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73B1 -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 - Google Patents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73B1
KR101342273B1 KR1020117031693A KR20117031693A KR101342273B1 KR 101342273 B1 KR101342273 B1 KR 101342273B1 KR 1020117031693 A KR1020117031693 A KR 1020117031693A KR 20117031693 A KR20117031693 A KR 20117031693A KR 101342273 B1 KR101342273 B1 KR 10134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cell
frame body
surfac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566A (ko
Inventor
다카히로 아사이
론 호리코시
다다히코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평판 형상의 전지 요소를 필름으로 피복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고정시키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외주측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체 (1) 와, 프레임체 (1) 의 내 프레임 (6) 에 형성되고,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프레임체 (1) 의 표면측에 갖는 제 1, 제 2 지지구 (10, 20) 와, 프레임체 (1) 의 내 프레임부 (6) 에 형성되고,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프레임체 (1) 의 이면측에 지지부를 갖는 제 3, 제 4 지지구 (30, 40) 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ANCHORING FRAME FOR INDIVIDUAL ELECTRICITY-STORAGE-BODIES, AND BATTERY PACK}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나 리튬 이온 2 차 전지 (커패시터) 등의 축전지를 구성하는 1 개의 셀을 필름에 의해 피복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고정시키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이것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고정시킨 단축전체를 복수 적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조 (組)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이하, EDLC 로 칭함) 는, 전해질 중의 아니온 및 카티온을 분극성 전극의 정극 및 부극 표면의 각각에 물리 흡착시켜 전기를 축적하는 원리를 이용한 축전지이다. 한편, 리튬 이온 커패시터 (이하, LIC 로 칭함) 는, 상기 서술한 EDLC 와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여 분극성 전극의 부극 표면에 리튬 이온을 흡장시켜 전기를 저축하는 원리를 이용한 축전지이다.
이들 EDLC 및 LIC 는,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지를 구성하는 1 개의 셀 (101) 을 2 장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사이에 두고, 이들 2 장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이 겹치는 부분을 용착하고, 셀 (101) 을 완전히 덮어 밀봉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름 (102) 으로 밀봉함으로써, 내부에 대한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여, 축전지 자체의 특성의 열화, 및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 (102 ; 이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칭함)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필름을 겹친 필름이다.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102) 자체가 변형되기 쉬운 것으로, 용착에 의해 제작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의 봉지 부분 (102a) 도 변형되기 쉬운 것이다.
셀 (101) 이 평판 형상이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셀 (101) 의 일방의 단변부 (101a) 로부터는 띠 형상의 정극용 단자 (103) 가 인출되고, 타방의 단변부 (101b) 로부터는 띠 형상의 부극용 단자 (104) 가 인출되고 있다. 또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은 셀 (101) 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이고, 셀 (101)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다.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은 기기에 장착된 상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이 특수한 형상이고, 또한 변형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취급하기 어렵고, 기기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극성을 잘못된 상태에서 기기에 장착하면, 축전지로서의 소정의 성능을 발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LIC 는 기기에 장착할 때에는 이미 전위를 갖고 있는 것이고, 그 취급에는 충분히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에 장착함으로써 강성을 높여 취급성을 향상시킨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이 여러 가지 개발되고 있다.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 에는, 필름 외장 전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케이스 본체와 프레임체로 구성된 셀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셀 케이스의 측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필름 외장 전지를 수용한 셀 케이스를 그 폭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여 전지 셀군으로 하고, 각 셀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로드를 관통시켜, 로드의 양단부를 너트로 고정시킨 전지 팩도 개시되어 있다.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다른 예로서, 특허문헌 2 에는, 외장 필름의 전체 둘레를 포위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외장 필름의 외주부를 유지한 셀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셀 케이스에 형성된 방출구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와, 이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고정 부재도 개시되어 있다. 고정 부재는 복수의 셀 케이스를 적층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2882호 (단락[0015],[0016],[도 2],[도 3]등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36605호 (단락[0017],[0020],[0024],[0025],[도 1],[도 5]등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프레임체의 2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수율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셀 케이스의 내벽부에 형성된 홈 내에 외장 필름의 봉지부를 삽입하고 있어, 장착 작업이 번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평판 형상의 전지 요소를 필름으로 피복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고정시키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외주측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셀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에 갖는 표면측 셀 지지구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셀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에 갖는 이면측 셀 지지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2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표면측 셀 지지구가,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면측 셀 