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458B1 -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458B1
KR101339458B1 KR1020120141090A KR20120141090A KR101339458B1 KR 101339458 B1 KR101339458 B1 KR 101339458B1 KR 1020120141090 A KR1020120141090 A KR 1020120141090A KR 20120141090 A KR20120141090 A KR 20120141090A KR 101339458 B1 KR101339458 B1 KR 10133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suspension means
upright
link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욱
Original Assignee
임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욱 filed Critical 임진욱
Priority to KR102012014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458B1/ko
Priority to EP13859940.2A priority patent/EP2930095A4/en
Priority to US14/650,088 priority patent/US9284013B2/en
Priority to CN201380064111.2A priority patent/CN104936855A/zh
Priority to PCT/KR2013/011210 priority patent/WO20140883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2005/001Suspension details for cycles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2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와; 상기 한 쌍의 후륜부 사이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직립된 상태로 양 발을 올려놓고 탑승하게 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전방측과 하나의 전륜부를 연결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전륜부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륜부와, 상기 발판부는 각각 독립된 별개의 현가수단으로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탑승자가 직립 상태로 밟고 탑승하는 발판부 양쪽에 각각 별개의 독립된 현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주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예방되어 상해의 우려가 불식되는 등 안전성이 향상되고, 승차감 또한 향상되어 소비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Tricar of erect type having suspension}
본 발명은 3륜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직립 상태로 밟고 탑승하는 발판부 양쪽에 각각 별개의 독립된 현가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주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장거리 또는 단거리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탑승자가 직접 페달을 밟아 주행을 하는 자전거를 비롯하여, 화석연료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서 탑승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전기동력에 의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도 제공되어 있는데, 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20-0283894호를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직립형 3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직립형 3륜 이동장치(10)는, 양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후륜부(20)와, 이 양쪽 후륜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타서 직립을 이루게 되는 발판부(30)와, 이 발판부(3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로 파지하여 조향하는 핸들부(40)와, 이 핸들부(40)와 연결되어 좌우로 조향이 이루어지되 양쪽 후륜의 중간부위에 단독으로 하나만 설치되는 전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부(30)에 올라타서 직립된 상태로 시동을 건 후, 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전륜부(50) 및 후륜부(20)가 구동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40)를 좌우로 조절하여 진행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장소로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립형 3륜 이동장치(10)는, 탑승자가 직립 상태로 밟고 탑승하게 되는 발판부가 후륜을 감싸는 프레임과 직접 연결,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주행 중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직립형 3륜 이동장치를 탑승한 상태로 주행을 할 경우, 비포장 도로와 같이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면을 주행하거나 또는 요철 등을 넘게 될 때, 후륜부가 상하로 요동치게 되고, 이러한 요동에 따른 충격이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발판부로 전달되는바, 발판부에 직립한 상태로 탑승한 탑승자에게도 그 충격이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탑승자의 관절이나 허리 등에 무리가 가해져 건강을 해치거나 상해를 입게 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충격에 의해 주행에 따른 승차감이 현저히 저하되어 소비자 만족도가 낮아짐은 물론, 탑승자에게도 쉽게 피로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자가 직립한 상태로 밟고 탑승하는 발판부 양쪽에 각각 별개의 독립된 현가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주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켜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와; 상기 한 쌍의 후륜부 사이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직립된 상태로 양 발을 올려놓고 탑승하게 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전방측과 하나의 전륜부를 연결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전륜부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륜부와, 상기 발판부는 각각 독립된 별개의 현가수단으로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현가수단은, 각각의 후륜부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후측 프레임 공간부에 삽입,설치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와 상기 발판부의 후측 프레임 공간부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부는, 상,하,좌,우측면의 4면에 안쪽으로 라운드진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들과 각각 개별적으로 밀착지지도록 볼록형의 탄성부재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들은 상기 제2링크부의 요입홈들과 상기 발판부의 후측 프레임 공간부 4면의 내벽에 각각 개별적으로 밀착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후륜부의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에 의하면, 탑승자가 직립 상태로 밟고 탑승하는 발판부 양쪽에 각각 별개의 독립된 현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주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예방되어 상해의 우려가 불식되는 등 안전성이 향상되고, 승차감 또한 향상되어 소비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는, 양쪽에 대향되게 설치된 각각의 후륜부에 현가수단이 각각 별개의 독립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어느 한쪽 후륜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다른 한쪽 후륜부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되는바, 보다 향상된 승차감이 제공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3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배면도.
