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962B1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2962B1 KR101902962B1 KR1020180005697A KR20180005697A KR101902962B1 KR 101902962 B1 KR101902962 B1 KR 101902962B1 KR 1020180005697 A KR1020180005697 A KR 1020180005697A KR 20180005697 A KR20180005697 A KR 20180005697A KR 101902962 B1 KR101902962 B1 KR 101902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upport
- impact load
- strut
- bolt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가 배치되며, 상기 지주부는 지중에 매립된 하부지주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지주에 형성된 상,하부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체결볼트가 상기 상,하부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되,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되어 차량의 충격하중으로부터 시설물을 보호하는 충격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rut portions are disposed around a facility, the strut portion is composed of a lower strut embedded in the ground and an upper stru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lang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mpact loa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flanges. ≪ / RTI >
차량방호 안전시설이란 도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도로의 부속물로서, 주행 중 진행 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길 밖, 또는 대향차로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량이 구조물과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차량 탑승자 및 차량, 보행자 또는 도로변의 주요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을 말한다.A vehicle protection safety facility is an accessory of a road prescribed by the Road Law. It prevents the vehicle that is misguid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from departing to the outside of the road or to the opposite lane or prevents the vehicle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structure, , A facility installed to safely protect pedestrian or main facilities on the roadside.
상기 차량방호 안전시설의 종류로는 각종 차량 방호울타리, 전이구간, 단부처리시설, 충격흡수시설, 트럭탈부착용 충격흡수시설(TMA) 등이 있다.The types of the above-mentioned vehicle protection safety facilities include various kinds of vehicle protection fences, transition sections, end treatment facilities, shock absorbing facilities, and shock absorbers (TMA) for truck detachment.
그 중에서 상기 충격흡수시설은 운전자의 과실 등에 의해, 차량이 주행차로를 벗어나 도로상의 구조물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곳에 설치되며, 충격흡수시설의 기능은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을 정지토록 하거나, 방향을 교정하여 안전하게 주행차로로 복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Among them,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re is a risk that the vehicle will collide with a structure on the road out of the driving lane due to negligence of the driver, and the function of the shock absorber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 And corrects the direction to return to the driving lane safely.
또한, 운전자 위험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줄이거나, 차로 변경 등의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부수적인 기능도 있다.In addition, there ar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reduc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by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goods of the driver, and taking appropriate actions such as changing by car.
상기 충격흡수시설은 통상적으로 시설물과 차량의 충돌이 예상되는 장소 중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곳에 설치하게 되며, 충격흡수시설이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도로상의 교각이나 교대, 연결로 출구 분기점의 강성 구조물, 강성 방호울타리 혹은 방음벽의 기초 단부, 요금소 전면, 터널 및 지하차도 입구 그 외에도 도로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사고의 위험이 높다고 사료되는 장소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is usually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etween a facility and a vehicle is expected to be high, and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on a road, such as a bridge pier or an alternating road, a rigid structure of an exit bifurcation, Rigid protective fences or bases of soundproof walls, frontage of toll booths, tunnels and underground motorway entrances, and other places where the risk of accidents is high, as determined by the road manager.
충격흡수시설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1216호 '교각의 충격 흡수 시스템'(2017. 6. 5.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출원 공개된 바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61216 'Shock Absorption System of Piers' (published on June 5,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has been fil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hock absorbing facility.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교각을 중심으로 지지봉부, 충격 흡수부 및 주름판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충격흡수 레이어를 형성하고, 전방에 에어 백 충격 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충격하중을 다단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In the prior art document,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layers composed of a support rod portion, an impact absorbing portion and a corrugated plate portion are formed around a bridge pier, and an airbag impact absorbing portion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ier, so that 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can be absorbed The
그러나, 충격흡수시설에 사용되는 부재의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여 각 구성을 결합하는 것에 시공의 비효율성이 동반되었으며, 차량의 충격이 발생시 이를 복원하는데 다량의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not only are the number of members used in the shock absorbing facility large, but also the complexity of the construction is accompanied by the in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 combining each component, and the additional impact that a large amount of time and economic loss There was a problem.
