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878B1 -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878B1
KR101338878B1 KR1020127017757A KR20127017757A KR101338878B1 KR 101338878 B1 KR101338878 B1 KR 101338878B1 KR 1020127017757 A KR1020127017757 A KR 1020127017757A KR 20127017757 A KR20127017757 A KR 20127017757A KR 101338878 B1 KR101338878 B1 KR 10133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row
connection
row housing
housing
plu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507A (ko
Inventor
카스텐 토르너
피터 쉬테우버잔트
토마스 오젤케
Original Assignee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9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로우 하우징(12)을 터미널 요소(10)에 연결하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 영역(22)이 터미널 요소(10)를 단일 로우 하우징(12)에 연결하기 위하여 단일 로우 하우징(12) 상에 제공되고, 터미널 영역(22)은 단일 로우 하우징(12) 내에 제공된 인쇄 회로 보드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 요소(10)는 플러그 콘택(24)을 이용하여 터미널 영역(22)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장치{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단일 로우 하우징(single-row housing)을 연결 요소('연결 부재'라고도 함)에 연결하는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 로우 하우징은 DE 10 2006 057 604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단일 로우 하우징은 스위치 캐비넷 내에서의 배열을 위한 산업상의 제어 기술에 대한 전기 구축 유닛으로서 설계된다. 단일 로우 하우징은 캡 레일(cap rail)과 같은 마운팅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단일 로우 하우징은 폭보다 상당히 더 큰 길이를 가지며, 이에 의해 단일 로우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설계되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은 마운팅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단일 로우 하우징은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여러 레벨을 가지며, 이러한 레벨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지나간다. 따라서, 단일 로우 하우징의 폭이 설계되어, 하나의 연결 영역이 단일 로우 하우징의 측부로 각 레벨에 대하여 설계된다.
연결 영역('연결 영역부'라고도 함)은 연결 요소가 단일 로우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는 영역이다. 보통, 연결 영역은 하우징에 연결 요소 또는 도체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류 타입의 터미널 또는 스프링으로 로딩되는 터미널 형태의 연결 클램프를 가진다.
그러나, 여기서의 문제점은, 스크류 타입의 터미널 또는 스프링으로 로딩되는 터미널 형태의 연결 클램프의 제공 때문에, 연결 요소는 시간이 소모되는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만 연결 영역에 부착될 수만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하게 관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로우 하우징을 연결 요소에 연결하는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목적을 위한 해결 방안은 청구항 1의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표시된다.
단일 로우 하우징을 연결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은 연결 요소를 단일 로우 하우징과 연결하기 위한 단일 로우 하우징 상에 제공된 연결 영역을 가지며, 연결 영역은 하우징 내에 제공된 인쇄 회로 보드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플러그 콘택을 이용하여 연결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 요소가 플러그 콘택으로 연결 영역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요소는 단일 로우 하우징 및/또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 짧은 시간 구간 내에서 그리고 도구를 이용할 필요 없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은 바람직하게는 인쇄 회로 보드와 같은,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전자 장치의 초기 단부에 연결되는 도전성 전자기계 콘택으로서 설계된다. 플러그 콘택은 제1 단부에 가로질러 배치된 단부로 연결 요소와 연결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나사 연결, 스프링으로 로딩된 연결 또는 직접적인 푸쉬-인 연결을 이용하여 연결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지된 종래 기술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 도체가 더 이상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는 추가의 연결 요소로 전기 콘택을 구축할 수 있다. 하우징의 측부에서 매우 작은 폭을 갖는 단일 로우 하우징 내에 도체를 복잡하게 삽입하는 것과 연결 클램프에 부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은 이에 따라 제거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콘택은 핀으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콘택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콘택이 핀으로서 설계되기 때문에, 연결 영역에 대한 연결 요소의 특히 간단하고 빠른 부착 및/또는 연결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콘택은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 부착되고 연결 요소는 플러그 콘택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거나, 또는 플러그 콘택은 연결 요소에 부착되고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요소는 플러그 콘택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가진다. 