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314B1 - 스팀 세척기 - Google Patents

스팀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14B1
KR101338314B1 KR1020120095546A KR20120095546A KR101338314B1 KR 101338314 B1 KR101338314 B1 KR 101338314B1 KR 1020120095546 A KR1020120095546 A KR 1020120095546A KR 20120095546 A KR20120095546 A KR 20120095546A KR 101338314 B1 KR101338314 B1 KR 10133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team
cylindrical water
donut
rectangul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김형찬
Original Assignee
김형찬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찬, 김종국 filed Critical 김형찬
Priority to KR102012009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고압의 스팀으로만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 스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갖는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압력게이지(104)를 갖는 계기판(106)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된 받침판(108)와; 상기 받침판(108)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10)을 갖는 지지판(11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1 및 제2수직봉(114)(116)과; 상기 제1수직봉(114)과 상기 제2수직봉(116)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3 및 제4수직봉(118)(120)과; 상기 제3수직봉(118)과 상기 제4수직봉(12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물탱크공급관(20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팀 세척기{Steam washer}
본 발명은 스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고압의 스팀으로만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 스팀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외관을 깨끗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물통과 걸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차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차량에 뿌려지는 물의 압력이 약해서 기름때 등이나 차량의 휠 또는 팬더부분의 오물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는 문제점과, 물통에 물을 담아와서 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세척장에서 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세척장까지 직접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전국적으로 급증한 차량을 고려해 볼 때 상기와 같은 수작업 세척과 세척장에서의 세척시 소비되는 많은 양의 물은 오폐수로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팀 세척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의 스팀 세척기는 고압으로 분무되는 스팀을 발생시켜 차량 도막을 보호하면서도 차량 도막에 묻어있는 오염물질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한 스팀 세척기는 적은 양의 물로도 승용차 한 대를 세척할 수 있으며 오폐수가 발생치 않아 친환경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한 스팀 세척기는 기본적으로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기본원리가 있는데, 이와 같이 물을 끓이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전기방식의 스팀 세척기는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예열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과 전기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팀 세척기의 주변에 항상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를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10년 09월 07일에 출원번호 제10-2010-87449호(발명의 명칭 :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를 출원한바, 상기한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는, 하단에 캐스터와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카트와; 카트의 상부에는 박스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물 공급관을 통해 보일러로 물을 공급하는 물 탱크와; 물 탱크와 보일러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 공급관과 연결된 보조 물 탱크와; 물 탱크와 보조 물 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은 내벽을 통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팀 발생 공급관으로 공급되고, 스팀 발생 공급관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도록 버너와 연소구가 설치된 보일러와; 버너에 등유를 공급하도록 오일 공급관으로 연결된 오일 탱크와; 보일러의 상부에는 발생된 스팀을 분무 및 물 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물 탱크의 내부에 위치한 끝단에는 립플관이 결합된 스팀 공급관과; 스팀 공급관은 물 탱크로 유입되기 전 분기되어 호스 릴과 연결하는 호스 릴 연결관과; 프레임의 일측에는 스팀을 고압으로 분무하기 위한 에어 펌프와; 에어 펌프에서 발생하는 에어를 저장 및 호스 릴로 공급하는 에어 보조탱크와; 프레임의 일측에는 스팀을 분무하도록 호스 릴 연결관과 연결되는 호스 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는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자동차를 세척할 경우, 고온/고압의 스팀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흘러나오는 뜨거운 물에 의해 자동차의 세척이 잘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흘러나오는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흘러나오는 뜨거운 물에 의해 스팀 세척기의 주변이 항상 지저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며, 스팀 세척시, 뜨거운 물이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온/고압의 스팀으로만 자동차를 세척함으로써, 자동차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스팀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는,
수용공간을 갖는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압력게이지(104)를 갖는 계기판(106)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된 받침판(108)와;
상기 받침판(108)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10)을 갖는 지지판(11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1 및 제2수직봉(114)(116)과;
상기 제1수직봉(114)과 상기 제2수직봉(116)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3 및 제4수직봉(118)(120)과;
상기 제3수직봉(118)과 상기 제4수직봉(12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물탱크공급관(202)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되어 열을 차단하는 격벽(126)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있는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저부 일측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중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로 공급하는 제1공급관(132)과;
상기 지지판(11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공간을 갖고 몸체의 중앙에 수용공(134)을 갖는 도넛형 보일러(13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 고정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물교환관(138)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저면 일측과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저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체크밸브(도시는 생략함)를 갖고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도넛형 보일러(136)로 공급하는 제2공급관(142)과;
상기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의 관통공(110)을 통해 도넛형 보일러(136)의 물교환관(138)과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으로 불꽃과 열을 제공하여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44)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 일측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도넛형 보일러의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서 가열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46)과;
상기 가이드관(146)의 끝단에 볼록하게 연장 설치되어 확장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관(146)으로부터 가열된 물이 확장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된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와;
상기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끝단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확장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관(150)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과 계기판(106)의 압력게이지(104) 사이에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압력게이지(104)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센서(152)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서부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스팀을 외부로 공급하는 제2스팀공급관(154)과;
상기 제2스팀공급관(154)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제2스팀공급관(15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5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불꽃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몸체의 중앙에 공기통로(158)를 갖는 뚜껑(160)과;