또한, 충격 흡수부, 주름판부 및 에어 백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여 완충효과를 꾀하였으나, 지중에 다수의 지지봉부를 매립 시공함에 따라 차량의 충격하중이 지지봉부에 의하여 차량으로 재반사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보호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각 부품들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he corrugated plate portion and the air bag shock absorbing portion are provided to provide a cushioning effect, there is a limit that 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is reflected by the vehicle by the support bar portion a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buried in the ground, If the scale of the facility to be protected is large, there is an addition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apply the respec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격하중에 의하여 지주부가 분리되어 하중의 재반사 없이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충격하중에 의한 지주부의 분리를 특정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고, 지주부 전체가 들리거나 유동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중층구조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충격하중이 흡수될 수 있고, 그럼에도 시공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는 충격흡수 구조체를 제안하는 것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eparating a strut portion by a shock load of a vehicle, effectively absorbing an impact load without 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problem of lifting or floating of the entire periphery of the girder,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load in multiple stages by forming the structure into a middle layer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AS)는, 복수의 지주부(100)가 배치되되,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가 결속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에 가드레일(300)이 결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부(100)는 지중에 매립된 하부지주(110)의 상부에 하부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지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지주(120)의 하부에 상부 플랜지(121)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플랜지(121)는 측방향 모서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한 쌍의 수직 절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절곡부(122)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수평 절곡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주(120)의 수직 절곡부(122)와 수평 절곡부(123)가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에 측방향 모서리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체결볼트(B)가 상기 상부 플랜지(121)의 플랜지 볼트공(121a)과 하부 플랜지(111)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 그리고 수평 절곡부(123)에 상기 플랜지 볼트공(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볼트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하부 플랜지(111)의 전후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의 후방에는 체결볼트(B)가 후방의 인접된 장공형 볼트공(111a)이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충격하중에 의하여 파단 가능한 파단편(111b)이 형성되고, 한 쌍의 와이어(400)가 각 지주부(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속되되, 각각의 와이어(4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결속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와이어(400)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지주(110)에 전달하여 상,하부지주(110)(120)의 안정적인 분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112)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하부지주(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가드레일(300)은 W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단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310)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절곡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삭제delete
한편,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물(AD)는 시설물(F)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부(100)는 청구항 1의 지주부(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충격흡수 구조물(AD)는, 시설물(F)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제1 지주열(1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주열(100a)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제2 지주열(100b)이 형성되되, 상기 제1,2 지주열(100a)(100b)을 형성하는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충격하중이 중층구조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I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지주부(100)의 하부 플랜지(111)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112)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하부지주(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제2 지주열(100b)의 후방에는 복수의 지주부(100)가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후방 지주열(100c)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주열(100c)을 형성하는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직선형의 가드레일(300b)이 연속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A plurality of
그리고 제1 지주열(100a)과 후방 지주열(100c)은 하나의 지주부(100)를 공유하되, 공유되는 지주부(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가드레일(300a)과 적어도 한 쌍의 직선형 가드레일(300b)이 결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에 의하면, 하부지주의 하부 플랜지와 상부지주의 상부 플랜지를 체결볼트가 관통하도록 체결되되,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하부지주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됨으로써 하중의 재반사 없이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lower support are fastened to the upper flange so as to penetrate the fastening bolt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langes can be separated by the impact load. Can be absorbed.
또한, 상부지주의 수직 절곡부와 수평 절곡부가 하부지주의 하부 플랜지에 측방향 모서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상부지주의 분리를 전후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하부 플랜지에는 체결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장공형 볼트공이 형성되어 분리방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end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bending portion of the upper strut ar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lateral edges on the lower flange of the lower frame,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strut by the impact load can be gu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long hole type bolt hol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position, so that the separation direction can be guided more stably.
나아가, 장공형 볼트공의 후방에는 체결볼트가 후방의 인접된 장공형 볼트공이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충격하중에 의하여 파단 가능한 파단편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Further, a fastening bolt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ong hole type bolt hole, and a breakable piece is formed by an impact load so that the fastening bolt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adjacent long hole bolt hole or the outside, so that the impact load can be absorbed.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지주부 전체가 모멘트에 의하여 들리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지주의 안정적인 분리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sistance piece inclined downwardly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lower flange, so that the entire support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heard or bent by the moment due to the impact load, thereby inducing stable separation of the upper support.
뿐만 아니라, 상기 가드레일은 단면의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절곡 변형이 유도됨으로써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ard rail has a plurality of sli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bending deformation is induced by the impact load, so that the impact load can be effectively absorbed.
