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447B1 - Guardrail end terminal - Google Patents

Guardrail en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447B1
KR101339447B1 KR1020130092255A KR20130092255A KR101339447B1 KR 101339447 B1 KR101339447 B1 KR 101339447B1 KR 1020130092255 A KR1020130092255 A KR 1020130092255A KR 20130092255 A KR20130092255 A KR 20130092255A KR 101339447 B1 KR101339447 B1 KR 10133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connection flange
rail
open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용순
김건태
남경우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447B1/en
Priority to EP14786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87914A4/en
Priority to PCT/KR2014/003137 priority patent/WO20141716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bsorbing impact at the end of a guardrai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absorbing impact at the end of a guardrail which is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when vehicles are bumped at the end of the guardrail. The device for absorbing the impact at the end of the guardrail comprises: a support, a guardrail, a first connection flange, and a second connection flange.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s the groun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Description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Guardrail end terminal} Guardrail end terminal

본 발명은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의 단부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dapted to absorb a shock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rail.

가드레일조립체는 방호울타리라고 하는 것으로,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하여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거나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통계에 따르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수, 전신주, 방호울타리 등에 차량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사망사고중 가드레일조립체에 충돌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10%에 해당된다고 한다. 그리고, 국내 조사자료에 의하면 가드레일조립체의 중앙분리대 사고를 분석한 결과 측면충돌사고가 75%, 단부충돌사고가 25%의 비율이었다.The guardrail assembly is called a protective fence and is install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oad or along the edge of the roa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lane or leaving the road. However, according to statistics, 10% of the deaths caused by collisions with guardrail assemblies during deaths caused by collisions of roadside trees, telephone poles, and protective fences installed on roadsides. In addition, according to domestic survey data, side collision accidents were 75% and end collision accidents were 25%.

이와 같이 차량의 안전을 위해 설치한 가드레일조립체에 차량이 충돌하여 차량이 파손되고 인명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특히 가드레일조립체의 단부에 차량이 충돌한 경우, 가드레일조립체의 단부가 차량을 관통하여 차량 내부로 들어가 탑승자에게 직접적인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As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rail assembly installed for the safety of the vehicl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vehicle is damaged and human injury occurs.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rail assembly, the end of the guardrail assembly is In some cases, the car enters the vehicle and directly injuries the occupants.

따라서, 가드레일조립체의 단부에 차량이 충돌했을 경우에 차량이나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치의 하나로 가드레일조립체에 완충을 위한 구성을 채용하여, 가드레일조립체의 단부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의 충격을 흡수시키는 많은 기술들이 제공되었다.Therefore,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rail assembly, measures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ehicle or human life are necessary. As one of such measures, many techniques have been provided that employ a configuration for cushioning the guardrail assembly to absorb shocks when a vehicle collides at the end of the guardrail assembly.

이와 같은 기술들은 아래에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했을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Such techniques are intended to absorb shock when a vehicle crashes, as can be seen in the prior art document presented below.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12464는 가드레일의 몸체 중단부에 다수개의 길이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드레일의 측단부에 차량이 길이방향으로 충돌할 경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대를 구비하며, 가드레일을 블럭아웃을 통해 고정하고 상하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된 제1 및 제2 끼움부재를 내부로 수용하여 고정되는 지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주는 원형파이프의 상부지주와 하부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케이블을 사용하여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을 하였다.Firs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912464 has a plurality of length grooves formed on the body stop of the guard rail, and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the impact energy when the vehicle col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ide ends of the guard rail, And a support fixed to the guard rail through the block-out and accommodating t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member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separated up and down. Here, the strut is composed of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r pipe, and the side cable is reinforced by using the connecting cable.

이와 같은 구성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방법은, 가드레일에 있는 다수개의 길이홈부가 있어 정면충돌을 받게 되면 가드레일이 좌굴되어 충돌에너지가 소산된다. 즉, 가드레일의 소성변형을 이용한 것이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shock absorbing method includ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in the guard rail, and when the frontal collision is received, the guard rail is buckled and the collision energy is dissipated. That is,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guard rail is used.

하지만, 여기서는 상하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된 지주에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더브테일(Dovetail)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정면충돌방향으로는 분리되어 브레이크 어웨이가 발생하도록 하고, 측면충돌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기는 하나, 상기 플랜지의 도브테일 구조의 가공이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들고, 가드레일에 형성된 다수개의 길이홈부로 인해 측면충돌시에 가드레일이 쉽게 굴곡되어 최대충돌 변형거리가 규정값 이상으로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However, in this case, the flanges for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ces are combined in a dovetail structure in the strut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up and down, so that the brake away occurs by separating in the front collision direction and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Although the structure is not separated, the dovetail structure of the flange is difficult to process and expensive, the guardrail is easily bent during side impact due to the plurality of length grooves formed in the guard rail, the maximum impact deformation distance is more than the prescribed value The problem may be caused.

다음으로, 미국등록특허 5,775,675의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지주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주의 사이를 가드레일이 연결하는 구성에 연결케이블을 두어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을 하였다.Next, the case of US Patent No. 5,775,675 will be described. Here, the struts are constructed so that the struts are not separated from the top and bottom, and the connecting cable is placed in the structure where the guard rails are connected between the struts to reinforce the side collisions.

상기 미국등록특허에서는 정면충돌을 받게 되면 충돌헤드가 밀려들어가면서 충돌헤드의 내부 곡선구조에 의해 가드레일은 납작하게 펴지고 둥글게 말리면서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밀려나와 충돌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In the U.S. Patent, the collision head is pushed in when the frontal collision is received, and the guard rail is flattened and rolled up by the inner curved structure of the collision head to be pushe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dissipate the collision energy.

한편, 미국등록특허에서는 지주가 직사각형의 목재 또는 철재 I빔을 사용하는데, 이 자재는 재료역학의 단면계수가 정면충돌방향과 측면충돌방향으로 5배 이상의 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을 이용해 정면충돌을 받으면 지주는 부러지거나 꺾임으로써 브레이크어웨이가 발생하고, 측면충돌에서는 강도가 높아 브레이크어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차량충돌로 지주가 부러지거나 꺾여 보수해야할 경우 파손된 지주를 뽑아내고 새 지주를 땅에 타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S patent, the props use a rectangular wooden or steel I-beam, which has a cross-sectional coefficient of material dynamics that is more than five times the strength in the frontal and lateral collisions. Breakaways are generated by breaking or bending the shores, and breakaways do not occur due to high strength in side collisions.However, if the shores are broken or bent due to a vehicle collision, the broken shores are pulled out and a new shore is typed to the ground. There was a troublesome problem to do.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2464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912464 미국등록 US 5,775,675US Registered US 5,775,67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돌을 받아 다수개의 가드레일이 순차적으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충격흡수를 달성하기 위해 가드레일이 장착되는 지주를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이들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평상시에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가 정면충돌 사고시에는 일정 이상의 힘을 받게 되면 분리되도록 하고 측면 충돌시에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are firmly fixed at normal times, but are separated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if they are subjected to a certain amount of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의 분리시에 분리된 상부지주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eparated upper column to move smoothly when the separation between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상부지주의 이동이 정확한 궤적을 따라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separated upper column to occur along the correct trajecto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지주를 지면에 보다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to fix the lower column to the gr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바아와 가드레일 사이의 마찰에 의한 충격흡수를 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hock absorptio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pacer bar and the guard rai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상부지주로 구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주와, 인접한 상기 상부지주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일측 상부지주와 함께 인접한 상부지주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차례로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플랜지와, 상기 제1연결플랜지에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제1연결플랜지에서 분리되는 제2 연결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플랜지의 일단에는 인접한 지주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의 제2연결플랜지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lower column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column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lumn and a plurality of strut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guard rails which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upper column adjacent to each other and sequentially installed so as to move with respect to an adjacent upper column together with one upper column, a first connection flang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and the first connection flange. A second connection flang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flange by an external impact, and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has a second connection flange of the upper column which is separated and moved by an external impact from an adjacent strut; The guiding guide is inclined toward the ground.

상기 제1연결플랜지와 제2연결플랜지는 상기 상부지주가 외부 충격에 의해 하부지주에서 분리되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flange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by an external impact and moved.

상기 하부지주는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된다.The lower column is buried in the ground is installed.

상기 하부지주에는 고정판이 구비되어 지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lower column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is fixed by the anchor bolt on the ground.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들의 일측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고, 첫번째 상부지주와 두번째 상부지주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게 연결케이블이 설치된다.The guard rails are installed in rows along one side of the upper pillars, and connecting cables are installed so that en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pillar and the second upper pillar, respectively.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들의 양측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된다.The guard rails are installed in rows along both sides of the upper pillars.

상기 가드레일중 첫번째 것의 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받는 충돌헤드가 더 구비된다.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pact head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one of the guard rails to be impacted.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에 레일브라켓을 사용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레일브라켓에는 고정체결공이 있는 가드레일의 단부가 먼저 위치되고 이에 레일장공이 있는 가드레일의 단부가 위치되고 이에 제1스페이서바아가 위치되어 제3체결구가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 레일장공, 고정체결공 그리고 레일브라켓의 장착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된다.The guard rail is mounted to the upper circumference using a rail bracket, in which the end of the guard rail with the fastening holes is positioned first, and the end of the guard rail with the rail slot is located therein, so that the first spacer bar The third fastening hole is fastened through the first spacer bar, the rail long hole, the fastening hole, and the mounting hole of the rail bracket.

