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693B1 - 화덕 구이기 - Google Patents

화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693B1
KR101338693B1 KR1020130101542A KR20130101542A KR101338693B1 KR 101338693 B1 KR101338693 B1 KR 101338693B1 KR 1020130101542 A KR1020130101542 A KR 1020130101542A KR 20130101542 A KR20130101542 A KR 20130101542A KR 101338693 B1 KR101338693 B1 KR 10133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chamber
induction passage
combustion cha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병선
Original Assignee
주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병선 filed Critical 주병선
Priority to KR102013010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24B5/08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around the baking 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화덕 구이기가 개시된다. 이 화덕 구이기는,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 상기 연소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 통로(130),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의 외곽으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2 유도 통로(140), 상기 제2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 내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3 유도 통로(150), 및 상기 구이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구이 챔버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4 유도 통로(1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 챔버는 중간 플레이트(170)에 의해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구획되고, 상기 제1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도 통로는 외벽체(180)와 상기 외벽체 안쪽에 이격 설치되는 중간 벽체(190) 사이로 한정되고, 상기 제3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벽체의 전방 단부(191)와 상기 외벽체 사이로 한정된다.

Description

화덕 구이기{FIRE POT ROASTER}
본 발명은 화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료 연소 효율이 뛰어나며 연료 연소에 의한 연소열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골고루 구이 대상물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화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연소열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도록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 연소열이 가해지는 경우, 구이 대상물의 겉표면만 먼저 익게 되고, 안쪽은 서서히 익게 되므로, 겉표면만 타버리거나, 안쪽이 덜 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가 등록실용신안 20-0292940(등록일자 : 2002년 10월 09일)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등록실용신안 20-0292940을 설명하면, 이 훈제용 바베큐 장치는, 내측 하부에 연소실(2)이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구이실(3)이 형성된 몸체(1), 몸체(1)의 전면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이실(3)과 연소실(2)을 개폐하는 도어(4)(5), 연소실(2)과 구이실(3) 사이에 설치되어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구이실(3)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이실(3)의 고기에서 흐르는 기름을 모아주는 차단막(7), 구이실(3)의 내측에 하부가 연소실(2)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외측에 분사구(9a)가 형성되어,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 및 열을 구이실(3)로 공급하는 훈연관(9), 및 몸체(1)의 상부에 훈연관(9)의 상부와 연통 설치되어 구이실(3)에 공급되지 않고 상승되는 훈연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연관(1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훈제용 바베큐 장치는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고기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하고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와 열을 구이실로 공급하여,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 연소실에 직접 떨어짐으로 인한 그을음 발생 문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훈제용 바베큐 장치는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막으로 구별하여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있기는 하나,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로 공급하는 훈연관, 구이실에 공급되지 않고 상승되는 훈연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연관(14, 15)과 훈연을 그대로 상부로 흘려보내는 열기관(10)을 별도로 구비하며, 또한, 연기와 열을 구이실 내로 공급하기 위해 훈연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구(9a)를 형성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 단가도 또한 지나치게 높은 단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구이실(3)과 배연관(14) 간의 열 이동 경로가 짧고 그 이동 경로 사이에 아무런 차단막이 없으므로, 구이실(3) 내에서 효과적으로 열을 보유하거나 온도를 상승시키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더 나아가, 연료, 특히 장작의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구이 대상물에 그을음과 유해 성분들이 흡착되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데, 기존의 화덕 구이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간단한 구조의 화덕 구이기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92940(등록일자 : 2002년 10월 09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격리시키면서도 복사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 대상물의 표면 및 내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격리시키고 