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14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14B1
KR101338414B1 KR1020110144849A KR20110144849A KR101338414B1 KR 101338414 B1 KR101338414 B1 KR 101338414B1 KR 1020110144849 A KR1020110144849 A KR 1020110144849A KR 20110144849 A KR20110144849 A KR 20110144849A KR 101338414 B1 KR101338414 B1 KR 10133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necklace
terminal
groov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310A (ko
Inventor
조명동
임성준
송철웅
장원준
김경복
Original Assignee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에 각종 소형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순간적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단말기가 장착된 홀더 및 목걸이가 단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가 탈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좌,우측 이음부를 포함하는 갈림부재와, 상기 좌,우측 이음부 각각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호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갈림부재 및 제1,2연결부재는 꼬이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두께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necklace type holding device for mobi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에 각종 소형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순간적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단말기가 장착된 홀더 및 목걸이가 단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단말기 본체의 크기 및 중량을 소형화, 경량화하여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발전하고 있는 바, 단말기를 목에 걸고 다니는 경우가 보편화 되고 있다.
종래 2004. 5. 28 자에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4911호의 경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착탈홈과, 착탈홈에 장착하는 도중에는 일정이상의 삽입을 방지하고, 착탈홈에 장착된 경우에는 착탈홈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개 수단과, 걸개수단을 착탈홈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기 용이하도록 줄이 달린 걸개수단을 착탈버튼을 이용하여 착탈할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한 단말기의 목걸이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의 경우, 목걸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순간적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그 힘이 전달되어 사용자가 상처를 입거나 각종 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목걸이의 어느 일 부분이 손상되면, 목걸이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데 따른 자원 낭비를 비롯하여 경제적 부담감이 있었다. 또, 기존의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로 착용하였을 시 목걸이가 임의로 뒤집히거나 회전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떨어지고, 특히 전방으로 전자파가 배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가 뒤집히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가 배출되는 불상사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503호(2005.04.20. 공고)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로 착용하였을 시 목걸이가 임의로 뒤집히거나 회전하지 않고 그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특히 전방으로 전자파가 배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가 뒤집히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가 배출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목걸이 형태로 거치하여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가 탈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좌,우측 이음부를 포함하는 갈림부재와, 상기 좌,우측 이음부 각각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호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갈림부재 및 제1,2연결부재는 꼬이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두께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타공된 체결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스냅돌기를 상기 체결구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홀더는 배면 및 상,하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절곡면에는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는 장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갈림부재의 연결부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하여 형성된 접힘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말기 홀더의 장공에 끼워지고 접힘홈이 접힌 다음 상기 체결수단이 상호 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홀더의 하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면과 전면 또는 하면과 양측면이 연결된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과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홀더는 하면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제1걸림턱과, 상기 슬라이드홈의 타측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용홈과 제2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단말기 홀더에 끼워진 휴대용 단말기를 분리하되, 상기 제1수용홈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수용홈에 끼워지도록 타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돌기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것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돌기와 제2고정돌기 사이에 요입형성된 탈착홈을 포함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작하도록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단말기 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에 고정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걸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순간적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단말기가 장착된 홀더 및 목걸이가 단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자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부재를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각 부재들의 제작이 용이하고, 각 부재들을 분리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이 간편하며, 무엇보다 부재들 중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목걸이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데 따랐던 경제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로 착용하였을 시 목걸이가 임의로 뒤집히거나 회전하지 않고 그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특히 전방으로 전자파가 배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가 뒤집히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가 배출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단말기 홀더에 별도의 잠금수단을 적용하여 평상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기 홀더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지만, 필요시에는 단말기와 홀더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가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의 연결부가 접힌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3의 갈림부재와 제1,2연결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가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20)를 목걸이 형태로 거치하여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는 휴대용 단말기(20)의 배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되는 단말기 홀더(100)와, 상기 단말기 홀더(100)가 탈착되는 연결부(210)와, 상기 연결부(210)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좌,우측 이음부(220,230)를 포함하는 갈림부재(200)와, 상기 좌,우측 이음부(220,230) 각각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호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300,400)를 포함하되, 상기 갈림부재(200) 및 제1,2연결부재(300,400)는 꼬이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두께(T)보다 폭(W)이 넓은 형태를 취한다.