상기 가드레일은 선단에 있는 것이 후단에 있는 것의 외측에 설치는데 이들 가드레일의 레일장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3체결구에 의해 제2스페이서바아가 외측의 가드레일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3체결구가 체결되는 밀착브라켓이 내측의 가드레일의 내면에 밀착된다.The guard rail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ne at the front end, and the second spacer ba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uter guard rail by a third fastening hole that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rail holes of these guard rails. The close contact bracket to which the sphere is fastene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guard rail.

상기 레일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드레일의 외면에는 상기 제3체결구에 의해 제1스페이서바아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스페이서바아는 양단부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제3체결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의 외면에 밀착된다.The first spacer ba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in which the rail hole is formed, and the first spacer bar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at both ends, and is elastically deformed. The third fasten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상기 가드레일의 후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스페이서바아가 가드레일의 이동시에 가드레일의 내면쪽으로 안내되도록 연동턱이 더 형성된다.An interlocking jaw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guard rail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pacer bars are guid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when the guard rail moves.

상기 제1연결플랜지에는 제1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 제1개방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플랜지에는 상기 제1개방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 제2개방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들 제1 및 제2 개방체결공을 관통하여 제1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가 체결된다.A first opening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to be opened to th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the second connecting flange is open to the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Two open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are faste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상기 제1 및 제2 개방체결공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 중 측면충돌 방향쪽 가장자리로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are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edges of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상기 제1 및 제2개방체결공은 상기 상부지주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에는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개방체결공에는 제2안내경사면이 상기 제1안내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exte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circumference and open to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and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inclined surface. The two fastening holes ar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guide slope is inclined opposite to the first guide slope.

상기 제1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이 개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2개방체결공에는 막음돌기가 형성된다.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s open so that its center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visible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flanges. It is opened so that the blocking opening is formed in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posi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상기 제1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제 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노출되도록 개방되는데, 상기 제2개방체결공이 개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1개방체결공에는 막음돌기가 형성된다.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s opened so that its center is not visible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exposed when its center is seen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flanges. An opening is formed, and a b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posi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주의 상단에 상부지주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지주는 상기 하부지주에 대해 가드레일의 단부에 정면충돌이 일어날 때 분리가능하게 되어 스페이서바아와 가드레일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충돌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는 반면에, 가드레일에 측면충돌이 일어날 때는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lum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fixed to the ground, the upper column is detachable when a frontal collision occurs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with respect to the lower column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pacer bar and the guard rail. While the collision energy is absorbed by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side collision occurs in the guard rail, the upper and lower pillars are not separate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escape from the roa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guard rail end shock absorber is properly exhibited. There is.

본 발명에서는 상부지주가 분리되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소정의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제1연결플랜지와 제2연결플랜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지주 주위의 방해물에 의해 상부지주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of the upper and lower pillars ar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upwar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pillars are separated and moved. Since the movement of is not imped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more smooth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플랜지에 안내부를 두어 앞쪽의 상부지주가 이동할 때 하부지주가 앞쪽의 상부지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역시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suppor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upper upper support when the front upper support moves by placing the guide portion o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there is also an effect of smoothly operating the shock absorb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지주를 앵커고정형태로 지면에 고정하는 실시례가 있는데, 이와 같은 실시례에서는 지주의 매설을 위해 지면을 깊이 파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보다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mbodiment for fixing the lower column to the ground in the form of anchor fixing,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r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deeply dig the ground for embedding the stru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을 지주측에 고정하는 부분에서 사용하는 스페이서바아 외에 별도의 스페이서바아를 사용하므로 가드레일과 스페이서바아의 마찰이 극대화되어 충격흡수가 보다 확실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parate spacer bar is used in addition to the spacer bar used at the portion for fixing the guard rail to the support side, friction between the guard rail and the spacer bar is maximized, and the shock absorption is more sur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바아를 관통하는 제3체결구들이 모두 외측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레일장공을 관통하여 있도록 하여 스페이서바아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가드레일의 면적이 커지도록 하므로 충격흡수 능력이 더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third fastening holes penetrating the spacer bar pass through the rail holes of the guard rail install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area of the guard rails overlapping each other by the spacer bar is increased, so that the shock absorbing ability is further increased. There is a bi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충돌헤드 및 연결케이블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가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지주에 가드레일을 고정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상대 이동되면서 하부지주와 상부지주가 분리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에 정면 충돌하여 단부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에 정면 충돌하여 단부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평면도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가드레일이 지주와 결합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충돌헤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례의 선단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지주에 가드레일을 고정하고 스페이서바아가 가드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9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충돌헤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llision head and the connecting cab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rai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guard rail to the suppor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the upper and lower flang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operated because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8 is an operation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impact absorbing device is operated in a vehicle front collision with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guardrail is coupled to the suppor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lision head is moun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stal en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guardrail is fixed to the support and the spacer bar is coupled to the guardrai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lision head is moun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면(1)에는 지주(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10)는 중앙분리대나 노측 지면(1)에 설치된다. 상기 지주(10)는 하부지주(11)와 상부지주(12)로 나누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지주(11)는 대부분이 상기 지면(1)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지주(12)는 상기 하부지주(1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지주(11)와 상부지주(12)는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주(10)는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관이나, C형관, H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o FIG. 5, a strut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1. The strut 10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or or the roadside ground 1. The strut 10 is divided into a lower support 11 and an upper support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upport 11 is mostly installed on the ground 1, and the upper support 1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11 to protrude upward. The lower support 11 and the upper support 12 is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so. For example, the support 10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a C-shaped pipe, an H beam, or the like.

상기 하부지주(11)에는 그 외면에 돌출되게 회전방지판(1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판(13)은 지면 내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주(11)가 정면충돌이 발생했을 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방지판(13)은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지주(11)의 외면중 대칭되는 위치에 쌍으로 배치된다.The lower support 11 is provided with an anti-rotation plate 13 to protrude on its outer surface. The anti-rotation plate 13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serves to prevent the lower column 11 from rotating when a frontal collision occurs. The anti-rotation plate 13 is disposed in pairs at positions symmetrical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column 11 in this embodiment.

여기서 측면충돌이라 함은 차량이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의 가드레일(30)의 외면에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는 달리 정면충돌은 가드레일(30)의 단부에 가드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The side collision here means that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30 of the guard rail end shock absorber. On the contrary, the frontal collision refers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30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30.

상기 하부지주(11)의 상단에는 제1연결플랜지(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플랜지(14)는 판형상으로 상기 하부지주(11)의 상단에 하부지주(1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된다.The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11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flange 14. The first connecting flange 14 has a plate shape and protrudes more tha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11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11.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에는 제1개방체결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체결구(19)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은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의 양단에 두 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은 본 실시례에서 제1연결플랜지(1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의 일측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A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 19 to be described below passes. Four first open fastening holes 1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However, the number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s 15 depends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in this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의 개방방향은 인접한 지주(10)와 마주보는 방향에 직교한 방향, 즉 측면충돌방향이다.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formed to be open to one sid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facing the adjacent strut 10, that is,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상기 제1개방체결공(15)이 개방된 부분에는 각각 제1안내경사면(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15')은 그 연장방향이 정면충돌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First opening slopes 15 ′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s 15 are opened. The first guide slope 15 'is formed such that its extending direc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al collision direction.

한편, 상기 상부지주(12)의 하부에는 제2연결플랜지(1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플랜지(16)는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와 같은 모양으로 된다. 물론, 반드시 같은 모양으로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가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connection flange 16 is provided below the upper column 12.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4 and 16 are not necessarily made in the same shape.

상기 제2연결플랜지(16)에는 제2개방체결공(17)이 상기 제1개방체결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15)과 제2개방체결공(17)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개방체결공(17)도 일측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15)과는 달리 제2개방체결공(17)의 중심은 상기 제2연결플랜지(16)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볼 때, 측면충돌방향이나 정면충돌방향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이 되어 있다. 이에 비해 제1개방체결공(15)은 측면충돌방향으로 제1연결플랜지(15)의 가장자리에서 그 중심이 보이도록 개방되어 있다.A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s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s 15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s 17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is also opened to one side. Unlik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is based on an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As viewed from the side, it is open so that it is not visible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or the front collision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is opened so that its center is visible at th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5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상기 제2개방체결공(17)의 개방방향도 역시 정면충돌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데, 그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을 따라 제2안내경사면(17')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17')의 경사방향은 상기 제1안내경사면(15')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로 된다.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al collision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slope 17 'is inclined along one side of the opening part.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slope 17 'is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slope 15'.

한편, 상기 제2개방체결공(17)은 제2연결플랜지(16)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그 중심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2개방체결공(17)에는 각각 막음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막음돌기(18)는 상기 제2개방체결공(17)이 제2연결플랜지(16)의 측면충돌방향으로 직접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면충돌이 발생했을 때, 제1체결구(19)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가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er thereof is not directly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by being so configured to block each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The protrusion 18 is formed. The blocking protrusion 18 prevents the second opening fastening hole 17 from directly opening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so that when the side collision occurs, the first fastening hole 19 is closed. It serves to hol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4, 16)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는 제1체결구(19)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구(19)의 예로는 볼트와 너트가 있다. 상기 제1체결구(19)는 예를 들면, 제1연결플랜지(14)의 제1개방체결공(15)과 제2연결플랜지(16)의 제2개방체결공(17)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를 체결하기 위해서 총 4개의 제1체결구(19)가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4 and 16 are fastened by the first fasteners 19. Here, examples of the first fastener 19 include bolts and nuts. The first fastener 19 may, for example,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fasteners 19 are used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4 and 16.

