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161B1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161B1
KR101339161B1 KR1020120077833A KR20120077833A KR101339161B1 KR 101339161 B1 KR101339161 B1 KR 101339161B1 KR 1020120077833 A KR1020120077833 A KR 1020120077833A KR 20120077833 A KR20120077833 A KR 20120077833A KR 101339161 B1 KR101339161 B1 KR 10133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amp assembly
heat sink
heat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김동현
박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102012007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7Organic material, e.g. filled polymer composites; Thermo-conductive additives or coa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5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된 히트 싱크, 상기 고정 돌기가 관통하는 장착 홀에 의해 상기 히트 싱크에 장착되는 광원부, 및 상기 고정 돌기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utomotive lamp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램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등과 같은 광원을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차량용 램프는 광원에서는 발생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리플렉터(Reflector)를 구비하며, 리플렉터의 반사면에는 알루미늄이나 은분과 같은 반사 계수가 높은 물질을 증착시켜 코팅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광원 이외에 리플렉터와 렌즈를 별도로 구비하였고, 더 나아가 리플렉터의 반사면과 렌즈의 구성은 광의 반사와 출사 및 확산과 같은 여러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패턴화 및 코팅 작업 등이 추가되어야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며, 공정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램프를 도입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해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에게 가장 취약한 것은 온도이다.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더욱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되고, 고온의 열은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급격하게 발광 효율이 떨어지므로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정션 온도를 높이거나 주위의 온도를 낮추는 방열 장치를 갖추어야 하지만 정션 온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방열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광 산포 등과 같이 배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유동을 최소화하여 배광 효율이 저하되는 방지하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유동을 최소화시켜 배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된 히트 싱크, 상기 고정 돌기가 관통하는 장착 홀에 의해 상기 히트 싱크에 장착되는 광원부, 및 상기 고정 돌기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히트 싱크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를 통해 광원부 및 광 가이드부를 장착함으로써 광원부나 광 가이드부의 유동에 의해 배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트 싱크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로 인한 추가적인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광 가이드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히트 싱크에 의해 광 가이드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조립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의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의 결합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는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는 전조등, 미등, 차폭등, 안개등 및 주간 주행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차량에서 설치되는 위치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히트 싱크(100)는 광원부(200)로부터 발생된 열로 인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원부(200)로부터 발생된 열을 빠르게 전도하여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100)가 히트 스프레드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형상에 따라 히트 파이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히트 싱크(100)는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가 장착되는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두 개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개수, 형성 위치, 형상 등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레이아웃이나 방열 효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광원(210) 및 광원(210)이 장착되는 기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21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아웃이나 광량 등의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이외에도 벌브 광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판(220)은 광원(210)의 점멸 및 광량 제어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판(220)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형상에 대한 자유도나 설치에 대한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20)에는 광원부(200)가 히트 싱크(1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 홀(221, 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200)는 기판(220)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 홀(221, 222)에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각각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히트 싱크(100)에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300)는 광원부(200)가 장착된 히트 싱크(100)의 일면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광 가이드부(300)에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일단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홈(310, 3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 및 복수의 고정 홈(310, 320)에 의해 광 가이드부(300)는 광원부(200)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 홈(310, 320)의 개수, 형성 위치, 형상 등은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1에서는 광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310, 320) 형상이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일단 형상에 따라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일단이 구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3과 같이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일단 측면에 볼록 형상의 돌출부(110a, 120a)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에 상응하여 복수의 고정 홈(310, 32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 및 복수의 고정 홈(310, 320)의 