지지구가,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측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3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2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면측 셀 지지구가,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이면측 셀 지지구가,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4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이, 상기 전지 요소에 접속하고, 상기 필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전극 단자부를 2 조 갖고,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단자부를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에 갖는 표면측 전극 지지구와,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단자부를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에 갖는 이면측 전극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5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4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가,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가,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6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5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가,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가,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7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6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에는, 고정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8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7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가, 상기 프레임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9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8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횡 프레임판부를 갖고,
상기 횡 프레임판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폭이, 당해 횡 프레임판부의 단부측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0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9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하횡 프레임판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1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은,
제 10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프레임체와 연결 가능한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2 발명에 관련된 조전지는,
제 7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내 프레임에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배치하고, 당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상기 전극 단자부를 접어 구부려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에 대해 입각 (立脚) 시킨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와,
제 7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내 프레임에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배치하고, 당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상기 전극 단자부를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를 따라 접어 구부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를 갖고,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와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가 교대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및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의 표면측과 이면측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의 상기 전극 단자부와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의 상기 전극 단자가 상기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에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고,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프레임체의 중앙부에 삽입하여 회전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당해 프레임체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장착할 수 있다. 즉,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프레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조전지에 의하면,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를 이들 표면과 이면을 이웃하게 배치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단축전체를 직렬로 접속한 조전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 의 (a) 에 프레임체의 하횡 프레임판부를 상방에 배치하고, 그 이면을 일측부측에서 본 사시, 도 1 의 (b) 에 그것을 타측부측에서 본 사시를 나타낸다.
도 2 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 의 (a) 에 프레임체의 상횡 프레임판부를 상방에 배치하고, 그 표면을 일측부측에서 본 사시, 도 2 의 (b) 에 그것을 타측부측에서 본 사시를 나타낸다.
도 3 은,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개략도이고, 도 3 의 (a) 에 프레임체의 하횡 프레임판부를 상방에 배치한 배면, 도 3 의 (b) 에 그 측면, 도 3 의 (c) 에 프레임체의 하횡 프레임판부를 하방에 배치한 정면을 나타낸다.
도 4 는, 도 3 의 (c) 에 있어서의 IV-IV 선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개략도이고, 도 5 의 (a) 에 그 평면, 도 5 의 (b) 에 그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장착할 때의 평면을 나타낸다.
도 6 은,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대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의 (a) 에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 도 6 의 (b) 에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프레임 내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삽입한 상태, 도 6 의 (c) 에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은,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일방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7 의 (a) 에 도 6 의 (c) 에 있어서의 포위선 Ⅶ 의 확대를 이면에서 본 도면, 도 7 의 (b) 에 도 7 의 (a) 에 있어서의 포위선 (b) 의 확대를 나타낸다.
도 8 은, 3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의 (a) 에 3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 도 8 의 (b) 에 2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한 상태, 도 8 의 (c) 에 3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는, 3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의 (a) 에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3 대의 단축전체의 일측면, 도 9 의 (b) 에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조전지 및 1 대의 단축전체의 일측면, 도 9 의 (c) 에 도 8 의 (c) 에 나타내는 조전지의 일측면을 나타낸다.