상기 지주(10)에는 도 4 및 도 5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일브라켓(20)이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지주(12)의 상단에 아래에서 설명될 가드레일(30)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브라켓(2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브라켓(20)에는 장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브라켓(20)은 본 실시례에서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부지주(12)의 외면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아래에서 설명될 가드레일(30)이 장착되도록 한다.The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rail bracket 20, as can be seen in Figures 4 and 5, and the like. More precisely, a rail bracket 20 for mounting the guard rail 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lumn 12. Mounting holes 22 are formed in the rail bracket 20. The rail bracket 20 has a substantially 'c'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in this embodiment such that the guard rail 3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lumn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상기 레일브라켓(20)은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지주(12)에 체결된 연결구(24)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브라켓(20)이 상기 연결구(24)에 장착되는 것과 상기 연결구(24)가 상기 상부지주(12)에 체결되는 것은 모두 제2체결구(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체결구(26)는 볼트와 너트가 채용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드레일(30)이 지주(10)의 일측단을 따라서만 구비되므로, 상기 레일브라켓(20)이 상기 지주(10)의 일측편에만 있지만, 다음에 설명될 실시례에서는 가드레일이 지주의 양측에 있으므로 상기 레일브라켓(20)도 지주의 양측에 있게 된다. The rail bracket 2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24 fastened to the upper column 12 in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the rail bracket 2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24, and the connector 24 is fastened to the upper column 12 by both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26. In this case, the second fastening holes 26 employ bolts and nut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uard rail 30 is provided along only one side end of the support 10, the rail bracket 20 is on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10, but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guard rail Since the rail bracket 20 i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he rail brackets 20 are also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가드레일(30)은 일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대략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가드레일(30)은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산부(31)와 골부(32)가 길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부(31)와 골부(3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은 가드레일(30)의 양측 표면에서 서로 반대로 된다.The guard rail 3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made long in one direction. The guardrail 3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 portion 31 and the valley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inforce its streng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ak portion 31 and the valley portion 32 are alternately formed is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urfaces of the guard rail 30.

상기 가드레일(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체결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체결공(33)이 2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갯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A fixing fastening hole 3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ard rail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xing fastening holes 33 are formed, and the number may be two or more.

한편, 상기 가드레일(30)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장공(35)이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장공(35)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long hole 35 is formed in a slot shape along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ard rail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rail holes 35 are formed in almost all regions except f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30.

상기 레일장공(35)은 정면충돌이 가해졌을 때, 연결되어 있는 지주(10)에 대해 가드레일(30)이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드레일(30)을 상기 레일브라켓(20)에 체결하고 있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체결구(38)가 상기 레일장공(35)을 관통하고 있으면, 상기 제3체결구(38)는 상기 지주(10)의 레일브라켓(20)에 체결되어 있어도 상기 가드레일(30)이 일정 이상의 힘(충격)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rail slot 35 is intended to allow the guard rail 30 to move relative to the strut 10 that is connected when a frontal collision is applied. That is, when the third fastener 38 to be described below, which fastens the guard rail 30 to the rail bracket 20, penetrates the rail slot 35, the third fastener 38 is attached. The guard rail 30 can move by a forc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even when fastened to the rail bracket 20 of the support 10.

상기 가드레일(30)중 가장 단부에 사용되는 것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충돌헤드(40)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레일체결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일체결공(37)은 도 1에서 짐작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드레일(30)중 가장 단부에 사용되는 것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 양측에 한 쌍씩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결레일체결공(37)의 갯수가 반드시 본 실시례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레일체결공(37)은 가드레일(30)의 단부 일측에 2개 이상씩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충돌헤드(40)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s 37 for fastening the collision head 40 to be described below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30.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connecting rail fastening hole 37 is formed only to be used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30, a total of four are formed in one pair on both sides. Of course,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3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at shown in this embodiment. Two or more connecting rail fastening holes 37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guard rail 30. This is to firmly fix the collision head 40 without flow.

상기 가드레일(30)을 상기 지주(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밀착체결구(38)가 사용되는데, 상기 제3체결구(38)는 스페이서바아(39)를 가드레일(30)의 외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된다. 즉, 상기 제3체결구(38)는 상기 스페이서바아(39), 일측 가드레일(30)의 레일장공(35), 타측 가드레일(30)의 고정체결공(33) 그리고 상기 레일브라켓(20)의 장착공(28)을 관통해서 체결된다. 상기 제3체결구(38)로도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mount the guard rail 30 to the support 10, a close fastening hole 38 is used,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38 places the spacer bar 3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30. It is fastened in the state. That is, the third fastener 38 has the spacer bar 39, the rail slot 35 of one guard rail 30, the fastening hole 33 of the other guard rail 30, and the rail bracket 20. Fastening through the mounting hole (28). Bolts and nuts may also be used as the third fastening holes 38.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바아(39)는 상기 제3체결구(38)의 체결력이 상기 가드레일(30)에 보다 넓은 영역에 균일하게 작용하면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바아(39)은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되고, 양단부에 아주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게 연장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가드레일(3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바아(39)에도 2개의 관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Here, the spacer bar 39 serves to press while the fastening force of the third fastener 38 acts uniformly on a wider area to the guard rail 30. The spacer bar 39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have a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to have a very small inclination angle so that the spacer bar 39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30 in a slightly elastic state. Two through-holes (not shown) are also formed in the spacer bar 39.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주(10)가 다수 개 사용되고,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가드레일(30)이 장착되어 다수개의 가드레일(30)이 사용되는데, 상기 지주(10) 일측의 가드레일(30)들이 차곡차곡 겹쳐질 수 있기 위해서는 일측 가드레일(30)의 내면이 그 다음의 가드레일(30)의 외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가장 이상적으로 충격이 가해진다고 가정할 때, 일측의 다수개의 가드레일(30)이 최종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도록 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일측의 가드레일(30)의 외면이 그 다음의 가드레일(30)의 내면에 안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illars 10 are used, and guard rails 3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illar 1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guard rails 30 are used. In order for the guardrails 30 to b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guardrail 30 should be disposed so as to res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xt guardrail 30.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assuming that the impact is ideally applied, the plurality of guard rails 30 on one side may be finally stacked one by one. Of course, on the contrary, i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30 on one side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ext guard rail 30.

충돌헤드(40)는 본 발명의 장치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차량이 충돌했을 때, 충돌면을 넓게함으로서 가드레일(30) 선단이 차량으로 관통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llision head 40 is attach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tip of the guard rail 30 from penetrating into the vehicle by widening the collision surface when the vehicle collides.

상기 충돌헤드(40)에는 충돌판(41)이 구비된다. 상기 충돌판(41)은 상기 가드레일(30)의 단부에 충돌판(41) 배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충돌판(41)의 전면에는 노즈부(42)가 설치된다. 상기 노즈부(42)는 아치형상의 고밀도 PE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노즈부(42)는 운전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고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The collision head 40 is provided with a collision plate 41. The impingement plate 41 is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41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30. The nose part 42 is install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41. The nose portion 42 is made of an arc-shaped high density PE plate, the nose portion 42 is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driver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상기 충돌판(41)의 배면에는 상기 가드레일(3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레일(4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레일(44)의 횡단면 구성은 상기 가드레일(3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는 상기 연결레일(44)이 가드레일(30)에 일부가 겹쳐져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r of the impingement plate 41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ail 44 for connection with the guard rail (30).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rail 44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 rail (30). This is to allow the connection rail 44 to be partially overlapped and connected to the guard rail 30.

상기 연결레일(44)에도 제4체결구(47)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45)이 상기 연결레일체결공(3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체결구(47)를 사용하여 상기 가드레일(30)에 체결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45)과 상기 연결레일체결공(37)을 관통하여서는 제4체결구(47)가 체결되어 연결레일(44)과 가드레일(30) 사이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일(44)도 상기 제3체결구(38)와 스페이서바아(39)를 사용하여 첫번째 가드레일(30)과 함께 상기 지주(10)에 있는 레일브라켓(20)에 체결된다.A fastening hole 45 through which the fourth fastening hole 47 can penetrate the connection rail 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37 to use the fourth fastening hole 47. To be fastened to the guard rail 30. The fourth fastener 47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45 and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37 to fast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rail 44 and the guard rail 30. In addition, the connecting rail 44 is also fastened to the rail bracket 20 in the support 10 together with the first guard rail 30 by using the third fastener 38 and the spacer bar 39.

한편,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50)이 첫번째 지주(10)와 두번째 지주(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케이블(50)은 강선로우프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측면충돌에 대한 저항성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연결케이블(50)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고리(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51)는 상기 연결케이블(50)의 양단부를 각각 폐곡선모양으로 만든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a connection cable 50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support 10 and the second support 10. The connecting cable 50 is made of a steel wire rope, it is used to reinforce the resistance to side impac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cable 5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51, respectively. The connecting ring 51 is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cable 50, respectively.

상기 연결케이블(50)의 설치를 위해 첫번째 지주(10)의 일측에는 케이블브라켓(52)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브라켓(52)에 연결케이블의 일측에 있는 연결고리(51)가 걸어진다. 다음으로 두번째 지주(10)에는 상기 레일브라켓(20)에 슬리브(54)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54)를 관통하여서는 아이볼트(56)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볼트(56)의 일단에는 연결링(57)이 있어, 상기 연결케이블(50)의 타단부가 걸어진다. 상기 아이볼트(56)의 타단부에는 상기 아이볼트(56)가 상기 슬리브(54)를 관통한 상태로 너트(58)가 체결된다. 상기 아이볼트(56)에 상기 너트(58)가 체결된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50)의 장력이 조절된다.A cable bracket 5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10 for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cable 50. The connecting ring 51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cable is hooked to the cable bracket 52. Next, the sleeve 54 is fixed to the rail bracket 20 by welding on the second support 10, and an eye bolt 56 is installed through the sleeve 54. One end of the eye bolt 56 has a connection ring 57,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cable 50 is walked. The nut 58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eye bolt 56 while the eye bolt 56 penetrates the sleeve 54.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cable 5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nut 58 is fastened to the eye bolt 56.

