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303B1 -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303B1
KR101336303B1 KR1020120005263A KR20120005263A KR101336303B1 KR 101336303 B1 KR101336303 B1 KR 101336303B1 KR 1020120005263 A KR1020120005263 A KR 1020120005263A KR 20120005263 A KR20120005263 A KR 20120005263A KR 101336303 B1 KR101336303 B1 KR 10133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otor
bobbin
rotation speed
interru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460A (ko
Inventor
관 욱 김
Original Assignee
관 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관 욱 김 filed Critical 관 욱 김
Priority to KR102012000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3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단속기와 모터를 선택적으로 병행 제어함으로써, 단속기로서 이용되는 파우더 클러치의 교체시기 및 모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파우더 클러치의 슬립(slip) 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병행 제어함으로써 텐션을 정밀제어하며, 초기 구동 또는 구동 중지시 텐션 조절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파우더 클러치와 모터의 구동모드를 변경시킴으로써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KE-UP WINDER}
본 발명은 연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단속기와 모터를 관리하는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선기는 다수의 전선 등을 트위스트시켜 권취한다. 이렇게 트위스트된 선재는 보빈에 권취되는데, 보빈 권취시 일정한 텐션이 유지되어야 선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연선기에는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기가 구비되어 있다.
관리자는 텐션조절기의 상태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우더 클러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보빈의 회전힘을 임의로 변경 제어하여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므로 관리하는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동 조작으로 인해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이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로드셀(load cell) 등을 이용한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텐션조절기가 제안되고 있다.
즉, 로드셀을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파우더 클러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보빈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파우더 클러치의 제어가 필수적인데, 선형적인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파우더 클러치를 제어함으로 인해 파우더 클러치의 잦은 제어가 불가피하며, 또한 이로 인해 파우더 클러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우더 클러치만을 제어하여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하므로, 텐션의 정밀제어에 한계가 있다.
한편, 파우더 클러치가 소모품인 관계로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파우더 클러치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모터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파우더 클러치를 교체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연선기의 초기 구동 또는 구동 중지시에, 텐션이 급격하게 변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제어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2358호(공개일 2010.10.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단속기와 모터를 선택적으로 병행 제어함으로써, 단속기의 교체시기 및 모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 단속기로서 이용되는 파우더 클러치의 슬립(slip) 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병행 제어함으로써 텐션의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 초기 구동 또는 구동 중지시 텐션 조절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단속기와 모터의 구동모드를 변경시킴으로써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선기 관리 시스템은,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단속하는 단속기와, 상기 단속기의 단속 여부에 대응하여 회전 여부가 제어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측정하는 텐션측정기와, 상기 텐션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텐션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와 상기 단속기의 단속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회전속도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측정기는, 고정체에 결합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체가 최대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와, 상기 이동체가 최소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에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와, 상기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와 상기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연선기 관리 방법은, 모터 및 단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선재가 보빈에 권취되는 단계와,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상기 선재의 텐션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선재의 텐션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와 상기 단속기의 단속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텐션의 측정은, 롤러에 결합된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단계적으로 전압을 변화시켜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보빈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보빈의 설정된 회전속도에 이르지 않을 경우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단속기의 교체시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단속기와 모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권취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단속기와 모터의 병행 제어를 통해 텐션을 조절하므로, 단속기와 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명한계까지 권취 작업이 가능하여 권취 작업의 연속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3. 단속기로서 이용되는 파우더 클러치의 슬립 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병행 제어하므로,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에 대한 정밀제어가 가능하다.
4. 초기 구동 또는 구동 중지시 텐션 조절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또는 단속기와 모터의 구동모드를 변경시키므로, 텐션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선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선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선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선기는,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2)와, 모터(2)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단속하는 단속기(4)와, 단속기(4)의 단속 여부에 대응하여 회전 여부가 제어되는 보빈(6)과, 보빈(6)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측정하는 텐션측정기(8)를 포함한다.