도 10 은, 40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한 조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 도 10 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축전체는, 전기 에너지를 저류 및 출력하는 조전지를 구성하는 1 개의 셀을 필름으로 포장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단축전체 고정용 프레임에 장착하여 고정시킨 전지이다. 단축전체를 복수 연결함으로써 조전지가 제작된다. 조전지로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나 리튬 이온 2 차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은,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셀 (101) 을 2 장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 도 5 의 (a) 의 종이면 표측 및 종이면 이측) 사이에 두고, 이들 2 장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이 겹치는 부분을 용착하여 포장한 것이다. 셀 (101) 은,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정극측 전극 및 부극측 전극을 각각 배치하고, 전극에 전해액을 함침시킨 전지 요소이다. 라미네이트 필름 (102) 으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필름을 겹친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용착은 필름 내부 및 셀 내부 (커패시터 내부) 를 감압하여 진공 상태로 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로써,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내부는 기밀하게 포장된다.
셀 (101) 은 평판 형상이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셀 (101) 의 일방의 단변부 (101a) 로부터는 띠 형상의 정극용 단자 (103 ; 제 1 전극 단자부) 가 인출되고, 타방의 단변부 (101b) 로부터는 띠 형상의 부극용 단자 (104 ; 제 2 전극 단자부) 가 인출되어 있다.
이어서,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용 단자 (103) 의 단부가 잘려 떨어진다. 이로써, 정극용 단자 (103) 의 길이 및 폭이 조제된다. 한편, 부극용 단자 (104) 의 단부가 잘려 떨어진다. 이로써, 부극용 단자 (104) 의 길이만이 조제된다. 이와 같이 정극용 단자 (103) 와 부극용 단자 (104) 를 상이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정극 및 부극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의 표면에는, 정극용 단자 (103) 및 부극용 단자 (104) 의 기단측에 플러스극 (107) 및 마이너스극 (108) 의 표시가 각각 표시된다. 이로써,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표리, 및 단자 (103, 104) 의 전극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정극용 단자 (103) 의 단부 (103a) 근방에 2 개의 고정용 구멍 (105) 이 형성된다. 부극용 단자 (104) 의 단부 (104a) 근방에 2 개의 고정용 구멍 (106) 이 형성된다.
단축전체 고정용 프레임은,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1) 이고, 플라스틱을 성형한 것이다. 프레임체 (1) 는, 상횡 프레임판부 (2) 와 하횡 프레임판부 (3) 와 좌종 프레임판부 (4 ; 일측부측 종판부) 와 우종 프레임판부 (5 ; 타측부측 종판부) 를 갖는다. 상횡 프레임판부 (2) 에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및 우종 프레임판부 (5) 가 연결된다. 하횡 프레임판부 (3) 에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및 우종 프레임판부 (5) 가 연결된다. 상횡 프레임판부 (2) 와 하횡 프레임판부 (3) 와 좌종 프레임판부 (4) 와 우종 프레임판부 (5) 로 둘러싸이는 내 프레임 (6) 은,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의 외주측부 (102b ; 가장자리부)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는, 단축전체 고정용 프레임 (1) 의 내 프레임 (6) 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 프레임 (6) 의 모서리부 (C1, C2, C3, C4) 에는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지지하는 지지구 (10, 20, 30, 40) 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지지구 (10, 20, 30, 40) 에 의해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의 봉지부 (102a) 를 지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횡 프레임판부 (2) 와 좌종 프레임판부 (4) 로 형성되는 모서리부 (C1) 에는 제 1 지지구 (10), 좌종 프레임판부 (4) 와 하횡 프레임판부 (3) 로 형성되는 모서리부 (C2) 에는 제 2 지지구 (20), 하횡 프레임판부 (3) 와 우종 프레임판부 (5) 로 형성되는 모서리부 (C3) 에는 제3 지지구 (30), 우종 프레임판부 (5) 와 상횡 프레임판부 (2) 로 형성되는 모서리부 (C4) 에는 제 4 지지부 (4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구 (10 ; 표면측 셀 지지구) 는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와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를 갖는다.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는 상횡 프레임판부 (2)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는 상횡 프레임판부 (2)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는 셀 지지부 (11a) 와 돌출부 (11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11a)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11b)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및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는 셀 지지부 (12a) 와 돌출부 (12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12a)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12b)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구 (20 ; 표면측 셀 지지구) 는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와 제 2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22) 를 갖는다.