그리고 한 쌍의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지주의 상부 플랜지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에 결속되어 충격하중을 상부지주에 집중시킬 수 있어 상,하부지주의 분리를 바탕으로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air of wires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upper stru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ard rail, so that the impact load can be concentrated on the upper strut. Can be absorbed.
한편,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물에 의하면, 시설물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가 원호형으로 배치되고, 원호형의 가드레일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충격하중으로부터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t portions are arranged in an arcuate shape centering on a facility, and arcuate guard rail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ffectively protect a facility from an impact load.
또한, 상기 충격흡수 구조물을 중층구조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충격하중이 흡수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도 충격하중의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므로 차량과 시설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시공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formed into the middle layer structure and the impact load can be absorbed in multiple stages, the impact load can be effectively absorbed even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protect the vehicle and the facility,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체의 지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체의 지주부의 결합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체의 충격하중에 의한 변형과정을 도시한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물의 충격흡수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t of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sequence of the struts of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to 4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forming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impact loa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lan views showing a shock absorption process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AS)는,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가 결속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에 가드레일(300)이 결속되어 형성된다.1,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nnecting a connecting
상기 충격흡수 구조체(AS)는 시설물(F)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충격흡수 구조물(AD)을 구성하는 단위 구조체로서, 차량의 충격하중으로부터 차량과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충격하중이 차량에 전달되지 않고 구조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is a unit structure constituting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AD installed to protect the facility F. An impact loa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 order to protect the vehicle and the facility from 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effectively absorbed into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AS)에서 규정하는 '전방'은 지주부(100)에 결속되는 가드레일(300)에 대한 법선방향으로서 차량이 주행해 오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후방'은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The 'forward' defined by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s a normal direction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주부(100)는 하부지주(110)와 상부지주(12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주(110)는 지중에 매립되고, 상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111)가 지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부지주(120)는 하부에 상부 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지상에 노출된 하부 플랜지(111)에 상부 플랜지(121)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체결볼트(B)에 의하여 상호 결속됨으로써 하나의 지주부(100)를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B)는 상기 상,하부 플랜지(121)(111)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되,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이로써, 차량에 의한 충격하중은 가드레일을 거쳐 지주부(100)의 상부지주(120)로 전달되며, 충격하중을 수용한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의 분리과정에서 흡수 소멸된다.2, the fastening bolts B are fastened through the upper and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111)와 상부 플랜지(121)는 상호 맞닿도록 구비되므로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하여 부재의 변형이나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하부 플랜지(111)와 상부 플랜지(1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볼트(B)는 충격하중에 의하여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균등하게 충격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모서리에 4개의 체결볼트(B)가 체결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bolts B provided to penetrate the
한편, 상기 상부 플랜지(121)는 측방향 모서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한 쌍의 수직 절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절곡부(122)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수평 절곡부(123)가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상부 플랜지(121)와 수평 절곡부(123) 사이에는 수직 절곡부(122)의 길이만큼의 간격(S)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S)에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121)와 하부 플랜지(111)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이때, 상기 간격(S)은 하부 플랜지(111)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플랜지(121)와 수평 절곡부(123) 사이에 하부 플랜지(111)를 삽입하는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S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주(120)의 수직 절곡부(122)와 수평 절곡부(123) 사이의 간격(S)에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를 삽입하면, 상기 수직 절곡부(122)와 수평 절곡부(123)가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측방향 모서리를 감싸도록 구비된다.3, the
이로써, 충격하중에 의하여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로부터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 수직 절곡부(122) 및 수평 절곡부(123)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차량에 하중이 재반사됨이 없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AS)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충격하중에 의한 상부지주(120)의 분리를 특정한 전후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충격방향과 무관하게 하중방향을 특정한 가드레일(300)의 법선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F)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에는 상기 체결볼트(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장공형 볼트공(111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B)가 상기 장공형 볼트공(111a)을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In the
따라서, 충격흡수 구조체(AS)에 충격하중이 발생시 상기 체결볼트(B)가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하부 플랜지(111)의 장공형 볼트공(111a)의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므로 충격하중이 전후방향으로 수렴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impact load is applied to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S, the fastening bolts B are guided so as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또한,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도 상기 체결볼트(B)에 대응되는 위치에 플랜지 볼트공(121a)이 형성되어 체결볼트(B)가 관통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체결력이 확보되도록 상기 수평 절곡부(123)에도 상기 플랜지 볼트공(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A