연결 요소가 연결 영역에 부착되면, 플러그 콘택은 대응하는 개구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길이는 플러그 콘택이 개구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콘택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은 신뢰성 있는 콘택이 보장되도록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보호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체결 요소('체결 부재'라고도 함)가 단일 로우 하우징 상에서 연결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요소는 스냅 암(snap arm)의 형태로 설계되고, 이는 이 목적으로 제공된 대응하는 어퍼처(aperture)에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요소는 15 N 보다 큰 추출력이 체결 요소와의 연결을 해제하는데 필요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단일 로우 하우징 상에서 연결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여러 체결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요소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한 대응하는 어퍼처가 연결 요소 상에 제공된다. 이 대신에, 체결 요소를 연결 요소 상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목적을 위한 대응하는 어퍼처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연결 영역에 제공된다. 체결 요소는 연결 영역 상에서의 연결 요소의 연결의 추가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로우 하우징은 마운팅 레일 상에 부착될 수 있고, 플러그 콘택은 마운팅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방향 축은 갖는다. 따라서, 연결 요소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단일 로우 하우징의 측부의 옆에 부착될 수 있다. 여러 개의 단일 로우 하우징이 마운팅 레일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때, 연결 요소도 마운팅 레일의 관리를 더 어렵게 하지 않으면서 마운팅 레일 상에 단일 로우 하우징이 고정된 상태로 연결 영역에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로우 하우징을 연결 요소와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방향은 마운팅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설계된다.
2 이상의 연결 영역을 단일 로우 하우징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의 연결 영역은 하우징의 측부 상에 상하로 배열된다. 여러 연결 영역이 상하로 배열되기 때문에, 연결 영역은 측면, 특히 단일 로우 하우징의 측부를 따라 단일 로우 하우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연결 요소가 단일 로우 하우징의 길이에 걸쳐 2개의 측부에서 각각의 플러그 콘택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단일 로우 하우징의 측부를 따라 상하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연결 영역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결 요소는 여러 개의 접촉이 연결 요소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도록 상하로 배열된 2 이상의 플러그 콘택 또는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하는 연결 영역에 대한 연결 요소의 명확한 할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연결 영역에 대한 코드화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코드화부는 색상 코드화부 및/또는 숫자 및/또는 알파벳 코드화부 및/또는 기계적 코드화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화부 때문에, 이 목적으로 제공되는 연결 영역에 대한 대응하는 연결 요소의 명확한 할당이 연결을 해제한 후에도 보장될 수 있어, 불량 배선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로우 하우징이 제2 단일 로우 하우징의 뒤에 직렬로 배열되고, 제1 하우징의 제1 연결 요소와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영역에서 동시에 고정될 수 있는 연결 요소가 제공된다. 이것은 상이한 하우징 상의 여러 개의 연결 영역이 하나의 연결 요소와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하우징의 가로축을 따르는 레벨 상에 제공되는 여러 개의 연결 영역이 연결 요소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이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이다.
도 1은 여러 연결 요소(10)를 단일 로우 하우징(12)에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다.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하측(16)에서 마운팅 레일(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고,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길이방향 축(16)은 마운팅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설계된다.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단일 로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16)에 수직으로 설계된 여러 레벨(18)을 가진다. 각 레벨(18)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있는 2개의 연결 요소(10)가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측부(20) 상에서 옆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단지 하나의 연결 요소(10)가 각 레벨(18) 및 각 측부(20)에 대하여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m의 측부(20)를 따르는 폭을 가진다.