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는 하횡 프레임판부 (3)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는 하횡 프레임판부 (3)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는 셀 지지부 (21a) 와 돌출부 (21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21a)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21b)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22)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및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2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22)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22) 는 셀 지지부 (22a) 와 돌출부 (22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22a)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22b)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3 지지구 (30 ; 이면측 셀 지지구) 는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와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를 갖는다.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는 하횡 프레임판부 (3)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는 하횡 프레임판부 (3)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는 셀 지지부 (31a) 와 돌출부 (31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31a)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31b)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및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는 셀 지지부 (32a) 와 돌출부 (32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32a)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32b)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4 지지구 (40 ; 이면측 셀 지지구) 는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와 제 4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42) 를 갖는다.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는 상횡 프레임판부 (2)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는 상횡 프레임판부 (2)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는 셀 지지부 (41a) 와 돌출부 (41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41a)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41b)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4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42)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및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4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42)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를 따라 연장됨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4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42) 는 셀 지지부 (42a) 와 돌출부 (42b) 를 갖는다. 셀 지지부 (42a)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42b)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제 3, 제 4 지지구 (10, 20, 30, 40) 에 의해,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에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의 돌출부 (12b) 에는 제 1 고리부 (14) 가 형성된다. 제 1 고리부 (14)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제 4 고리부 (44) 에 걸 수 있는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이다.
좌종 프레임판부 (4) 에는 돌기부 (23) 가 형성되고 (도 2 의 (b) 참조), 돌기부 (23) 에는 제 2 고리부 (24) 가 형성된다. 제 2 고리부 (24)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제 3 고리부 (34) 에 걸 수 있는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이다.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의 돌출부 (32b) 에는 제 3 고리부 (34) 가 형성된다. 제 3 고리부 (34) 는 우종 프레임판부 (5) 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제 2 고리부 (24) 에 걸 수 있는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이다.
우종 프레임판부 (5) 에는 돌기부 (43) 가 형성되고 (도 1 의 (a) 참조), 돌기부 (43) 에는 제 4 고리부 (44) 가 형성된다. 제 4 고리부 (44) 는 좌종 프레임판부 (4) 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이고, 제 1 고리부 (14) 에 걸 수 있는 (걸어맞춤 가능한) 형상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프레임체 (1) 의 고리부끼리를 걸어맞춤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체 (1) 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와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1) 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와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1) 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 1,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1, 41) 는, 제 2,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1, 31) 보다 긴 형상이다. 이로써, 프레임체 (1) 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틀리지 않게, 복수의 프레임체 (1) 를 연결할 수 있다.