한편, 도 9에서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9 to 12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100 unit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nly the mai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례에서는 지면(1)에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주(1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110)는 지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하부지주(111)와 상기 하부지주(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지주(112)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struts 110 are provided on the ground 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row. The support 110 is composed of a lower support 111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support 11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112.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가드레일(130)이 지주(110)의 양측을 따라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헤드(140)의 충돌판(141) 배면에는 2개의 연결레일(144)이 구비된다. 이는 가드레일(130)이 상기 상부지주(1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이다.In this embodiment, the guard rail 130 is installed along both sides of the support (110). Here, two connection rails 144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ision plate 141 of the collision head 140. This is because guard rails 130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column 112,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130)이 상기 지주(110)에 설치되는 구조, 상기 가드레일(130)들이 배열되는 구조 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이 지주(110)의 양측에 가드레일(130)이 배치되는 것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는 경우이거나, 노측이라도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드레일(130)이 지주(110)의 양측을 따라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연결케이블이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guard rail 13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110, the structure in which the guard rails 130 are arranged, and the like are almost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uch, the guard rails 1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10 in the case where the guard rails 130 are install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oad, or when the road side requires a relatively high grade. As such, when the guard rail 130 is disposed along both sides of the support 110, the connection cable may not be used.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2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enoted by 200 units, and only the mai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례에서는 하부지주(211)에 고정판(122')이 있다. 상기 고정판(122')은 하부지주(211)를 지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면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판(122')을 고정함에 의해 하부지주(211)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땅을 파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plate 211 has a fixing plate 122 '. The fixing plate 122 ′ serves to fix the lower column 211 to the ground.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dig the ground in order to install the lower column 211 on the ground by fixing the fixing plate 122 'using the anchor bolt on the ground.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부지주(211)에 설치된 제1연결플랜지(214)와 상부지주(212)에 설치된 제2연결플랜지(216)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연결플랜지(214)는 상기 하부지주(211)의 상단에 하부지주(211)의 높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플랜지(216)는 상부지주(212)의 하단에 상기 제1연결플랜지(214)와 같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211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212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is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211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211, the second connecting flange 216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212 It is installed to have the same slope as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상기 제1연결플랜지(214)와 제2연결플랜지(216)의 경사는 정면충돌시에 상부지주(212)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상부지주(212)가 이동할 때, 지주(210) 근처의 지면에 돌출되어 있는 물체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clin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pport 212 is moved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This is to ensure that when the upper column 212 is moved, it is not disturbed by an object protruding from the ground near the support 210.

상기 제1연결플랜지(214)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단부에는 안내부(2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214')는 인접해 있는 다른 상부지주(212)가 정면충돌시에 이동될 때,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212)의 제2연결플랜지(21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212)의 제2연결플랜지(216)가 다른 부분에 걸리지 않고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지주(211)의 제1연결플랜지(214) 상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guide part 214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The guide part 214 'serves to guide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of the upper support 212 that is moved when another adjacent upper support 212 is moved at the time of frontal collision.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of the upper column 212 to be moved is to be easily moved onto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of the lower column 211 is fixed to the ground without being caught in other parts. .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3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300 units are assigned t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nly the mai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례에서는 지면에 매설된 하부지주(311) 상단에는 제1연결플랜지(314)가 있는데, 상기 제1연결플랜지(314)에 안내부(3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314')는 정면충돌시에 인접한 상부지주(312)가 이동되어 올 때, 제1연결플랜지(314) 상부로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312)에 있는 제2연결플랜지(316)가 안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312)에 있는 제2연결플랜지(316)를 안내함에 의해 상부지주(312)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 first connection flange 314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311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guide portion 314 ′ protrudes from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The guide part 314 ′ has a second connection flange 316 in the upper support 312 which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when the adjacent upper support 312 is moved during a frontal collision. To be guided. By guiding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316 in the upper column 312 that is moved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upper column 312 is more smoothly.

이를 위해 상기 안내부(314')는 인접한 지주(3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연결플랜지(314)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인접한 지주(3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상기 제1연결플랜지(314)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To this end, the guide portion 314 ′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jacent support 310. That is, it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and is bent downwardly toward the adjacent support 3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ground.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4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400 units, and only the mai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례에서는 지주(410)를 구성하는 하부지주(411)가 지면에 고정판(411')에 의해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지주(411)가 지면에 매설되지 않고 지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지주(411)의 하단에는 고정판(41'')이 일체로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lumn 411 constituting the support 4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by the fixing plate 411 '. That is, the lower column 411 is fixed to the ground by anchor bolts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To this end, the lower plate 411 has a fixed plate 41 ″ integrated therein.

그리고, 상기 하부지주(411) 상단에는 제1연결플랜지(414)가 있는데, 상기 제1연결플랜지(414)에 안내부(4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414')는 정면충돌시에 인접한 상부지주(412)가 이동되어 올 때, 제1연결플랜지(414) 상부로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412)에 있는 제2연결플랜지(416)가 안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412)에 있는 제2연결플랜지(416)를 안내함에 의해 상부지주(412)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flange 414 is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411, and a guide part 414 ′ protrudes from the first connection flange 414. The guide portion 414 ′ has a second connection flange 416 in the upper column 412 which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414 when the adjacent upper column 412 is moved during a frontal collision. To be guided. By guiding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416 in the upper column 412 which is moved in this way, the upper column 412 is more smoothly moved.

이를 위해 상기 안내부(414')는 인접한 지주(4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연결플랜지(414)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인접한 지주(4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상기 제1연결플랜지(414)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To this end, the guide portion 414 ′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jacent support 410.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flange 41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and is bent downwardly toward the adjacent support 4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flange 414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다음으로, 도 16에서 도 1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5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면(1)에는 지주(5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510)는 중앙분리대나 노측 지면(1)에 설치된다. 상기 지주(510)는 하부지주(511)와 상부지주(512)로 나누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지주(511)는 대부분이 상기 지면(1)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지주(512)는 상기 하부지주(51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지주(511)와 상부지주(512)는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주(510)는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관이나, C형관, H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6 to 19. Here,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numerals of 500 units. As shown, the strut 5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1. The strut 510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or or the roadside ground 1. The support 510 is divided into a lower support 511 and an upper support 5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lumn 511 is mostly installed on the ground 1, and the upper column 512 is connected to the lower column 511 to protrude upward. The lower support 511 and the upper support 512 is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so. For example, the support 5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cross section, a C-shaped tube, and an H beam.

상기 하부지주(511)의 상단에는 제1연결플랜지(5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는 판형상으로 상기 하부지주(511)의 상단에 하부지주(51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의 선단에는 안내부(5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514')는 정면충돌시에 인접한 상부지주(512)가 이동되어 올 때, 제1연결플랜지(514) 상부로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512)에 있는 제2연결플랜지(516)가 제1연결플랜지(514)의 상면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A first connection flange 514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511.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lumn 511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511 in a plate shape. A guide portion 514 ′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first connecting flange 514. The guide portion 514 ′ has a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in the upper support 512 which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when the adjacent upper support 512 is moved during a frontal collision. Is smoothly gui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flange 514.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에는 제1개방체결공(5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체결구(519)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은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의 양단에 두 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은 본 실시례에서 제1연결플랜지(51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의 일측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A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er 519 to be described below passes. Four first open fastening holes 515 are formed at two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However, the number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s 515 depends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in this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의 중심은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볼 때, 측면충돌방향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의 개방방향은 정면충돌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데,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을 따라 제1안내경사면(51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center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open so as not to be seen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collision direction, the first guide inclined surface 515 'is inclined along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은 제1연결플랜지(514)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그 중심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에는 각각 막음돌기(515")가 형성된다. 상기 막음돌기(515")는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이 제1연결플랜지(514)의 측면충돌방향으로 직접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면충돌이 발생했을 때, 제1체결구(519)가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514,516)가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er thereof is not directly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by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opening fastening hole 515, respectively, blocking projections ( 515 "). The blocking protrusion 515" prevents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from directly opening in the side impact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so that a side collision occurs. The first fastener 519 serves to hol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514 and 516 so as not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상부지주(512)의 하부에는 제2연결플랜지(51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플랜지(516)는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와 같은 모양으로 된다. 물론, 반드시 같은 모양으로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514,516)가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is provided below the upper column 512.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514 and 516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same shape.

상기 제2연결플랜지(516)에는 제2개방체결공(517)이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과 제2개방체결공(517)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개방체결공(517)도 일측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515)과는 달리 제2개방체결공(517)의 중심은 상기 제2연결플랜지(516)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볼 때, 측면충돌방향에서 보이도록 개방이 되어 있다.A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in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The centers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also opened to one side, unlik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based on an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As seen from the side, it is open to be seen from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상기 제2개방체결공(517)의 개방방향도 역시 정면충돌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데, 그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을 따라 제2안내경사면(517')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517')의 경사방향은 상기 제1안내경사면(515')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로 된다. 상기 제2개방체결공(517)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개방체결공(517)의 개방방향은 인접한 지주(510)와 마주보는 방향에 직교한 방향, 즉 측면충돌방향이다.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al collision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slope 517 'is inclined along one side of the opening part.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slope 517 'is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slope 515'.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formed to be open to one sid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facing the adjacent strut 510, that is,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결플랜지(514)에 형성되는 제1개방체결공(515)에 대한 구성과 상기 제2연결플랜지(516)에 형성되는 제2개방체결공(517)에 대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와 반대의 위치에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개방체결공(15)과 제2개방체결공(517)의 구성이 같고,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2개방체결공(17)과 제1개방체결공(515)이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개방체결공(515,517)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514,516)중 어디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 전체의 실시례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The configuration is in the opposite position to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the same,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7) and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has the same configuration. For reference, the open fastening holes 515 and 517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514 and 516. The same is true for the embodim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514,516)는 제1체결구(519)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구(519)의 예로는 볼트와 너트가 있다. 상기 제1체결구(519)는 예를 들면, 제1연결플랜지(514)의 제1개방체결공(515)과 제2연결플랜지(516)의 제2개방체결공(517)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514,516)를 체결하기 위해서 총 4개의 제1체결구(519)가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514 and 516 are fastened by the first fastening holes 519. Examples of the first fastener 519 include a bolt and a nut.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hole 519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515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and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517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simultaneously. Is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fasteners 519 are used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514 and 516.