도 1은 단일 로우 하우징(12)에 연결된 7개의 연결 요소(10)를 도시하며, 하나의 연결 요소(10)가 단일 로우 하우징(120)으로부터 해제된 것이 도시된다. 연결 요소(10)는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각각에 제공된 하나의 연결 영역(22)에 부착될 수 있고, 연결 영역(22)은 하우징(10)의 측부(20) 상에 제공된다. 연결 요소(10)와 단일 로우 하우징(12) 내에 배열된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인쇄 회로 보드 사이의 콘택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결 요소(10)가 연결될 수 있는 핀 형상의 플러그 콘택(24)이 연결 영역(22) 내에 제공되고, 플러그 콘택(26) 및/또는 연결 영역(22)은 단일 로우 하우징(12) 내에서 인쇄 회로 보드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10)가 도구의 사용 없이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측부(20)에 옆으로 체결되도록,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길이방향 축(16)에 수직인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플러그 콘택(26)이 설계된다. 연결 요소(10) 자체에서, 도체(26)는 나사 연결, 클램핑 힘을 이용한 연결 또는 직접적인 푸쉬-인(push-in) 연결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10 연결 요소
12 단일 로우 하우징
14 하측
16 길이방향 축
18 레벨
20 측부
22 연결 영역
24 플러그 콘택
26 도체

Claims (10)

  1. 연결 부재(10);
    상기 연결 부재(10)와 연결되는 단일 로우 하우징(12);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측부(20)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부재(10)를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에 연결하는 연결 영역부(22);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 내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영역부(22)에 연결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연결 영역부(22)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10)를 상기 연결 영역부(22)에 부착하는 플러그 콘택(24)
    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길이방향 축(16)에 수직으로 배치된 여러 레벨(18)의 각각에서의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각각의 측부(20)에서 단지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10)가 배열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택(24)은 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택(24)은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상기 연결 영역부(22) 상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10)가 상기 플러그 콘택(24)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거나, 상기 플러그 콘택(24)이 상기 연결 부재(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상기 연결 영역부(22)는 상기 플러그 콘택(24)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 상에서 상기 연결 부재(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은 마운팅 레일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마운팅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상기 플러그 콘택(2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 상에 2 이상의 연결 영역부(22)가 제공되고, 상기 2 이상의 연결 영역부(22)는 상기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측부(20) 영역 상에 상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열되는 상기 2 이상의 연결 영역부(22) 상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0)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부(22)는 상기 연결 부재(10)를 상기 연결 영역부(22)에 할당하도록 코드화되는,
    연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뒤로 직렬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일 로우 하우징(12)이 배열되고,
    상기 제1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제1 연결 영역부(22)와 상기 제2 단일 로우 하우징(12)의 제2 연결 영역부(22)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부(22)는 상기 연결 부재(10)를 상기 연결 영역부(22)에 할당하도록 기계적으로 코드화되는,
    연결 장치.
KR1020127017757A 2009-12-17 2010-12-16 연결 장치 KR101338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9011.0 2009-12-17
DE102009059011A DE102009059011A1 (de) 2009-12-17 2009-12-17 Verbindungssystem zum Verbinden eines einreihigen Gehäuses mit einem Anschlusselement
PCT/EP2010/069961 WO2011073342A1 (de) 2009-12-17 2010-12-16 Verbindungssystem zum verbinden eines einreihigen gehäuses mit einem anschlus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507A KR20120094507A (ko) 2012-08-24
KR101338878B1 true KR101338878B1 (ko) 2014-01-02

Family

ID=4350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757A KR101338878B1 (ko) 2009-12-17 2010-12-16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894425B2 (ko)
EP (1) EP2514036A1 (ko)
JP (1) JP5538562B2 (ko)
KR (1) KR101338878B1 (ko)
CN (1) CN102714364B (ko)
AU (1) AU2010332814B2 (ko)
BR (1) BR112012014594A2 (ko)
CA (1) CA2782050C (ko)
DE (1) DE102009059011A1 (ko)
MX (1) MX2012006978A (ko)
RU (1) RU2541507C2 (ko)
SG (1) SG181645A1 (ko)
WO (1) WO2011073342A1 (ko)
ZA (1) ZA201204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2325U1 (de) 2012-06-25 2012-07-1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onikgerätegehäuse