좌종 프레임판부 (4) 에는, 부극용 단자 (104) 를 지지 가능한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 표면측 전극 지지구) 가 형성된다.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는 전극 지지부 (50a) 와 돌출부 (50b) 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지지부 (50a)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50b)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우종 프레임판부 (5) 에는, 정극용 단자 (103) 를 지지 가능한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 이면측 전극 지지구) 가 형성된다.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는 전극 지지부 (60a) 와 돌출부 (60b) 와 돌기부 (62) 를 갖는다. 전극 지지부 (60a) 는,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돌출부 (60b)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에서, 프레임체 (1) 의 폭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62) 는, 전극 지지부 (60a) 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극 지지부 (60a) 보다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돌기부 (62) 에 의해, 특정 형상의 전극, 여기서는, 정극용 단자 (103) 만을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외측 측단부 (50c) 에는 고정 구멍 (51) 이 형성된다.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외측 측면부 (60c) 에는 고정 구멍 (61) 이 형성된다. 이로써, 접어 구부린 부극용 단자 (104) 및 정극용 단자 (103) 를 비스 등의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체 (1) 의 길이 방향의 단면에서, 정극용 단자 (103) 와 부극용 단자 (104) 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비스 등의 고정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정극용 단자 (103) 와 부극용 단자 (104) 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어, 단축전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로써, 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정극용 단자 (103) 및 부극용 단자 (104) 를 비스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용접이나 배선 등으로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착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부품 점수가 저감되어 제조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지지부 (50a) 와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돌출부 (60b) 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돌출부 (50b) 와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지지부 (60a) 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프레임체 (1) 를 인접하게 배치할 때에, 프레임체 (1) 의 이면에 대해 프레임체 (1) 의 표면만을 연결할 수 있음과 함께, 프레임체 (1) 의 표면에 대해 프레임체 (1) 의 이면만을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극성을 틀리지 않게 복수의 프레임체 (1) 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횡 프레임판부 (2) 의 일방의 단부측에는 절연용 프레임부 (71 ; 소프레임부) 가 형성된다. 상횡 프레임판부 (2) 의 타방의 단부측에는 절연용 프레임부 (74 ; 소(小)프레임부) 가 형성된다.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일방의 단부측에는 절연용 프레임부 (72 ; 소프레임부) 가 형성된다.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타방의 단부측에는 절연용 프레임부 (73 ; 소프레임부) 가 형성된다. 이들 절연용 프레임부 (71, 72, 73, 74)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제 2 측방측 지지대 (50, 60) 의 외측측 단부 (50c, 60c) 는, 횡 프레임판부 (2, 3)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복수의 단축전체를 연결한 조전지를 케이스 등에 수납할 때에, 케이스와 프레임체 (1) 사이에 절연 거리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정극용 단자 (103) 및 부극용 단자 (104) 를 직접 비스로 접속함으로써 외형 치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 (1) 의 강도가 증가하여, 그 강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프레임체 (1) 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절연용 프레임부 (71, 72, 73, 74) 에는 복수의 공동부 (81, 82, 83, 84)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 (81, 82, 83, 84) 는 프레임체 (1) 의 표면측 (도 3 의 (a) 의 종이면 이측, 도 3 의 (c) 의 종이면 표측) 과 프레임체 (1) 의 이면측 (도 3 의 (a) 의 종이면 표측, 도 3 의 (c) 의 종이면 이측) 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이로써, 프레임체 (1) 의 재료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프레임체 (1) 를 성형할 때의 수축 등을 줄일 수 있다.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 (3b) 은, 도 3 의 (c)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W1) 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단부측은 폭 (W1) 보다 넓은 폭 (W2) 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 (3b) 의 폭은,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단부측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 (3b) 의 상면에는 경사면 (3c)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3c) 은,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부로부터 측면측 (도 3 의 (c) 의 종이면 표측 및 종이면 이측) 을 향해,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로써, 프레임체 (1) 에 고정시킨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라미네이트 필름 (102) 이 파손되어 내부의 전해액이 흘러나왔다고 해도, 프레임체 (1)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전해액을 프레임체 (1) 로부터 외측으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횡 프레임판부 (2) 와 좌종 프레임판부 (4) 와 우종 프레임판부 (5) 는,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단부측의 폭 (W1) 과 동일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횡 프레임판부 (2) 및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는, 반원 형상의 고정 구멍 (2a, 3a)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프레임체 (1) 를 인접하게 배치했을 때에, 고정 구멍 (2a, 3a) 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이들 프레임체 (1) 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절연용 프레임부 (71, 72) 의 측부에는, 일방 (도 1 의 종이면 이측, 도 2 의 종이면 표측) 을 향해 개방된 구멍부 (71a, 72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연용 프레임부 (73, 74) 의 측부에는, 일방 (도 1 의 종이면 표측, 도 2 의 종이면 이측) 을 향해 개방된 구멍부 (73a, 74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프레임체 (1) 에 대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장착 작업에 대해,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체 (1) 를 그 폭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예를 들어,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횡 프레임판부 (2) 를 상방측, 하횡 프레임판부 (3) 를 하방측,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를 좌방측,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를 우방측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횡 프레임판부 (2) 및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정극용 단자 (103) 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상횡 프레임판부 (2) 및 하횡 프레임판부 (3) 의 길이 방향 중앙부와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거의 일치시킨다.
