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518B1 -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518B1
KR101343518B1 KR1020120034786A KR20120034786A KR101343518B1 KR 101343518 B1 KR101343518 B1 KR 101343518B1 KR 1020120034786 A KR1020120034786 A KR 1020120034786A KR 20120034786 A KR20120034786 A KR 20120034786A KR 101343518 B1 KR101343518 B1 KR 10134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culture soil
water
inner body
eccentric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16A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102012003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5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생물이 존재하는 배양토를 수용하는 하부본체; 상기 배양토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배양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 상기 배양토를 섞어 혼합시키는 진동수단; 상기 하부본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는 일정크기로 개구된 용변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물공급수단, 히팅수단, 진동수단, 감지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Disposing apparatus for pet excrements}
본 발명은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용변을 보다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아지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서는 애완동물의 용변을 처리할 때는 통상 바닥에 신문지 등의 종이나 기저귀 시트를 깐 상태에서 그 위에서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도록 한 후 용변이 묻은 종이나 기저귀 시트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실내에 애완동물의 용변 냄새가 퍼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용변이 종종 종이 밖으로 배출되면서 실내 바닥이 애완동물의 용변에 의해 오염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많았고, 특히 기저귀 시트의 경우에는 일회 사용 후 버리기엔 다소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애완동물의 용변을 위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문헌 1]에서와 같은 애완동물용 용변기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문헌 1]에 개시된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이 구비되되, 일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구가 형성된 배설부와; 상기 배설부 내에 위치되어 여과망을 통해 인입된 배설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 배설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가 관통형성된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집수부의 배수구 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수납부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 내에 저장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악취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차단부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말단에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의 요입 형성된 배수구 상부에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는 샤프트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된 상기 개폐샤프트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일단이 상기 여과망의 중앙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샤프트의 일단과 접촉되는 가압샤프트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7115호(명칭 : 애완동물용 용변기), 등록일 : 2010.06.23, 도면 2 내지 도면 9
하지만, 이와 같이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애완동물의 용변(배설물)이 최종적으로 수납부에 모이게 되고, 사람이 직접 배설부에서 집수부 및 수납부를 인출시켜 수납부의 뚜껑을 연 후 용변을 버리게 되는데, 이때 사람의 손이 용변에 직접 노출되어 비위생적이고, 수납부에 모여진 애완동물의 용변을 사람이 직접 목격하게 되므로 비위가 약한 사람의 경우에는 용변의 처리가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의 용변을 유익한 미생물이 있는 배양토로서 자연 분해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미생물이 존재하는 배양토를 수용하는 하부본체; 상기 배양토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배양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 상기 배양토를 섞어 혼합시키는 진동수단; 상기 하부본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는 일정크기로 개구된 용변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물공급수단, 히팅수단, 진동수단, 감지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은 하부본체의 내측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배양토가 담아져 있는 내부본체;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본체를 회전시키는 편심캠; 상기 편심캠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편심캠을 회전시켜 내부본체를 흔들어 주는 모터; 및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편심캠이 그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삽입홈; 및 상기 편심캠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한편 모터와 벨트로서 연결되어 구동되는 풀리;를 포함한다.