상기 지주(10)에는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일브라켓(520)이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지주(512)의 상단에 아래에서 설명될 가드레일(530)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브라켓(52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브라켓(520)에는 장착공(5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브라켓(520)은 본 실시례에서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부지주(512)의 외면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아래에서 설명될 가드레일(530)이 장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8, the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rail bracket 520. More precisely, a rail bracket 520 for mounting the guard rail 5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lumn 512. The rail bracket 520 has a mounting hole 522 is formed. The rail bracket 520 has a substantially 'c'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in this embodiment such that the guard rail 53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lumn 512. do.

상기 레일브라켓(520)은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지주(512)에 체결된 연결구(524)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브라켓(520)이 상기 연결구(524)에 장착되는 것과 상기 연결구(524)가 상기 상부지주(512)에 체결되는 것은 모두 제2체결구(5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체결구(526)로는 볼트와 너트가 채용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드레일(530)이 지주(510)의 양측단을 따라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브라켓(520)도 지주(510)의 양측에 있게 된다.The rail bracket 52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524 fastened to the upper column 5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l bracket 52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524 and the connector 524 is fastened to the upper column 512 by the second fastener 526. Here, the bolts and nuts are employed as the second fastening holes 526. In this embodiment, the guard rail 530 is provided along both ends of the support 510. Therefore, the rail bracket 520 is also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510.

가드레일(530)은 일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대략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가드레일(530)은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산부(531)와 골부(532)가 길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부(531)와 골부(53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은 가드레일(530)의 양측 표면에서 서로 반대로 된다.The guard rail 53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made long in one direction. The guard rail 53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idge 531 and the valley 5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reinforce its streng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aks 531 and the valleys 532 are alternately formed is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urfaces of the guard rail 530.

상기 가드레일(5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체결공(5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체결공(533)이 각각 2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갯수는 2개 이상이면 된다. 상기 고정체결공(53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3체결구(538)를 사용하여 가드레일(530)을 상기 지주(51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A fixed fastening hole 53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ard rail 5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xing fastening holes 533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number may be two or more. The fastening hole 533 is for fastening the guard rail 530 to the support 510 using the third fastener 538 to be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가드레일(530)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장공(535)이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장공(535)은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53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long hole 535 is formed in a slot shape along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ard rail 5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the rail holes 535 are formed in almost all regions except f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rail 530.

상기 레일장공(535)은 정면충돌이 가해졌을 때, 연결되어 있는 지주(510)에 대해 가드레일(530)이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드레일(530)을 상기 레일브라켓(520)에 체결하고 있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체결구(538)가 상기 레일장공(535)을 관통하고 있으면, 상기 제3체결구(538)는 상기 지주(510)의 레일브라켓(520)에 체결되어 있어도 상기 가드레일(530)이 일정 이상의 힘(충격)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rail slot 535 is to allow the guard rail 530 to move relative to the strut 510 is connected when a frontal collision is applied. That is, when the third fastening hole 538 to be described below, which fastens the guard rail 530 to the rail bracket 520, passes through the rail slot 535, the third fastening hole 538. The guard rail 530 may move by a forc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even when fastened to the rail bracket 520 of the support 510.

상기 가드레일(530)의 일측 단부, 즉 후단부에는 상기 레일장공(535)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턱(536)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턱(536)은 상기 가드레일(530)이 이동되었을 때, 후단에 있는 스페이서바아(539,539')가 이동되어온 가드레일(530)의 내면쪽으로 들어가서 가드레일(53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t one end of the guard rail 530, that is, at the rear end, an interlocking jaw 53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long hole 535. When the guard rail 530 is moved, the interlocking jaw 536 enters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to which the spacer bars 539 and 539 'at the rear end are mov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guard rail 530 is smooth. It plays a role.

상기 가드레일(530)중 가장 선단부에 사용되는 것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충돌헤드(540)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레일체결공(537)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일체결공(537)은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드레일(530)중 가장 단부에 사용되는 것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 양측에 한 쌍씩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결레일체결공(537)의 갯수가 반드시 본 실시례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레일체결공(537)은 가드레일(530)의 단부 일측에 2개 이상씩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충돌헤드(540)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537 for fastening the collision head 5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at the tip of the guard rail 530. As shown in FIG. 18,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s 537 are formed only at the ends of the guard rails 530, and a total of four pairs of pai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one end. Of course,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53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at shown in this embodiment. Two or more connecting rail fastening holes 537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guard rail 530. This is to firmly fix the collision head 540 without flow.

상기 가드레일(530)을 상기 지주(5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3체결구(538)가 사용되는데, 상기 제3체결구(538)는 제1스페이서바아(539)를 가드레일(530)의 외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된다. 즉, 상기 제3체결구(538)는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539), 외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 내측 가드레일(530)의 고정체결공(533) 그리고 상기 레일브라켓(520)의 장착공(528)을 관통해서 체결된다. 상기 제3체결구(538)로도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A third fastening hole 538 is used to mount the guard rail 530 to the support 510,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538 moves the first spacer bar 539 of the guard rail 530. It is fastened in the stat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That is, the third fastener 538 is the first spacer bar 539, the rail slot 535 of the outer guard rail 530, the fastening hole 533 of the inner guard rail 530 and the rail bracket It is fastened through the mounting hole 528 of 520. Bolts and nuts may also be used as the third fastening holes 538.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539)에 인접하여 제2스페이서바아(539')가 설치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바아(539')는 인접하는 제1스페이서바아(539)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단쪽, 즉 아래에서 설명될 충돌헤드(540) 반대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바아(539')를 관통하는 제3체결구(538)는 상기 제2스페이서바아(539'), 외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 내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을 통과해서 밀착브라켓(539")에 체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spacer bar 539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spacer bar 539. The second spacer bar 539 ′ is located at the rear end relative to the adjacent first spacer bar 539, ie opposite the collision head 5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hird fastening holes 538 penetrating the second spacer bar 539 'may include the second spacer bar 539', the rail slot 535 of the outer guard rail 530, and the inner guard rail 530. It passes through the rail hole 535 and is fastened to the close contact bracket 539 ".

상기 밀착브라켓(539")은 도 1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530)의 내면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가드레일(530)의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밀착브라켓(539")에는 체결공(539s)이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구(538)가 체결된다.As shown in FIG. 18, the close contact bracket 539 ″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A fastening hole 539 s is formed in the close contact bracket 539 ″ to fasten the third fastening hole 538.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바아(539,539')는 상기 제3체결구(538)의 체결력이 상기 가드레일(530)에 보다 넓은 영역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바아(539,539')는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되고, 양단부에 아주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게 연장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가드레일(53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바아(539,539')에도 2개의 관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어 제3체결구(538)가 관통한다.Here, the spacer bars 539 and 539 ′ serve to press the fastening force of the third fastening holes 538 uniformly to a wider area of the guard rail 530. The spacer bars 539 and 539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to have a very small inclination angl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in a slightly elastic state. Two through holes (not shown) are also formed in the spacer bars 539 and 539 'so that the third fastening holes 538 penetrate through the spacer bars 539 and 539'.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주(510)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상기 지주(510)의 양측에 각각 가드레일(530)이 장착되어 다수개의 가드레일(530)이 사용되는데, 상기 지주(510) 일측의 가드레일(530)들이 차곡차곡 겹쳐질 수 있기 위해서는 일측 가드레일(530)의 내면이 그 다음의 가드레일(530)의 외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가장 이상적으로 충격이 가해진다고 가정할 때, 일측의 다수개의 가드레일(530)이 최종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도록 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일측의 가드레일(530)의 외면이 그 다음의 가드레일(530)의 내면에 안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truts 510 are arranged and used in a row, and a plurality of guard rails 53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trut 510 to use a plurality of guard rails 530. In order for the guard rails 530 of one side to overlap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guard rail 530 should be disposed to b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xt guard rail 530.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assuming that the impact is ideally applied, a plurality of guard rails 530 on one side may be finally stacked in sequence. Of course, on the contrary, i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on one side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ext guard rail 530.

충돌헤드(540)는 본 발명 장치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차량이 충돌했을 때, 충돌면을 넓게 함으로서 가드레일(530) 선단이 차량으로 관통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llision head 540 is attach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tip of the guard rail 530 from penetrating the vehicle by widening the collision surface when the vehicle collides.

상기 충돌헤드(540)에는 충돌판(541)이 구비된다. 상기 충돌판(541)은 상기 가드레일(530)의 단부에 충돌판(541) 배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충돌판(541)의 전면에는 노즈부(542)가 설치된다. 상기 노즈부(542)는 아치형상의 고밀도 PE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노즈부(542)는 운전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고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The collision head 540 is provided with a collision plate 541. The impingement plate 541 is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541 at the end of the guard rail 530. The nose part 54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lision plate 541. The nose portion 542 is made of an arc-shaped high density PE plate, the nose portion 542 is intended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driver and improve the appearance.