상기 뚜껑(160)의 외면에 설치되어 뚜껑(1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 주는 손잡이(16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4)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6)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08)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는 이동이 용이하며, 고온/고압의 스팀만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고압의 스팀만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척하는바, 자동차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를 절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스팀 세척기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스팀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5는 도 1의 도넛형 보일러,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 뚜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도넛형 보일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제1 및 제2원통형상의 물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를 절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스팀 세척기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스팀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며, 도 5는 도 1의 도넛형 보일러,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 뚜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도넛형 보일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는,
수용공간을 갖는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압력게이지(104)를 갖는 계기판(106)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된 받침판(108)와;
상기 받침판(108)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10)을 갖는 지지판(11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1 및 제2수직봉(114)(116)과;
상기 제1수직봉(114)과 상기 제2수직봉(116)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3 및 제4수직봉(118)(120)과;
상기 제3수직봉(118)과 상기 제4수직봉(12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물탱크공급관(202)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되어 열을 차단하는 격벽(126)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있는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저부 일측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중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로 공급하는 제1공급관(132)과;
상기 지지판(11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공간을 갖고 몸체의 중앙에 수용공(134)을 갖는 도넛형 보일러(13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 고정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물교환관(138)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저면 일측과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저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체크밸브(도시는 생략함)를 갖고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도넛형 보일러(136)로 공급하는 제2공급관(142)과;
상기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의 관통공(110)을 통해 도넛형 보일러(136)의 물교환관(138)과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으로 불꽃과 열을 제공하여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44)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 일측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도넛형 보일러의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서 가열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46)과;
상기 가이드관(146)의 끝단에 볼록하게 연장 설치되어 확장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관(146)으로부터 가열된 물이 확장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된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와;
상기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끝단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확장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관(150)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과 계기판(106)의 압력게이지(104) 사이에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압력게이지(104)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센서(152)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서부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스팀을 외부로 공급하는 제2스팀공급관(154)과;
상기 제2스팀공급관(154)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제2스팀공급관(15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5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불꽃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몸체의 중앙에 공기통로(158)를 갖는 뚜껑(160)과;
상기 뚜껑(160)의 외면에 설치되어 뚜껑(1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 주는 손잡이(16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4)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6)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08)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예를 들어,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 물이 없을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144) 대신에, 기름을 사용하는 버너, 전기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그 설치순서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전원부(2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204) 및 수용공간을 갖는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을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및 일부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압력게이지(104)를 갖는 계기판(106)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받침판(108)을 설치한 후,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의 격벽(126)을 설치한다. 이때, 격벽(126)은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8)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10)을 갖는 지지판(11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수직봉(114)(116)을 설치한 후, 상기 제1 및 제2수직봉(114)의 상면에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를 설치 고정한다. 이때,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 하측에 수위감지센서(208)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수위감지센서(208)를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의 제3 및 제4수직봉(118)(120)을 설치한 후, 상기 제3 및 제4수직봉(114)의 상면에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를 설치 고정한다. 이때,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 경고부(210)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경고부(210)를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 사이에 물탱크공급관(20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에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을 설치 고정하고, 상기 지지판(112)의 상면에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공간을 갖고 몸체의 중앙에 수용공(134)을 갖는 도넛형 보일러(136)를 설치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물교환관(13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 일측에는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가이드관(14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관(146)의 끝단에는 볼록하게 연장 설치되어 확장공간을 구비하는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저부 일측과 상기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중부 일측 사이에 제1공급관(13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저면 일측과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저부 일측 사이에 몸체의 내부에 체크밸브를 갖는 제2공급관(14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끝단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 사이에 제1스팀공급관(15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 제2스팀공급관(154)을 설치하되, 상기 제2스팀공급관(154)을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에 설치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팀공급관(154)의 끝단부에 제2스팀공급관(15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56)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과 계기판(106)의 압력게이지(104) 사이에 압력게이지(104)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센서(152)를 설치한다.