한편,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의 후방에는 체결볼트(B)가 후방의 인접된 장공형 볼트공(111a)이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충격하중에 의하여 파단 가능한 파단편(111b)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astening bolt B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상기 체결볼트(B)는 충격하중에 의하여 장공형 볼트공(11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되며, 상기 장공형 볼트공(111a)의 단부에 형성된 파단편(111b)이 체결볼트(B)에 의하여 파단되는 과정에 충격하중의 일부가 흡수될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B is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112)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하부지주(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차량의 충격하중이 상부지주(12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와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가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으나, 강한 충격하중이 발생시 지주부(10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이 충격흡수 구조체(AS)에 흡수되지 못하고, 재반사되어 차량에 일부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지주(110)가 강한 충격하중에도 관성을 유지하여 상부지주(120)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저항편(112)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하부지주(110)가 넘어지거나 절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부지주(110)로부터 상부지주(120)가 분리되지 못하는 현상을 예방하여 안정적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또한, 하부지주(110)가 지중에 안정적으로 매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저항편(112)과 지면의 마찰력을 바탕으로 하부지주(11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휘된다.Further, when the
한편, 상기 가드레일(300)은 W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단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310)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절곡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격하중을 가장 먼저 수용하는 가드레일(300)은 이를 연결부재(200)를 거쳐 지주부(100)로 전달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300)의 슬릿(310)은 구조적으로 강성이 약하므로 슬릿(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W형 단면의 가드레일(300)은 자연스럽게 절곡 변형된다.As shown in FIG. 4A, the
따라서, 일부 충격하중은 상기 가드레일(300)의 절곡 변형에 의하여 흡수 소멸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변형 과정에서 충격하중이 슬릿(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의 중심에 집중되는 기술적 효과가 발휘되므로, 하중이 지주부(100)의 상부지주(12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refore, some impact loads can be absorbed and destroyed by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체(AS)는 한 쌍의 와이어(400)가 지주부(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속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4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결속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와이어(400)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지주(12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uple the pair of
상기 가드레일(300)에 가해진 충격하중은 지주부(100)의 상부지주(120)에 전달되어 하부지주(110)와 분리되는 것이나,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지주부(100)에 전체적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00)는 일측 단부가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가드레일(300)에 결속됨에 따라 충격하중의 일부를 자연스럽게 상부 플랜지(121)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충격하중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낮아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주(110)와 상부지주(120)의 안정적인 분리가 가능해진다.4A, th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400)의 타측 단부는 가드레일(300)에 형성된 슬릿(310)에 의하여 하중이 집중되는 위치인 단면의 중심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슬릿(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집중된 충격하중이 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와이어(400)에 의하여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이때, 상기 와이어(400)는 지주부(100)를 중심으로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됨으로써 편심에 의한 불균등 하중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물(AD)는 상술한 충격흡수 구조체(AS)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시설물(F)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형성된다.5,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and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물(AD)에서 규정하는 '전방'은 보호대상이 되는 시설물(F)을 기준으로 차량이 주행해 오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이와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The 'forward' defined by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F to be protecte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rearward'.
구체적으로 상기 지주부(100)는 지중에 매립된 하부지주(110)의 상부에 하부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지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지주(120)의 하부에 상부 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상,하부 플랜지(121)(111)가 맞닿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체결볼트(B)가 상기 상,하부 플랜지(121)(111)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되,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되어 차량에 의한 충격하중은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을 거쳐 지주부(100)의 상부지주(120)로 전달되며, 충격하중을 수용한 상부지주(120)는 하부지주(110)와의 분리과정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흡수 소멸된다.The upper and
이로써, 시설물(F)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고,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충격하중으로부터 시설물(F)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lurality of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 구조물(AD)는, 시설물(F)을 중심으로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제1 지주열(1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주열(100a)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지주부(100)가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제2 지주열(100b)이 형성될 수 있다.6,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제1 지주열(100a)과 제2 지주열(100b)은 동일한 가상의 원호를 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지주열(100a)의 중심점으로부터 제2 지주열(100b)의 중심점이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제1,2 지주열(100a)(100b)을 형성하는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충격하중이 중층구조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An arc-shaped
차량의 충격하중은 최초 제2 지주열(100b)에 구비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로 전달되고, 상기 충격하중에 의하여 분리되는 지주부(100)의 상,하부지주(110)(120)에 의하여 일부 충격하중이 흡수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제1 지주열(100a)에 구비된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에 충격하중을 전달함으로써 충격하중의 완전한 소진이 가능해진다.The impact load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 구조물(AD)을 중층구조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충격하중이 흡수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도 충격하중의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므로 차량과 시설물(AD)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시공의 효율성도 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7A and 7B, since the impact absorbing structure AD is formed into an intermediate layer structure, the impact load can be absorb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impact load can be effectively absorbed even with a simple structure. AD) can be stably protected, and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can be further enhanced.
