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698B1 -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698B1
KR101337698B1 KR1020100070142A KR20100070142A KR101337698B1 KR 101337698 B1 KR101337698 B1 KR 101337698B1 KR 1020100070142 A KR1020100070142 A KR 1020100070142A KR 20100070142 A KR20100070142 A KR 20100070142A KR 101337698 B1 KR101337698 B1 KR 10133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floor finishing
sheet
resi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718A (ko
Inventor
고해승
조남용
윤중식
Original Assignee
윤중식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중식,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윤중식
Priority to KR102010007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6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32B2041/04Detecting wrong registration, misalignment, deviation,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공급을 위해 구비된 바닥 마감재 이송부와, 일면으로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받아, 이형지를 제거하여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부와, 이형지가 제거된 시트지를 재단하는 시트지 재단부와, 재단된 시트지와 바닥 마감재를 합판하는 합판부 및 합판부에서 제조된 완제품의 배출을 위해 구비된 완제품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바닥 마감재의 시공 시의 까다로운 접착제 도포 공정을 배제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SIN PANEL USING FLOOR FINISHING MATERIAL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테리어 바닥 마감재의 시공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바닥 마감재의 이면에 점착 처리된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시공 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바닥 마감재로 사용되는 수지계 바닥 마감재는 바닥 마감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품을 접착하는 시공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는 대부분 유성 타입이 주를 이루는 데, 이러한 성분들은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물질들로서, 시공 시에는 작업자, 그리고 시공 후에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시공 시에는, 수지계 바닥 마감재를 설치하기에 앞서, 사전적인 접착제 도포 공정이 반드시 실시되어야 했는데, 이러한 접착제 도포 공정은 번거로운 수작업에 의존될 수 밖에 없어, 작업 시간 증가 및 인력 증가 등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나아가, 상기의 접착제 도포 공정은 그 작업이 까다로운 탓에, 숙련된 전문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이 직접 시공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연유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직접 시공 가능한 건축용 바닥 마감재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테리어 바닥 마감재의 시공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바닥 마감재의 제조 시, 그 이면으로 점착 처리된 시트지를 부착함으로써, 시공 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을 배제할 수 있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시, 바닥 마감재의 공급에 연동하여, 점착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하되, 시트지를 미리 바닥 마감재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여 합판되는 과정을 거친 후, 바닥 마감재의 완제품으로 배출되게 하는 전 단계를 공장 자동화로 처리할 수 있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공급을 위해 구비된 바닥 마감재 이송부; 일면으로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받아 이형지를 제거하여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부;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하는 시트지 재단부; 재단된 상기 시트지와 상기 바닥 마감재를 합판하는 합판부; 및 상기 합판부에서 제조된 완제품의 배출을 위해 구비된 완제품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바닥 마감재 이송부는, 상기 바닥 마감재를 정 위치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 마감재의 이송 중 유발되는 진동 및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형태의 이송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 회수부는, 접착제 처리된 상기 시트지를 공급하는 시트지 공급 롤; 및 상기 시트지 공급 롤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지 상에 부착된 이형지만을 박리한 후 감아 올려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 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형지 회수부는, 상기 이형지의 박리 시, 상기 시트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해 설정된 영역에 한하여, 이형지의 박리를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박리되지 않고 남겨진 이형지는 추후 완성된 바닥 마감재에 있어서, 점착성을 보호 유지함으로써, 점착 부위의 훼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 재단부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의 이송 중에 수직 방향으로 절삭력을 가해주는 형태로 이루어져, 설정된 길이대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지 재단부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의 이송에 연동하여 일정 주기로 회전하면서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롤 나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설정된 길이대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시트지의 재단 길이는, 상기 바닥 마감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판부는,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과 상기 바닥 마감재의 이면을 상호 대면시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되,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이 상기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일정 폭만큼 노출되게 합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합판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배치된 롤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 세트 상의 간격은, 상기 바닥 마감재 및 상기 시트지의 합판 후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롤 세트를 이루는 상부 롤 및 하부 롤 각각은, 동일한 각 변위량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하나로서, 상부 롤 및 하부 롤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 세트를 이루는 상부 롤에는, 재단된 상기 시트지를 정 위치로 감아 내릴 수 있도록, 상기 시트지를 롤의 외주면에 흡착시키도록 구비된 석션(suction)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제품 이송부는, 상기 합판부에서 제조된 완제품을 하부에서 접촉하여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제품 이송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완제품의 표면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사상에 따르면, (a) 수지계 바닥 마감재를 공급하는 단계; (b) 점착제가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를 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시트지 