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774B1 -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 Google Patents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774B1
KR101338774B1 KR1020130129700A KR20130129700A KR101338774B1 KR 101338774 B1 KR101338774 B1 KR 101338774B1 KR 1020130129700 A KR1020130129700 A KR 1020130129700A KR 20130129700 A KR20130129700 A KR 20130129700A KR 101338774 B1 KR101338774 B1 KR 10133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steel sheet
loading
support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13012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스키드 지지부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 사이에 상기 지지부(112)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12)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를 포함하는 스키드 본체(100); 및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강판의 하중에 의하여 스키드 본체의 한 쌍의 지지부가 수평적으로 서로 벌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Skid for Loading Coil Strip}
본 발명은 스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스키드 지지부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코일 강판을 적재하거나 이를 운송하기 위하여 사각의 나무, 플라스틱, 오각목 등(이하에서 '스키드'라고 함)을 사용하여 지면이나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거치한 후에 도금 제품인 코일강판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따라 적재하는 경우 코일 강판의 하중을 스키드 상에 골고루 분산시키지 못하여 코일 강판의 부분적 파손 또는 하중이 밀집된 부위에 흑점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에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고 이를 분산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 제10-0994884호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한 쌍의 지지부를 각각 배치하여 그 위에 코일강판을 적재하는 종래의 방식을 탈피하여, 한 쌍의 지지부를 하나의 프레임 연결부에 의하여 고정 연결된 프레임 본체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코일강판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부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프레임 연결부와 프레임 본체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지지부 자체가 지면 또는 적재면과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로 밀리게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 연결부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특히, 차량 등의 운송장비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제동시, 지지부 및 지지부와 분리된 구성요소로서의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연결부가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관성력을 받게 되어 각각 차량의 적재면 상의 본래 위치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부품 간의 휨 또는 뒤틀림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코일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인바에 두 배 이상의 힘을 가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스키드의 수평 방향으로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 사이에 상기 지지부(112)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12)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를 포함하는 스키드 본체(100); 및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부재(220)로 사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220)는 다수의 구멍(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 부재(210)가 상기 마찰 부재(220)의 상기 구멍(222)을 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스키드 본체(100)로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부재(210)의 내부에 상기 마찰 부재(220)와 인접하도록 보강판(230)이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30) 상에 상기 체결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01)은 상기 보강판(230)의 상부가 상기 보강판(230)의 하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키드 본체(100)의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을 포함하는 하단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테두리(30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301)의 내부에 중공(302)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본체(300); 상기 프레임 본체(3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112)가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 및 상기 프레임 본체(300)의 상기 중공(302)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밀림 방지 수단을 구비한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에 의하면, 코일강판의 하중에 의하여 스키드 본체의 한 쌍의 지지부가 수평적으로 서로 벌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스키드 본체의 안착면에 안착된 코일강판의 하중이 안착면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어 코일강판의 파손이나 흑점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코일강판(20)을 적재하기 방법으로서 오각목(1)을 이용하는 방식(a) 및 스키드(2)를 사용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접촉면(104)에 한 쌍의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개략적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하부 접촉면(104)의 양측에 밀림 방지 수단(200)이 4개가 각각 설치된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마찰 부재(220)에 구멍(222)이 형성되어 구멍(222)으로 고무 부재(210)가 연장되어 형성된 저면도(a) 및 A-A' 단면도(b)이다.
도 6은 도 5의 밀림 방지 수단(200)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a) 및 체결공(201)을 통한 스키드 본체와의 체결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b)이다.