한편, 상기 제1 지주열(100a)과 제2 지주열(100b)에 구비되는 지주부(100)와 연결부재(200) 및 가드레일(300a)은 상술한 충격흡수 구조체(AS)의 실시예를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충격하중의 집중과 효과적인 충격하중의 흡수가 가능하다.The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의 후방에는 체결볼트(B)가 후방의 인접된 장공형 볼트공(111a)이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충격하중에 의하여 파단 가능한 파단편(111b)이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B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또한, 상기 지주부(100)의 하부 플랜지(111)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112)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하부지주(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호형의 가드레일(300a)은 W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단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310)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절곡 변형이 유도될 수 있으며, 충격하중을 가드레일(300a)의 단면 중심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rc-shaped
나아가, 한 쌍의 와이어(400)가 지주부(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속되되, 각각의 와이어(4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결속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와이어(400)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지주(120)에 전달할 수 있다.Further, a pair of
한편, 상기 제2 지주열(100b)의 후방에는 복수의 지주부(100)가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후방 지주열(100c)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지주열(100c)을 형성하는 각각의 지주부(100)에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직선형의 가드레일(300b)이 연속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이로써, 본 발명의 충격흡수 구조물(AD)은 다른 구조물과는 불연속적으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방호 울타리 구조와 연속적인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물과 시각적인 연속성은 물론 시공상의 연속성도 확보할 수 있다.Thus,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not only as a discontinuous independent structure from other structures but also as a barrier fence structure and a continuous structure, Not only visual continuity but also construction continuity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제1 지주열(100a)과 후방 지주열(100c)은 하나의 지주부(100)를 공유하되, 공유되는 지주부(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가드레일(300a)과 적어도 한 쌍의 직선형 가드레일(300b)이 결합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다수의 제1,2 지주열(100a)(100b) 및 후방 지주열(100c)을 시공함에 있어서도 가드레일(300)간의 설치과정에서 간섭이나 시공의 비효율성이 발생함이 없이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기술적 이점이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an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체(AS) 및 이를 이용한 충격흡수 구조물(AD)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and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us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other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can be practiced in a specific form.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충격흡수 구조체 AD:충격흡수 구조물
100:지주부 100a:제1 지주열
100b:제2 지주열 100c:후방 지주열
110:하부지주 111:하부 플랜지
111a:장공형 볼트공 111b:파단편
112:저항편 120:상부지주
121:상부 플랜지 121a:플랜지 볼트공
122:수직 절곡부 123:수평 절곡부
200:연결부재 300:가드레일
300a:원호형 가드레일 300b:직선형 가드레일
400:와이어 F:시설물AS: shock absorbing structure AD: shock absorbing structure
100: Supporting
100b:
110: lower support 111: lower flange
111a:
112: Resistance piece 120: Upper support
121:
122: vertical bent portion 123: horizontal bent portion
200: connecting member 300: guard rail
300a:
400: Wire F: Facility
Claims (11)
상기 지주부(100)는 지중에 매립된 하부지주(110)의 상부에 하부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지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지주(120)의 하부에 상부 플랜지(121)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플랜지(121)는 측방향 모서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한 쌍의 수직 절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절곡부(122)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한 쌍의 수평 절곡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주(120)의 수직 절곡부(122)와 수평 절곡부(123)가 하부지주(110)의 하부 플랜지(111)에 측방향 모서리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체결볼트(B)가 상기 상부 플랜지(121)의 플랜지 볼트공(121a)과 하부 플랜지(111)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 그리고 수평 절곡부(123)에 상기 플랜지 볼트공(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볼트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하부 플랜지(111)의 전후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11)에 형성된 장공형 볼트공(111a)의 후방에는 체결볼트(B)가 후방의 인접된 장공형 볼트공(111a)이나 외부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충격하중에 의하여 파단 가능한 파단편(111b)이 형성되고,
한 쌍의 와이어(400)가 각 지주부(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결속되되, 각각의 와이어(4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지주(120)의 상부 플랜지(121)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300)에 결속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와이어(400)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지주(120)에 전달하여 상,하부지주(110)(120)의 안정적인 분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조체.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00 are arranged and a connecting member 200 is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parts 100 and a guard rail 3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200, ),
The support part 100 is formed so that a lower flange 111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lower support 110 buried in the ground and expos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flange 121 is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120 ,