도 6은 도 3에서 현가수단이 설치되는 후륜부와 발판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후륜부와 발판부에 설치되는 현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서 현가수단이 설치되는 후륜부와 발판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후륜부와 발판부에 설치되는 현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100)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110)와, 이 한 쌍의 후륜부(11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탑승자가 직립 상태로 양 발을 올려놓고 탑승하게 되는 발판부(130)와, 이 발판부(130)의 전방측과 하나의 전륜부(120)를 연결하는 프레임(140) 및, 상기 프레임(140)의 상부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전륜부(12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발판부(130)는 프레임(140)에 의해 전륜부(120)와 연결되며, 양쪽의 후륜부(110)들과는 각각 별개의 독립된 현가수단(200)들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부(130)의 후측 프레임(132)에는 내부에 횡방향으로 일정크기의 공간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134)와 후륜부(110)의 구동축은 각각 현가수단(200)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가수단(2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륜부(110)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링크부(112)와, 이 제1링크부(112)와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발판부(130)의 후측 프레임(132) 공간부(134)에 삽입,설치되는 제2링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륜부(110)의 구동축에 대하여 제1링크부(112)는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륜부(110)가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면을 주행함에 따라 상하로 요동을 치게 될 때, 발판부(130)가 후륜부(110)와 연동하여 상하로 요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발판부(130) 후측 프레임(132)의 공간부(134)에 삽입되는 제2링크부(210)는, 그 상부면, 하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이루어진 4면에 안쪽으로 라운드진 요입홈(도면부호 미부여)으로 이루어지고, 이 요입홈들과 상기 공간부(134)의 내벽에는 각각 볼록형 탄성부재(220)가 개재됨으로써, 이 탄성부재(220)는 제2링크부(210)의 4면과 발판부(130) 후측 프레임(132)의 공간부(134) 4면측 내벽에 각각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현가수단(200)의 구성을 이루는 탄성부재(220)가 제2링크부(210)의 4면에 걸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후륜부(110)에 가해지는 충격 방향에 따라 각각 별개의 탄성부재(220)가 개별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바, 현가 기능이 향상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링크부(210)의 4면에 각각 요입홈이 형성되고, 이 요입홈들에 밀착지지되는 볼록형 탄성부재(220)가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220)는 발판부(130) 후측 프레임(132)에서 공간부(134)의 내벽 4면에 모두 밀착되는 구조라면 일체형인 것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현가수단(200)은,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11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발판부(130)에 양 발을 올려놓고 직립 상태에서 시동을 걸고 전진을 위한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전륜부(120) 및 후륜부(110)가 구동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3륜 이동장치(100)가 비포장 도로와 같이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하거나 또는 요철 등을 넘게 되면, 전륜부(120) 및 후륜부(110)가 상하로 요동을 치게 되는데, 이때 탑승자가 양 발을 올려놓게 되는 부위는 후륜부(110)들과 현가수단(200)에 의해 연결,설치된 발판부(130)의 후측 양쪽이 되는바, 상기 현가수단(200)에 의해 상하 요동에 따른 충격을 적게 받게 된다.