상의 점착제가 도포된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박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및 (b-2)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를 상기 바닥 마감재의 길이에 맞추어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의 합판 공정은, 상호 대면되는 상태에서 상하 롤의 주면 사이로 공급되어, 가압되어 일체의 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의 합판 공정 시, 상기 시트지가 상기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합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는, (d) 상기 바닥 마감재 및 상기 시트지가 일체로 합판된 후 완제품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e) 완제품 형태로 배출된 제품 상의 시트지 점착 노출 부위에 이형지를 재부착하여 제품의 점착성을 보호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 이후에는, 그리고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f) 완제품 형태로 배출된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과정에서, 바닥 마감재의 이면에 점착 기능을 보유한 시트지를 추가 적층하여, 기존의 까다로운 접착제 도포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숙련된 전문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도 바닥 마감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공 편의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바닥 마감재의 시공 시 사용되었던 유성 타입의 접착제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시공 작업자는 물론 사용자의 신체 건강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접착제 도포 공정을 완전 배제시킬 수 있어, 번거로운 공정으로 인하여 남용되었던 작업 시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바닥 마감재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바닥 마감재의 공급에 연동하여, 점착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하되, 먼저 시트지를 미리 바닥 마감재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여 공급함으로써, 상호 간의 합판 및 완제품 배출 과정을 전적으로 공장 자동화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완제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T200 단계를 세부 단계로 나누어 도시한 순서도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이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기존의 건축용 바닥 마감재로 사용되어 오던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시공 시, 번거로운 접착제 도포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하며, 시공 작업도 까다로운 접착제 대신에, 점착 성분이 처리된 시트지를 이용하여 바닥 마감재의 제조 시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합판시켜 일체의 완제품으로 제공하되, 복수 개의 바닥 마감재를 이어 시공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지의 접착제 처리면이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I형 또는 L형 등과 같은 통일된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의 외측 노출된 영역을 통해, 이어 시공될 타 바닥 마감재가 용이하게 연결 점착됨으로써, 시공 편의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는 완제품으로 제조 되기 이전의 바닥 마감재를 이송하는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와, 시트지를 공급받아 이형지를 제거하는 이형지 회수부(120)와, 시트지를 재단하는 시트지 재단부(130)와, 시트지와 바닥 마감재를 합판하는 합판부(140) 및 합판된 완제품을 배출하는 완제품 이송부(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20)와 합판 되기 전 상태인 수지(resin)계 바닥 마감재(10)를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는 타일 형태의 바닥 마감재(10)를 용이하게 이송함은 물론, 이송될 바닥 마감재(10)가 정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송 중 유발 가능한 각종의 진동 및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는 형태의 이송 수단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의 형태는 복수 개의 롤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여지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의 형태에 굳이 제한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롤러 컨베이어란, 복수 열로 나란히 배열된 롤(R)들을 구비하여, 상부에 안착된 물건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형지 회수부(120)는 전술된 바닥 마감재(10)의 이면으로 적층되어 점착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시트지(20)의 이형지(22)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형지 회수부(120)는 시트지를 공급하는 시트지 공급 롤(122)과, 공급되는 시트지 상에 부착된 이형지(22)만을 박리하는 이형지 회수 롤(126)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시트지 공급 롤(122) 및 이형지 회수 롤(126)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형지 회수 롤(126)에 의한 이형지(22) 박리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시트지에 일정한 장력을 걸어줄 수 있는 텐션 롤(124)이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시트지 공급 롤(122), 이형지 회수 롤(126) 및 텐션 롤(124)의 배치 위치 및 형태는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형지(22) 박리 이전의 시트지를 공급하기 위한 시트지 공급 롤(122)이 가장 후측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시트지 공급 롤(122)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된 위치 상에 이형지 회수 롤(126)이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며, 상기 시트지 공급 롤(122) 및 상기 이형지 회수 롤(126)의 간극 사이에서 이들보다 더 하측으로 텐션 롤(124)이 배치되어, 이형지(22)의 박리를 돕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형지 회수부(120)에는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시트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해 사전 설정된 영역에 한하여 이형지의 박리를 제외시킬 수 있는 나이프 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나이프 수단에 의해 시트지 상의 이형지 박리는 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원하는 소정 영역에서는 이형지 박리가 제외될 수 있으며, 이로써, 부분적이나마 이형지는 점착 처리된 시트지 상에 계속적으로 부착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시트지 재단부(130)는 전술된 이형지 회수부(120)에서 이형지가 박리 회수되어 점착 처리면이 노출된 시트지(20)를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시트지 재단부(130)는, 상부 롤(134, 134') 및 상기 상부 롤(134, 134')과 수직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는 하부 롤(136, 136')로 이루어진 롤 세트(134, 134', 136, 136')와, 이러한 롤 세트(134, 134', 136, 136')의 사이에서 상향 배치되며 롤 세트(134, 134', 136, 136') 사이로 진입되어 이송하는 시트지(20)를 재단하는 재단기(1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단기(132)는, 롤 세트(134, 134', 136, 136') 사이를 이송하는 시트지(20)의 설정 길이 값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지(20)를 일정 길이로 재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재단기(132)의 형태로서, 크게 2가지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방향으로 절삭력을 가하는 수직 커터 형태의 재단기(132)이다.