The upper flange 121 has a pair of vertical bent portions 122 formed by bending a lower side edge of the lower flange 121 and a pair of horizontal bent portions 123 bent to face the vertical bent portions 122 And the vertical bending portion 122 and the horizontal bending portion 123 of the upper support 120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lateral edges of the lower flange 111 of the lower support 110,
The fastening bolt B is inserted into the flange bolt hole 121a of the upper flange 121 and the elongated bolt hole 111a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lower flange 111 and the flange bolt hole And the upper strut 120 and the lower strut 110 are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wer flange 111 by an impact load through the auxiliary bolt hole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lange 111, ,
The fastening bolt B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long bolt hole 111a formed in the lower flange 111 and the adjacent fastening bolt hole 111a in the rear side or the breakable piece 111b are formed,
A pair of wires 400 are symmetrically coup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100 so that one end of each wire 400 is bound to the upper flange 121 of the upper support 120,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guard rail 300 is transmitted to the upper strut 120 based on the wire 4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truts 110 and 120 can be stably To thereby induce sepa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상기 하부 플랜지(111)의 전방에는 하부로 경사진 저항편(112)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한 하부지주(1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sistance piece (112) inclined downward is formed in front of the lower flange (111) to prevent the flow of the lower strut (110) due to an impact load.
상기 가드레일(300)은 W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단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310)이 형성되어 충격하중에 의하여 절곡 변형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ard rail 300 is formed to have a W-shaped cross-section, and a plurality of slits 31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so that bending deformation is induced by an impact loa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697A KR10190296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697A KR10190296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2962B1 true KR101902962B1 (en) | 2018-10-08 |
Family
ID=6386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697A KR10190296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96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903B1 (en) * | 2020-11-03 | 2021-04-13 | 세라코 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5661B1 (en) * | 2007-02-21 | 2007-12-14 | 고삼석 | A fix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ence prop |
KR101339447B1 (en) * | 2013-04-18 | 2013-12-10 | 신도산업 주식회사 | Guardrail end terminal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697A patent/KR1019029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5661B1 (en) * | 2007-02-21 | 2007-12-14 | 고삼석 | A fix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ence prop |
KR101339447B1 (en) * | 2013-04-18 | 2013-12-10 | 신도산업 주식회사 | Guardrail end termina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903B1 (en) * | 2020-11-03 | 2021-04-13 | 세라코 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38523A (en) |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 |
CA2562204C (en) |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 |
US7104720B2 (en) |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 |
CN102084065B (en) |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 |
KR20120066903A (en) | Guard fence for bridge | |
KR101445347B1 (en) | A crash cushion equipment using fracture splitting | |
US9051699B2 (en) |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 |
KR101902962B1 (en) | An Impact Absorbing Structure | |
KR102057125B1 (en) | Crash-Cushion | |
JP3577497B2 (en) | Road protection device | |
KR101256454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JPS6012484B2 (en) | road protection barrier | |
KR100872039B1 (en) | Shock Absorption Rail | |
KR101898252B1 (en) | End Structure of Guard Rai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938143B1 (en) | Semi-rigid cable barrier and asymmetrical slip block-out thereof | |
KR20040086115A (en) | A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guardrail | |
KR100457890B1 (en) | Shock guard road guardrail | |
KR100380184B1 (en) | A Guide Rail For Shock Absorbing Of The Road | |
JP3658525B2 (en) | End shock absorber | |
JP2004156426A (en) |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guardrail | |
KR101181429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200357085Y1 (en) | Protection apparatus for road | |
KR101585734B1 (en) |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 |
KR200245934Y1 (en) | A median strip of guid rail | |
CN218027385U (en) | Highway protective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