내연 기관이 형성된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의 배기에 함유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연 기관의 흡기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 (터보 차저) 가 알려져 있다. 또한 과급기에 발전기를 직결함으로써, 내연 기관이 고부하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 과급기의 회전을 이용하여 발전을 실시함으로써,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서 유효하게 회수하여 (발전하는) 출력축에 직결된 모터를 구동시켜 출력축을 가세 (加勢)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대형선의 주추진 기관 (예를 들어 디젤 기관) 에, 발전기를 직결한 과급기 (이하, 「하이브리드 과급기」라고 표기한다) 가 탑재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과급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대형선에 있어서는, 주추진 기관에 직결한 전동 발전기를 장비하고, 선 내에서 발생한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출력축을 가세하거나, 출력축의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하여 선 내의 전력 수요를 조달하거나 하는 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주추진 기관이 저부하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과급기, 혹은 축전동 발전기에 의한 발전량도 저하되기 때문에, 선 내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를 조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추진 기관과는 별도의 내연 기관, 예를 들어 디젤 기관에서 구동되는 발전기 (이하, 「디젤 발전기」라고 표기한다) 를 설치하여,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38700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하이브리드 과급기를 구비한 주추진 기관에서는, 주추진 기관이 고부하로 운전되면,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있어서의 발전 가능 전력이, 선 내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웃도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잉여 전력을 내지 않도록,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있어서의 발전량을 작게 하도록 제어하거나, 발전된 잉여 전력을 로드 뱅크 등에서 열로 변환하여 버리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요컨대,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버려지거나, 전기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버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주추진 기관의 출력축에 직결된 전동 발전기를 장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전동 발전기를 구동시켜 출력축을 가세함으로써, 주추진 기관의 연료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혹은, 출력축의 동력을 이용하여 전동 발전기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여, 선 내의 전력 수요를 조달할 수도 있다.
전동 발전기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경우, 출력축의 회전수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동 발전기의 회전 구동 속도도 일정하지 않다. 그 때문에, 전동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주파수나 전압도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변환 장치에 의해 공급 전력 혹은 발전 전력을 선 내의 주파수나, 전압과 일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한 발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회전수가 일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발전된 전력의 주파수나 전압을, 주파수 변환 장치에 의해 공급 전력 혹은 발전 전력을 선 내의 주파수나, 전압과 일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출력축에 직결된 전동 발전기를 장비하고, 또한 주추진 기관에 하이브리드 과급기를 장비한 선 (船) 에 있어서는, 2 세트의 주파수 변환 장치를 장비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스페이스 확보도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출력축의 전동 발전기에 공급하여 주추진 기관을 가세하는 경우, 발전된 전력은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배치된 주파수 변환 장치, 및 전동 발전기에 배치된 주파수 변환 장치의 2 개의 주파수 변환 장치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커져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배치된 주파수 변환 장치의 컨버터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후에 인버터에 의해 선 내 전력과 동일한 주파수의 전력으로 변환되고, 또한 전동 발전기에 배치된 주파수 변환 장치의 컨버터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 인버터에 의해 전동 발전기를 구동하는 데에 적합한 전압과 주파수로 변환된다. 즉, 전력은 컨버터 및 인버터를 각각 2 회 통과하므로, 이들 기기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이 커져,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주추진 기관이 저부하로 운전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한 발전에 추가로, 디젤 발전기에 의한 발전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주추진 기관의 부하가 서서히 저하되어,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한 발전량에서는 전력 수요에 부족한 데에 앞서 디젤 발전기의 디젤 기관을 기동시켜, 하이브리드 과급기 및 디젤 발전기를 병렬로 운전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디젤 발전기에 의한 발전을 병렬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디젤 기관의 기동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그 사이에 디젤 기관에서 소비되는 연료가 불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디젤 발전기는 저부하에서의 연속 운전이 불가능한,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부하 (부하의 하한치) 이상의 부하를 부과한 상태가 아니면 연속 운전을 실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하이브리드 과급기와 디젤 발전기를 병렬로 운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과급기에 의한 발전량을 억제하고서라도, 디젤 발전기에 의한 최저한의 발전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하이브리드 과급기의 도입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하이브리드 과급기의 도입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내연 기관 시스템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그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상기 내연 기관의 흡입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와, 상기 내연 기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축과, 상기 과급기의 회전축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발전을 실시하는 제 1 발전기와, 상기 출력축과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발전 및 상기 출력축의 구동을 실시하는 제 2 발전기와, 상기 제 1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컨버터와, 상기 제 2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상기 제 1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항상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발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컨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컨버터 및 상기 제 2 컨버터는, 전기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제 1 발전기 및 제 2 발전기에 의해 발전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발전기에 의한 발전량이 외부의 전력 수요량보다 작은 경우, 혹은, 제 1 발전기가 고장에 의해 발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 2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서술한 디젤 발전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디젤 발전기의 기동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디젤 발전기에 공급하는 연료가 필요없게 된다.
