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748B1 - 스팀 세척기 - Google Patents

스팀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48B1
KR102234748B1 KR1020200131203A KR20200131203A KR102234748B1 KR 102234748 B1 KR102234748 B1 KR 102234748B1 KR 1020200131203 A KR1020200131203 A KR 1020200131203A KR 20200131203 A KR20200131203 A KR 20200131203A KR 102234748 B1 KR102234748 B1 KR 10223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0013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05Bypass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스팀 세척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스팀 세척기는, 복수 개의 푸트가 하단부에 결합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보일러;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물(water)을 공급하는 물 공급 탱크;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서 개폐되며,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 및 상기 물 공급 탱크와 결합하며, 세차를 위한 세차용 건(gun)이 연결되어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하면서 스팀(steam)에 의한 세차를 진행하게 하는 스팀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세척기{Steam cleanser}
본 발명은, 스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팀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세차하기는 세차기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차량에 묻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방식과, 물을 가열해서 스팀으로 만든 다음에 스팀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크게 대별된다.
전자의 방식은 물을 가열할 필요가 없어서 일반 세차를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된다. 하지만, 겨울철이나 바닥 오염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세차 후 물이 얼게 되거나 오염물질이 물과 혼합되게 폐수의 처리가 곤란하므로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에 반해, 후자의 방식은 위의 사용 제약이 없다는 점에서 사용에 많은 이점이 있는데, 도 1을 참조해서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의 구조를 알아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는 이동식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부에 컨트롤부(11)와 분사건 결합구(1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본체(1)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저수통체(2)와, 저수통체(2)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3)와, 중앙에 가열봉(61)이 구비되어 있고 가열봉(61)의 외주에 펌프(3)와 연결되는 순환수관(62)이 감겨져 있음과 함께 순환수관(62)의 외주는 단열재(63)에 의해 덮여 있으며 단열재(63)의 외주는 통체(64)에 의해 덮여 있는 가열수단(6)과, 유입측이 상기 순환수관(62)과 연결되는 내통체(71)의 외주에 가열판(72)이 구비되고 가열판(72)의 외주는 단열재(73)에 의해 덮여 있으며, 단열재(73)의 외주는 외통체(74)에 의해 덮여 있는 스팀저장통체(7)와, 스팀저장통체(7) 내의 압력에 따라 가열판(72)을 온/오프하여 스팀저장통체(7)에 있어서 스팀의 온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스위치(8)와, 스팀저장통체(7)의 배출측인 상기 분사건 결합구(12)에 연결된 분사건(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같은 구조의 스팀 세척기(1)가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정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스팀이 대부분 건스팀(dry steam)이라서 사실상 세차효율이 떨어진다. 즉 스팀 분사 시 물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세차효율을 높이려면 약품을 분사한 이후에 스팀 세차를 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스팀 분사와 동시에 걸레로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더러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안으로, 도 2와 같은 장치가 제안된 바 있기도 하지만, 도 2의 기술은 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설치와 운용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사실상 사용이 기피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스팀 세척기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101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07842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816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47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팀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 개의 푸트가 하단부에 결합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보일러;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물(water)을 공급하는 물 공급 탱크;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서 개폐되며,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 및 상기 물 공급 탱크와 결합하며, 세차를 위한 세차용 건(gun)이 연결되어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하면서 스팀(steam)에 의한 세차를 진행하게 하는 스팀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에 연결되는 보일러 배관; 상기 보일러 배관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 상기 T형 커넥터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T형 커넥터에서 상기 세차용 건으로 향하는 건스팀(dry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건스팀 조절밸브; 상기 물 공급 탱크에 연결되는 탱크 배관; 상기 탱크 배관에 연결되는 L형 커넥터; 상기 L형 커넥터와 상기 T형 커넥터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관; 및 상기 플렉시블 연결관과 상기 L형 커넥터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렉시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차용 건으로 향하는 물스팀(water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물스팀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와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에서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및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물 공급 탱크에서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며,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 또는 공급정지, 그리고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량을 선택 입력하는 입력버튼;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건스팀 조절밸브와 상기 물스팀 조절밸브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단위 플레이트 중 하나에 게이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스팀 세척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스팀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스팀 세척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스팀 세척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는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가 복수 개로 적용된다. 따라서, 도 3처럼 한 장비로 여러 대의 자동차에 대한 스팀 세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는 세척기 본체(110)를 구비하며, 세척기 본체(110)에 아래의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
세척기 본체(110)는 스팀 세척기(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많은 부품이 탑재되어야 해서 세척기 본체(110)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세척기 본체(110)의 하단부에 복수 개의 푸트(111)가 마련된다. 푸트(111)는 휠(wheel)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는 한 곳에 설치해둔 상태에서 자동차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 쪽으로 이동하여 스팀 세차가 진행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세척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세척기 본체(110)의 전면에서 개폐되며, 일측에 컨트롤 패널(123)이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12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21)가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121a,12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단위 플레이트(121a,121b)만을 열어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위 플레이트(121a,121b) 중 하나에 게이지(124)가 설치된다. 게이지(124)는 스팀 공급 보일러(112)의 압력을 감지하는 게이지(124)일 수 있는데, 컨트롤러(150)와 연결된다. 이에, 게이지(124)의 감지값이 기준 이상이면 장치의 가동을 강제로 정지할 수 있다.