그리고, 몸체의 중앙에 공기통로(158)를 가지고, 손잡이(162)가 설치된 뚜껑(16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뚜껑(160)을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먼저, 받침판(108)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된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으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제1공급관(132)은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제2공급관(142)은 도넛형 보일러(136)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물교환관(138)에 물이 채워진다.
상기와 같이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물교환관(138)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는 물탱크공급관(202)을 통해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절반 정도 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하측에 수위감지센서(208)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수위감지센서(208)는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센서(208)는 수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수위값을 제어부(204)로 보낸다. 이때, 제어부(204)는 기설정된 수위값과 감지된 수위값을 비교하고, 기설정된 수위값과 감지된 수위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부(21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고부(210)의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로 물을 보충한다.
그리고, 가열부(144)를 위치시킨 후, 상기 가열부(144)에 숯불을 담고, 숯불이 담긴 가열부(144)를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144)에 의해, 도넛형 보일러(136)의 물교환관(138)과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으로 불꽃과 열을 제공한다.
그리고, 불꽃과 열에 의해, 도넛형 보일러(136)의 물교환관(138)과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이 가열됨과 아울러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서 가열된 물은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관(146)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넛형 보일러(136)의 가이드관(146)으로 이동한 가열된 물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관(146)의 끝단에 볼록하게 연장 설치된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확장공간에 위치함과 동시에 스팀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스팀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는 확장공간을 갖는바, 가열된 물이 가이드관(146)을 타고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확장공간에 위치할 때, 가열된 물의 표면이 확장공간에 접촉하게 되면 온도차에 의해 가열된 물의 표면에서 스팀을 발생한다.
그리고,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에 연결된 제1스팀공급관(150)은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에서 발생된 스팀을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 스팀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2스팀공급관(154)은 개폐밸브(156)의 해제시,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에 수용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팀 세척기 고압 및 고온으로 분출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차량을 세척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을 깨끗이 닦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팀 세척기
102 :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
104 : 압력게이지 106 : 계기판
108 : 받침판 110 : 관통공
112 : 지지판 126 : 격벽
128 : 사각박스형상의 물통 130 :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
132 : 제1공급관 134 : 수용공
136 : 도넛형 보일러 138 : 물교환관
136 : 도넛형 보일러 142 : 제2공급관
144 : 가열부 146 : 가이드관
148 :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
150 : 제1스팀공급관 152 : 압력측정센서
154 : 제2스팀공급관 156 : 개폐밸브
160 : 뚜껑 162 : 손잡이
200 : 제1 워통형상의 물탱크 204 : 제어부
208 : 수위감지센서
210 : 경고부

Claims (1)

  1. 수용공간을 갖는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압력게이지(104)를 갖는 계기판(106)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된 받침판(108)와;
    상기 받침판(108)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바닥면 일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10)을 갖는 지지판(11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1 및 제2수직봉(114)(116)과;
    상기 제1수직봉(114)과 상기 제2수직봉(116)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된 제3 및 제4수직봉(118)(120)과;
    상기 제3수직봉(118)과 상기 제4수직봉(12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와;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물탱크공급관(202)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설치 고정되어 열을 차단하는 격벽(126)과;
    상기 받침판(108)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있는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과;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저부 일측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중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사각박스형상의 물통(128)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로 공급하는 제1공급관(132)과;
    상기 지지판(11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되,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공간을 갖고 몸체의 중앙에 수용공(134)을 갖는 도넛형 보일러(13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 고정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물교환관(138)과;