단속기(4)는 슬립(slip)을 이용하여 보빈(6)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파우더 클러치(4)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동력 단속이 가능한 단속기는 모두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은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제어가 병행되므로 슬립 기능을 갖는 파우더 클러치(4)에 한정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선기의 기본구조 및 권취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대(10) 상부의 일 측에 집합다이스(12)가 설치되고, 이 집합다이스(12)에 연이어서 그 집합다이스(12)와 동일한 축길이 방향에서 가동자(20a)와 고정자(20b)로 양분되어 이루어지는 척유닛(20)이 설치되며, 그리고 이 척유닛(20)의 주위에 모터(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집합다이스(12)와 동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고속회전하는 아치형의 아암보우(14)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모터(2)와 파우더 클러치(4)의 구동에 따라, 기대(10) 상의 일 측에 설치되는 집합다이스(12)에 몇 가닥의 선들(W)이 유입되어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합사가 모터(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하는 아치형의 아암보우(14) 일단으로 유입되어 이송안내되고, 그 아암보우(14)의 타단으로 유출되어 가이드롤(16)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1차, 2차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WR)가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18)에 의해 견인되어 척유닛(20)에 교체방식으로 설치되는 보빈(6)에 권취된다.
한편, 도면부호 24는 회전속도측정기이고, 탄성체(81), 이동체(82), 센서들(83, 84)이 텐션측정기를 구성하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선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재를 권취하는 보빈(6)에는 디스크(2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디스크(22)는 보빈(6)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 디스크(22)의 회전속도는 회전속도측정기(24)에 의해 측정된다.
텐션측정기(8)는, 고정체에 결합된 탄성체(81)와, 탄성체(81)에 결합된 이동체(82)와, 이동체(82)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동체(82)는 선재가 이동하는 롤러 중의 하나에 결합된다.
센서는, 이동체(82)가 최대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83)와, 이동체(82)가 최소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에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84)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는,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83)와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84) 사이에 설치된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는,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83) 또는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84)로부터 신호가 발생된 이후에 정상범위 내로 텐션이 복원될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센서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텐션 조절의 민감도가 조절되므로, 센서를 다수 배치하여 임의로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83),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84) 및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고, 센서 자체를 이동시켜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체(82)의 움직임을 통해 텐션을 감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텐션측정기(8)는 탄성체(81)의 탄성력 변화 정도를 수치로 변환하여 텐션의 정도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선재의 이동경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 텐션측정기(8)를 설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텐션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텐션측정기(8)에 의해 측정된 텐션에 따라 모터(2)와 파우더 클러치(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6)를 구비한다.
컨트롤러(26)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 뿐만 아니라, 작업의 안정적인 연속성을 위해 최종 인가된 전압이 저장되어 있으며,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교체시기에 대한 판정에 필요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선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보빈(6)에 선재가 권취되게 되는데, 이때,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에는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어 슬립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모터(2)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어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에는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여 슬립을 억제하도록 하거나, 모터(2)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선택적인 병행 제어를 통해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 또는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인가 전압을 변경하는 단계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정상범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제어가 이루지게 된다.
이러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병행 제어를 통해 정밀 제어가 가능하며, 이러한 제어 과정을 통해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수명한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연선기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선택적인 병행 제어 중에서 파우더 클러치(4)만을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즉,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보빈(6)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선기 구동 중,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면(S11), 파우더 클러치(4)에 최초 인가된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전압을 낮추어 인가한다(S12).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전압은 3.3[V]이다.
이에 파우더 클러치(4)의 슬립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감소하게 된다(S13). 보빈(6)의 회전속도 감소여부는 회전속도측정기(2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확인한다. 여기서, 보빈(6)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과 보빈(6)의 회전속도는 항상 일정한 비례관계를 유지하므로, 상기한 보빈(6)의 회전속도의 감소는 최초 설정된 보빈(6)의 회전속도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이어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
만약,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될 경우에는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차(3.3[V])만큼 더 낮춘다.
이에 파우더 클러치(4)의 슬립이 더 증가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더욱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게 되며,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설정시간 경과의 총합이 미리 정한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S15) 파우더 클러치(4)의 교체시기라고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한다(S16).
한편, 정상범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최종적으로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시킨다(S17).