즉, 후륜부가 상하로 요동을 치게 될 경우, 발판부(130)와 후륜부(110)를 연결하는 현가수단(200) 중, 제1링크부(112)는 후륜부(110)의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바, 제1링크부(112)가 후륜부(110)의 상하 요동시 좌우로 왕복동 회전하면서 후륜부(110)와 연동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충격전달이 1차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112)와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발판부(130)의 후측 프레임(132) 내부 공간부(134)에 인입되는 제2링크부(210)와, 이 제2링크부(210)의 요입홈과 상기 발판부(130) 후측 프레임(132)의 공간부(134)에 형성되는 상,하,좌,우측면의 4면 내벽에 개재된 탄성부재(220)들에 의해 발판부(130)로 전달되는 일부 요동에 의한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발판부(130)로의 충격전달이 2차적으로 제한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220)들은 각각 독립된 형태로 4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후륜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의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3륜 이동장치(100)의 발판부(130)에 발을 올려놓고 직립 상태로 주행 중,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현가수단(200)에 의해 그 충격이 제한되어 발판부(130)로는 전달됨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바, 상기 발판부(130)에 직립 상태로 탑승한 탑승자에게도 충격전달이 줄어들어 결국 관절과 허리 등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해의 우려가 줄어들게 됨은 물론 그 승차감이 매우 향상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현가수단(200)은,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110)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어느 한쪽 후륜부에 전달되는 충격이 다른 한쪽 후륜부쪽으로 전달됨이 차단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현가 기능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3륜 이동장치 110 : 후륜부
112 : 제1링크부 120 : 전륜부
130 : 발판부 132 : 후측 프레임
134 : 공간부 140 : 프레임
150 : 핸들부 200 : 현가수단
210 : 제2링크부 220 : 탄성부재

Claims (4)

  1.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륜부와; 상기 한 쌍의 후륜부 사이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직립된 상태로 양 발을 올려놓고 탑승하고, 내부에 횡방향으로 일정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전방측과 하나의 전륜부를 연결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전륜부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륜부는 각각 독립된 별개의 현가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부와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후륜부 중 좌측 후륜부에 전달되는 충격이 우측 후륜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가수단은,
    각각의 후륜부 구동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후륜부의 상하 요동시 좌우로 왕복동 회전하면서 충격전달을 1차적으로 제한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의 후측 프레임 공간부에 삽입,설치되되, 상,하,좌,우측면으로 이루어진 4면에 안쪽으로 라운드진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들에 밀착되게 지지되도록 볼록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구성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발판부로 전달되는 일부 요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발판부로의 충격전달을 2차적으로 제한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들은 상기 제2링크부의 요입홈들과 상기 발판부의 후측 프레임 공간부의 내벽면 4면에 밀착지지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후륜부에 가해지는 충격 방향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후륜부의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KR1020120141090A 2012-12-06 2012-12-06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KR10133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90A KR101339458B1 (ko) 2012-12-06 2012-12-06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EP13859940.2A EP2930095A4 (en) 2012-12-06 2013-12-05 THREE-WHEEL STAND-UP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SUSPENSION MEANS
US14/650,088 US9284013B2 (en) 2012-12-06 2013-12-05 Upright three-wheeled vehicle having suspension means
CN201380064111.2A CN104936855A (zh) 2012-12-06 2013-12-05 具有避震装置的直立型三轮移动装置
PCT/KR2013/011210 WO2014088337A1 (ko) 2012-12-06 2013-12-05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90A KR101339458B1 (ko) 2012-12-06 2012-12-06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458B1 true KR101339458B1 (ko) 2013-12-06

Family

ID=499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090A KR101339458B1 (ko) 2012-12-06 2012-12-06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4013B2 (ko)
EP (1) EP2930095A4 (ko)
KR (1) KR101339458B1 (ko)
CN (1) CN104936855A (ko)
WO (1) WO20140883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215A (zh) * 2019-08-22 2019-10-29 苏州市肯达精密机械有限公司 电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7583A1 (en) * 2015-01-21 2016-07-21 Conway Bikeboards LLC Bikeboard