먼저, 상기 단말기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20)의 배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배면에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홀더(100)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20)를 보호해줌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20)와 갈림부재(200)를 연결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단말기 홀더(100)의 형상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가 쉬게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지만,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휴대용 단말기(20)의 배면뿐 아니라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갈림부재(200)는 상기 단말기 홀더(100)가 탈착되는 연결부(210)와, 상기 연결부(210)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좌,우측 이음부(220,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Y'자형, 'V'자형, 'U'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단말기 홀더(100)에 연결되며, 연결방법에는 탈착 가능한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좌측 이음부(220) 및 우측이음부(230)는 상기 연결부(210)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와 같이 연결부(210)가 양측으로 갈라진 형태를 취함으로써 각 단부와 연결된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가 착용자의 목을 감싸면서 목걸이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는 상기 갈림부재(200)의 좌,우측 이음부(220,230) 각각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호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는 일직성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 즉, 좌,우측 이음부(220,230) 각각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의 변형이 쉽게 이뤄질 수 있고 상기 체결수단이 결합하여 갈림부재(200)와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는 폐곡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목걸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갈림부재(200) 및 제1,2연결부재(300,400)는 꼬이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두께(T)보다 폭(W)이 넓은 형태를 취한다. 즉, 전체적으로 넓적한 판상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단말기 홀더(10)에 끼워진 휴대용 단말기(20)가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10)에 휴대용 단말기(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순간적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20)가 장착된 단말기 홀더(100)와 갈림부재(200) 및 제1,2연결부재(300,400) 가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자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각 부재(200,300,400)를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각 부재(200,300,400)들을 분리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이 간편하며, 무엇보다 부재(200,300,400)들 중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으로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목걸이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데 따랐던 경제적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또, 휴대용 단말기(20)를 단말기 홀더(100)에 장착한 상태로 착용하였을 시 목걸이(10)가 임의로 뒤집히거나 회전하지 않고 그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특히 전방으로 전자파가 배출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경우 단말기(20)가 뒤집히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가 배출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탈착 가능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제1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타공된 체결구(310) 및 상기 제2연결부재(400)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3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4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돌기(410)는 상기 체결구(310)보다 큰 직경의 머리와, 상기 체결구(310)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머리와 제2연결부재(400)를 연결하는 몸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310)는 구간별로 다수 타공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원하는 체결구(310)에 스냅돌기(41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강하게 눌러 체결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연결부재(300)와 제2연결부재(4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끼웠던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빼내면 체결구(310)에서 스냅돌기(410)가 빠지면서 제1연결부재(300)와 제2연결부재(400)의 분리가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부재(300)의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400)가 끼워져 고정되는 터널(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300)의 일면에는 상기 스냅돌기(410)를 상기 체결구(310)로 안내하는 안내홈(330)이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 터널(320)은 상기 제1연결부재(300)에 형성되어 터널(320)과 제1연결부재(300)사이에 소폭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재(400)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터널(320)이 형성되면, 상기 체결구(310)에 스냅돌기(4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연결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330)은 상기 스냅돌기(410)가 터널(320)을 통과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재(400)가 터널(320)을 통과할 때 간섭받지 않기 위해 상기 스냅돌기(410)는 상기 안내홈(330)에 끼워진 상태로 통과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3의 갈림부재와 제1,2연결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갈림부재(200) 및 제1,2연결부재(300,400)는 상호 대응하도록 각 단부에 마련된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탈착 가능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갈림부재(200) 또는 제1,2연결부재(300,40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타공된 체결구(221,231)와, 갈림부재(200) 또는 제1,2연결부재(300,4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221,231)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340,4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돌기(340,440)는 상기 체결구(221,231)보다 큰 직경의 머리와, 상기 체결구(221,231)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머리와 제1,2연결부재(300,400)를 연결하는 몸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221,231)는 복수개 타공되어져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원하는 체결구(221,231)에 스냅돌기(340,440)를 억지 끼우는 방식으로 강하게 눌러 체결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갈림부재(200)와 제1,2연결부재(300,4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끼웠던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빼내면 체결구(221,231)에서 스냅돌기(340,440)가 빠지면서 갈림부재(200)와 제1,2연결부재(300,400)의 분리가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연결부가 접힌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홀더(100)는 배면(101) 및 상,하면(102,103)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102)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면(110)을 형성하며, 상기 절곡면(110)에는 상기 연결부(210)가 끼워지는 장공(11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단말기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20)의 배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102)의 단부는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면(110)을 형성하며, 상기 절곡면(110)에는 상기 연결부(210)가 전후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길다란 장공(111)이 형성된다.