DE102016109426B4 (de) 2016-05-23 2019-03-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onik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252A (en) 1963-06-17 1966-05-24 Buchanan Electrical Prod Corp Sectional electrical termina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77636B (ko) * 1973-11-12 1975-07-14 Asea Ab
JPS586386U (ja) * 1981-07-06 1983-01-17 株式会社横河電機製作所 コネクタ識別ラベル
JPS61158083U (ko) * 1985-03-25 1986-09-30
DE8803824U1 (ko) 1988-03-22 1988-09-08 Murrelektronik Gmbh, 7155 Oppenweiler, De
DE4121836C2 (de) * 1991-07-02 1994-07-07 Weidmueller C A Gmbh Co Reihenklemme mit Aufsteckmodul
JPH05252633A (ja) * 1992-03-06 1993-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施設内電力配線方式及び電気的接続変更可能な分岐盤
DE4402002B4 (de) * 1994-01-18 2005-10-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A-Module/ für einen Datenbus
DE4438805C1 (de) 1994-10-31 1996-03-07 Weidmueller Interface Feldbusanschlußmodul
DE9420189U1 (de) 1994-12-05 1995-05-18 Mannesmann Ag Aufreihbares Gehäuse für Normschienenmontage
DE19650989C2 (de) 1996-11-28 2003-06-26 Wago Verwaltungs Gmbh Reihenklemme mit seitlichen Brückungskontakten
JP2004200083A (ja) * 2002-12-19 2004-07-15 Yoshinobu Ito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DE10301004B3 (de) 2003-01-13 2004-10-07 Siemens Ag Modulares Installationsgerät
JP2006049254A (ja) * 2004-08-03 2006-02-16 Aun:Kk 面状ヒーターの接続端子
RU2345507C2 (ru) 2005-04-27 2009-01-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и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гнездо, и способ эт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DE102006057604B4 (de) 2006-11-27 2009-02-26 Friedrich Lütze Gmbh & Co. Kg Gehäusezwischenelement für ein Gehäuse einer anwendungsspezifischen elektrischen Baueinheit sowie eine anwendungsspezifische elektrische Baueinheit mit einem solchen Gehäuse
US7540788B2 (en) * 2007-01-05 2009-06-02 Apple Inc. Backward compatible connector system
DE102007006830B8 (de) * 2007-02-07 2009-12-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uer- und/oder Datenübertragungsmodul
DE202007005385U1 (de) 2007-04-12 2007-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s Übergabemodu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252A (en) 1963-06-17 1966-05-24 Buchanan Electrical Prod Corp Sectional electrical termina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1645A1 (en) 2012-07-30
BR112012014594A2 (pt) 2016-04-12
CN102714364A (zh) 2012-10-03
US8894425B2 (en) 2014-11-25
JP2013514615A (ja) 2013-04-25
JP5538562B2 (ja) 2014-07-02
WO2011073342A1 (de) 2011-06-23
US20120315777A1 (en) 2012-12-13
AU2010332814B2 (en) 2014-01-30
RU2012124524A (ru) 2013-12-20
CN102714364B (zh) 2016-01-06
CA2782050A1 (en) 2011-06-23
CA2782050C (en) 2014-09-09
ZA201204023B (en) 2013-02-27
DE102009059011A1 (de) 2011-06-22
EP2514036A1 (de) 2012-10-24
KR20120094507A (ko) 2012-08-24
AU2010332814A1 (en) 2012-06-21
RU2541507C2 (ru) 2015-02-20
MX2012006978A (es)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US9455509B2 (en) Electrical series terminal
US11139609B2 (en) Modular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7597594B2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US7731547B2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RU247127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модуль передачи
CN111448532B (zh) 具有印制电路板的电子设备
KR100759524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CN103227368A (zh) 工业自动化技术的输入/输出组件
KR20160089388A (ko) 플러그 커넥터 접촉 캐리어
CN100585947C (zh) 端子板部件和无螺钉连接器
KR101338878B1 (ko) 연결 장치
US20080200047A1 (en) Electrical Contact-Making Element
CA2740942C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9170277B2 (en)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with interruptible circuit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CN209748900U (zh) 用于组装印刷电路板的过压保护器具
CN108174621B (zh) 连接器单元、装入电气部件的连接器以及带连接器的电气部件
US20110256770A1 (en) Receptacle for Electronic Devices
CN111149259B (zh) 插头连接器
US20220368049A1 (en) Connecting element for mounting an electrical circuit board to a flat electrical conductor
US9893443B2 (en) Switch element having a housing part with switch element circuit and an adapter part with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fastened therein
US20120309223A1 (en) Guide element for a connector device
WO2006134275A3 (fr)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fonctionnel pre-cable
JP200700508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