상기 충돌판(541)의 배면에는 상기 가드레일(53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레일(54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레일(544)의 횡단면 구성은 상기 가드레일(53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는 상기 연결레일(544)이 가드레일(530)에 일부가 겹쳐져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connection rail 544 for connecting to the guard rail 53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ision plate 541.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rails 544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 rail 530. This is to allow the connection rail 544 to be overlapped and connected to the guard rail 530.

상기 연결레일(544)에도 제4체결구(547)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545)이 상기 연결레일체결공(53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4체결구(547)를 사용하여 상기 가드레일(530)에 체결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공(545)과 상기 연결레일체결공(537)을 관통하여서는 제4체결구(547)가 체결되어 연결레일(544)과 가드레일(530) 사이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일(544)도 상기 제3체결구(538)와 제1스페이서바아(539)를 사용하여 첫번째 가드레일(530)과 함께 상기 지주(510)에 있는 레일브라켓(520)에 체결된다.A fastening hole 545 through which the fourth fastening hole 547 penetrates the connection rail 5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537 to use the fourth fastening hole 547. To be fastened to the guard rail 530. The fourth fastener 547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545 and the connection rail fastening hole 537 to fasten between the connection rail 544 and the guard rail 530. In addition, the connection rail 544 is also fastened to the rail bracket 520 of the support 510 together with the first guard rail 530 by using the third fastener 538 and the first spacer bar 539. do.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detail.

먼저, 도 1 등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도 6에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장치는 일반적인 가드레일조립체의 단부에 있도록 설치한다.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7개의 지주(10)를 지면(1)에 설치하고,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차례로 인접하는 것끼리 일부가 겹치도록 가드레일(30)을 설치하여 차례로 적층될 수 있도록 배치되었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ure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at the end of the general guardrail assembly.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seven support posts 1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1, and the guard rails 30 may be installed to be sequentially stacked so that a part of the adjacent ones of the support posts 10 overlap each other sequentially. So that it was placed.

이 상태에서 상기 충돌헤드(40)에 차량이 정면충돌하면, 상기 충돌헤드(40)는 그 충격에 의해 밀리게 된다. 상기 충돌헤드(40)는 상기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밀리는데, 상기 연결레일(44)이 상기 가드레일(30)과 함께 상기 상부지주(12)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돌헤드(40), 연결레일(44), 제일 단부쪽의 가드레일(30), 제일 단부쪽의 가드레일(30)이 체결된 상부지주(12)가 함께 이동된다. 물론, 이때, 첫번째 지주(10)의 상기 상부지주(12)가 상기 하부지주(11)와 분리되어야 한다.In this state, when a vehicle collides in front of the collision head 40, the collision head 40 is pushed by the impact. The collision head 40 is pushed by an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ince the connection rail 44 is fastened to the upper support 12 together with the guard rail 30, the collision head 40 is applied. ), The connecting rail 44, the guard rail 30 on the first end, and the upper column 12 to which the guard rail 30 on the first end is fastened together. Of course, at this time, the upper column 12 of the first pillar (10)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lower column (11).

즉, 상기 상부지주(12)가 상기 하부지주(11)에 대해 상대 이동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와 제2연결플랜지(16)에 형성된 제1개방체결공(15)과 제2개방체결공(17)의 구성 때문이다.That is, the upper column 12 should be moved relative to the lower column 11, which is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15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17.

이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는 상부지주(12)와 하부지주(11)의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6,14)가 제1체결구(19)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고, (b)는 A방향으로 충돌을 받아 상부지주(12)가 분리되는 중간단계이며, (c)는 계속적인 충돌을 받아 상부지주(12)가 이동되어 제1체결구(19)가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밖으로 완전히 이탈되어 상부지주(12)가 하부지주(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표시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FIG. 6A,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6 and 14 of the upper column 12 and the lower column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astener 19, and (b). Is an intermediate step in which the upper column 12 is separated by the collision in the A direction, and (c) is the upper column 12 being moved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collision so that the first fastener 19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t is shown that the upper column 12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ower column 11 by completely leaving the flanges 14 and 16.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와 제2연결플랜지(16)의 결합은 이들의 외곽을 일치시키면 각각의 개방체결공(15,17)의 중심이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구(19)를 상기 개방체결공(15,17)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면 된다.Whe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open fastening holes 15 and 17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first fastening holes 19 may be fastened through the open fastening holes 15 and 17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14,16)가 체결된 상태에서, A방향(정면충돌방향)충돌을 받게 되면 제1 연결플랜지(16)는 제2안내경사면(17')에 의해 제1체결구(19)는 밖으로 밀려나가기 시작하고 x거리 이상으로 제2연결플랜지(16)가 이동하면 결합체결구(19)는 더욱 밖으로 밀려, 제1연결플랜지(14)의 제1안내경사면(15')을 따라 도 6의 (c)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이탈되어 상부지주(16)가 하부지주(14)로부터 분리된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14 and 16 are engaged, when a collision occurs in the A direction (front collision directio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6 is formed by the second guide slope 17 '. When the first fastener 19 begins to be pushed out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moves more than x distances, the first fastener 19 is further pushed out, and the first guide slope 15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is moved. 6, the upper column 16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lumn 14 by being completely detached as shown in the state (c) of FIG.

그러나, 측면충돌(A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받게 되면 제2연결플랜지(16)의 막음돌기(18)로 인해 제1체결구(19)에 걸려 상부지주(12)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However, when the side collis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A) is received, the upper column 12 is not separated by the first fastening port 19 due to the blocking projection 18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플랜지(14)와 제2연결플랜지(16)가 분리된다는 것은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지주(11)에 대해 상기 상부지주(12)가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하부지주(11)에서 분리된 상부지주(12)는 상기 가드레일(30)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한다. 물론, 상기 가드레일(30)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일브라켓(20)에 제3체결구(38)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바아(39)가 밀착된 상태를 극복해야 한다. 즉, 상기 제3체결구(38)가 일정토크로 조여진 상태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바아(39)가 상기 가드레일(30)의 골부(32)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가드레일(30)이 이동될 때,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열로 소산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14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16 means that the upper support 12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11 installed on the ground. The upper column 12 separated at 11 begins to move with the guardrail 30. Of course, in order for the guard rail 30 to move, the spacer bar 39 should be overcome by the third fastener 38 to the rail bracket 20. That is, since the spacer bar 3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leys 32 of the guard rail 30 by the state in which the third fastener 38 is tightened to a predetermined torque, when the guard rail 30 is moved. As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m dissipates as heat, the shock is absorbed.

한편, 이와 같은 가드레일(30)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가드레일(30)이 상기 충돌헤드(40) 반대쪽에서는 인접한 가드레일(30)의 고정체결공(33)을 관통한 제3체결구(38)가 상기 레일장공(35)을 관통하도록 된다. 따라서, 충돌헤드(40)쪽의 가드레일(30)의 레일장공(35)을 따라 상기 인접한 가드레일(30)의 고정체결공(33)을 관통한 제3체결구(38)가 안내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e movement of the guard rail 30, the third fastening through the fixing fastening hole 33 of the adjacent guard rail 30, the guard rail 30 opposite the collision head 40 A sphere 38 is allowed to penetrate the rail slot 35. Accordingly, the third fastening holes 38 that penetrate the fixing fastening holes 33 of the adjacent guard rails 30 are guided along the rail holes 35 of the guard rails 30 toward the collision head 40.

다음으로 두번째 가드레일(30)은 첫번째 가드레일(30)과 함께 상부지주(12)에 체결되는 제3체결구(38)가 상기 고정체결공(33)을 관통하여 있다. 따라서, 두번째 가드레일(30)과 두번째 상부지주(12)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두번째 가드레일(30)은 세번째 가드레일(30)과 함께 세번째 상부지주(12)에 체결되는 제3체결구(38)가 상기 두번째 가드레일(30)의 레일장공(35)을 관통하므로, 세번째 가드레일(30)에 대해서 이동이 가능하다.Next, the second guard rail 30 has a third fastening hole 38 fastened to the upper support 12 together with the first guard rail 30 through the fixing fastening hole 33. Thus, the second guardrail 30 and the second upper column 12 can move together. Of course, the second guard rail 30 has a third fastening hole 38 coupled to the third upper column 12 together with the third guard rail 30 penetrates the rail hole 35 of the second guard rail 30. Therefore, the third guardrail 30 can be mov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의 가드레일(30)까지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주(12)들이 서로 밀착되어 나란히 위치될 때까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st of the guard rail 30 can be continuously moved to cushion the impact until the upper pillars 12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7 and 8.

다음으로, 도 9 등에 도시된 두번째 실시례에서는 지주(110)의 양측에 가드레일(130)이 배치되어 있어 양측의 가드레일(13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부지주(112)의 이동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일어나도록 된다.Next, in the second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9 and the like, guard rails 1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10 so that the guard rails 130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mov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upper support 112 is determined. It happens along the path.

도 1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부지주(211)가 지면의 표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하부지주(211)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3, the lower column 211 can be fixed by the anchor bolt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relatively simple installation of the lower column 211 is made.