복사열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여 구이 대상물에 가할 수 있는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사열의 이동경로를 길게 함에 있어서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의 분리된 구조 및 이동경로를 간단한 외벽과 중간벽체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내부의 이중 구조를 통해 열을 장시간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화덕 구이기는,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와, 상기 연소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와,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 통로(130)와,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의 외곽으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2 유도 통로(140)와, 상기 제2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 내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3 유도 통로(150), 및 상기 구이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구이 챔버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4 유도 통로(1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 챔버는 중간 플레이트(170)에 의해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구획되고, 상기 제1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도 통로는 외벽체(180)와 상기 외벽체 안쪽에 이격 설치되는 중간 벽체(190) 사이로 한정되고, 상기 제3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벽체의 전방 단부(191)와 상기 외벽체 사이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상기 연소 챔버 사이에 위치하여, 재 또는 불완전 연소된 연료가 상기 제1 유도 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재 차단판(21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구이챔버의 내부이면서 상기 제4 유도 통로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3 유도 통로를 통해 상기 구이 챔버 내로 유입된 복사열의 상기 제4 유도 통로 측으로의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한 열 차단판(31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벽체는 상기 제1 유도 통로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 통로가 위치하는 상기 외벽체의 일부에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통하도록 외기 유입구(410)가 더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연소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수집하는 1차 재받이(510)와, 상기 재 차단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이 챔버 내에서 가열되는 구이 대상물과는 다른 고열 구이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고열 구이판(520)과, 상기 고열 구이판의 하부에서 상기 재 차단판에 의해 차단된 재를 수집하는 2차 재받이(530)와, 상기 고열 구이판와 상기 2차 재받이 사이에는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를 더 포함한다. 고열 구이판(520), 2차 재받이(530), 재 유도부(540) 구조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은, 재 차단판(210)과 함께 집진기능(재수집 기능)과 함께 생활 도자기를 구울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는,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와, 상기 연소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와, 상기 구이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 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 플레이트(170')와,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구이 챔버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사열 유도 통로(130')와, 상기 연소 챔버와 인접하게 상기 복사열 유도 통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열 구이 챔버(550')와, 상기 구이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구이 챔버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연기 배출 통로(160')를 포함하며, 상기 고열 구이 챔버는 상기 고열 구이 대상물을 지지하는 고열 구이판(520')과, 상기 고열 구이판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재를 하부로 유도하기 위해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와 상기 재 유도부를 통해 유입되는 재를 수집하는 재받이(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함으로써,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격리시키면서도 복사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 대상물의 표면 및 내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격리시키고 복사열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여 구이 대상물에 가할 수 있으며, 복사열의 이동경로를 길게 함에 있어서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의 분리된 구조 및 이동경로를 간단한 외벽과 중간벽체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그 제조 단가가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덕 구이기는 고열 구이 챔버를 더 구비하여 생활 도자기를 구울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훈제용 구이 장치의 도면들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화덕 구이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c에서 II-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c에서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c에서 IV-IV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2c에서 V-V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e는 도 2c에서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f는 도 2c에서 VII-V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a의 화덕 구이기의 외기 유입구(41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화덕 