    상기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저면 일측과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저부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체크밸브(도시는 생략함)를 갖고 제1 원통형상의 물탱크(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도넛형 보일러(136)로 공급하는 제2공급관(142)과;
    상기 지지판(1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의 관통공(110)을 통해 도넛형 보일러(136)의 물교환관(138)과 도넛형 보일러(136)의 내벽으로 불꽃과 열을 제공하여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44)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 일측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도넛형 보일러의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되, 도넛형 보일러(136)의 수용공간에서 가열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46)과;
    상기 가이드관(146)의 끝단에 볼록하게 연장 설치되어 확장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관(146)으로부터 가열된 물이 확장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된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와;
    상기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끝단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 사이에 설치되되, 볼록형상의 스팀발생부(148)의 확장공간에서 발생된 스팀을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관(150)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과 계기판(106)의 압력게이지(104) 사이에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압력게이지(104)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센서(152)와;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상면 일측에서부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부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스팀을 외부로 공급하는 제2스팀공급관(154)과;
    상기 제2스팀공급관(154)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제2스팀공급관(15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56)와;
    상기 도넛형 보일러(136)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불꽃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부(144)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몸체의 중앙에 공기통로(158)를 갖는 뚜껑(160)과;
    상기 뚜껑(160)의 외면에 설치되어 뚜껑(1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 주는 손잡이(162)와;
    상기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04)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6)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내부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08)와;
    상기 제어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통형상의 물탱크(13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
KR1020120095546A 2012-08-30 2012-08-30 스팀 세척기 KR10133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46A KR10133831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46A KR10133831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14B1 true KR101338314B1 (ko) 2013-12-09

Family

ID=499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46A KR101338314B1 (ko) 2012-08-30 2012-08-30 스팀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48B1 (ko) * 2020-10-12 2021-04-01 김형철 스팀 세척기
KR20230116179A (ko) 2022-01-28 2023-08-04 김형찬 이동식 스팀세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337A (ko) * 2001-10-15 2002-10-19 김형찬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KR20060050360A (ko) * 2004-08-16 2006-05-19 황필선 가스 히터를 사용하는 자동차 세차용 이동식 고압 수증기발생장치
KR20120025205A (ko) * 2010-09-07 2012-03-15 김형찬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337A (ko) * 2001-10-15 2002-10-19 김형찬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KR20060050360A (ko) * 2004-08-16 2006-05-19 황필선 가스 히터를 사용하는 자동차 세차용 이동식 고압 수증기발생장치
KR20120025205A (ko) * 2010-09-07 2012-03-15 김형찬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48B1 (ko) * 2020-10-12 2021-04-01 김형철 스팀 세척기
KR20230116179A (ko) 2022-01-28 2023-08-04 김형찬 이동식 스팀세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561B1 (ko)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
KR101141759B1 (ko)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
CN104075304B (zh) 一种蒸汽发生系统及智能保洁机器人
JP2013534179A (ja) 水性洗剤を使用するパーツウォッシャー
CN101327485A (zh) 清洗槽可运动的零件清洗机
KR101338314B1 (ko) 스팀 세척기
TWI636946B (zh) 飲水機及飲水機用之飲水機托盤
KR200322975Y1 (ko) 움직이는세차장 스팀세차기
CN204641509U (zh) 加压清洗罐车
CN108792375A (zh) 一种具有除臭功能的垃圾车
KR200238777Y1 (ko)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CN204870923U (zh) 一种多功能移动可视清洗设备
JP2003275703A (ja) 飲用容器載置装置、車両用給湯装置、および温泉水給湯装置
CN214028565U (zh) 一种软化水及热水清洗的多功能移动式清洗机
KR101447410B1 (ko) 이동형 세차박스
KR101891071B1 (ko) 전기를 이용한 세차시스템
KR20020079337A (ko)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KR102642800B1 (ko) 이동식 스팀세차기
CN202448953U (zh) 一种便携式车载清洗机
KR100822055B1 (ko) 통합청소차량
CN207345828U (zh) 一种车厢和列车
KR101231468B1 (ko) 차량의 워셔액 자동보충장치
CN208600377U (zh) 一种环保型加注清洗设备
CN204467900U (zh) 带电热水器的盥洗柜
CN205704059U (zh) 一种柴油机缸头维修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