그리고, 회전속도측정기(24)의 다른 용도로는, 연선기가 계속 구동중임에도 불구하고, 보빈(6)이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 작업의 즉각 중단 등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동력 전달 계통의 문제 또는 모터(2)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속도측정기(24)의 용도에 있어, 회전속도측정기(24)에 의해 측정된 보빈(6)의 회전속도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인가될 전압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는 상기한 경우와 반대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를 병행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즉,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과 모터(2)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보빈(6)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선기 구동 중,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면(S21), 파우더 클러치(4)에 최초 인가된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전압을 높여 인가한다(S22).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전압은 3.3[V]이다.
이에 파우더 클러치(4)의 슬립이 억제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증가하게 된다(S23). 보빈(6)의 회전속도 증가여부는 회전속도측정기(2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확인한다. 여기서, 보빈(6)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과 보빈(6)의 회전속도는 항상 일정한 비례관계를 유지하므로, 상기한 보빈(6)의 회전속도의 증가는 최초 설정된 보빈(6)의 회전속도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이어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4).
만약,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될 경우에는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차(3.3[V])만큼 더 높인다.
이에 파우더 클러치(4)의 슬립이 더욱 억제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게 되며,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설정시간 경과의 총합이 미리 정한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S25) 파우더 클러치(4)의 교체시기라고 판단한다(S26).
한편, 정상범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최종적으로 파우더 클러치(4)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시킨다(S27).
여기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교체시기에 대한 판정은 미리 저장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정보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정상범위 기능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교체시기로 판정할 수 있다.
파우더 클러치(4)의 경우에는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슬립의 정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교체시기로 판정할 수 있으며, 모터(2)의 경우에는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회전속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교체시기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가 정상범위 기능을 벗어난 경우에 교체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병행 제어를 통해 현재의 공정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가능하면 수명한계까지 병행 제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어지는 과정으로서, 모터(2)의 회전속도를 변경한다. 모터(2)에 최초 인가된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전압을 높여 인가한다(S28).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전압은 2[V]이다.
이에 모터(2)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증가하게 된다(S29).
이어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텐션측정기(8)로부터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
만약, 최소한계텐션 감지신호가 계속 발생될 경우에는 모터(2)에 인가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차(2[V])만큼 더 높인다.
이에 모터(2)의 회전속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와 함께 보빈(6)의 회전속도도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게 되며,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설정시간 경과의 총합이 미리 정한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S31) 모터(2)의 교체시기라고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한다(S32).
한편, 정상범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최종적으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시킨다(S33).
그리고, 회전속도측정기(24)의 다른 용도로는, 연선기가 계속 구동중임에도 불구하고, 보빈(6)이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 작업의 즉각 중단 등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동력 전달 계통의 문제 또는 모터(2)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속도측정기(24)의 용도에 있어, 회전속도측정기(24)에 의해 측정된 보빈(6)의 회전속도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인가될 전압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최대한계텐션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는 상기한 경우와 반대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우더 클러치(4)의 제어 후, 모터(2)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를 교번하여 제어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텐션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선기의 초기 구동시, 보빈(6)이 설정횟수 회전하기 전까지 컨트롤러(26)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최종 인가된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 단계의 전압을 인가하여 단계적으로 최종 인가된 전압에 이르도록 제어한다(S41). 바람직하게는, 보빈(6)이 1회 회전하기 전까지 4단계에 걸쳐 최종 인가된 전압에 이르도록 제어한다. 이에 선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보빈(6)이 1회전 한 이후에는 텐션측정기(8)에 의한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S42).