상기의 경우 단말기 홀더(100)의 하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면과 전면 또는 하면과 양측면이 연결된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과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홀더(100)가 휴대용 단말기(20)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단말기 홀더(100)의 고정력이 약해서 임의로 쉽게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홀더(100)의 하면(103)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양측면 하단을 감싸는 절곡부(104)와, 전면 하단를 감싸는 절곡부(105)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절곡부(104,105)가 추가로 형성되면, 단말기 홀더(100)와 휴대용 단말기(20)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갈림부재(200)의 연결부(210)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하여 형성된 접힘홈(21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말기 홀더(100)의 장공(111)에 끼워지고 접힘홈(211)이 접힌 다음 상기 체결수단이 상호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210)가 접힌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접힘홈(211)은 연결부(210) 중 가장 두께가 얇기 때문에 쉽게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1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단말기 홀더(100)와 갈림부재(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수단이 결합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탈착 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고정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에 타공된 체결구(213) 및 상기 체결구(213)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213)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냅돌기(214)는 상기 체결구(213)보다 큰 직경의 머리와, 상기 체결구(213)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머리와 연결부(210)를 연결하는 몸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을 결합하고자 할 경우 체결구(213)에 스냅돌기(214)를 억지 끼우는 방식으로 강하게 눌러 체결할 수 있다. 반대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끼웠던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빼내면 체결구(213)에서 스냅돌기(214)가 빠지면서 접힌 상태로 고정되었던 연결부(210)가 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안착홈(212)에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안착홈(212)이 형성될 경우 연결부(210)의 일측 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안착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매끄러운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흔들림 없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홀더(100)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홈(120)이 타공되고, 상기 슬라이드홈(120)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면서 양측으로 이동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 홀더(100)에 끼워진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 또는 분리하는 잠금부재(130)가 추가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30)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거나, 일측에 휴대용 단말기(2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측 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단말기 홀더(1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작용하고, 타측 방향에 대해서는 단말기 홀더(100)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20)를 강제로 밀어내어 분리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돌기가 휴대용 단말기(20)와 접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20)가 단말기 홀더(100)에 안착되고, 돌기가 상승하거나 이동하면서 휴대용 단말기(20)와 접하게 되면 안착되었던 휴대용 단말기(20)가 단말기 홀더(100)의 하면(103)으로부터 분리되는 원리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8은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기 홀더에 안착된 상태이고, 도 9는 휴대용 단말기가 단말기 홀더에서 분리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홈(120)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수용홈(121) 및 제1걸림턱(1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제2수용홈(123)과 제2걸림턱(124)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130)는 상기 제1수용홈(121)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돌기(131)와, 상기 제2수용홈(123)에 끼워지도록 타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돌기(132)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21)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것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돌기(131)와 제2고정돌기(132) 사이에 이동방향을 따라 탈착홈(133)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130)가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단에 후크(21)가 형성되야 한다. 상기 후크(21)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 후크(21)는 휴대용 단말기(210)와 연결된 목부분과, 상기 목부분의 단부에 상기 목부분 보다 크기가 큰 머릿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홈(133)은 상기 목부분이 통과되는 부분과, 머릿부분이 통과되는 부분을 각 형상에 맞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크(21)가 탈착홈(133)에 끼워졌을 때, 상부와 하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홀더(100)는 하단에 후크(21)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20)에 적용된다고 명시하였지만, 그 용도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홈(120)의 일측에는 타공되지 않고 단말기 홀더(10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요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말기 홀더(1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요입된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일측에 형성된 요홈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제1수용홈(121) 및 제1걸림턱(122)이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요홈에는 내측방향으로 제2수용홈(123)과 제2걸림턱(124)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잠금부재(130)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1고정돌기(131)는 제1수용홈(121)에 끼워지고, 상기 제1걸림턱(122)에 의해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밀면 제1고정돌기(131)는 제1수용홈(121)을 빠져나오고, 제2고정돌기(132)는 상기 제2수용홈(123)에 끼워지며, 제2걸림턱(124)에 의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부재(130)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고정돌기(131)와 제2고정돌기(132)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20)를 향해 요입 형성된 탈착홈(133)이 상기 단말기 홀더(100)에 끼워진 휴대용 단말기(20) 하단에 돌출형성된 후크(21)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상기 후크(21)가 상기 탈착홈(133)에 끼워질 경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단말기 홀더(100)와 고정되고, 반대로 상기 후크(21)가 상기 탈착홈(133)에서 빠져나올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단말기 홀더(10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재(13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조작 돌기(134)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돌기(13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130)가 상기 단말기 홀더(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100)에 고정되는 마감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돌기(134)는 상기 탈착홈(133)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마감부재(140)는 상기 단말기 홀더(100)의 하면(10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돌기(134)가 노출되고 상기 조잘돌기(134)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홈(141)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부재(140)와 단말기 홀더(100)에는 각각 스냅돌기와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140)의 스냅돌기가 단말기 홀더(100)에 체결구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홀더(100)에 별도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잠금구조를 적용하여 평상시에 휴대용 단말기(20)가 단말기 홀더(10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지만, 필요시에는 단말기(20)와 단말기 홀더(1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20 : 휴대용 단말기