제 1 발전기에 의한 발전량이, 외부의 전력 수요량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일부를 제 1 컨버터 및 제 2 컨버터를 개재하여, 선 내 전력 계통을 통하지 않고, 제 2 발전기에 공급함으로써, 제 2 발전기는 출력축을 회전 구동시켜 가세할 수 있다.
이로써,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은, 내연 기관 및 제 2 발전기에 의해 공급되게 되어, 내연 기관의 부하가 경감된다. 그 결과,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컨버터 및 상기 제 2 컨버터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인버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컨버터 및 제 2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1 개의 인버터에 의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내연 기관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용이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버터 및 제 2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압이 상이하면 전압마다 2 개의 인버터가 필요한 곳을, 1 개의 인버터로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직류 전력의 전압이 동일하다는 것은, 1 개의 인버터로 대응 가능한 전압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선박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내연 기관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내연 기관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과급기의 도입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에 의하면, 과급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1 발전기, 및, 출력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 2 발전기에 의해 발전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디젤 발전기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는 점에서, 하이브리드 과급기의 도입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발전기, 제 2 발전기 간에서의 전력의 주고받음은, DC 버스를 통해서 실시되므로, 직류에서 선 내 전력 계통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개재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젤 기관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젤 기관 시스템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디젤 기관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디젤 기관 시스템 (내연 기관 시스템) (1) 을, 선박의 주추진 기관에 사용되는 예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디젤 기관 시스템 (1)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과급기 (과급기) (3) 및 축전동 발전기 (제 2 발전기) (4) 가 구비된 디젤 기관 (내연 기관) (2) 과, 제 1 컨버터 (5) 와, 제 2 컨버터 (6) 와, 인버터 (7) 와, 제어부 (8) 가 주로 형성되어 있다.
디젤 기관 (2) 은, 선박을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킴과 함께, 선박 내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디젤 기관 (2)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와, 기관 본체 (21) 와, 공기 냉각기 (22) 와, 소기실 (23) 과, 배기 가스 집합관 (24) 과, 출력축 (25) 과, 축전동 발전기 (4) 가 주로 형성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과급기 (3) 는, 기관 본체 (21) 의 흡기 공기를 과급함과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선박 내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31) 과, 컴프레서 (32) 와, 회전축 (33) 과, 과급기 발전기 (제 1 발전기) (34) 가 주로 형성되어 있다.
터빈 (31) 은, 기관 본체 (21) 로부터 배출된 고압의 배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터빈 (31) 은 회전축 (33) 에 의해, 그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컴프레서 (32) 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대기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승압시켜 기관 본체 (21) 에 공급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기관 본체의 흡기 공기를 과급하는 것이다. 컴프레서 (32) 는 회전축 (33) 에 의해, 그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회전축 (33) 은, 터빈 (31) 및 컴프레서 (32)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터빈 (31) 에 있어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컴프레서 (32) 나 과급기 발전기 (34) 에 전달하는 것이다.