또,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양토에 공급하는 분무노즐;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분무노즐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워터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 또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부본체의 마주하는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에 따르면, 용변기의 상부본체에서 애완동물이 본 용변은 용변구를 통해 하부본체의 배양토로 떨어지고, 배양토에 있는 유익한 미생물이 용변을 자연 분해하여 처리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용변을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토에 적정한 수분과 온도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용변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내부본체를 진동수단에 의해서 흔들어 내부본체 내의 배양토를 섞어 주므로 용변을 신속하게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의 하부본체와 내부본체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의 하부본체와 내부본체를 보인 평면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용변기(100)를 통해서 구현되고, 상기 용변기(100)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하부본체(110)와, 하부본체(110) 내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이격되어 내장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내부본체(110a)와, 하부본체(1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16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본체(11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0)의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유익한 미생물이 존재하는 배양토(120)가 담아져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배양토(120)는 미생물에 의해서 애완동물의 용변을 자연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오염된 토양을 개선시키거나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배양토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내부본체(110a)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내부본체(110a)의 배양토(120)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위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히팅수단, 진동수단 등이 더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수단은 내부본체(110a)에 저장된 배양토(120)에 물을 공급하여 배양토(120)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잘 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부본체(110)의 일단부에는 배양토(120)에 공급할 물이 저장되는 수조 즉 물탱크(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10)에는 물탱크(130)에 저장된 물을 내부본체(110a)의 배양토(120)로 분무시켜 공급하는 분무노즐(1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132)과 물탱크(130) 사이에는 물탱크(130) 내의 물을 일정압력으로 압송하여 분무노즐(132)를 통해 분무시키는 워터펌프(13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워터펌프(131)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일부가 물에 잠기도록 물탱크(13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본체(1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팅수단은 배양토(120)가 저장되는 내부본체(110a)의 내측 바닥면 측에 바닥면을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배양토(120)의 미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최적의 온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히팅수단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의 히트파이프(14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히팅코일 즉 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내부본체(110a)의 내측에 구성된 히팅수단은 하부본체(110) 외측면의 컨트롤러(180)에 연결되는 바, 상기 컨트롤러(180)와 히팅수단은 유연한 재질의 관이나 호스를 통해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은 하부본체(110)와 내부본체(110a) 사이에 구성되어, 내부본체(110a)를 흔들어 줌으로써 내부본체(110a)의 배양토(120)가 잘 섞이도록 한다. 이러한 진동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배양토(120)가 담아져 있는 내부본체(110a)와, 상기 내부본체(110a)의 하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1)과, 상기 내부본체(110a)의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내부본체(110a)를 회전시키는 편심캠(112)과, 상기 편심캠(112)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편심캠(112)을 회전시켜 내부본체(110a)를 흔들어 주는 모터(116) 및 상기 내부본체(110a)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부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롤러(118)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터(116)와 편심캠(112)의 연결은 편심캠(112)에 편심된 상태로 설치된 연결축(113)과, 상기 연결축(113)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풀리(114)와, 상기 풀리(114)와 벨트(115)로서 연결되고 모터(116)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모터풀리(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112)은 연결축(11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그리는 원의 직경이 삽입홈(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11)을 타원으로 형성하면서 타원의 좁은 직경(단경)을 편심캠(112)의 외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형성하면, 편심캠(112)의 외주면이 삽입홈(111)의 내주면에 항상 접한 상태로서, 편심캠(112)의 회전 시는 내부본체(110a)가 바로 연동되어 유동됨으로써 신속한 응답력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롤러(118)는 내부본체(110a)의 하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구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롤러(118)는 캐스터 또는 볼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본체(110a)의 하면 네 모서리부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볼을 롤러(118)의 일례로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진동수단은 하부본체(110) 내에서 내부본체(110a)를 흔들어 내부본체(110a) 내의 배양토(120)를 섞어줄 수 있는 조건만 만족하면 어떠한 형태나 구조의 진동수단도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물공급수단, 히팅수단, 진동수단 및 후술될 감지수단 등은 하부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80)에 의해서 제어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서, 측면의 테두리 중 전면부에는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60)의 내측 바닥면은 발판부(162)로서, 그 중앙부에는 애완동물의 용변이 내부본체(110a)의 배양토(120)로 떨어질 수 있도록 된 타원형태의 용변구(1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60)에는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성되는 바, 상기 감지수단은 광센서 또는 무게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을 광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60)의 마주하는 양 내측면에 각각 발광센서(170)와 수광센서(171)를 설치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수단을 무게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부본체(160)의 발판부(162)에 무게센서를 설치하여 발판부(162)의 중량변화에 따라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80)는 본 실시예의 감지수단인 발광센서(170)와 수광센서(171)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한 물공급수단, 히팅수단 및 진동수단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본체(160)와 하부본체(110)를 분리한 상태에서 하부본체(110) 내에 수용된 내부본체(110a)에 유익한 미생물이 있는 배양토(120)를 충분하게 채우고, 물탱크(130)에도 물을 적당히 채운 후, 상부본체(160)를 하부본체(110)의 상면에 결합시켜 애완동물용 용변기(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후, 애완동물이 출입구(161)를 통해 상부본체(160)의 내부로 들어와 용변을 보고 나가면, 상부본체(160)의 마주하는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발광센서(170)와 수광센서(171)에 의해서 애완동물의 출입여부가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컨트롤러(180)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고 나갔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애완동물의 용변은 상부본체(160)의 용변구(163)를 통해 내부본체(110a)의 배양토(120) 상으로 떨어진 상태이고, 용변 시 애완동물은 상부본체(160)의 발판부(162)에 의해서 배양토(120)를 직접 밟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이며 용변기(100)의 주변이 청결해지게 된다.