한편, 연선기의 구동 중지시, 보빈(6)이 설정횟수 회전하기 전까지 컨트롤러(26)는 파우더 클러치(4)와 모터(2)에 현재 인가된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 단계의 전압을 인가하여 단계적으로 전압 인가를 최종 중지시키도록 제어한다(S43). 바람직하게는, 보빈(6)이 1회 회전하기 전까지 4단계에 걸쳐 최종 전압 인가를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선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선기의 구동 중지시에 최종 기억되는 인가 전압은, 구동 중지 시점에서의 인가 전압이 기억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4단계에 걸쳐 제어되는 최종 전압은 기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선기의 초기 구동 또는 구동 중지시에 파우더 클러치(4) 및 모터(2)에 단계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선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빈(6)에 권취된 선재의 텐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2 : 모터 4 : 파우더 클러치
6 : 보빈 8 : 텐션측정기
10 : 기대 12 : 집합다이스
14 : 아암보우 16 : 가이드롤
18 : 캡스턴롤 20 : 척유닛
22 : 디스크 24 : 회전속도측정기
26 : 컨트롤러

Claims (7)

  1.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단속하는 단속기;
    상기 단속기의 단속 여부에 대응하여 회전 여부가 제어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선재의 텐션을 측정하기 위해 고정체에 결합되는 탄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에 결합된 이동체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는 텐션측정기; 및
    상기 텐션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텐션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와 상기 단속기의 단속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가 되는 연선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회전속도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연선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체가 최대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
    상기 이동체가 최소한계텐션을 발생시키는 위치에 이동하였을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 및
    상기 최대한계텐션 감지센서와 상기 최소한계텐션 감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상범위텐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연선기 관리 시스템.
  5. 모터 및 단속기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선재가 보빈에 권취되는 단계;
    롤러에 결합된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보빈에 권취되는 상기 선재의 텐션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선재의 텐션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와 상기 단속기의 단속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빈에 설정된 회전속도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기 관리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와 상기 단속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단계적으로 전압을 변화시켜 인가하는 단계;
    상기 보빈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보빈의 설정된 회전속도에 이르지 않을 경우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단속기의 교체시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기 관리 방법.
KR1020120005263A 2012-01-17 2012-01-17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263A KR101336303B1 (ko) 2012-01-17 2012-01-17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263A KR101336303B1 (ko) 2012-01-17 2012-01-17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60A KR20130084460A (ko) 2013-07-25
KR101336303B1 true KR101336303B1 (ko) 2013-12-02

Family

ID=4899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263A KR101336303B1 (ko) 2012-01-17 2012-01-17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71B2 (ja) * 1998-03-26 2000-02-14 メミンガー−イロ・ゲーエムベーハー 給糸装置及び給糸方法
JP4398875B2 (ja) 2005-01-21 2010-01-13 富人 平 線条体の引出方法及び給糸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71B2 (ja) * 1998-03-26 2000-02-14 メミンガー−イロ・ゲーエムベーハー 給糸装置及び給糸方法
JP4398875B2 (ja) 2005-01-21 2010-01-13 富人 平 線条体の引出方法及び給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60A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9808B (zh) 自动络纱机、自动络纱机动作不良的检测方法
EP2687469B1 (en) Yarn monitor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JP4917536B2 (ja) 連続糸送出クリール
JP2009500201A (ja) タイヤ補強材の歪みを調整する方法
JP6109844B2 (ja) 金属ワイヤを一定の張力で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445657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EP2655002A1 (en) Wire feed spee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wire winding system
KR20150001765A (ko) 마모 검출 시스템의 조정
JP2012517904A (ja) ワイヤソー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KR101545927B1 (ko) 장력 제어가 가능한 권선기 및 이를 구비하는 배관 검사로봇
JP6491365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US20070138331A1 (en) Tension control system for converting packages of elastic thread
CN104276445B (zh) 测定绕线器的缠绕线圈的监测转速
CN108415134B (zh) 调整套管放线张力的方法及主控系统
KR101336303B1 (ko) 연선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143504A (ja) ワイヤソー装置
JP2000110039A (ja) 多重撚糸機
EP3303200B1 (en) Winding of multiple elongated elements
JP3180534B2 (ja) 延伸仮撚機
JP2007331862A (ja) テンション装置
KR20230147886A (ko) 장력 자동 조절이 가능한 연선기
EP3599299B1 (en) Drafting device, spinning unit, and spinning machine
JP2007153584A (ja) ワイヤー張力検出装置
JP2570165B2 (ja) 仮撚機の糸の張力異常検出方法
CN116534666A (zh) 使线状材料保持恒定张力的锭子张力控制装置及锭子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