세척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세척기 본체(110)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탑 플레이트(125)가 마련된다. 커버 플레이트(121)와 마찬가지로 탑 플레이트(125)를 열고 세척기 본체(110) 내의 부품에 대한 설치 또는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세척기 본체(110) 내에는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보일러(112)와, 물(water)을 공급하는 물 공급 탱크(115)가 마련된다.
물론, 스팀 공급 보일러(112)와 물 공급 탱크(115)를 별개로 두고 운영할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 스팀 공급 보일러(112)가 물 공급 탱크(115) 역할을 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스팀 정도 수준이 아닌 온도로 가열된 물이나 혹은 아직 가열하지 않은 물을 별도의 배관을 통해 스팀 공급 보일러(112)에서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는 세척기 본체(11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스팀 공급 보일러(112) 및 물 공급 탱크(115)와 결합하며, 세차를 위한 세차용 건(105, gun)이 연결되어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하면서 스팀(steam)에 의한 세차를 진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세차용 건(105)은 플렉시블한 호스(104)를 건스팀 조절밸브(133) 측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세척기 본체(110)의 양측면에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가 대칭되게 마련되기 때문에, 도 3처럼 한 장비로 여러 대의 자동차에 대한 스팀 세차를 진행할 수 있다.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에 대해 잠시 부연한다. 통상, 스팀 세차라 불리는 것이 건스팀인데, 이러한 건스팀을 이용한 스팀 세차는 물 사용량이 적다.
다만, 스팀 세차의 장점은 고온의 스팀으로 차량의 도장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찌든 때를 녹여 내는 방식이므로 세제나 폼을 사용하는 일반 물 세차보다 더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내청소까지 고온의 스팀으로 살균 및 소독함으로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실내 청결을 장시간 유지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팀 세차는 물의 양이 너무 적다 보니,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차량에 약품(주로 계면활성제)을 분사한 후에 스팀을 사용한다거나, 스팀의 분사와 동시에 걸레로 닦아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고,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건스팀 외에도 물스팀을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위의 단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다. 예컨대, 실내 소독시에는 건스팀을, 차량의 외부 세차시에는 물스팀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건스팀과 물스팀 모두가 하나의 세차용 건(105)을 통해 나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물스팀이 진행될 때는 고온의 물이 스팀과 함께 토출됨으로써 세척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많은 물이 스팀과 함께 분사됨에 따라 차량 표면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세척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는 스팀 공급 보일러(112)에 연결되는 보일러 배관(131)과, 보일러 배관(131)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132)와, T형 커넥터(132)의 일측에 연결되며, T형 커넥터(132)에서 세차용 건(105)으로 향하는 건스팀(dry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건스팀 조절밸브(133)와, 물 공급 탱크(115)에 연결되는 탱크 배관(134)과, 탱크 배관(134)에 연결되는 L형 커넥터(135)와, L형 커넥터(135)와 T형 커넥터(132)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관(136)과, 플렉시블 연결관(136)과 L형 커넥터(135) 사이에 마련되며, 플렉시블 연결관(136)을 통해 세차용 건(105)으로 향하는 물스팀(water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물스팀 조절밸브(13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기 본체(110)에는 스팀 공급부(113)와 물 공급부(116)가 더 갖춰진다. 스팀 공급부(113)는 스팀 공급 보일러(112)와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에 연결되고, 스팀 공급 보일러(112)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 스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 공급부(116)는 물 공급 탱크(115)와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에 연결되고, 물 공급 탱크(115)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100)에는 장치의 컨트롤을 위하여 입력버튼(140)과 컨트롤러(150)가 더 탑재된다.