한편, 발광센서(170)와 수광센서(171)에 의해서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고 나갔음을 인지한 컨트롤러(1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즉, 컨트롤러(180)가 모터(116)를 작동시키면 모터풀리(117)가 회전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벨트(115)를 매개로 풀리(114)가 회전되면서 연결축(113)을 통해 편심캠(1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되는 편심캠(112)은 내부본체(110a) 하면의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삽입홈(111)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내부본체(110a)를 사방팔방의 모든 방향으로 흔들어 주게 되고, 이와 같이 흔들리는 내부본체(110a) 내부의 배양토(120)는 혼합되면서 애완동물의 용변과 섞여 배양토(120)에 존재하는 유익한 미생물이 용변을 자연 분해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흔들리는 내부본체(110a)는 그 하면 네 모서리부에 설치된 롤러(118)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애완동물의 용변을 수거하여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애완동물의 용변을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80)는 물공급수단과 히팅수단을 제어하여 배양토(120)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잘 번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180)는 워터펌프(131)를 작동시켜 물탱크(130)에 저장된 물을 일정압력으로 압송하여 분무노즐(132)을 통해 배양토(120) 측으로 분무시켜 공급하고, 히트파이프(140)를 작동시켜 미생물이 잘 번식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배양토(120)에 제공하여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생물을 증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는 진동수단은 애완동물이 용변을 본 후마다 작동됨이 바람직하고, 물공급수단과 히팅수단은 컨트롤러(180)에 예입력되어 설정된 시간마다 일정하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용변기 110 : 하부본체
110a : 내부본체 111 : 삽입홈
112 : 편심캠 113 : 연결축
114 : 풀리 115 : 벨트
116 : 모터 117 : 모터풀리
118 : 롤러 120 : 배양토
130 : 물탱크 131 : 워터펌프
132 : 분무노즐 140 : 히트파이프
160 : 상부본체 161 : 출입구
162 : 발판부 163 : 용변구
170 : 발광센서 171 : 수광센서
180 : 컨트롤러

Claims (6)

  1. 미생물이 존재하는 배양토를 수용하는 하부본체;
    상기 배양토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배양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팅수단;
    상기 배양토를 섞어 혼합시키는 진동수단;
    상기 하부본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는 일정크기로 개구된 용변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물공급수단, 히팅수단, 진동수단, 감지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하부본체의 내측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 배양토가 담아져 있는 내부본체;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부본체를 회전시키는 편심캠;
    상기 편심캠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편심캠을 회전시켜 내부본체를 흔들어 주는 모터; 및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편심캠이 그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삽입홈; 및 상기 편심캠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한편 모터와 벨트로서 연결되어 구동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양토에 공급하는 분무노즐;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분무노즐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부본체의 마주하는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1020120034786A 2012-04-04 2012-04-04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10134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86A KR101343518B1 (ko) 2012-04-04 2012-04-04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86A KR101343518B1 (ko) 2012-04-04 2012-04-04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16A KR20130112416A (ko) 2013-10-14
KR101343518B1 true KR101343518B1 (ko) 2013-12-20

Family

ID=4963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86A KR101343518B1 (ko) 2012-04-04 2012-04-04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211A (ja) 1999-02-25 2000-09-12 Seiwa Denko Kk 廃棄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JP2003117527A (ja) 2001-10-11 2003-04-22 Seiwa Denko Kk 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
JP2005124544A (ja) 2003-10-20 2005-05-19 Yutaka Hara ペット用トイレ
JP2010057424A (ja) 2008-09-04 2010-03-18 Hiroyasu Hamada ペット用自動清掃トイ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211A (ja) 1999-02-25 2000-09-12 Seiwa Denko Kk 廃棄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JP2003117527A (ja) 2001-10-11 2003-04-22 Seiwa Denko Kk 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
JP2005124544A (ja) 2003-10-20 2005-05-19 Yutaka Hara ペット用トイレ
JP2010057424A (ja) 2008-09-04 2010-03-18 Hiroyasu Hamada ペット用自動清掃トイ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16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624467B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230377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US90743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animal waste down a drain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KR100892862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2019012881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CN112470951B (zh) 全自动宠物猫厕所
US20150027941A1 (en) Portable sewage collection system
KR101910519B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1415871B1 (ko) 애완동물용 수세식 배변기
KR20130140414A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343518B1 (ko)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101343517B1 (ko)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20060076143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20130112419A (ko)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CN214015435U (zh) 一种全自动宠物猫厕所
KR101343515B1 (ko)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KR101343516B1 (ko)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