100 : 단말기 홀더 110 : 절곡부
120 : 슬라이드홈 121 : 제1수용홈
122 : 제1걸림턱 123 : 제2수용홈
214 : 제2걸림턱 130 : 잠금부재
131 : 제1고정돌기 132 : 제2고정돌기
133 : 탈착홈 134 : 조작돌기
140 : 마감부재 141 : 이동홈
200 : 갈림부재 210 : 연결부
211 : 접힘홈 212 : 안착홈
213 : 체결구 214 : 스냅돌기
220 : 좌측 이음부 221,231 : 체결구
230 : 우측 이음부 300 : 제1연결부재
310 : 체결구 320 : 터널
330 : 안내홈 340,440 : 스냅돌기
400 : 제2연결부재 410 : 스냅돌기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를 목걸이 형태로 거치하여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단말기 홀더;
    상기 단말기 홀더가 탈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좌,우측 이음부를 포함하는 갈림부재;
    상기 좌,우측 이음부 각각의 일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호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갈림부재 및 제1,2연결부재는 꼬이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태이고, 상기 단말기 홀더는 배면 및 상,하면을 포함하여, 상기 상면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에는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는 장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타공된 체결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스냅돌기를 상기 체결구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림부재 및 제1,2연결부재는 상호 대응하도록 각 단부에 마련된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갈림부재 또는 제1,2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타공된 체결구와, 갈림부재 또는 제1,2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림부재의 연결부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내측으로 요입하여 형성된 접힘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말기 홀더의 장공에 끼워지고 접힘홈이 접힌 다음 상기 체결수단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이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안착홈에 체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에 타공된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스냅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의 하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면과 전면 또는 하면과 양측면이 연결된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과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의 하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타공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단말기 홀더에 끼워진 휴대용 단말기를 단말기 홀더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하는 잠금부재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수용홈 및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제2수용홈과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수용홈에 끼워지도록 타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돌기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것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돌기와 제2고정돌기 사이에 요입형성된 탈착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조작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단말기 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홀더에 고정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KR1020110144849A 2011-12-28 2011-12-28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KR10133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49A KR101338414B1 (ko) 2011-12-28 2011-12-28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49A KR101338414B1 (ko) 2011-12-28 2011-12-28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310A KR20130076310A (ko) 2013-07-08
KR101338414B1 true KR101338414B1 (ko) 2013-12-10

Family

ID=4898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849A KR101338414B1 (ko) 2011-12-28 2011-12-28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2177B (zh) * 2023-04-24 2023-08-11 中企科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的移动通信数据采集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478U (ja) * 1994-01-27 1994-08-09 株式会社大手興業 装着用携帯電話ケース
KR20020059504A (ko) * 2001-01-08 2002-07-13 정계묵 안전장치를 겸비한 3방향 분리 목걸이형 이어폰장치
KR200382503Y1 (ko) * 2005-01-28 2005-04-20 김동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478U (ja) * 1994-01-27 1994-08-09 株式会社大手興業 装着用携帯電話ケース
KR20020059504A (ko) * 2001-01-08 2002-07-13 정계묵 안전장치를 겸비한 3방향 분리 목걸이형 이어폰장치
KR200382503Y1 (ko) * 2005-01-28 2005-04-20 김동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310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162B2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ー、およびこれを含むカミソリ
KR101672842B1 (ko) 인조 속눈썹용 어플리케이터
US9694503B2 (en) Shaver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 cartridge and head and handle assembly for such shaver
CA107481S (en) Razor handle
CA107480S (en) Razor
US9757870B2 (en) Shaver
EP3165118A1 (en) Buckle
US20160031099A1 (en) Electric shaver
US20150290819A1 (en) Shaver
USD816331S1 (en) Handbag
ITUD20070124A1 (it) Dispositivo d'aggancio per una apparecchiatura elettronica indossabile ed apparecchiatura elettronica indossabil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d'aggancio
US20150135494A1 (en) Buckle
US20170295891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5989021B2 (ja) 折り畳みヘルメット
JP2000509506A (ja) 腕時計に時計バンドを取り付ける装置
KR101338414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용 목걸이
CN105578919B (zh) 允许紧急释放的安全带扣
KR101069091B1 (ko) 버클
CN107205529B (zh) 绳扣
USD691806S1 (en) Handbag
KR101292527B1 (ko) 바형 휴대용 단말기의 충격흡수커버
KR101221729B1 (ko) 중화제 수용 받침대
JP3217647U (ja) 眼鏡ケース
KR101134788B1 (ko)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KR101333818B1 (ko) 어깨띠 조절형 가방 및 그에 사용되는 선회 연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