도 7은 도 5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내부에 보강판(230)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에 대한 저면도(a) 및 체결공(20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접촉면(104)에 한 쌍의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개략적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하부 접촉면(104)의 양측에 밀림 방지 수단(200)이 4개가 각각 설치된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는 스키드 본체(100) 및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스키드 본체(100)는 그 상부에 안착면(102)을, 그 하부에는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한다. 즉, 안착면(102)은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한 면으로 일반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접촉면(104)은 코일강판을 위치시킬 장소의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면으로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되어 지면 또는 적재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키드 본체(100)는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전체로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고무 이외의 재질(예로서, 나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고무는 코일강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어 변형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제조된 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스키드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 사이에 상기 지지부(112)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12)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 방지부(114)는 도 2에서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1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112)에 해당하는 오각목(1)의 사이에 연결된 중간 철근(11)과 같이 지지부(112)와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에 이러한 분리된 형태의 또 다른 분리 방지부(114)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지면 또는 적재면과의 마착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지지부(112)의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지지부(112)의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부(112)사이의 벌어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연결된 분리 방지부(114)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하게 되어 분리 방지부(114)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밀림 방지 수단(200)이 분리 방지부(114)의 양측의 지지부(112) 각각에 4개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밀림 방지 수단(200)을 다수 개로 분리하여 설치하는 경우, 스키드 본체(100)로 코일강판에 의한 동일한 하중이 작용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각 지지부(112)에 밀림 방지 수단(200)을 하나면 설치하는 경우보다, 스키드 본체(100)와 밀림 방지 수단(200)의 밀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키드 본체(100)의 하부 접촉면(104)으로부터 밀림 방지 수단(200)이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지지부(112)의 위치 고정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112)에 의하여 코일강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키드 본체(100)의 상부 안착면(102)에 안착된 코일강판의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안착면(102)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코일 흑점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림 방지 수단(200)은,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부재(210)와 마찰 부재(220)가 층을 이루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무 부재(210)는 스키드 본체(100)의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찰 부재(220)는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고무 부재(210)와 마찰 부재(220) 사이는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무 부재(210)는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220)는 지면 또는 적재면과의 마찰력을 최대로 만들 수 있는 특수한 형태 또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형태적 변형에 의하여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경우는 복수의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재질의 선택에 의하여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경우는,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사포(sandpape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마찰 부재(220)에 구멍(222)이 형성되어 구멍(222)으로 고무 부재(210)가 연장되어 형성된 저면도(a) 및 단면도(b)이고, 도 6은 도 5의 밀림 방지 수단(200)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a) 및 체결공(201)을 통한 스키드 본체와의 체결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b)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림 방지 수단(200)에 있어서, 마찰 부재(220)는 다수의 구멍(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 부재(210)가 상기 마찰 부재(220)의 상기 구멍(222)을 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부재(220)를 관통하여 연장된 다수의 연장 돌기(212)에 의하여 마찰 부재(220)와 고무 부재(210) 사이의 부착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부재간 비틀림 또는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에는 체결공(201)이 형성되어,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 수단(205)을 이용하여 스키드 본체(100)로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키드 본체(100)의 하부 접촉면(104)에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밀림 방지 수단(200)이 이 수용홈(12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인 지지부(112)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지만, 코일강판의 적재 장소를 이동함에 따른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위치 변경이나 과도한 코일강판의 하중에 따른 스키드 본체(100)와 밀림 방지 수단(200) 사이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림 방지 수단(200)에 체결공(201)을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체결 수단(205)을 삽입하여 스키드 본체(10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5의 밀림 방지 수단(200)의 내부에 보강판(230)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에 대한 저면도(a) 및 체결공(20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림 방지 수단(200)의 상기 고무 부재(210)의 내부에 상기 마찰 부재(220)와 인접하도록 보강판(230)이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230) 상에 체결공(201)이 형성되고, 체결공(201)은 보강판(230)의 상부가 상기 보강판(230)의 하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스키드 본체(100)의 지지부(112)의 하부 접촉면(104)에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122)에 밀림 방지 수단(200)을 삽입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수단(205)에 의하여 스키드 본체(100)와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여 지지부(112)의 밀림 방지 효과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을 포함하는 하단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테두리(30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301)의 내부에 중공(302)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본체(300); 상기 프레임 본체(3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112)가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 및 상기 프레임 본체(300)의 상기 중공(302)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를 포함한다.