구이기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화덕 구이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화덕 구이기의 우측면도로서, 도어(552) 부분을 생략한 투시도 형태의 도면이고, 도 2c는 도 2b에서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c에서 II-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c에서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2c에서 IV-IV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2c에서 V-V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e는 도 2c에서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f는 도 2c에서 VII-V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a의 화덕 구이기의 외기 유입구(41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우선, 2a, 2b 및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100)는, 연소 챔버(110), 구이 챔버(120), 제1 유도 통로(130), 제2 유도 통로(140), 제3 유도 통로(150) 및 제4 유도 통로(160)를 포함한다. 또한, 화덕 구이기(100)는 구이 챔버(120)와 연소 챔버(110)를 구획하는 중간 플레이트(170)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12는 연소 챔버(110)의 도어이고, 122는 구이 챔버(120)의 도어이며, 참조부호 552는 고열 구이 챔버(550)의 도어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510는 1차 재받이를 나타내고, 530은 2차 재받이를 나타낸다. 고열 구이 챔버(550)의 도어(552) 및 2차 재받이(530)는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연소 챔버(110)는 그 내부로 투입되는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공간으로서, 연소되는 연료는, 예컨대, 여러 가지 재료의 장작이나 숯일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소 챔버(110) 내의 연료 연소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연소 챔버 도어(122)를 개방한 후, 연료(미도시)를 투입하여, 연소판(111) 상부에 유지시키고, 점화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연료를 점화시킨다. 이후,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는 하부의 1차 재받이(510) 측으로 낙하한다. 1차 재받이(510) 내에 수집되는 재는 작업자에 의해 수시로 배출될 수 있다. 연소 중 발생되는 연기 및 열, 그리고 불꽃은 연소 챔버(110)의 후방으로 유도된 후, 제1 유도 통로(1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유도된다. 연기 및 열, 그리고 불꽃이 연소 챔버(110)의 후방(설명의 편의상, 도 2b에서 좌측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우측을 후방으로 정의함)으로 유도될 때, 재 또는 불완전 연소된 연료도 함께 섞여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연료 또는 재가 제1 유도 통로(13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재 차단판(210)이 구비된다. 재 차단판(210)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기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고, 열은 본 명세서 내에서는 불꽃에 의한 직접적인 열(이하, 연소열로 정의함)과 복사에 의한 복사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구이 챔버(120)는 연소 챔버(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구이 대상물(미도시)을 수용한다. 구이 대상물은, 예컨대, 바베큐 요리를 위한 각종 육류(오리, 닭 등), 생선, 빵, 감자, 고구마, 옥수수, 밤, 마 또는 호박 등이 될 수 있다. 구이 챔버(120) 내에 각종 육류나 생선을 투입하여 구이하는 경우에는, 구이 과정에서 구이 대상물로부터 기름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구이 챔버(120) 내에는 기름 배출/수거를 위한 기름 배출/수거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이 챔버(120) 내의 기름 배출/수거 수단 자체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유도 통로(130)는 연소 챔버(110)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 발생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한다. 연소 챔버(110)의 후방으로 유도되는 연기와 열, 그리고 불꽃은 제1 유도 통로(1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유도되고, 연기와 열은 이후 제2 유도 통로(140) 및 제3 유도 통로(150)를 통해 구이 챔버(120)로 유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 통로(130)는 중간 플레이트(170)의 후방에 위치하며, 중간 플레이트(170)의 단부와 후방 외벽체(185)와 후방 외벽체(185)의 안쪽에 이격 설치되는 후방 중간벽체(195) 사이로 한정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외벽체는 후방 외벽체(185), 전방 외벽체(182), 좌측 외벽체(180a) 및 우측 외벽체(180b)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제1 유도 통로(13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틈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간에 격벽(131)을 형성함으로써, 제1 유도 통로(130)를 한 쌍(130a, 13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2 유도 통로(140)는 제1 유도 통로(130)와 연결되는 통로로서, 구이 챔버(120)의 외곽으로 복사열이 유도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물론, 제2 유도 통로(140) 측으로는 제1 유도 통로(130)를 통해 유도된 연기도 함께 유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도 통로(140)는 외벽체(180)와 외벽체(180)의 안쪽에 이격 설치되는 중간 벽체(190) 사이로 한정된다. 한 쌍의 제1 유도 통로들(130a, 130b)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유도 통로들(140a, 140b)은 구이 챔버(120)의 외곽 양측으로 복사열을 유도한 후, 제3 유도 통로(150)를 통해 구이 챔버(120) 내부로 유입시킨다. 외벽체(180)와 중간 벽체(190)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는 이후에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유도 통로(150)는 제2 유도 통로(140)와 연결되어, 구이 챔버(120) 내로 복사열을 유도한다. 물론, 제3 유도 통로(150) 측으로 제2 유도 통로(140)를 따라 유도된 연기도 함께 유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도 통로(150)는 중간 벽체(190)의 전방 단부(191)와 전방의 외벽체(182) 사이로 한정된다. 복사열은 한 쌍의 제2 유도 통로들(140a, 140b)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3 유도 통로(150a, 150b)를 통해 구이 챔버(120) 내로 유입된다.
