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788B1 -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 Google Patents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788B1
KR101134788B1 KR1020110056840A KR20110056840A KR101134788B1 KR 101134788 B1 KR101134788 B1 KR 101134788B1 KR 1020110056840 A KR1020110056840 A KR 1020110056840A KR 20110056840 A KR20110056840 A KR 20110056840A KR 101134788 B1 KR101134788 B1 KR 10113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tralizer
hair
neck
piece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김범진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김찬수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10201100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3/00Shop or lik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부터 목을 삽입할 수 있는 목 삽입부(11)와, 목 삽입부(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홈통부(12)와, 홈통부(12)의 후방에 하부로 더 함몰 형성되어 어깨부위에 받쳐지는 받침부(13)와, 홈통부(12)의 전방측 내측에 더 함몰 형성되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린 중화제(N)가 고이도록 한 수용부(14)가 일체로 마련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4)가 형성된 홈통부(12)의 상부와 목 삽입부(11)의 상단에 일체감 있게 가장자리의 접합으로 포켓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용부(14)로부터 고인 중화제가 헤어받침(10)의 전방 기울임 각도에 따라 홈통부(12)의 전방 외부로 흘러나감을 방지하는 차단편(15)이 마련되고, 상기 헤어받침(10)의 목 삽입부(11)를 기준으로 양측 전방 중 어느 전방에는 벨크로우 부착편(17)이 부착 형성되고, 또 다른 전방에는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17)과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우형의 부착 띠(18)가 구비된 돌출편(19)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차단편으로 하여금 수용부의 상부측을 포켓형태가 되도록 하여 헤어받침의 전방측 기울기가 있더라도 중화제가 쏟아지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고, 차단편으로부터 연장된 날개편은 받침부측에서 목 삽입부로 중화제가 착용자의 머리방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서, 헤어받침을 착용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고개를 숙이는 동작이나 돌리는 동작에서 중화제가 외부로 쏟아져 착용자가 입고 있는 옷에 묻어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Neutralizer hair tray for perm}
본 발명은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미용실에서 퍼머 머리를 하는데 사용되는 중화제 사용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목에 걸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리는 중화제를 수용하도록 된 중화제 헤어받침을 개선하여 착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동작에서 중화제가 헤어받침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에서 사용되는 중화제는 퍼머용 롯드 및 스트레이트 발을 이용하여 모발을 요구하는 형태로 만들어 퍼머 액으로 굳히고 여기에 중화제를 발라 줌으로써 모발이 부드럽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롯드나 스트레이트용 발을 작업하기 이전 중화제 헤어받침을 고객의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헤어받침은 중화제 받침 용도 이외에도 롯드 작업에 필요한 고무줄, 핀 등등을 올려놓고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헤어받침(10)은 착용이 용이하도록 소프트하면서 가벼운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목을 삽입할 수 있는 목 삽입부(11)와, 목 삽입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홈통부(12)와, 홈통부의 후방에 하부로 더 함몰 형성되어 어깨부위에 받쳐지는 받침부(13)와, 홈통부의 전방측 내측에 더 함몰형성되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린 중화제(N)가 고이도록 한 수용부(14)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머 액 작업 이후 중화제를 모발에 바른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중화제는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헤어받침의 홈통부 내에 중화제가 흘러들어 고이게 되고, 고이는 부분은 홈통부에서 받침부의 함몰된 부분과 수용부 내에 고이게 된다.