그리고, 정면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하부지주(211)의 제1연결플랜지(214)와 제2연결플랜지(216)가 분리되면서 상부지주(212)가 이동할 때, 상기 제2연결플랜지(216)의 이동방향 선단이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되어 있어 주변의 물체와 간섭없이 제2연결플랜지(216)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전체 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When the front collision occurs,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moves when the upper support 212 moves while the first connection flange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of the lower support 211 are separated. The front end of the moving direction is relatively upward,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216 can mov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object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4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는 하부지주(311)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연결플랜지(314)의 일측 단부에 안내부(314')가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314')가 인접한 지주(310)에서 분리되어 이동되어 온 상부지주(312)의 제2연결플랜지(316)를 제1연결플랜지(314) 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한다.14, the guide part 314 ′ is bent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groun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311. Therefore, the guide portion 314 ′ can guide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316 of the upper column 312, which has been separated and moved from the adjacent support 310, onto the first connection flange 314. Makes the operation smooth.

도 15에 도시된 실시례는 하부지주(411)의 고정판(411')이 앵커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서, 인접한 지주(410)의 상부지주(412)가 분리되어 이동되어 올 때, 상부지주(412)와 함께 오는 제2연결플랜지(416)를 제1연결플랜지(414) 상으로 안내하여 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15 shows that the fixing plate 411 'of the lower support 411 can be fixed to the ground by an anchor bolt, and the upper support 412 of the adjacent support 410 is separated and moved.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416 which comes with the upper column 412 is guided o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414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실시례의 동작에 대해서 중요한 것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서로 인접하여 겹쳐지는 가드레일(530)을 연결하는 것이 제1스페이서바아(539)와 제2스페이서바아(539')이다.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539)를 관통하는 제3체결구(538)는 외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 내측 가드레일(530)의 고정체결공(533)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브라켓(520)의 장착공(522)에 체결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important on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pacer bar 539 and the second spacer bar 539 'connect the guard rails 530 which overlap each other. The third fastener 538 penetrating the first spacer bar 539 penetrates the rail slot 535 of the outer guard rail 530 and the fastening hole 533 of the inner guard rail 530 to pass through the rail. The mounting hole 522 of the bracket 520 is fastened.

그리고, 제2스페이서바아(539')는 제2스페이서바아(539')를 관통하는 제3체결구(538)가 외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과 내측 가드레일(530)의 레일장공(535)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밀착브라켓(539")의 체결공(539s)에 체결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pacer bar 539 ′ has a third fastening hole 538 penetrating the second spacer bar 539 ′ between the rail hole 535 and the inner guard rail 530 of the outer guard rail 530. Through the rail long hole 535 at the same tim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539 s) of the close contact bracket (539 ").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539)뿐만 아니라 제2스페이서바아(539')도 가드레일(530)과의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흡수되는 충격이 더 커지게 된다. In such a configuration, not only the first spacer bar 539 but also the second spacer bar 539 'may absorb shock while generating friction between the guard rail 530. Therefore, the shock absorbed relatively becomes larger.

특히, 상기 연동턱(536)은 상기 가드레일(530)이 이동되어 그 후단에 있는 스페이서바아(539,539')를 만났을 때, 가드레일(530)의 후단부가 걸리지 않고, 상기 스페이서바아(539,539')들이 상기 가드레일(530)의 내면쪽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하게 되고, 상기 스페이서바아(539,539')와 가드레일(530)의 내면이 마찰을 잘 일으키도록 한다.Particularly, when the guard rail 530 is moved to meet the spacer bars 539 and 539 'at the rear end of the linkage jaw 536, the rear end of the guard rail 530 is not caught and the spacer bars 539 and 539' are disposed. Guides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and the spacer bars 539 and 539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 rail 530 cause friction.

그리고, 상기 가드레일(530)과 함께 상기 상부지주(512)가 이동할 때, 상기 상부지주(512)의 제2연결플랜지(516)는 상기 하부지주(511)의 제1연결플랜지(514)의 안내부(514')에 의해 안내되어 제1연결플랜지(514)의 상면을 따라 원활하게 안내되어 전체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일어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upport 512 moves together with the guard rail 530,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516 of the upper support 5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of the lower support 511. Guided by the guide 514 'is smoothly guid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514,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hock absorbing device occurs smoothl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상기 상부지주(12)가 상기 하부지주(11)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개방체결공(15,17)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 형태는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이들 개방체결공(15,17)들이 개방되는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모두 측면충돌방향 양측으로 되고 각각 제1 및 제2 안내경사면(15',17')이 있으나, 이들 안내경사면(15'.17')의 구체적인 구성 등은 상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15 and 17, which allow the upper column 12 to move relative to the lower column 11, to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The open form may have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ose shown.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of the open fastening holes 15 and 17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edge, and both sides are in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and there are first and second guide slopes 15 'and 17', respectively.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15 '. 17' may be different.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들에서의 각각의 구성들은 서로 조합되어 또 다른 실 시례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주(10,110,210,310,410,510)의 구성이 달리 되어 있는데, 이들 지주(10,110,210,310,410,510)의 구성은 도시된 각 실시례 들에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3의 실시례의 경사진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214,216)를 도 1 이나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 적용할 수도 있다.And, each of the compon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make another example.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s of the pillars 10, 110, 210, 310, 410, and 510 are different in each embodiment, and the structures of the pillars 10, 110, 210, 310, 410, and 510 may be variously combin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s another example, the incline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214 and 216 of the embodiment of FIG. 13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9.

또한, 상기 충돌헤드(4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레일(44,54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충돌헤드(40)가 상기 가드레일(5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rails 44 and 544 connected to the collision head 40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collision head 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guard rail 530.

1: 지면 10: 지주
11; 하부지주 12: 상부지주
14: 제1연결플랜지 15: 제1개방체결공
15': 제1안내경사면 16: 제2연결플랜지
17: 제2개방체결공 17': 제2안내경사면
19: 제1체결구 20: 레일브라켓
22: 장착공 24: 연결구
26: 제2체결구 30: 가드레일
31: 산부 32: 골부
33: 고정체결공 35: 레일장공
37: 연결레일체결공 38: 제3체결구
39: 스페이서바아 40: 충돌헤드
41: 충돌판 42: 노즈부
44: 연결레일 46: 체결장공
47: 제4체결구 50: 연결케이블
110: 지주 111: 하부지주
112: 상부지주 114: 제1연결플랜지
116: 제2연결플랜지 210: 지주
211: 하부지주 211': 고정판
212: 상부지주 214: 제1연결플랜지
214': 안내부 216: 제2연결플랜지
310: 지주 311: 하부지주
312: 상부지주 314: 제1연결플랜지
314': 안내부 316: 제2연결플랜지
410: 지주 411: 하부지주
411': 고정판 412: 상부지주
414: 제1연결플랜지 414': 안내부
416: 제2연결플랜지 419: 제1체결구
510: 지주 511; 하부지주
512: 상부지주 514: 제1연결플랜지
515: 제1개방체결공 515': 제1안내경사면
515": 막음돌기 516: 제2연결플랜지
517: 제2개방체결공 517': 제2안내경사면
519: 제1체결구 520: 레일브라켓
522: 장착공 524: 연결구
526: 제2체결구 530: 가드레일
531: 산부 532: 골부
533: 고정체결공 535: 레일장공
536: 연동턱 537: 연결레일체결공
538: 제3체결구 539: 제1스페이서바아
539': 제2스페이서바아 540: 충돌헤드
541: 충돌판 542: 노즈부
544: 연결레일 547: 제4체결구
1: floor 10: prop
11; Lower column 12: Upper column
14: First connection flange 15: First open fastening
15 ': 1st guide slope 16: 2nd connection flange
17: Second Opening Contract 17 ': Second Guide Slope
19: First fastener 20: Rail bracket
22: mounting hole 24: connector
26: Second Fastener 30: Guardrail
31: gynecology 32: valley
33: fastener 35: rail maker
37: Connecting rail fastening 38: Third fastener
39: spacer bar 40: collision head
41: crash plate 42: nose part
44: connecting rail 46: fastener
47: 4th fastener 50: connecting cable
110: Shore 111: Lower Shore
112: upper column 114: first connection flange
116: second connection flange 210: pillar
211: lower column 211 ': fixing plate
212: upper column 214: first connection flange
214 ': guide portion 216: second connection flange
310: Shore 311: Lower Shore
312: upper column 314: first connection flange
314 ′: guide portion 316: second connection flange
410: Shore 411: Lower Shore
411 ': fixed plate 412: upper column
414: first connection flange 414 ': guide part
416: second connection flange 419: first fastener
510: prop 511; Lower support
512: upper column 514: first connection flange
515: completion of first opening 515 ': first guide slope
515 ": blocking protrusion 516: second connection flange
517: second open contract 517 ': second guide slope
519: first fastener 520: rail bracket
522: mounting hole 524: connector
526: second fastener 530: guardrail
531: gynecology 532: bone
533: fastener 535: rail maker
536: Interlocking jaw 537: Connecting rail fastening
538: fastener 339: first spacer bar
539 ': Second Spacer Bar 540: Collision Head
541 collision plate 542 nose part
544: connecting rail 547: fourth fastener