제4 유도 통로(160)는 구이 챔버(120)와 연통되고, 구이 챔버(120) 내의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4 유도 통로(160)는 구이 챔버(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기통(161)을 통해 연기를 배출시킨다.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재 차단판(210)을 더 포함한다. 재 차단판(210)은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재 또는 불완전 연소된 연료가 제1 유도 통로(13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재 차단판(210)은 제1 유도 통로(130)와 연소 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소 챔버(110)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열과 함께 이동하는 재 또는 불완전 연소된 연료를 차단하며, 재 유입부(540)와 함께 집진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열을 제1 유도 통로(130) 측으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재 차단판(210)은 제1 유도 통로(130) 측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높이는 너무 높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높이는 재 차단판(2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재 차단판(210)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즉, 재 차단판(210)이 지나치게 아래로 내려온 경우), 열이 제1 유도 통로(130) 측으로 제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재 차단판(210)의 최하단은 중간 수직판(710)의 최상단 높이와 대체로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열 차단판(310)을 더 포함한다. 열 차단판(310)은 구이 챔버(120)의 내부에서, 그리고 제4 유도 통로(160)의 전단에 위치하여, 제3 유도 통로(150)를 통해 구이 챔버(120) 내부로 이동한 복사열이 곧바로 제4 유도 통로(160)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4 유도 통로(160)까지의 이동 경로가 더 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이와 같이 열 차단판(310)을 구비함으로써, 열 차단판(310)이 없이 곧바로 배기통으로 복사열이 빠져나가는 경우에 비해 구이 챔버(120)의 내부 온도를 더 높게 그리고 더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열 차단판(310)의 높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구이 챔버(120) 내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도계(600)를 더 포함한다. 구이 챔버(120) 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연료의 보충 시점이나 외기 유입구(410;도 4 참조)를 통한 화력 조절에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연소 챔버(110)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수집하는 1차 재받이(510) 이외에도, 연소 챔버(110)의 후방이고, 또한 제1 유도 통로(130) 하부이면서 재 차단판(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구이 챔버 내에서 가열되는 구이 대상물과는 다른 고열 구이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고열 구이판(520)과, 고열 구이판(520)의 하부에서 재 차단판(210)에 의해 차단된 재를 수집하는 2차 재받이(530), 그리고 고열 구이판(520)와 2차 재받이(530) 사이에는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를 더 포함한다. 편의상, 중간 수직판(710)에 의해 연소 챔버(110)와 구획된 고열 구이판(520)의 상부를 고열 구이 챔버(550)라 하면, 이 챔버 내에서 가열되는 고열 구이 대상물은 예를 들어, 생활 도자기일 수 있다. 전체적인 온도 분포를 살펴보면, 연소 챔버(110) 내에서 연료 연소시 내부 온도는 그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목재 연료인 경우, 대체로 800~900℃ 정도일 수 있고, 이 경우, 후방의 고열 챔버(550)의 내부는 대체로 500~600℃ 정도일 수 있으며, 상부의 구이 챔버(120)의 내부는 대체로 300℃ 정도일 수 있다. 나아가, 고열 구이 챔버(550)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열 구이 챔버(550) 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610; 도 4 참조)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 온도계(610)의 위치는 도어(552) 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편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외벽체(180), 중간벽체(190), 열 차단판(310) 및 구이 챔버(120)와 관련하여, 제1 유도 통로 내지 제4 유도 통로(130 ~ 16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도 2c의 II-II를 따라 절취한 단면으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외벽체(180a, 180b)가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상부의 형상은 아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평탄한 형상이나 그 밖의 다른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외벽체(180a, 180b)의 안쪽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직으로 중간 벽체(190a, 190b;도 2c 참조)가 설치된다. 중간 벽체(190a, 190b)의 상단은 외벽체(180a, 180b)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구이 챔버(120) 내부가 제2 유도 통로(140; 도 2 참조)로부터 차단되도록 한다. 외벽체(180a, 180b) 및 중간 벽체(190a, 190b)는 다양한 재료의 벽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벽체(190a, 190b)의 재료 및 중간 플레이트(170)의 재료를 화산석으로 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복사열이 구이 대상물의 속까지 깊숙이 침투하도록 하여 고르게 익도록 할 수 있으며, 향균 작용도 하게 된다. 나아가, 외벽체 및 중간 벽체는 벽돌뿐만이 아니라, 대리석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철판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재료와 같은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연기 및 열은 제2 유도 통로(140)를 통해 이동한 후, 화살표(150a) 방향으로 구이 챔버(120) 내부로 유입된다. 화살표(150a)가 제3 유도 통로임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도 2c의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으로서, 구이 챔버(120)의 중심부를 단면으로 보여주며, 외벽체(180a, 180b)와 중간 벽체(190a, 190b) 사이에 제2 유도 통로(140a, 140b)가 만들어진다.