도 9의 실시 예는,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와 달리, 분리 방지부(114)가 지지부(112)와 별개로 구성되고 있고, 분리 방지부(114)는 지지부(112)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본체(30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부(112) 사이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본체(300)와 분리 방지부(114)는 프레임 본체(300)가 수용하는 지지부(112)를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수평적 벌어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112) 하부 접촉면(104)에 부착되는 밀림 방지 수단(200)의 존재로 인하여 지지부(112) 자체가 운송장비의 적재면과 최대한 큰 마찰력을 가지고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 본체(300)와 분리 방지부(114)를 이용한 지지부(112) 사이의 연결 구성의 문제점인 운송장비에 적재되어 운송중 차량의 금출발 및 급제동에 의한 프레임 본체의 휨 또는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기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스키드 본체 102: 안착면
112: 지지부 114: 분리 방지부
104: 하부 접촉면 200: 밀림 방지 수단
210: 고무 부재 220: 마찰 부재
230: 보강판

Claims (7)

  1.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 사이에 상기 지지부(112)와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12)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를 포함하는 스키드 본체(100); 및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220)는 사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220)는 다수의 구멍(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 부재(210)가 상기 마찰 부재(220)의 상기 구멍(222)을 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스키드 본체(100)로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재(210)의 내부에 상기 마찰 부재(220)와 인접하도록 보강판(230)이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30) 상에 상기 체결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01)은 상기 보강판(230)의 상부가 상기 보강판(230)의 하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 본체(100)의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7.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강판(20)의 외주면의 하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 강판(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102)과 지면 또는 운송 장비의 적재면에 접촉하는 하부 접촉면(104)을 제공하고,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12);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을 포함하는 하단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테두리(30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301)의 내부에 중공(302)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본체(300);
    상기 프레임 본체(3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112)가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114); 및
    상기 프레임 본체(300)의 상기 중공(302)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 강판(20)의 하중에 의한 상기 지지부(112)의 상기 수평 방향의 벌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수단(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 수단(200)은:
    상기 하부 접촉면(104)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고무 부재(210); 및
    상기 고무 부재(210)의 하부에 부착된 마찰 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KR1020130129700A 2013-10-30 2013-10-30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KR10133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00A KR101338774B1 (ko) 2013-10-30 2013-10-30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00A KR101338774B1 (ko) 2013-10-30 2013-10-30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774B1 true KR101338774B1 (ko) 2013-12-06

Family

ID=4998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700A KR101338774B1 (ko) 2013-10-30 2013-10-30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14U (ko) 2014-12-18 2016-06-28 장충석 강판 코일 전도 방지용 적재 장치
KR20180077549A (ko) * 2016-12-29 2018-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형원형커버 분해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044U (ko) * 1996-06-17 1998-03-30 코일 받침장치
KR20090039996A (ko) * 2007-10-19 200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판 코일 적재장치
KR101022700B1 (ko) * 2010-06-22 2011-03-22 박재홍 코일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044U (ko) * 1996-06-17 1998-03-30 코일 받침장치
KR20090039996A (ko) * 2007-10-19 200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판 코일 적재장치
KR101022700B1 (ko) * 2010-06-22 2011-03-22 박재홍 코일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14U (ko) 2014-12-18 2016-06-28 장충석 강판 코일 전도 방지용 적재 장치
KR20180077549A (ko) * 2016-12-29 2018-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형원형커버 분해 조립장치
KR101887044B1 (ko) * 2016-12-29 2018-08-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형원형커버 분해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5390B2 (ja) 車両用ルーフボックス装着装置
US10030424B2 (en) Panel body
US6860536B1 (en) Slidable truck bed-supported cargo carrier assembly
EP3064671B1 (en) Partition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696014B2 (en) Push cart with expandable load-carrying area
KR200478780Y1 (ko) 차량용 멀티 케리어
KR101338774B1 (ko) 코일강판 적재용 스키드
KR101704981B1 (ko) 모빌랙용 대차
KR100994884B1 (ko) 코일 강판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코일 강판 적재장치
US8979158B2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KR200465411Y1 (ko) 코일 운송용 받침대
US20050269277A1 (en) Wine bottle frame
JP2018027760A (ja) 固定具、及び、運搬台車
JP5743349B2 (ja) エレベータ用パネル
KR102096960B1 (ko) 차량용 적재 장치
US20180215574A1 (en) Holding Device for Rolled Body, Method of Storing Rolled Body, and Method of Containing Rolled Body
JP5115736B2 (ja) ルーフキャリア
JP4759327B2 (ja) ロール状物品用コンテナ
KR101622592B1 (ko) 저소음형 롤러 트랙
JP2015093706A (ja) 運搬用容器
KR101952534B1 (ko)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KR101303953B1 (ko) 백라이트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920006622Y1 (ko) 지게차용 운반대
KR200260351Y1 (ko) 팰릿적재용지지구
JP2017202839A (ja) 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