과급기 발전기 (34) 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과급기 발전기 (34) 에는, 회전축 (33) 이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과급기 발전기 (34) 는, 제 1 컨버터 (5) 에 대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기관 본체 (21) 는, 선박을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디젤 기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박의 주추진 기관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 스트로크 사이클의 디젤 기관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기관 본체 (21) 는, 복수의 실린더 내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디젤 연료가 과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왕복동시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관 본체 (21) 의 주위에는, 부속되는 기기로서 하이브리드 과급기 (3) 나, 공기 냉각기 (22) 나, 소기실 (23) 이나, 배기 가스 집합관 (24)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관 본체 (21) 에는, 스크류 프로펠러 (26) 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25) 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냉각기 (22) 는,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에 의해 과급된 흡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공기 냉각기 (22) 에는,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의 컴프레서 (32) 에 의해 과급된 흡기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기 냉각기 (22) 에 의해 냉각된 과급된 흡기 공기가, 소기실 (23) 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기실 (23) 은, 기관 본체 (21) 에 과급된 흡기 공기를 공급하는 공간이다.
소기실 (23) 에는, 공기 냉각기 (22) 로부터 냉각된 과급된 흡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기실 (23) 은 과급된 흡기 공기를 내부에 모아, 실린더 등의 내부에 과급된 흡기 공기를, 각각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기 가스 집합관 (24) 은, 기관 본체 (21) 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모아 선박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관이다.
배기 가스 집합관 (24) 에는, 실린더 등의 내부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 가스가, 각각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집합관 (24) 은, 배기 가스의 일부를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의 터빈 (31)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 (25) 은, 기관 본체 (21) 에 의해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스크루 프로펠러 (26) 에 전달하는 것이다.
출력축 (25) 은, 축전동 발전기 (4) 와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출력축 (25) 으로부터 축전동 발전기 (4) 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축전동 발전기 (4) 로부터 출력축 (25) 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크루 프로펠러 (26) 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축전동 발전기 (4) 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임과 함께, 외부로부터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이기도 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발전기와 전동기가 가역인 것이다.
축전동 발전기 (4) 는, 출력축 (25) 과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전동 발전기 (4) 는, 제 2 컨버터 (6) 에 대해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컨버터 (6) 로부터 교류 전력의 공급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도 구성되어 있다.
제 1 컨버터 (5) 는, 과급기 발전기 (34) 에 있어서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제 1 컨버터 (5) 는, 제 2 컨버터 (6)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제 1 컨버터 (5) 는, 과급기 발전기 (34) 로부터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컨버터 (5) 는, DC 버스 (전기 배선) (10) 에 의해, 인버터 (7) 및 제 2 컨버터 (6) 의 적어도 일방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컨버터 (5) 에는, 제어부 (8) 로부터 제 1 컨버터 (5) 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컨버터 (5)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과, 제 2 컨버터 (6)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이 동일하다는 것은, 이들 전압이 동일한 전압인 경우뿐만 아니라, 1 개의 인버터로 대응 가능한 전압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DC 버스 (10) 는, 제 1 컨버터 (5) 및 인버터 (7) 와, 제 2 컨버터 (6) 및 인버터 (7) 와, 제 1 컨버터 (5) 와 제 2 컨버터 (6)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제 2 컨버터 (6) 는, 축전동 발전기 (4) 에 있어서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제 1 컨버터 (5) 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제 2 컨버터 (6) 는, 제 1 컨버터 (5)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제 2 컨버터 (6) 는, 축전동 발전기 (4) 로부터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컨버터 (5) 로부터 DC 버스 (10) 를 개재하여 직류 전력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 (6) 는, DC 버스 (10) 를 개재하여 인버터 (7) 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컨버터 (6) 에는, 제어부 (8) 로부터 제 2 컨버터 (6) 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7) 는, 제 1 컨버터 (5) 나 제 2 컨버터 (6)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소정 주파수 (예를 들어 50 Hz 나 60 Hz) 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인버터 (7) 는, DC 버스를 개재하여 제 1 컨버터 (5) 나 제 2 컨버터 (6) 로부터 직류 전력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인버터 (7) 는, 선 내 전력 계통 (9) 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7) 에는, 제어부 (8) 로부터 인버터 (7) 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8) 는, 제 1 컨버터 (5), 제 2 컨버터 (6) 및 인버터 (7) 를 제어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과급기 발전기 (34) 에 있어서의 발전량과, 축전동 발전기 (4) 에 있어서의 발전량의 분담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 (8) 는, 축전동 발전기 (4) 를 발전기로서 사용할지, 전동기로서 사용할지를 제어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디젤 기관 시스템 (1) 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관 본체 (21) 에 대한 부하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의 디젤 기관 시스템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기관 본체 (21) 에 대한 부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디젤 기관 시스템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관 본체 (21) 에 대한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 본체 (21) 로부터 배기 가스 집합관 (24) 으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감소하고, 배기 가스 집합관 (24) 으로부터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의 터빈 (31) 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도 감소한다.