이러한 방식의 재단기(132)는 상기 시트지의 이송 중에 수직 방향으로 절삭력을 가해주는 형태로서, 작업자가 사전에 설정한 길이에 맞게 상하로 작동하여, 상기 시트지(20)를 재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13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를 통해 확인 가능한 재단기(132)는 시트지(20)의 이송 속도에 연동하여 일정 주기로 회전하며 속도 조절되는 회전롤 나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롤 나이프 형태의 재단기(132)의 적용 시에는 상기 회전롤 나이프의 속도를 능동 또는 수동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트지 재단부(130)에 구비된 롤 세트(134, 134', 136, 136')의 주면 각 변위량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롤 세트(134, 134', 136, 136') 내로 진입하여 이송된 시트지(20)의 길이는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지(20)의 길이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제어부(133)에서는 상기 회전롤 나이프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데, 이로써, 시트지(20)는 원하는 길이로 재단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롤 세트(134, 134', 136, 136') 중에서, 하부 롤(136, 136')은 벨트 컨베이어의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데, 이는 재단 효과의 정밀도 확보는 물론, 재단 작업 시, 이송 중인 시트지의 흔들림 또는 자세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굳이 본 발명이 이러한 도시된 특정 형태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시트지 재단부(130)를 통해 재단되는 시트지(20)의 길이는 추후 합판 공정이 이루어질 바닥 마감재(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시트지 재단부(120)를 통해 설정된 길이만큼씩 재단된 시트지(20)는 후술될 합판부(140)를 통해 바닥 마감재(10)의 이면과 합체된다.
합판부(140)는 재단된 시트지(20)의 점착제 처리면과, 상기 바닥 마감재(10)의 이면을 상호 대면시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합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이러한 합판부(140)는 전술된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의 선단 측에 이어 형성된 가압식 롤 세트(142, 144)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압식 롤 세트(142, 144)의 경우, 상호 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식 롤 세트(142, 144)의 이격 간격은 상기 바닥 마감재(10) 및 상기 시트지(20)의 합판 후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반드시 상기 바닥 마감재(10) 및 상기 시트지(20)의 합판 후 두께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가압 후 미소한 크기로 두께 폭이 복원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합판 후의 두께에 비해 조금 더 작게 간격을 형성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판부(140)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조 장치를 통해 생산될 수 있는 완성품의 경우, 점착 기능이 보유된 시트지(20)가 바닥 마감재(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져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합판부(14)로 공급되는 바닥 마감재(10)와 시트지(20)의 경우, 그 진입 시간이 완전히 동일한 것 보다는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바닥 마감재(10)가 먼저 하측으로 진입된 후, 뒤이어 시트지(20)가 진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합판부(140)를 구성하는 롤 세트(142, 144) 중 상부 롤(144)에는, 재단된 시트지(20)를 정 위치로 감아 내려 바닥 마감재(10) 상에 정확하게 합판시키기 위하여 석션(suction) 수단(1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석션 수단(145)은 상부 롤(144)에 내장되거나, 상부 롤(144)의 일측에 설비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상부 롤(144) 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시트지(20)를 상부 롤(144)의 외주면에 흡착시켜 합판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3의 (a) 또는 (b)를 통해 확인 가능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 가능한 완제품의 예시들을 보면, 바닥 마감재(10)의 이면으로 적층 형성된 시트지(20)가 바닥 마감재(10)의 외곽으로 부분 노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노출된 부분이 시트지(20)의 점착제 처리면(A)이며, 이러한 노출된 점착제 처리면(A)을 통해 복수 개의 바닥 마감재가 나란히 연결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어야 할 바닥 마감재의 경우, 상기 합판부(140)의 구동 제어는 물론, 전술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장치의 연동관계에 의해 그 완제품의 형상 제어가 가능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합판부(140)에 대해 계속 살펴보면, 합판부(140)를 이루는 가압식 롤 세트(142, 144)의 경우, 서로 동일한 각 변위량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하부 롤(142) 및 상부 롤(144)의 직경까지 동일하게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합판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하부 롤(142) 및 상부 롤(144)의 각 변위량은 동일해야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합판부(140)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하부 롤(142) 및 상부 롤(144)이 동일한 직경 및 동일한 각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합판부(140)에서 일체로 합판된 바닥 마감재(10) 및 시트지(20)는 완제품의 형태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의 완제품 배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완제품 이송부(150)이다.