통상 상기 헤어받침의 목 삽입부를 통해 착용한 상태는 수평이 아닌 기울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받침부와 수용부는 홈통부로부터 더 깊은 형태로 함몰되어 수용된 중화제가 외부로 쉽게 흘러내리지 하도록 제작하였으나, 헤어받침을 착용한 착용자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심코 고개를 숙이는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와 수용부에 고인 중화제가 외부로 흘러내려 착용한 옷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헤어받침은 착용자가 고개를 돌리는 동작이나 고개를 뒤로 젖히는 자세에서는 목 삽입부로부터 헤어받침이 이탈되는 사례로 상기와 같이 착용한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미용실에서 퍼머 머리를 하는데 사용되는 중화제 사용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목에 걸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리는 중화제를 수용하도록 된 중화제 헤어받침을 개선하여 착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동작에서 중화제가 헤어받침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으로부터 목을 삽입할 수 있는 목 삽입부와, 목 삽입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홈통부와, 홈통부의 후방에 하부로 더 함몰 형성되어 어깨부위에 받쳐지는 받침부와, 홈통부의 전방측 내측에 더 함몰 형성되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린 중화제가 고이도록 한 수용부가 일체로 마련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홈통부의 상부와 목 삽입부의 상단에 일체감 있게 가장자리의 접합으로 포켓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용부로부터 고인 중화제가 헤어받침의 전방 기울임 각도에 따라 홈통부의 전방 외부로 흘러나감을 방지하는 차단편이 마련되고, 상기 헤어받침의 목 삽입부를 기준으로 양측 전방 중 어느 전방에는 벨크로우 부착편이 부착 형성되고, 또 다른 전방에는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과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우형의 부착 띠가 구비된 돌출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단편은 목 삽입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헤어받침의 전방 및 좌우측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목 삽입부로 중화제의 흐름이 방지될 수 있는 날개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단편의 접합부위 및 벨크로우 부착편, 부착 띠는 구비되는 리벳으로 리벳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은 차단편으로 하여금 수용부의 상부측을 포켓형태가 되도록 하여 헤어받침의 전방측 기울기가 있더라도 중화제가 쏟아지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고, 차단편으로부터 연장된 날개편은 받침부측에서 목 삽입부로 중화제가 착용자의 머리방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서, 헤어받침을 착용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고개를 숙이는 동작이나 돌리는 동작에서 중화제가 외부로 쏟아져 착용자가 입고 있는 옷에 묻어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중화제 헤어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중화제 헤어받침의 홈통부를 기준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중화제 헤어받침을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중화제 헤어받침의 주요부분이 적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헤어받침의 주요부분이 접합된 완제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헤어받침의 홈통부를 기준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헤어받침을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중화제 헤어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받침의 차단편 및 부착 띠, 벨크로우 부착편이 접합 이후 리벳팅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목을 삽입할 수 있는 목 삽입부(11)와, 목 삽입부(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홈통부(12)와, 홈통부(12)의 후방에 하부로 더 함몰 형성되어 어깨부위에 받쳐지는 받침부(13)와, 홈통부(12)의 전방측 내측에 더 함몰 형성되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린 중화제(N)가 고이도록 한 수용부(14)가 일체로 마련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4)가 형성된 홈통부(12)의 상부와 목 삽입부(11)의 상단에 일체감 있게 가장자리의 접합으로 포켓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용부(14)로부터 고인 중화제가 헤어받침(10)의 전방 기울임 각도에 따라 홈통부(12)의 전방 외부로 흘러나감을 방지하는 차단편(15)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받침 또한 착용에 있어 무리를 주지 않는 소프트한 재질, 즉 발포 스폰지 소재,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성형 제작된다.
상기 차단편(15)은 목 삽입부(1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헤어받침(10)의 전방 및 좌우측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목 삽입부(11)로 중화제(N)의 흐름이 방지될 수 있는 날개편(16)이 더 형성된다.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편(15) 및 날개편(16)을 일체화하되, 이들을 성형된 헤어받침의 상부에 일치시켜 접합함으로써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은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한다.
또한 상기 차단편(15) 및 날개편은 헤어받침(10)의 홈통부(12) 상부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어받침(10)의 목 삽입부(11)를 기준으로 양측 전방 중 어느 전방에는 벨크로우 부착편(17)이 부착 형성되고, 또 다른 전방에는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17)과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우형의 부착 띠(18)가 구비된 돌출편(19)이 돌출 형성된다.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받침(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15)의 접합 이후 접합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차원에서 구비되는 리벳(L)으로 리벳팅하고,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17) 및 부착 띠(18) 또한 리벳(L)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벳을 이용한 고정작업으로서 벨크로우 부착편(17) 및 부착 띠(18)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17) 및 부착 띠(18)은 별개로 제작되어 제품의 선택에 따라 부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헤어받침(10)의 착용은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 삽입부(11)를 통해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서 삽입하여 주고, 삽입된 상태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받침부(13)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의 어깨의 상부에 안착되는 형태로서 전반적으로 헤어받침(10)의 전방은 종래와 동일하게 전방측이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착용된다.
상기와 같이 착용된 헤어받침(10)을 한 상태에서 롯드 및 스트레이트 발로서 헤어를 요구하는 형태로 만들어 주고, 퍼머 액 작업 및 모발에 부드러움을 주기 위한 중화제 작업을 한다.
중화제(N)는 분무식 혹은 바르는 형식으로 작업하게 되며, 이때 중화제(N)의 흐름은 헤어받침의 홈통부(12)내의 받침부(13) 내측과 함몰된 수용부(14)에 떨어져 고이게 된다.
한편, 헤어받침(10)에 적용된 차단편(15)은 상기 수용부(14)로부터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형태가 되어 착용자가 도 9에서와 같이 고개를 숙이는 자세에서도 수용부(14)에 고인 중화제(N)가 수용부(14)의 전방 상부를 통해 외부로 쏟아지는 종례의 사례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편(15)으로부터 연장된 날개편(16)은 목 삽입부(1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착용자가 고개를 숙인 자세에 받침부(13)측에 고인 중화제(N)가 다시 착용자의 머리 쪽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용부(14)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헤어받침(10)의 홈통부(12) 내에서 중화제의 흘러내림으로 착용자가 입고 있는 옷에 중화제(N)가 묻는 사례를 차단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헤어받침(10)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는 어느 정도 움직임이 있더라도 중화제(N)의 흘러내림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 활동에 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벨크로우 부착편(17)에 대한 상대측 돌출편(19)측의 부착 띠(18)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고개를 뒤로 젖히거나 돌리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목으로부터 헤어받침(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헤어받침의 착용이 안정적이다.