이어서, 도 6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전극 지지부 (50a) 상에 부극용 단자 (104) 를 배치하고,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전극 지지부 (60a) 상에 정극용 단자 (103) 를 배치한다. 여기서,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에는 돌기부 (62) 가 형성되어 있고, 도 7 의 (a) 및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에는 정극용 단자 (103) 만이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체 (1) 의 측방측 지지대 (50, 60) 에는 소정의 단자 밖에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체 (1) 에 대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잘못하여 장착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로써,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프레임체 (1)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삽입하여 반회전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당해 프레임체 (1) 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장착할 수 있다. 즉,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프레임체 (1) 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프레임체 (1) 가 1 종류로, 제조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체 (1) 가 복수 종류 있는 경우와 달리, 그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에 의하면, 제 1, 제 2, 제 3, 제 4 지지대 (10, 20, 30, 40) 를 구비하는 것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다. 이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지지대 (11, 12, 21, 22) 가 돌출부 (11b, 12b, 21b, 22b) 를 각각 갖고, 지지대 (31, 32, 41, 42) 가 돌출부 (31b, 32b, 41b, 42b) 를 각각 가짐으로써, 프레임체 (1) 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장착한 단축전체를 복수 연결할 때에 프레임체 (1) 의 방향이 각각 한정된다. 이로써, 복수의 단축전체를 직렬로 접속할 때의 작업을 잘못없이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가 돌출부 (50b) 를 갖고,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가 돌출부 (60b) 를 가짐으로써도, 프레임체 (1) 에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을 장착한 단축전체를 복수 연결할 때에 프레임체 (1) 의 방향이 각각 한정된다. 이로써,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계속해서, 상기 서술한 단축전체를 복수 연결한 조전지를 제작하는 경우에 대해, 도 8 및 도 9 그리고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단축전체를 이웃하는 단축전체의 동일 측면측에서 직렬로 접속할 수 있도록, 2 종류의 단축전체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의 (a)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용 단자 (103) 의 단부측을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외측측 단부 (60c) 를 따라 연장하고, 입각할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다. 부극용 단자 (104) 를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외측측 단부 (50c) 를 따라 연장하고, 입각할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다. 이로써, 전극 지지부 (50a, 60a) 로부터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가 제작된다.
도 8 의 (a) 의 중앙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용 단자 (103) 의 단부측을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외측측 단부 (60c) 를 따라 접어 구부린다. 부극용 단자 (104) 를 제 1 측방측 지지대 (50) 의 외측측 단부 (50c) 를 따라 접어 구부린다. 이로써, 전극 지지부 (50a, 60a) 로부터 프레임체 (1) 의 폭 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고, 제 1, 제 2 측방측 지지대 (50, 60) 의 외측측 단부 (50c, 60c) 를 따른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가 제작된다.
계속해서, 도 8 의 (b) 및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이면측과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표면측을 이웃시킨다. 이 때,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제 1 고리부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4 고리부를 걸어 맞춘다. 또한,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제 4 고리부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1 고리부 (14) 를 걸어 맞춘다.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1 측방 지지대 (50) 의 외측 측방단부 (50c) 에 있어서는,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정극용 단자 (103)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부극용 단자 (104) 를 서로 겹치게 한다. 이로써,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2 대를 연결한 조전지 (300) 가 제작된다.