형상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광 가이드부(300)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홈(310, 320)에 의해 결합 위치가 정렬되고 지지될 수 있으며, 광 가이드부(300)의 결합은 광 가이드부(30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도 1에서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광 가이드부(300)의 결합은 광 가이드부(30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 가이드부(300)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가이드부(30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만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광 가이드부(300)가 히트 싱크(1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에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가 장착되기 때문에 히트 싱크(100)와 더불어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의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으로 인해 배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에 의해 추가적인 방열 효율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1에 비하여 히트 싱크(100) 및 광원부(200) 사이에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열전도부(400)가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는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광 가이드부(300) 및 열전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열전도부(400)는 히트 싱크(100)와 광원부(200) 사이에서 보다 빠른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열전도부(400)는 열전도성 금속 기판이나 열전도성 플라스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전도부(400)로 열전도성 금속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열전도성 금속 기판으로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구리 및 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열전도성 금속 기판 대신에 열전도성 플라스틱 기판이나 겔 타입의 액상 물질 등이 사용될 수도 있고, 열전도성 접착 패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열전도부(400)가 열전도성 금속 기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열전도부(400)는 전술한 광원부(200)의 기판(220)과 유사하게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 홀(410, 420)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 홀(410, 420)에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관통되어 삽입됨으로써 히트 싱크(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히트 싱크(100), 열전도부(400) 및 광원부(200)는 서로 밀착되어 열전도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및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히트 싱크(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광원부(200), 광 가이드부(300) 및 열전도부(400)를 히트 싱크(100)에 장착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200)와 광 가이드부(300)가 히트 싱크(10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를 통해 장착되므로, 광원부(200)에서 발생되는 열뿐만 아니라, 광 가이드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도도 가능하여 추가적인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광원(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 경우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가 지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 등과 같이 경사지게 설치될 때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지면을 기준으로 광원(2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자연 대류 현상, 즉 온도 차이로 인해 저절로 공기의 유동이 생겨 열의 전파가 이루어지게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 집중 현상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자연 대류 현상 등을 고려하여 광원(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00)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의 개수, 형성 위치 및 형상 등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레이아웃이나 방열 효율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 및 도 4는 하나의 광원부(2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형상이나 용도 등에 따라 광원부(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광원부(200)는 전술한 도 1 또는 도 2의 구조 등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200)가 도 1의 구조로 형성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는 도 5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각 광원부(200)가 단차를 가지며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도면 부호를 생략하였으나, 도면 부호가 생략된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도면 부호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복수의 히트 싱크(100) 및 광원부(200)가 서로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복수의 히트 싱크(100) 및 광원부(200)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100), 기판(220) 및 열전도부(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100) 및 광원부(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그에 따라 광 가이드부(30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광 가이드부(300) 및 열전도부(400)는 서로 결합되거나 각각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1의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광 가이드부(300)의 양 끝단에 결합 돌기(330)가 형성되고, 히트 싱크(100)에 결합 홈(130)이 형성되어 서로 후크 결합될 수도 있고, 도 8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 부재(5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가이드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에 전술한 후크 결합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차체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및 열전도부(400)도 전술한 광 가이드부(300)의 결합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각각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1)의 양 끝단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에 의해 광원부(200), 광 가이드부(300) 및 열전도부(400)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조립이 간소화되고 별도의 체결 부재 등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방열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9는 히트 싱크(100)와 광원부(200) 사이에 열전도부(400)가 형성되지 않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은, 먼저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형성된 히트 싱크(100)의 일면에 광원부(200)를 장착하게 된다(S110). 즉, 광원부(200)에서 광원(210)이 장착되는 기판(220)에 복수의 장착 홀(221, 222)을 형성하고,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를 복수의 장착 홀(221, 222)에 관통시켜 삽입시킴으로써 히트 싱크(100)의 일면에 광원부(200)가 밀착되도록 장착시킬 수 있다.