10: 헤어받침 11: 목 삽입부
12: 홈통부 13: 받침부
14: 수용부 15: 차단편
16: 날개편 17: 벨크로우 부착편
18: 부착 띠 19: 돌출편
N: 중화제 L: 리벳

Claims (4)

  1. 일측으로부터 목을 삽입할 수 있는 목 삽입부(11)와, 목 삽입부(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홈통부(12)와, 홈통부(12)의 후방에 하부로 더 함몰 형성되어 어깨부위에 받쳐지는 받침부(13)와, 홈통부(12)의 전방측 내측에 더 함몰 형성되어 머리로부터 흘러내린 중화제(N)가 고이도록 한 수용부(14)가 일체로 마련된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4)가 형성된 홈통부(12)의 상부와 목 삽입부(11)의 상단에 일체감 있게 가장자리의 접합으로 포켓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용부(14)로부터 고인 중화제가 헤어받침(10)의 전방 기울임 각도에 따라 홈통부(12)의 전방 외부로 흘러나감을 방지하는 차단편(15)이 마련되고, 상기 헤어받침(10)의 목 삽입부(11)를 기준으로 양측 전방 중 어느 전방에는 벨크로우 부착편(17)이 부착 형성되고, 또 다른 전방에는 상기 벨크로우 부착편(17)과 대응되어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우형의 부착 띠(18)가 구비된 돌출편(19)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15)은 목 삽입부(1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헤어받침(10)의 전방 및 좌우측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목 삽입부(11)로 중화제(N)의 흐름이 방지될 수 있는 날개편(1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15)의 접합부위 및 벨크로우 부착편(17), 부착 띠(18)는 구비되는 리벳(L)으로 리벳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KR1020110056840A 2011-06-13 2011-06-13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KR10113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40A KR101134788B1 (ko) 2011-06-13 2011-06-13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40A KR101134788B1 (ko) 2011-06-13 2011-06-13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788B1 true KR101134788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840A KR101134788B1 (ko) 2011-06-13 2011-06-13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29A2 (ko) * 2012-02-28 2013-09-06 Kim Chan-Soo 중화제 수용 받침대
KR20160046466A (ko) * 2014-10-21 2016-04-29 한은영 중화액제받침대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94A (ko) * 1988-02-29 1989-09-18 아네트 울프강 드립 트레이(Drip Tray)
KR200316771Y1 (ko) * 2003-03-04 2003-06-18 이응길 모발염색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94A (ko) * 1988-02-29 1989-09-18 아네트 울프강 드립 트레이(Drip Tray)
KR960003603B1 (ko) * 1988-02-29 1996-03-20 아네트 울프강 파마액 받침(Drip Tray)
KR200316771Y1 (ko) * 2003-03-04 2003-06-18 이응길 모발염색용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29A2 (ko) * 2012-02-28 2013-09-06 Kim Chan-Soo 중화제 수용 받침대
WO2013129829A3 (ko) * 2012-02-28 2013-10-24 Kim Chan-Soo 중화제 수용 받침대
KR20160046466A (ko) * 2014-10-21 2016-04-29 한은영 중화액제받침대의 제조방법
KR101667611B1 (ko) 2014-10-21 2016-10-19 한은영 중화액제받침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65026A1 (en) Self Neck-Hair Grooming Tool
KR101392845B1 (ko) 인조속눈썹 및 인조속눈썹 제작방법
KR101134788B1 (ko) 퍼머용 중화제 헤어받침
US20200196787A1 (en) Shoe donning assist device
JP2021500122A5 (ko)
JP3195071U (ja) 靴べら機能付き靴
EP2870892A1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means of fixation
KR101104768B1 (ko) 헤어용품
US20150282553A1 (en) Sandal With Adjustable Strap
KR20170081814A (ko) 헤어 브러시
KR101305912B1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US20130091736A1 (en) Shoe with attachable fashion accessories
KR101221729B1 (ko) 중화제 수용 받침대
KR200482513Y1 (ko) 중화제 받침대
JP6989939B2 (ja) 靴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5684B1 (ko)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US20150342273A1 (en) Convertible boot band
WO2009102132A3 (ko) 이미용실용 얼굴 보호구
KR20160115160A (ko) 위치변경 가능한 가방
KR101279891B1 (ko) 헤어용품
US10758447B2 (en) Massage device
KR101305343B1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101609314B1 (ko) 털이 부착된 신발
KR20180076196A (ko)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