계속해서, 도 8 의 (c) 및 도 9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전지 (300) 의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이면측과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표면측을 이웃시킨다. 이 때,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3 고리부와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제 2 고리부를 걸어 맞춘다. 또한,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2 고리부와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제 3 고리부 (34) 를 걸어 맞춘다.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제 2 측방측 지지대 (60) 의 외측 측방단부 (60a) 에 있어서는,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정극용 단자 (103) 와 도면 중 우측으로 배치된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부극용 단자 (104) 를 서로 겹치게 한다. 이로써,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와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3 대를 연결한 조전지 (300) 가 제작된다.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를 합한 40 대를 연결한 조전지 (300) 도,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와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의 3 대를 연결한 조전지 (300) 와 마찬가지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를 교대로 배치시킴과 함께,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및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의 표면측과 이면측을 인접하게 배치시켜, 인접하는 단축전체 (201, 202) 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조전지 (300) 가 제작된다.
따라서, 조전지 (300) 에 의하면,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1) 와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202) 를 이들의 표면과 이면을 이웃하게 배치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단축전체를 직렬로 접속한 조전지 (300) 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단축전체를 복수 연결할 때에는, 이웃하는 단축전체의 프레임체 (1) 에 의해서도, 프레임체 (1) 에 장착된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이 지지된다. 이로써,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0) 의 프레임체 (1) 에 대한 장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3 대 또는 40 대의 단축전체를 연결한 조전지 (300) 에 대해 설명했지만, 단축전체의 수량은 3 대 또는 40 대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대 연결한 조전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단축전체 고정용 프레임 및 조전지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기기 산업이나 자동차 산업 등에 있어서, 매우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프레임체 6 : 내 프레임
10 : 제 1 지지구 11 : 제 1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12 : 제 1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14 : 제 1 고리부
20 : 제 2 지지구 21 : 제 2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22 : 제 2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24 : 제 2 고리부
30 : 제 3 지지구 31 : 제 3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32 : 제 3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34 : 제 3 고리부
40 : 제 4 지지구 41 : 제 4 횡 프레임부측 지지대
42 : 제 4 종 프레임부측 지지대 44 : 제 4 고리부
50 : 제 1 측방측 지지대 60 : 제 2 측방측 지지대
100 : 외장 필름 축전체 셀 101 : 셀
102 : 라미네이트 필름 103 : 정극용 단자
104 : 부극용 단자 201 :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202 :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 300 : 조전지

Claims (12)

  1. 평판 형상의 전지 요소를 필름으로 피복한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고정시키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으로서,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외주측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에 갖는 표면측 셀 지지구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에 갖는 이면측 셀 지지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표면측 셀 지지구는,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면측 셀 지지구는,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측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셀 지지구는,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이면측 셀 지지구는,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은, 상기 전지 요소에 접속하고, 상기 필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전극 단자부를 2 조 갖고,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단자부를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에 갖는 표면측 전극 지지구와,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단자부를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를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에 갖는 이면측 전극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는,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는, 상기 내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는, 상기 프레임체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는,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에는, 고정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는, 상기 프레임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 프레임이 횡 프레임판부를 갖고,
    상기 횡 프레임판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폭이, 당해 횡 프레임판부의 단부측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판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프레임체와 연결 가능한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12. 제 7 항에 기재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내 프레임에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배치하고, 당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상기 전극 단자부를 접어 구부려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에 대해 입각시킨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와,