입력버튼(140)은 컨트롤 패널(123)에 마련되며,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 또는 공급정지, 그리고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량을 선택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입력버튼(140)이 버튼 형태로 되어 있지만, 입력버튼(140)은 터치패널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50)는 컨트롤 패널(123)에 마련되며, 입력버튼(140)의 입력신호에 따른 건스팀 조절밸브(133)와 물스팀 조절밸브(137)의 조작에 기초하여 스팀 공급부(113)와 물 공급부(116)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한다.
예컨대, 건스팀을 사용하면서 물스팀의 공급량을 밸브, 즉 물스팀 조절밸브(137)로 조절 가능한데, 컨트롤러(150)가 이러한 컨트롤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버튼(140)의 입력신호에 따른 건스팀 조절밸브(133)와 물스팀 조절밸브(137)의 조작에 기초하여 스팀 공급부(113)와 물 공급부(116)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과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입력버튼(140)의 입력신호에 따른 건스팀 조절밸브(133)와 물스팀 조절밸브(137)의 조작에 기초하여 스팀 공급부(113)와 물 공급부(116)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건스팀과 물스팀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기(200) 역시, 세척기 본체(110)를 구비하며, 세척기 본체(110)에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를 비롯한 여러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는 스팀 공급 보일러(112)에 연결되는 보일러 배관(131)과, 보일러 배관(131)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132)와, T형 커넥터(132)의 일측에 연결되며, T형 커넥터(132)에서 세차용 건(105)으로 향하는 건스팀(dry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건스팀 조절밸브(133)와, 물 공급 탱크(115)에 연결되는 탱크 배관(134)과, 탱크 배관(134)에 연결되는 L형 커넥터(135)와, L형 커넥터(135)와 T형 커넥터(132)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관(136)과, 플렉시블 연결관(136)과 L형 커넥터(135) 사이에 마련되며, 플렉시블 연결관(136)을 통해 세차용 건(105)으로 향하는 물스팀(water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물스팀 조절밸브(137)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에는 스팀 분기유닛(260)이 더 연결된다. 스팀 분기유닛(260)은 건스팀 조절밸브(133)에 연결되는 공용 스팀라인(261)과, 공용 스팀라인(261)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스팀라인(2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에 스팀 분기유닛(260)이 더 연결되어 사용되면, 하나의 스팀 밸브 어셈블리(130)에 여러 대의 세차용 건(105, 도 7 참조)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 많은 대수의 차량에 대한 세차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필요에 따라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할 수 있어서 스팀을 이용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장비를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팀 세척기 105 : 세차용 건
110 : 세척기 본체 111 : 푸트
112 : 스팀 공급 보일러 113 : 스팀 공급부
115 : 물 공급 탱크 116 : 물 공급부
121 : 커버플레이트 123 : 컨트롤 패널
125 : 탑 플레이트 130 : 스팀 밸브 어셈블리
131 : 보일러 배관 132 : T형 커넥터
133 : 건스팀 조절밸브 134 : 탱크 배관
135 : L형 커넥터 136 : 플렉시블 연결관
137 : 물스팀 조절밸브 140 : 입력버튼
150 :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 개의 푸트가 하단부에 결합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보일러;
    상기 세척기 본체 내에 마련되며, 물(water)을 공급하는 물 공급 탱크;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기 본체의 전면에서 개폐되며,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 및 상기 물 공급 탱크와 결합하며, 세차를 위한 세차용 건(gun)이 연결되어 건스팀(dry steam)과 물스팀(water steam)을 병행 사용하면서 스팀(steam)에 의한 세차를 진행하게 하는 스팀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에 연결되는 보일러 배관;
    상기 보일러 배관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
    상기 T형 커넥터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T형 커넥터에서 상기 세차용 건으로 향하는 건스팀(dry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건스팀 조절밸브;
    상기 물 공급 탱크에 연결되는 탱크 배관;
    상기 탱크 배관에 연결되는 L형 커넥터;
    상기 L형 커넥터와 상기 T형 커넥터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관; 및
    상기 플렉시블 연결관과 상기 L형 커넥터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플렉시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차용 건으로 향하는 물스팀(water steam)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물스팀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와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 공급 보일러에서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및
    상기 물 공급 탱크와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물 공급 탱크에서 상기 스팀 밸브 어셈블리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며,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 또는 공급정지, 그리고 건스팀과 물스팀의 공급량을 선택 입력하는 입력버튼;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건스팀 조절밸브와 상기 물스팀 조절밸브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단위 플레이트 중 하나에 게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세척기.