완제품 이송부(150)는 상기 합판부(140)에서 제조된 완제품을 하부에서 접촉하여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다. 롤러 컨베이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앞서 바닥 마감재 이송부(110)를 설명할 때, 이미 간략하게나마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완제품 이송부(15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완제품의 표면 불량은 물론, 목표한 형태의 제품이 완성되었나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스텝의 시간마다 검사하는 검사 장비(16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현장 감독자나, 제품 감사자 등과 같은 검사 인원은 상기 검사 장비(160)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 치수 데이터, 형상 데이터 등을 원격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니터링 수단(170)을 추가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조 방법으로는, 수지계 바닥 마감재 공급 단계(ST100)와,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 공급(ST200)와, 바닥 마감재와 시트지 합판 단계(ST300)와, 완제품 배출 단계(ST400)와, 검사 단계(ST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부 구성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먼저, 수지계 바닥 마감재를 공급한다(ST100).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는 PVC 타일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제가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한다(ST200). 본 실시예에서는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시트지 역시 앞서 단계(ST100)에서와 동일한 PVC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단계(ST200)는 더 세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5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점착제가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하는 단계(ST200)는, 시트지 상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회수하는 단계(ST220)와, 이형지가 박리된 시트지를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단계(ST240)를 포함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다음 단계를 설명하면, 공급 중인 바닥 마감재의 이면에 상기 시트지를 합판한다(ST300).
본 단계(ST300)에서의 바닥 마감재와 시트지의 합판 공정은,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과, 바닥 마감재의 이면을 상호 대면시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이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합판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완제품을 배출한다(ST400).
여기서, 도 4의 순서도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완제품 배출 단계(ST400) 이후에는 시트지 점착 노출 부위 상에 이형지를 재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 재부착 공정은, 제품 상에 노출된 점착제 처리면(도 3의 A)에 이형지를 재차 부착함으로써, 제품의 점착성 보호 및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배출된 완제품에 대한 불량 여부, 형상 확인 등의 검사 작업이 수행된다(ST500).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건축용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는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바닥 마감재 이송부
120: 이형지 회수부
130: 시트지 재단부
140: 합판부
150: 완제품 이송부
160: 검사 장비
170: 모니터링 수단

Claims (22)

  1.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공급을 위해 구비된 바닥 마감재 이송부;
    일면으로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받아 이형지를 제거하여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부;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하는 시트지 재단부;
    재단된 상기 시트지와 상기 바닥 마감재를 합판하는 합판부; 및
    상기 합판부에서 제조된 완제품의 배출을 위해 구비된 완제품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회수부는,
    접착제 처리된 상기 시트지를 공급하는 시트지 공급 롤; 및
    상기 시트지 공급 롤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지 상에 부착된 이형지만을 박리한 후 감아 올려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회수부는,
    상기 이형지의 박리 시, 상기 시트지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해 설정된 영역에 한하여, 이형지의 박리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 재단부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의 이송 중에 수직 방향으로 절삭력을 가해주는 형태로 이루어져, 설정된 길이대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 재단부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의 이송에 연동하여 일정 주기로 회전하면서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롤 나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설정된 길이대로 상기 시트지를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의 재단 길이는,
    상기 바닥 마감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부는,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과 상기 바닥 마감재의 이면을 상호 대면시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되,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이 상기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일정 폭만큼 노출되게 합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배치된 롤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세트 상의 간격은,
    상기 바닥 마감재 및 상기 시트지의 합판 후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세트를 이루는 상부 롤 및 하부 롤 각각은,
    동일한 각 변위량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세트를 이루는 상부 롤 및 하부 롤 각각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세트를 이루는 상부 롤에는,