Claims (16)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상부지주로 구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주와,
인접한 상기 상부지주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일측 상부지주와 함께 인접한 상부지주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차례로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플랜지와,
상기 제1연결플랜지에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제1연결플랜지에서 분리되는 제2 연결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플랜지의 일단에는 인접한 지주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이동되어 오는 상부지주의 제2연결플랜지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A prop consisting of a lower support which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support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 at which a plurality of prop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Guard rails which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upper column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stalled in order to move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upper column together with one upper column,
A first connection flang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column;
A second connection flang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flange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flange by an external impact,
Guard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is inclined toward the ground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of the upper column which is separated and moved by an external impact from the adjacent str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플랜지와 제2연결플랜지는 상기 상부지주가 외부 충격에 의해 하부지주에서 분리되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and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by an external imp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는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column is embedded in the gr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에는 고정판이 구비되어 지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and fixed to the ground by anchor bol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들의 일측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고, 첫번째 상부지주와 두번째 상부지주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게 연결케이블이 설치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ard rails are arranged in rows along one side of the upper pillars, and a connecting cable is install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second upper pilla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들의 양측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guard rails are installed in rows along both sides of the upper pilla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중 첫번째 것의 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받는 충돌헤드가 더 구비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llision head which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one of the guardrails and is impa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상부지주에 레일브라켓을 사용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레일브라켓에는 고정체결공이 있는 가드레일의 단부가 먼저 위치되고 이에 레일장공이 있는 가드레일의 단부가 위치되고 이에 제1스페이서바아가 위치되어 제3체결구가 상기 제1스페이서바아, 레일장공, 고정체결공 그리고 레일브라켓의 장착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ard rail is mounted to the upper column using a rail bracket, the end of the guard rail with a fastening hole is located first, the end of the guard rail with a rail hole is located in the rail bracket The first spacer bar is positioned so that the third fastening hole is passed through the first spacer bar, the rail long hole, the fixed fastening hole and the mounting hole of the rail bracket in order to fasten the guard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선단에 있는 것이 후단에 있는 것의 외측에 설치는데 이들 가드레일의 레일장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3체결구에 의해 제2스페이서바아가 외측의 가드레일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3체결구가 체결되는 밀착브라켓이 내측의 가드레일의 내면에 밀착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9. The guardrail of claim 8, wherein the guardrail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of the guardrail, and the second spacer ba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guardrail by a third fastening hole that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rail holes of the guardrail. Guard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fastening fastening bracke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guard rai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드레일의 외면에는 상기 제3체결구에 의해 제1스페이서바아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스페이서바아는 양단부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제3체결구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pacer ba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in which the rail long hole is formed by the third fastening hol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pacer bars extend so that both ends thereof have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guard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 rail by the third fastening hole in the elastically deformed st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의 후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스페이서바아가 가드레일의 이동시에 가드레일의 내면쪽으로 안내되도록 연동턱이 더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11.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interlocking jaw formed at a rear end of the guardrail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pacer bars are guid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guardrail when the guardrail moves.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플랜지에는 제1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 제1개방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플랜지에는 상기 제1개방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 제2개방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들 제1 및 제2 개방체결공을 관통하여 제1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가 체결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flange is formed with a first open fastening hole which opens to th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flange,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A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to be opened to an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flange, and a first fastening hole is faste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Guard rail end shock absor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방체결공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 중 측면충돌 방향쪽 가장자리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13.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s are formed to open toward edges of the side collision direction among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방체결공은 상기 상부지주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로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에는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개방체결공에는 제2안내경사면이 상기 제1안내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 fastening hole extend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pper circumference to open to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n the first A guide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guide fasten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opposite to the first guide slope in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방체결공이 개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2개방체결공에는 막음돌기가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s open so that its center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e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opened to be invisible from the edge of the connecting flange, the blocking opening is formed in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position of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2개방체결공은 그 중심이 제 1 및 제2 연결플랜지의 가장자리에서 볼 때 노출되도록 개방되는데, 상기 제2개방체결공이 개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1개방체결공에는 막음돌기가 형성되는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is opened so that its center is not visible 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lange The guard 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is open to be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edge, the first open fastening hole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position of the second open fastening hole is formed with a blocking projection.
KR1020130092255A 2013-04-18 2013-08-02 Guardrail end terminal KR101339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86109.0A EP2987914A4 (en) 2013-04-18 2014-04-11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PCT/KR2014/003137 WO2014171672A1 (en) 2013-04-18 2014-04-11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804 2013-04-18
KR20130042804 2013-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447B1 true KR101339447B1 (en) 2013-12-10

Family

ID=499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55A KR101339447B1 (en) 2013-04-18 2013-08-02 Guardrail end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987914A4 (en)
KR (1) KR101339447B1 (en)
WO (1) WO2014171672A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67B1 (en) * 2014-07-15 2014-1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d of the Median
KR101638290B1 (en) * 2015-07-27 2016-07-08 우신그린산업(주) Impact buffer structure of car collision
KR101659995B1 (en) * 2015-07-09 2016-09-26 채종술 Shockproof type end facility for road
KR101683851B1 (en) 2016-03-07 2016-12-09 (주) 금동강건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KR101749544B1 (en) 2015-10-20 2017-06-21 정도산업 주식회사 support assembly for guardrail and apparatus for guardrail terminal part impact absorption havig the same
KR101835101B1 (en) * 2014-07-04 2018-03-08 정도산업 주식회사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WO2018043867A1 (en) * 2016-08-31 2018-03-08 (주) 케이에스아이 Shock absorbing type end facility
KR20180066446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온길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KR101902962B1 (en) * 2018-01-16 2018-10-08 다스코 주식회사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1898252B1 (en) * 2017-10-12 2018-10-25 다스코 주식회사 End Structure of Guard Rai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90074116A (en)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2239903B1 (en) 2020-11-03 2021-04-13 세라코 주식회사 Shock absorp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0457B (en) * 2022-12-29 2023-08-18 山东赛纳石油科技有限公司 Well site interval guardrail with adjustable intelligent interv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8Y1 (en) 1997-04-25 1999-07-15 김기중 Guard rail reinforced safety
KR200272031Y1 (en) 2002-01-09 2002-04-13 윤길호 Guardrail
KR200281806Y1 (en) 2002-03-18 2002-07-13 안세준 Road guardrail that shock absorption and height regulation is available
KR20120007395A (en) * 2010-07-14 2012-01-20 동원엔지니어링(주) Guard rail structure with improved impact absorption and shape resilent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91355C (en) * 1986-05-01 1991-10-29 Owen S. Denman Highway barrier
US5775675A (en) 1997-04-02 1998-07-07 Safety By Design, Inc. Sequential kinking guardrail terminal system
KR100727058B1 (en) * 2006-09-21 2007-06-12 재 술 나 Guardrail for impact absorption
KR100912464B1 (en) 2007-10-18 2009-08-14 한국도로공사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KR20100007313U (en) * 2009-01-08 2010-07-16 김훈식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t buffer shock absorption packing
KR101215087B1 (en) * 2011-06-21 2012-12-24 (주)대흥이엔지 Guard fence for absorbing shock
KR101141690B1 (en) * 2011-12-06 2012-05-04 주식회사 현대표지 Guard rail having asymmetric shock absorbing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8Y1 (en) 1997-04-25 1999-07-15 김기중 Guard rail reinforced safety
KR200272031Y1 (en) 2002-01-09 2002-04-13 윤길호 Guardrail
KR200281806Y1 (en) 2002-03-18 2002-07-13 안세준 Road guardrail that shock absorption and height regulation is available
KR20120007395A (en) * 2010-07-14 2012-01-20 동원엔지니어링(주) Guard rail structure with improved impact absorption and shape resilent properti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101B1 (en) * 2014-07-04 2018-03-08 정도산업 주식회사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1471067B1 (en) * 2014-07-15 2014-1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End of the Median
KR101659995B1 (en) * 2015-07-09 2016-09-26 채종술 Shockproof type end facility for road
KR101638290B1 (en) * 2015-07-27 2016-07-08 우신그린산업(주) Impact buffer structure of car collision
KR101749544B1 (en) 2015-10-20 2017-06-21 정도산업 주식회사 support assembly for guardrail and apparatus for guardrail terminal part impact absorption havig the same
KR101683851B1 (en) 2016-03-07 2016-12-09 (주) 금동강건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WO2018043867A1 (en) * 2016-08-31 2018-03-08 (주) 케이에스아이 Shock absorbing type end facility
KR20180066446A (en)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온길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KR101964396B1 (en) * 2016-12-09 2019-04-01 주식회사 온길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KR101898252B1 (en) * 2017-10-12 2018-10-25 다스코 주식회사 End Structure of Guard Rai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90074116A (en)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2130154B1 (en) * 2017-12-19 2020-07-03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1902962B1 (en) * 2018-01-16 2018-10-08 다스코 주식회사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2239903B1 (en) 2020-11-03 2021-04-13 세라코 주식회사 Shock absorp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7914A4 (en) 2016-12-07
EP2987914A1 (en) 2016-02-24
WO2014171672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47B1 (en) Guardrail end terminal
AU742837B2 (en) Highway barrier and guardrail
ES2712149T3 (en) Security bar
JP3759259B2 (en) Highway collision buffer and its components
US7731159B2 (en) Continuous metallic system for safety barriers applicable as protection for motorcyclists made up of a bottom continuous horizontal metallic screen supported on the barrier by means of metallic arm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MX2011010257A (en) Guardrail assembly, breakaway support post for a guardrail and methods for the assembly and use thereof.
CA2804414C (en) Road safety barrier
KR101448982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101683851B1 (en)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KR101911241B1 (en) Safty guard rail structure for animail inducement
KR101670836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100855231B1 (en) Guard rail for shock absorption
KR101259931B1 (en) Guardrail end terminal
KR101036550B1 (en) Guard rail structure for impack absorption
GB2450352A (en) Wire rope vehicle restraining fence
KR101835859B1 (en) Structure of reinforcement post with guard rail for dyke
KR101328677B1 (en) A guardrail
RU2307210C2 (en) Road guard end section
KR10218557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KR101134717B1 (en) Median Strip Guardrail
KR101214012B1 (en) Two-stage guardrail
KR200148808Y1 (en) Guard rail for vehicle protection
KR101585733B1 (en)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20160027702A (en) Rail frame for guardrailes
EA003689B1 (en) Road safety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