그러면,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에 있어서의 회전축 (33) 의 회전 속도가 느려져, 컴프레서 (32) 에 의해 과급되는 흡기 공기의 유량도 감소한다. 한편, 과급기 발전기 (34) 에 있어서의 발전량도 감소하여, 선박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량보다 작아진다. 그래서, 전력 수요량에 부족한 분량은,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전력에 의해 보충된다.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에 형성된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한 발전량은, 컴프레서 (32) 에 흡입되는 공기 온도와 동일하도록, 기관 본체 (21) 의 연비에 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제어부 (8) 는, 기관 본체 (21) 의 연비를 고려하면서,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한 발전량,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한 발전량의 비율 (분담) 의 제어를 적절히 실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8) 는, 제 1 컨버터 (5) 에 대해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컨버터 (6) 에 대해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 (8) 는, 인버터 (7) 에 대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에 있어서의 주파수는,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의 회전축 (33) 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하고,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에 있어서의 주파수는, 출력축 (25) 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그래서, 과급기 발전기 (34)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선 내 전력 계통 (9) 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 1 컨버터 (5) 나 제 2 컨버터 (6) 및 인버터 (7) 를 개재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이로써,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은, 제 1 컨버터 (5) 에 있어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한편,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은, 제 2 컨버터 (6) 에 있어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환된 직류 전력은, DC 버스 (10) 를 개재하여 인버터 (7) 에 공급되어,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후에 선 내 전력 계통 (9) 에 공급된다.
또한, 기관 본체 (21) 에 대한 부하가 낮은 경우뿐만 아니라, 고장에 의해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한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동작이 실시된다.
기관 본체 (21) 에 대한 부하가 높은 경우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 본체 (21) 로부터 배기 가스 집합관 (24) 으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증대되고, 배기 가스 집합관 (24) 으로부터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의 터빈 (31) 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도 증대된다.
그러면, 하이브리드 과급기 (3) 에 있어서의 회전축 (33) 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 컴프레서 (32) 에 의해 과급되는 흡기 공기의 유량도 증대된다. 한편, 과급기 발전기 (34) 에 있어서의 발전량도 증대되어, 선박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량보다 커진다. 그래서,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잉여 전력은, 축전동 발전기 (4) 에 공급된다.
제어부 (8) 는, 기관 본체 (21) 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가 가장 적어지도록, 과급기 발전기 (34) 에 있어서의 발전량,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있어서의 출력의 제어를 적절히 실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8) 는, 제 1 컨버터 (5) 에 대해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인버터 (7) 에 대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 2 컨버터 (6) 에 대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컨버터 (6) 에 의해 변환된 교류 전력에 있어서의 주파수는, 축전동 발전기 (4) 의 회전수가 출력축 (25) 의 회전 구동을 가세하는 데에 적합한 회전수가 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로써,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은, 제 1 컨버터 (5) 에 있어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직류 전력은, DC 버스 (10) 를 개재하여 인버터 (7) 에 공급되어,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후, 선 내 전력 계통 (9) 에 공급된다.