도 3c는 도 2c의 IV-IV를 따라 취한 단면으로서, 도 3c를 참조하면, 열 차단판(310)은 제3 유도 통로(150a, 150b)를 통해 구이 챔버(120) 내로 유입된 복사열의 제4 유도 통로(160)까지의 이동 경로가 더 길어지도록 한다. 열 차단판(310)의 상단은 상부 외벽체와 맞닿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열 차단판(310)의 좌우측은 중간 벽체와 맞닿도록 설치된다. 열 차단판(310)의 높이, 즉 열 차단판(3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는 배기통(161)을 통한 연기 배출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중간 플레이트(170)의 하부는 고열 챔버(550)가 위치한다. 고열 구이판(520)은 생활 도자기와 같은 고열 가열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재 유도부(540)는 도 3c의 단면 상에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별도로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도 3d는 도 2c의 V-V를 따라 취한 단면으로서, 도 3d를 참조하면, 구이 챔버(120) 내의 연기는 제4 유도 통로(160)를 통해 배기통(16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적절하게 연기 배출을 하면서도 구이 챔버(120) 내부의 복사열 유지를 위해, 제4 유도 통로(160)의 전단에 열 차단판(310; 도 3c 참조)이 설치되는 것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다.
도 3e는 도 2c의 VI-VI를 따라 취한 단면으로서, 도 3e를 참조하면, 구이 챔버(12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중간벽체(195)의 단면이 보여진다. 후방 중간벽체(195)의 상단은 외벽체의 상부와 맞닿고, 하단은 중간 플레이트(170)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구이 챔버(120) 내부와 제1 유도 통로(130; 도 2c 참조) 간을 구획하여, 복사열이 제2 유도 통로(140a, 140b) 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3f는 도 2c의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으로서, 도 3f를 참조하면, 중간의 격벽(131)에 의해 제1 유도 통로, 130a, 130b가 한 쌍으로 구별된다. 중간의 격벽(131) 상단은 아치형의 외벽체와 맞닿고, 하단은 중간 플레이트(170)와 맞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화덕 구이기(100)는 제1 유도 통로(13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게 제1 유도 통로(130)와 통하도록 외벽체(180)의 일부에 형성된 외기 유입구(410)를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기 유입구(410)는 이와 같이 제1 유도 통로(130)와 연결되므로, 이를 통해 외기를 유입하고, 아울러, 연소 챔버(110) 내로 외기를 보충함으로써 연소판(111) 상의 연료가 더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연료의 완전 연소를 돕는다. 나아가, 외기 유입구(410)는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 상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배기통(161)의 일부에 구이 챔버(120) 내의 온도 조절에 용이하도록 온도 조절부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100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화덕 구이기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화덕 구이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화덕 구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덕 구이기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화덕 구이기(1000)는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와, 연소 챔버(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와, 구이 챔버(120')와 연소 챔버(110') 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 플레이트(170')와, 연소 챔버(110')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여 구이 챔버(12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중간 플레이트(170')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사열 유도 통로(130')와, 연소 챔버(110')와 인접하게 상기 복사열 유도 통로(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열 구이 챔버(550')와, 구이 챔버(120')와 연통되어 구이 챔버(120')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연기 배출 통로(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열 구이 챔버(550')는 고열 구이 대상물(550')을 지지하는 고열 구이판(520')과, 고열 구이판(520')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재를 하부로 유도하기 위해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와 재 유도부(540')를 통해 유입되는 재를 수집하는 재받이(53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열 구이 챔버(550')의 내부 온도는 구이 챔버(120')의 내부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이 챔버(550')의 내부에는 생활 도자기를 구울 수 있는 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제2 유도 통로와 제3 유도 통로는 구비되지 아니하며, 중간 플레이트(170') 후방에 위치하는 복사열 유도 통로(130')를 통해 복사열 및 연기가 직접적으로 구이 챔버(120') 내부로 유입된 후, 연기 배출 통로(160')를 통해 배기통(16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외기 유입구(410')를 통해 외기를 유입하고, 아울러, 연소 챔버(110') 내로 외기를 보충함으로써 연소판(111') 상의 연료가 더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연료의 완전 연소를 도와 고열을 발생시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외기 유입구(410')는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고열 구이 챔버(550')의 외벽에도 추가 외기 유입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화덕 구이기는 다양한 구이 대상물의 구이기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난로로서도 그 기능이 확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러한 예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속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연소 챔버 120 : 구이 챔버
130 : 제1 유도 통로 140 : 제2 유도 통로
150 : 제3 유도 통로 160 : 제4 유도 통로
170 : 중간 플레이트 210 : 재 차단판
310 : 열 차단판 410 : 외기 유입구
510, 522 : 재받이 520 : 고열 구이 챔버
550 : 고열 구이 챔버 600 : 온도계

Claims (6)

  1.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
