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62B1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9362B1 KR101339362B1 KR1020130092235A KR20130092235A KR101339362B1 KR 101339362 B1 KR101339362 B1 KR 101339362B1 KR 1020130092235 A KR1020130092235 A KR 1020130092235A KR 20130092235 A KR20130092235 A KR 20130092235A KR 101339362 B1 KR101339362 B1 KR 101339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connection member
- main body
- preflex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 또는 강합성 빔에 프리플렉스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상기 강재인 본체의 어느 한쪽 단부에 강재인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되, 모멘트와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단계;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본체와 제1연결부재의 양단부를 지지부재에 거치하는 거치단계; 상기 지지부재에 본체와 제1연결부재가 거치 된 상태에서 본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콘크리트 시공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양생단계 이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본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재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몇 가지 상태의 하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인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추가적인 하중을 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체에 추가적인 하중을 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20 : 제2연결부재 130 : 콘크리트 블록
200 : 지지대
Claims (5)
- 강재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 또는 강합성 빔에 프리플렉스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상기 강재인 본체의 어느 한쪽 단부에 강재인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되, 휨 모멘트와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연결단계;
상기 연결단계에서 연결된 본체와 제1연결부재의 양단부를 지지부재에 거치하는 거치단계;
상기 지지부재에 본체와 제1연결부재가 거치 된 상태에서 본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콘크리트 시공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본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강재인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되, 휨 모멘트와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단계는 제1연결부재의 하나의 단부와 제2연결부재의 하나의 단부를 각각 지지부재에 거치하며,
상기 분리단계에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 이전에,
상기 제1연결부재 또는 제2연결부재에 상기 콘크리트의 자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하중을 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 이전에,
상기 본체에 상기 콘크리트의 자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하중을 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는 모두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235A KR101339362B1 (ko) | 2013-08-02 | 2013-08-02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235A KR101339362B1 (ko) | 2013-08-02 | 2013-08-02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9362B1 true KR101339362B1 (ko) | 2013-12-09 |
Family
ID=4998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2235A KR101339362B1 (ko) | 2013-08-02 | 2013-08-02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936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1734A (zh) * | 2019-06-12 | 2019-09-17 | 湖南城市学院 | 一种预弯预应力梁施加应力装置及其施工方法 |
KR20190127016A (ko) | 2018-05-03 | 2019-11-13 | 하창준 | 복합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1226A (ko) * | 1998-09-28 | 2000-04-25 | 이무일 | 분할공법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제조방법 |
JP2001123578A (ja) | 1999-09-03 | 2001-05-08 | Min Se Koo | プレフレックスビームの製作方法 |
-
2013
- 2013-08-02 KR KR1020130092235A patent/KR1013393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1226A (ko) * | 1998-09-28 | 2000-04-25 | 이무일 | 분할공법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제조방법 |
JP2001123578A (ja) | 1999-09-03 | 2001-05-08 | Min Se Koo | プレフレックスビームの製作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7016A (ko) | 2018-05-03 | 2019-11-13 | 하창준 | 복합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시공방법 |
CN110241734A (zh) * | 2019-06-12 | 2019-09-17 | 湖南城市学院 | 一种预弯预应力梁施加应力装置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849831A (zh) | 用于使用预制底板和钢管混凝土桁架梁来顶推/建造桥梁的方法 | |
CN104018581A (zh) | 一种预应力混凝土f板及框架结构体系 | |
CN216663807U (zh) | 索塔上横梁结构及索塔 | |
CN105275253A (zh) | 等径杆立杆器及其使用方法 | |
JP2021031884A (ja) | 橋梁上部工撤去工法 | |
KR101339362B1 (ko)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방법 | |
KR101293838B1 (ko) |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 |
CN203583884U (zh) | 一种外爬架跟进式卸料平台 | |
KR101359884B1 (ko) | 프리플렉스 하중 재하 장치 | |
CN209836767U (zh) | 标准化预制箱梁 | |
KR101660888B1 (ko) | 매립형 가압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용거더 및 그 시공방법 | |
CN114000426B (zh) | 索塔及其施工工艺 | |
KR101527752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 |
CN109839306A (zh) | 一种跨索斜拉桥试验加载装置及其组装方法 | |
CN203795311U (zh) | 多肢高墩同滑施工装置 | |
JP6905556B2 (ja) | トラス橋の部材取替方法及び架替方法 | |
JP2019056230A (ja) | トラス構造物の部材取替方法 | |
KR101358879B1 (ko) | 구속 콘크리트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방법 | |
CN203613464U (zh) | 滑模施工物资运输装置 | |
CN102777036A (zh) | 一种超长竖向钢筋笼空中反向机械连接施工方法 | |
CN104912333A (zh) | 墙体施工系统及施工方法 | |
CN113047186B (zh) | 一种桥梁加固装置 | |
KR101765845B1 (ko) |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i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529170B1 (ko) | 프리플렉스 하중 및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재하 방법 | |
CN103669219B (zh) | 多肢高墩同滑施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