한편,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전력 중 잉여분은, 제 1 컨버터 (5) 에 있어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후, DC 버스 (10) 를 개재하여 제 2 컨버터 (6) 에 공급된다. 제 2 컨버터 (6) 에 있어서 직류 전력은,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축전동 발전기 (4) 에 공급된다.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은 축전동 발전기 (4) 는, 출력축 (25) 을 회전 구동시킨다.
이로써 출력축 (25) 은, 기관 본체 (21) 및 축전동 발전기 (4) 의 양자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선박에 필요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은, 기관 본체 (21)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분담된다. 그 때문에, 기관 본체 (21) 만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관 본체 (21) 에 요구되는 회전 구동력이 저감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과급기 발전기 (34)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한 발전량이 선박의 전력 수요량보다 작은 경우, 혹은, 과급기 발전기 (34) 가 고장에 의해 발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선박에 공급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서술한 디젤 발전기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디젤 발전기의 기동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젤 발전기에 공급하는 연료가 필요없게 된다.
그 결과, 디젤 기관 시스템 (1) 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과급기 (3) 를 도입한 것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한 발전량이, 선박의 전력 수요량보다 큰 경우에는, 과급기 발전기 (34) 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일부를 제 1 컨버터 (5) 및 제 2 컨버터 (6) 를 개재하여 축전동 발전기 (4) 에 공급함으로써, 축전동 발전기 (4) 는 출력축 (25) 을 회전 구동시켜 가세할 수 있다.
이로써, 출력축 (25) 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은, 기관 본체 (21) 및 축전동 발전기 (4) 에 의해 공급되게 되어, 기관 본체 (21) 의 부하가 경감된다. 그 결과, 기관 본체 (21) 의 연료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컨버터 (5) 및 제 2 컨버터 (6) 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압이 상이하면 전압마다 2 개의 인버터가 필요한 곳을, 1 개의 인버터 (7) 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디젤 기관 시스템 (1) 에 있어서의 비용이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시킬 수 있다.
1 디젤 기관 시스템 (내연 기관 시스템)
2 디젤 기관 (내연 기관)
3 하이브리드 과급기 (과급기)
4 축전동 발전기 (제 2 발전기)
5 제 1 컨버터
6 제 2 컨버터
7 인버터
10 DC 버스 (전기 배선)
25 출력축
33 회전축
34 과급기 발전기 (제 1 발전기)

Claims (4)

  1.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 기관과,
    그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상기 내연 기관의 흡입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와,
    상기 내연 기관에 의해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 프로펠러에 전달하는 출력축과,
    상기 과급기의 회전축과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발전을 실시하는 제 1 발전기와,
    상기 출력축과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발전 및 상기 출력축의 구동을 실시하는 제 2 발전기와,
    상기 제 1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1 컨버터와,
    상기 제 2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교류 전력을, 상기 제 1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발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컨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컨버터 및 상기 제 2 컨버터는, 전기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내연 기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터 및 상기 제 2 컨버터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인버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내연 기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내연 기관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는 선박.
  4.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사용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제 1 발전기에 의한 발전 공정과, 그 발전 공정에 의해 얻어진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 공정을 포함하는 선내 전력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발전 공정에 의한 발전량이 선박의 전력 수요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내연 기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제 2 발전기로부터 얻어진 교류 전력을, 상기 변환 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력과 동일한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상기 발전 공정에 의한 발전량이 상기 선박의 전력 수요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 공정에 의한 발전량의 일부를 상기 제 2 발전기에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선 내 전력 공급 방법.