    상기 연소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 통로(130);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의 외곽으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2 유도 통로(140);
    상기 제2 유도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이 챔버 내로 복사열을 유도하는 제3 유도 통로(150); 및
    상기 구이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구이 챔버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4 유도 통로(1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 챔버는 중간 플레이트(170)에 의해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구획되고, 상기 제1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도 통로는 외벽체(180)와 상기 외벽체 안쪽에 이격 설치되는 중간 벽체(190) 사이로 한정되고, 상기 제3 유도 통로는 상기 중간 벽체의 전방 단부(191)와 상기 외벽체 사이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상기 연소 챔버 사이에 위치하여, 재 또는 불완전 연소된 연료가 상기 제1 유도 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재 차단판(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구이챔버의 내부이면서 상기 제4 유도 통로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3 유도 통로를 통해 상기 구이 챔버 내로 유입된 복사열의 상기 제4 유도 통로 측으로의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한 열 차단판(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는 상기 제1 유도 통로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 통로가 위치하는 상기 외벽체의 일부에 상기 제1 유도 통로와 통하도록 외기 유입구(41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덕 구이기는,
    상기 연소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수집하는 1차 재받이(510);
    상기 재 차단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이 챔버 내에서 가열되는 구이 대상물과는 다른 고열 구이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고열 구이판(520);
    상기 고열 구이판의 하부에서 상기 재 차단판에 의해 차단된 재를 수집하는 2차 재받이(530); 및
    상기 고열 구이판와 상기 2차 재받이 사이에는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6. 내부에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10');
    상기 연소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이 대상물을 수용하는 구이 챔버(120');
    상기 구이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 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 플레이트(170');
    상기 연소 챔버 내의 연료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구이 챔버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는 복사열 유도 통로(130');
    상기 연소 챔버와 인접하게 상기 복사열 유도 통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열 구이 챔버(550');
    상기 구이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구이 챔버 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연기 배출 통로(160');를 포함하며,
    상기 고열 구이 챔버는 상기 고열 구이 대상물을 지지하는 고열 구이판(520')과, 상기 고열 구이판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재를 하부로 유도하기 위해 중간이 개방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재 유도부(540')와 상기 재 유도부를 통해 유입되는 재를 수집하는 재받이(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구이기.
KR1020130101542A 2013-08-27 2013-08-27 화덕 구이기 KR10133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42A KR101338693B1 (ko) 2013-08-27 2013-08-27 화덕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42A KR101338693B1 (ko) 2013-08-27 2013-08-27 화덕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93B1 true KR101338693B1 (ko) 2013-12-09

Family

ID=4998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542A KR101338693B1 (ko) 2013-08-27 2013-08-27 화덕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0Y1 (ko) * 2002-07-22 2002-10-25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KR20110006485U (ko) * 2009-12-21 2011-06-29 서해룡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0Y1 (ko) * 2002-07-22 2002-10-25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KR20110006485U (ko) * 2009-12-21 2011-06-29 서해룡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567B (zh) 户外炊具和烟熏器及用于其的燃料燃烧器
US20070240583A1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CA2094613C (en) Combination of a baking oven and a stove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AU2023208171A1 (en) Heating appliance
KR101464495B1 (ko) 바베큐 장치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KR101195258B1 (ko) 화목보일러
KR101634362B1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101338693B1 (ko) 화덕 구이기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KR101255814B1 (ko) 자동 구이기
KR101850525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101929121B1 (ko) 고효율 화덕 구이기
KR101803028B1 (ko) 고기굽는 숯불 훈연가마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JP3717892B2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101530810B1 (ko) 육류 구이용 화덕 및 육류 구이 방법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200465936Y1 (ko)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CN114286639A (zh) 多用途烹饪装置
KR102290444B1 (ko) 음식조리가 가능한 다용도 화목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