KR1020200131203A 2020-10-12 2020-10-12 스팀 세척기 KR10223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03A KR102234748B1 (ko) 2020-10-12 2020-10-12 스팀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03A KR102234748B1 (ko) 2020-10-12 2020-10-12 스팀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48B1 true KR102234748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03A KR102234748B1 (ko) 2020-10-12 2020-10-12 스팀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15B1 (ko) * 2021-10-08 2023-02-23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380Y1 (ko) * 2002-03-14 2002-06-03 조성채 코인식 스팀세차장치
KR20030010186A (ko)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자광 산화질소 및 인터페론-γ 생성 증가용 의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338314B1 (ko) * 2012-08-30 2013-12-09 김형찬 스팀 세척기
KR101720102B1 (ko) *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KR20180078426A (ko) 2016-12-29 2018-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의 에러 정정 코드 처리 방법
KR101998358B1 (ko) * 2018-07-23 2019-07-09 (주)드림테크 스팀 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86A (ko)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자광 산화질소 및 인터페론-γ 생성 증가용 의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277380Y1 (ko) * 2002-03-14 2002-06-03 조성채 코인식 스팀세차장치
KR101338314B1 (ko) * 2012-08-30 2013-12-09 김형찬 스팀 세척기
KR101720102B1 (ko) *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KR20180078426A (ko) 2016-12-29 2018-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의 에러 정정 코드 처리 방법
KR101998358B1 (ko) * 2018-07-23 2019-07-09 (주)드림테크 스팀 세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15B1 (ko) * 2021-10-08 2023-02-23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KR20230051132A (ko) * 2021-10-08 2023-04-17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저장공간을 구비한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KR20230051133A (ko) * 2021-10-08 2023-04-17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추가 열을 공급하는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KR102585831B1 (ko) 2021-10-08 2023-10-06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저장공간을 구비한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KR102588827B1 (ko) 2021-10-08 2023-10-16 전자영 휴대형 차량 스팀 세차기에 적용이 가능한 추가 열을 공급하는 스팀 및 온수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0392B (zh) 一种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6422180B1 (en) Flush line for dishwasher
CN101181711A (zh) 自动立式石英管清洗机及其清洗工艺
TWM449166U (zh) 儲水式節能洗衣機
KR20060126413A (ko) 식기 세척기
KR102234748B1 (ko) 스팀 세척기
KR2008008812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447438B (zh) 一种自清洁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5780383A (zh) 桶间自动清洗的洗衣机
KR20100031175A (ko) 식기 세척기의 자가세척 방법
CN203841073U (zh) 干果蒸汽加热清洗杀菌装置
CN108998926B (zh) 门密封圈清洗组件及洗衣机
CN111088639A (zh) 一种适于敏感衣物的特渍洗涤设备
WO2020228337A1 (zh) 蒸汽发生器、洗碗机及其洗涤方法
JP4391642B2 (ja) 連続洗濯機における洗濯方法および連続洗濯機
CN112932377A (zh) 一种用于家用环保洗碗机的餐具清洗方法
CN212152784U (zh) 一种适于敏感衣物的特渍洗涤设备
CN216631774U (zh) 一种便于清洗的热处理后专用清洗机
CN219157225U (zh) 一种提升筋喷淋结构及洗衣机
CN214275876U (zh) 一种带有自清洗功能的油烟净化器
CN212550860U (zh) 一种钢管除蜡清洗机
CN211587703U (zh) 一种适用于小型动物房的柜式笼具清洗设备
CN212731504U (zh) 一种可不停机更换水箱的喷淋塔
CN203899986U (zh) 一种自动高效蜂巢电场清洗装置
KR102006154B1 (ko) 수압식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를 이용한 애벌용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