KR1020127007305A 2009-09-25 2010-09-24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KR101344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0628A JP2011072117A (ja) 2009-09-25 2009-09-25 内燃機関システムおよび船舶
JPJP-P-2009-220628 2009-09-25
PCT/JP2010/066505 WO2011037164A1 (ja) 2009-09-25 2010-09-24 内燃機関システムおよ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561A KR20120058561A (ko) 2012-06-07
KR101344169B1 true KR101344169B1 (ko) 2013-12-20

Family

ID=4379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305A KR101344169B1 (ko) 2009-09-25 2010-09-24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69130A1 (ko)
EP (1) EP2482443A1 (ko)
JP (1) JP2011072117A (ko)
KR (1) KR101344169B1 (ko)
CN (1) CN102577088A (ko)
WO (1) WO2011037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116B2 (en) * 2010-08-26 2014-07-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and diesel hybrid vehicle system
JP2013100794A (ja) * 2011-11-09 2013-05-23 Ygk:Kk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60138463A1 (en) * 2014-11-17 2016-05-19 Arnold Magnetic Technologie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voltage buses on a single vehicle
US10027210B2 (en) * 2014-12-10 2018-07-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Dual-output generators
JP2017166405A (ja) * 2016-03-16 2017-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発電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4968A1 (de) * 2006-05-02 2007-1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chiffsantriebssystems mit abwärmerückgewinnung sowie schiffsantriebssystem mit abwärmerückgewinn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429A (ja) * 1985-10-19 1987-04-28 Isuzu Motors Ltd タ−ボコンパウンドエンジン
JPH0791269A (ja) * 1993-09-24 1995-04-04 Isuzu Motors Ltd タ−ボチャ−ジャ用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H07180564A (ja) * 1993-12-22 1995-07-18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エネルギ−回収装置
US6931856B2 (en) * 2003-09-12 2005-08-23 Mes International, Inc. Multi-spool turbogener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US7047743B1 (en) * 2005-03-14 2006-05-23 Deere & Company Electric turbo compound configuration for an engine/electric generator system
JP2006238700A (ja) 2006-06-13 2006-09-07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TWI336160B (en) * 2006-12-01 2011-01-11 Ind Tech Res Inst Hybrid power-generating device
US20100144219A1 (en) * 2008-12-05 2010-06-10 Brunswick Corporation Marine Vessel Hybrid Propuls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4968A1 (de) * 2006-05-02 2007-1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chiffsantriebssystems mit abwärmerückgewinnung sowie schiffsantriebssystem mit abwärmerückgewin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7088A (zh) 2012-07-11
US20120169130A1 (en) 2012-07-05
KR20120058561A (ko) 2012-06-07
JP2011072117A (ja) 2011-04-07
EP2482443A1 (en) 2012-08-01
WO2011037164A1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7176C (en) Engine induction system
US8244419B2 (en) Marine power train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energy in a marine vehicle
KR101172568B1 (ko) 선박의 대형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내 과잉 에너지 이용 시스템
KR101602507B1 (ko)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에너지를 이용하는 선박 추진 시스템
US10066532B2 (en) Electric supercharging device utilizing waste hea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KR102314973B1 (ko) 축계발전기와 축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추진선박
KR101344169B1 (ko) 내연 기관 시스템 및 선박
KR20140136999A (ko) 터보 어시스트
CN101767645A (zh) 新型电力推进系统
Ono et al. Application of a large hybrid turbocharger for marine electric-power generation
KR20080080452A (ko) 구동 트레인, 해당 구동 트레인의 작동 방법 및 차량
JP5312513B2 (ja) 船舶推進システム
JP2013227012A (ja) 廃熱回収システムを備えるターボ過給式大型2ストローク往復ピストン機関を有する船舶推進システム、及び船舶推進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101979131B1 (ko) 주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주기, 선박
US20140349808A1 (en) Hybrid transportation apparatus having fuel cell and air engine
CN201694383U (zh) 一种电力推进系统
KR20190091881A (ko) 엔진 pto 출력을 이용한 선박용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JPS6353200A (ja) 舶用推進設備
JPH03138430A (ja) 事務用移動車両
US20070184728A1 (en) Drive-line mounted direct coupled AC generator for marine water craft
JP5374489B2 (ja) 発電設備
CN218431697U (zh) 一种大功率直流混动系统及船舶
JP5804728B2 (ja) ハイブリッド過給機発電システム
KR20130110834A (ko) 선박 엔진의 배기 가스를 이용한 발전 장치
CN116534235A (zh) 一种基于综合余热梯度利用的船舶氨-电混合动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