    재단된 상기 시트지를 정 위치로 감아 내릴 수 있도록, 상기 시트지를 롤의 외주면에 흡착시키도록 구비된 석션(suction)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제품 이송부는,
    상기 합판부에서 제조된 완제품을 하부에서 접촉하여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제품 이송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완제품의 표면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16. (a) 수지계 바닥 마감재를 공급하는 단계;
    (b) 점착제가 처리된 시트지를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를 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시트지 상의 점착제가 도포된 일면에 부착된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및
    (b-2) 커버가 제거된 상기 시트지를 상기 바닥 마감재의 길이에 맞추어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의 합판 공정은,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과, 상기 바닥 마감재의 이면을 상호 대면시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바닥 마감재와 상기 시트지의 합판 공정 시, 상기 시트지의 점착제 처리면이 상기 바닥 마감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형태로 합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바닥 마감재 및 상기 시트지가 일체로 합판된 후 완제품 형태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완제품 형태로 배출된 제품 상의 시트지 점착 노출 부위에 이형지를 재부착하여 제품의 점착성을 보호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방법.
KR1020100070142A 2010-07-20 2010-07-20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42A KR101337698B1 (ko) 2010-07-20 2010-07-20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42A KR101337698B1 (ko) 2010-07-20 2010-07-20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18A KR20120009718A (ko) 2012-02-02
KR101337698B1 true KR101337698B1 (ko) 2013-12-06

Family

ID=4583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142A KR101337698B1 (ko) 2010-07-20 2010-07-20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109B1 (ko) * 2020-09-28 2021-05-18 (주)소원 건축 패널용 화재 방지 테이프 접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92A (ko) * 2000-01-27 2001-08-16 고임순 바닥재 타일의 수지 코팅방법
JP2006104875A (ja) * 2004-10-08 2006-04-20 Achilles Corp 合成樹脂タ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15498A (ko) * 2008-05-02 2009-11-05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능동형 절단기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KR20100086716A (ko) *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덕유 수성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식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92A (ko) * 2000-01-27 2001-08-16 고임순 바닥재 타일의 수지 코팅방법
JP2006104875A (ja) * 2004-10-08 2006-04-20 Achilles Corp 合成樹脂タ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15498A (ko) * 2008-05-02 2009-11-05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능동형 절단기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KR20100086716A (ko) *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덕유 수성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식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18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1657B2 (ja) 粘着剤処理の施されたシート紙を有する床材
JP4861873B2 (ja) フイルム搬送装置及びフイルム搬送方法
JP4342829B2 (ja) 光学フィルム貼付装置、方法及び基板
KR101501691B1 (ko) 그라파이트필름 합지장치
WO2007033980A2 (de)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teppichs bwz. eines flächenförmigen trägers mit elektronischen bauteilen, vorrichtung hierzu, sowie teppich bzw. flächenförmiger träger mit elektronischen bauteilen
KR10145906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제작용 라미네이션 장치
KR101848039B1 (ko) 시트상 제품 제조장치
CN205616325U (zh) 纸张表面处理与裱贴一体机
KR101337698B1 (ko) 건축물 바닥 마감재로 이용 가능한 수지계 바닥 마감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9766B1 (ko) 알루미늄호일 절단기
KR101475488B1 (ko) 패널표면 라미네이팅 장치
US58040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and release paper to wooden flooring strips
KR20070106795A (ko)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263992B1 (ko) 점착제가 처리된 시트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바닥재의 제조장치
JP2011069081A (ja) 丸棒手摺りの製造方法
JP4881585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848050B1 (ko)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1405140A (zh) 敷贴长条形料片的方法
EP16662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 floor panels comprising at least a base layer and a top layer of plastics material, and such laminate floor panel
KR101625365B1 (ko) 보호 테이프 접착 장치
KR101840383B1 (ko)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KR101247984B1 (ko) 스티커형 접착패드의 필름 코팅 장치
KR101666843B1 (ko) 필름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장치
KR101303603B1 (ko) 필름 자동 적층 장치
JP2005104052A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床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