광원부(200)를 히트 싱크(100)에 장착한 이후, 광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310, 320)에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를 삽입시켜 광 가이드부(300)를 장착하게 된다(S12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10은 도 9와는 달리 히트 싱크(100)와 광원부(200) 사이에 열전도부(400)가 형성되는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은, 먼저 히트 싱크(100)에 열전도부(400)를 장착하게 된다(S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열전도부(400)가 열전도성 금속 기판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열전도부(400)는 열전도부(40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 (410, 420)을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가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서로 장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100)에 열전도부(400)가 장착되면, 광원부(200)를 히트 싱크(100)에 장착하게 된다(S220). 즉, 광원부(200)에서 광원(210)이 장착되는 기판(220)에는 복수의 장착 홀(221, 222)을 형성하여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를 삽입시킴으로써 히트 싱크(100)에 광원부(2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광원부(200)를 히트 싱크(100)에 장착한 이후, 광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310, 320)에 히트 싱크(10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110, 120)의 일단을 삽입시켜 광 가이드부(300)를 장착하게 된다(S230).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조립 공정은 광원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온도나 램프의 형상 및 방열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도 9 및 10에서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같은 결합 공정은 생략되어 있으나, 히트 싱크(100), 광원부(200) 및 광 가이드부(30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히트 싱크
110, 120: 고정 돌기
130: 결합 홈
200: 광원부
210: 광원
220: 기판
221, 222: 장착 홀
300: 광 가이드부
310, 320: 고정 홈
330: 결합 돌기
400: 열전도부
410, 420: 관통 홀

Claims (10)

  1.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된 히트 싱크;
    상기 고정 돌기가 관통하는 장착 홀에 의해 상기 히트 싱크의 일면에 장착되는 광원부; 및
    상기 장착 홀을 관통한 상기 고정 돌기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및 상기 광원부 사이에 장착되는 열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열전도성 금속 기판 및 열전도성 플라스틱 기판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고정 돌기가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장착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홀은,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히트 싱크 또는 차체 일측에 후크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히트 싱크 또는 차체 일측에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0120077833A 2012-07-17 2012-07-17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33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33A KR101339161B1 (ko) 2012-07-17 2012-07-17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33A KR101339161B1 (ko) 2012-07-17 2012-07-17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161B1 true KR101339161B1 (ko) 2013-12-09

Family

ID=4998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33A KR101339161B1 (ko) 2012-07-17 2012-07-17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1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274A (zh) * 2016-08-30 2017-01-11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车灯结构及具有该车灯结构的车辆
CN106439741A (zh) * 2016-10-17 2017-02-22 武汉通畅汽车电子照明有限公司 一种led线路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9973914A (zh) * 2017-12-07 2019-07-05 法雷奥照明公司 用于机动车辆的灯模块
WO2022188089A1 (zh) * 2021-03-11 2022-09-15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光学组件安装结构、车灯照明装置、车灯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1121A (ja) * 2006-05-17 2007-11-2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KR20090002601U (ko) * 2007-09-11 2009-03-16 (주)넥손 방열판 기능이 결합된 발광다이오드 리플렉터
KR20110021474A (ko) * 2009-08-26 2011-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162268B1 (ko) * 2011-10-13 2012-07-04 (주)프리모 차량용 엘이디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1121A (ja) * 2006-05-17 2007-11-2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KR20090002601U (ko) * 2007-09-11 2009-03-16 (주)넥손 방열판 기능이 결합된 발광다이오드 리플렉터
KR20110021474A (ko) * 2009-08-26 2011-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162268B1 (ko) * 2011-10-13 2012-07-04 (주)프리모 차량용 엘이디램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274A (zh) * 2016-08-30 2017-01-11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车灯结构及具有该车灯结构的车辆
CN106322274B (zh) * 2016-08-30 2019-12-06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车灯结构及具有该车灯结构的车辆
CN106439741A (zh) * 2016-10-17 2017-02-22 武汉通畅汽车电子照明有限公司 一种led线路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6439741B (zh) * 2016-10-17 2023-01-06 武汉通畅汽车电子照明有限公司 一种led线路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9973914A (zh) * 2017-12-07 2019-07-05 法雷奥照明公司 用于机动车辆的灯模块
WO2022188089A1 (zh) * 2021-03-11 2022-09-15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光学组件安装结构、车灯照明装置、车灯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606B2 (en) Streetlight
KR101087744B1 (ko) 차량용 램프
KR100998247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JP5435757B2 (ja) 自動車用led照明ランプ及び自動車led照明ランプ用ヒートシンク
US9097400B2 (en) Automotive headlamp
KR101339161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397604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039070A1 (en) Lamp with front facing heat sink
JP2013175391A (ja) 車両用前照灯
KR10137524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140788B1 (ko) 차량용 램프
US20180172234A1 (en) Lamp unit, and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using same
JP2013045688A (ja) 車両用灯具のカプラ固定構造
KR20160116575A (ko) 차량용 램프
KR101099572B1 (ko) Led 조명장치
CN203757550U (zh) 一种反射式汽车led前大灯模组
KR101683624B1 (ko) 차량용 led 램프
CN114646037A (zh) 车灯装置
KR20180078011A (ko) 차량용 램프
KR20130062202A (ko) 엘이디 가로등 램프 헤드
KR101300148B1 (ko) 방열구조형 엘이디 자동차 전조등
KR200456130Y1 (ko) 헤드램프용 방열장치
KR20160000297U (ko) 차량용 램프의 방열 장치
EP2587123B1 (en) Automotive headlamp
TWM460801U (zh) 車燈之led發光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