    제 7 항에 기재된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의 내 프레임에 상기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을 배치하고, 당해 외장 필름 축전체 셀의 상기 전극 단자부를 상기 표면측 전극 지지구 및 상기 이면측 전극 지지구의 측부를 따라 접어 구부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를 갖고,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와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가 교대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 및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의 표면측과 이면측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볼록 형상형 단축전체의 상기 전극 단자부와 상기 오목 형상형 단축전체의 상기 전극 단자가 상기 전극 지지구의 측단부에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KR1020117031693A 2009-07-02 2010-07-01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 KR101342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7512 2009-07-02
JP2009157512A JP5581616B2 (ja) 2009-07-02 2009-07-02 単蓄電体用固定枠および組電池
PCT/JP2010/061233 WO2011002051A1 (ja) 2009-07-02 2010-07-01 単蓄電体用固定枠および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566A KR20120025566A (ko) 2012-03-15
KR101342273B1 true KR101342273B1 (ko) 2013-12-16

Family

ID=4341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93A KR101342273B1 (ko) 2009-07-02 2010-07-01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81616B2 (ko)
KR (1) KR101342273B1 (ko)
CN (1) CN102473872B (ko)
WO (1) WO2011002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15B1 (ko) 2011-07-11 2013-07-10 세방전지(주) 락킹구조를 갖는 리튬전지케이스
WO2013011750A1 (ja) * 2011-07-15 2013-01-2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112611B2 (ja) * 2011-07-15 2017-04-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484426B2 (ja) * 2011-10-26 2014-05-07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ユニット
JP6112987B2 (ja) * 2013-06-20 2017-04-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112988B2 (ja) * 2013-06-20 2017-04-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KR101881120B1 (ko) * 2014-02-11 201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214538B1 (ko) * 2014-05-30 2021-02-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210461B1 (ko) * 2014-07-23 2021-02-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단위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563680B2 (ja) 2015-05-08 2019-08-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10756315B2 (en) 2016-05-30 2020-08-25 Amogreentech Co., Ltd. Heat-radiating cartridge and electric car battery pack using same
CN110739422B (zh) * 2019-09-29 2024-09-06 厦门新能达科技有限公司 电芯支架组和包含所述电芯支架组的储能装置封装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927A (ja) 2003-10-14 2005-05-1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2008186750A (ja) 2007-01-31 2008-08-14 Nok Corp 緩衝材
JP2008204816A (ja) 2007-02-20 2008-09-04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及び、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電池搭載機器
JP2008541347A (ja) 2005-06-03 2008-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構造の二次バッテリー及びそれ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450B2 (ja) * 2002-06-03 2009-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
JP4400235B2 (ja) * 2004-02-03 2010-01-20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間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927A (ja) 2003-10-14 2005-05-1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2008541347A (ja) 2005-06-03 2008-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構造の二次バッテリー及びそれ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8186750A (ja) 2007-01-31 2008-08-14 Nok Corp 緩衝材
JP2008204816A (ja) 2007-02-20 2008-09-04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及び、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電池搭載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1616B2 (ja) 2014-09-03
CN102473872A (zh) 2012-05-23
JP2011014378A (ja) 2011-01-20
WO2011002051A1 (ja) 2011-01-06
CN102473872B (zh) 2015-04-01
KR20120025566A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273B1 (ko) 단축전체용 고정 프레임 및 조전지
CN103534834B (zh) 电池组及车辆
EP2528131B1 (en) Electric storage device and insulation cover
US8673480B2 (en) Support feature for joining of battery cell tabs
JP6743664B2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CN111106300B (zh) 电池单元及电池模组
US7833657B2 (en) External cas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external case
US9029005B2 (en) Battery module structure
KR102214538B1 (ko)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210461B1 (ko) 단위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88138B1 (ko) 각주형 전기화학 셀
US10115997B2 (en)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
US2017005418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US10193109B2 (en)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
JP2019117740A (ja)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EP3246965B1 (en) Battery cell assembly
US943784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N104425783A (zh) 蓄电装置
JP2019079599A (ja) 蓄電装置
KR101884410B1 (ko) 전지팩
KR102384022B1 (ko) 배터리 팩
JP2011129310A (ja) 電池モジュール
JP5942366B2 (ja) 蓄電素子
JP5825155B2 (ja) 蓄電装置用ケース、蓄電装置及び二次電池並びに移動体
CN216354454U (zh) 电芯的端部连接结构和电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