US10016666B2 (en) * 2015-09-04 2018-07-10 Sun Mountain Sports, Inc. Collapsible single passenger riding golf bag cart
US10179624B1 (en) * 2018-08-28 2019-01-15 Edward O'Donnell Golf trik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536U (ko) * 1974-07-15 1976-01-28
JPH082271A (ja) * 1994-06-21 1996-01-09 Komatsu Forklift Co Ltd 荷役車両における駆動軸ケースの支持構造
KR20120083129A (ko) * 2011-01-17 2012-07-25 이국환 자세복원 및 완충기능을 가지는 스쿠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1005A (en) * 1940-12-17 1941-07-29 Rubinich Anthony Foot pedal propelled vehicle
BE489488A (ko) * 1949-06-08
US3937486A (en) * 1974-08-22 1976-02-10 Weiters Albert W Tip over control for three wheeled vehicles
GB8708052D0 (en) * 1987-04-03 1987-05-07 Langton A Vehicle for sporting use
WO1989009719A1 (en) * 1988-04-14 1989-10-19 Kievsky Inzhenerno-Stroitelny Institut Suspension for a motocycle wheel
US5294140A (en) * 1990-05-25 1994-03-15 Isaac Rinkewich Self-propelled vehicle
US5328193A (en) * 1992-12-16 1994-07-12 Shiew James A Scooting and coasting golf cart tricycle
JP3366376B2 (ja) 1993-06-08 2003-01-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US6299186B1 (en) * 2000-04-28 2001-10-09 Chuan-Fu Kao Antishock structure of scooter
KR200283894Y1 (ko) 2002-05-07 2002-07-27 김상훈 전륜 직접 구동 방식 3륜 전동 스쿠터
EP1378428B1 (en) * 2002-07-05 2008-02-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tricycle with oscillation mechanism
JP4108389B2 (ja) * 2002-07-05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機構付き3輪車
US20040026883A1 (en) * 2002-08-09 2004-02-12 Ting-Hsing Chen Generator structure for a tri-wheel scooter
JP2004122870A (ja) * 2002-09-30 2004-04-22 Honda Motor Co Ltd 揺動機構付き3輪車
US20050184485A1 (en) * 2004-02-13 2005-08-25 Joseph Timmermans Folding trailer with kneeling device
KR101361028B1 (ko) * 2004-05-28 2014-02-11 에이브이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감쇠 장치
DE102007036237A1 (de) * 2007-08-02 2009-02-05 Dudek, Johann Steppfahrrad mit drei Rädern und freiem Einstieg
CN101954943A (zh) * 2009-07-13 2011-01-26 周卫平 一种人力三轮车
AT509636A1 (de) * 2010-03-11 2011-10-15 Kriechbaum Guenther Dr Roller
EE01063U1 (et) * 2011-03-30 2012-01-16 Raybike OÜ Kolmerattaline rula
DE202011050506U1 (de) * 2011-06-20 2011-08-24 Frank Titze Pendelmechanik für dreirädrige Fahrzeuge
DE102013003886B4 (de) * 2013-02-27 2018-03-01 Speedliner Mobility AG Fahrrad mit demontierbaren Hinterbau
DE202013006279U1 (de) * 2013-07-12 2013-10-24 Stefan Schroll Freizeitroller mit Antrie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536U (ko) * 1974-07-15 1976-01-28
JPH082271A (ja) * 1994-06-21 1996-01-09 Komatsu Forklift Co Ltd 荷役車両における駆動軸ケースの支持構造
KR20120083129A (ko) * 2011-01-17 2012-07-25 이국환 자세복원 및 완충기능을 가지는 스쿠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215A (zh) * 2019-08-22 2019-10-29 苏州市肯达精密机械有限公司 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14828A1 (en) 2015-11-05
EP2930095A4 (en) 2016-07-06
US9284013B2 (en) 2016-03-15
WO2014088337A1 (ko) 2014-06-12
CN104936855A (zh) 2015-09-23
EP2930095A1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58B1 (ko) 현가수단을 갖는 직립형 3륜 이동장치
US7273118B2 (en) Electric wheelchair frame
KR101716237B1 (ko) 외력 발생시 직진 주행이 유지되는 투휠 셀프밸런싱 스쿠터의 주행방법
CN203032835U (zh) 一种整体钢管结构轻量化双座电动三轮车
KR102042759B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200430105Y1 (ko) 에스보드
CN102951232A (zh) 具有双骑行模式的三轮车
CN103693149A (zh) 休闲代步车用避震装置
KR101335373B1 (ko) 전동보행기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KR101075843B1 (ko)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JP6832692B2 (ja) 不整地走行車
KR200471943Y1 (ko) 자전거용 안장
KR101339460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직립형 3륜 이동장치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KR101171760B1 (ko) 이동 기구 및 그의 충격 완충 장치
CN203222077U (zh) 一种新型三轮竞技车
KR101403919B1 (ko) 틸트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UA126426C2 (uk) Електричний транспортний засіб, який балансується (варіанти)
CN206456481U (zh) 三轮自行车
KR20180077934A (ko) 전동 주행장치
CN210126591U (zh) 一种带有安全保护装置的防摔平衡车
CN105599840A (zh) 休闲车
KR200406022Y1 (ko) 모터 보드용 데크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