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345B1 -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345B1
KR101334345B1 KR1020110055059A KR20110055059A KR101334345B1 KR 101334345 B1 KR101334345 B1 KR 101334345B1 KR 1020110055059 A KR1020110055059 A KR 1020110055059A KR 20110055059 A KR20110055059 A KR 20110055059A KR 101334345 B1 KR101334345 B1 KR 10133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generator housing
rudder
energy recovery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067A (ko
Inventor
송지수
배준환
안성목
황보승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6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wind or water driven turbines or impellers for power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프로펠러; 상기 선체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된 러더; 상기 러더에 형성된 유선형의 발전기 하우징; 상기 추진 프로펠러와 대향하도록 상기 발전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되는 후류에 의해 회전하는 발전 프로펠러; 및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SHIP HAVING ENERGY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와 이 추진기로부터 발생된 추진력을 이용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를 포함한다.
추진기는 선체에 설치된 엔진과 이 엔진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이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선체의 선미부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선체에는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타가 설치된다.
방향타는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펠러로부터 발생된 추진력의 작용방향을 변경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추진기로 사용되는 프로펠러는 주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의 70% 정도만을 선박을 운항하는 추력(thrust)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동력은 프로펠러 마찰, 열 손실 및 프로펠러 후방의 회전류로 낭비되게 된다.
이중, 프로펠러 후방의 회전류에 의해 손실되는 에너지는 회수가 가능하며, 이러한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항 안전성 및 조종운동 특성을 증가시키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프로펠러; 상기 선체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된 러더; 상기 러더에 형성된 유선형의 발전기 하우징(buLh); 상기 추진 프로펠러와 대향하도록 상기 발전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되는 후류에 의해 회전하는 발전 프로펠러; 및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러더는, 전가동타 타입(Full-Spade Rudder type)일 수 있다.
상기 러더는 혼타 타입(Horn Rudder type)으로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러더 혼과; 상기 러더 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러더 혼 또는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전방에서 볼 때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상측 영역은 하측 영역에 비해 전방에서 볼 때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영역은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선이 후방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영역은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선이 후방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익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의 외측 단부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직경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길이는 상기 러더의 코드길이의 3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윤곽선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직경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회수부는,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증속하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항 안전성 및 조종운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러더와 추진 프로펠러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포함된 발전기 하우징의 변형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의 B-B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러더를 선체의 우현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러더를 선체의 좌현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포함된 핀을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1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 추진 프로펠러(10), 러더(110), 발전기 하우징(120), 발전 프로펠러(130) 및 에너지 회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시 발생하는 후류 중 버려지는 회전류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으며 선박(100)의 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체(1)에는 추진 프로펠러(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진 프로펠러(10)는 선체(1)를 추진시키기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체(1)의 선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방에는 러더(110)가 배치될 수 있다. 러더(110)는 선체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류에 대해 받음각을 가질 때 러더(110)의 몸체에 작용하는 양력의 수직성분을 회두력으로 이용하여 선박(100)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러더(110)는, 전가동타 타입(full-spade rudder type)으로서 익형 단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110)는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선체(1)의 선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발전기 하우징(120)은 러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은 그 일부가 러더(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러더(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의 러더(110)와 추진 프로펠러(10)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전기 하우징(120)은 그 전단(122)과 후단(124)을 잇는 가상선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의 전단(122)에 배치될 후술할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축(132)도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전단(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 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의 부근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한 유선형상의 부재로서, 발전 프로펠러(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후술할 에너지 회수부(1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외형은,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시 발생된 후류를 분산시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에 따른 추진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전 프로펠러(130)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120)이 배치되면, 발전 프로펠러(130)의 허브(134) 근방으로 유입되는 유체흐름의 속도가 발전기 하우징(120)의 영향으로 느려지게 된다.
이때, 발전 프로펠러(130)의 허브(134) 근방에서 유속이 느려진다는 것은 발전 프로펠러(130)에 작용하는 받음각이 상대적으로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발전 프로펠러(130)의 허브(134) 근방에서 발전 프로펠러(130)가 발생시키는 양력과 항력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즉, 발전 프로펠러(130)의 후방에 커다란 원통형의 물체(즉, 발전기 하우징(120))가 존재함으로 인해,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후류가 발전 프로펠러(130)를 지나 발전기 하우징(120)의 전단(122) 근방에서 정체되게 되며, 정체된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선체의 진행방향으로 작용하는 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허브(134) 근방에서 발생된 양력(즉, 선체 진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발전 프로펠러(130)는 추력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증가된 항력에 의하여 발전 프로펠러(130)의 토오크(torque)는 증가되므로 발전 프로펠러(130)의 발전량도 증가하게 된다.
즉, 발전 프로펠러(130)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120)을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증가된 토오크로 인하여 발전 프로펠러(130)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 프로펠러(130)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120)이 배치되면, 추진 프로펠러(10)와 러더(110) 사이의 압력장이 증가됨으로, 추진 프로펠러(10)의 허브(12)에서 발생하는 허브 볼텍스(hub vortex)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추진 프로펠러(10)의 추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발전기 하우징(120)은 철판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러더(110)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을 러더(110)에 용접 결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주물 방식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에너지 회수부(140)가 배치된다. 에너지 회수부(140)가 발전기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선체(1) 내에 에너지 회수부(14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효율적인 선체(1)의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에너지 회수부(140)가 선체(1) 내에 배치될 경우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력을 에너지 회수부(14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동력 전달 시스템이 필요한데, 본 실시예의 경우 에너지 회수부(140)가 발전기 하우징(120) 내에 배치됨으로 인해 기어 시스템을 통한 축 연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축 손실과 축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하우징(120)은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부 공간(즉, 작업공간)을 가지고 있음으로, 에너지 회수부(140)의 설치나 유지 또는 보수 측면에서 사람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러더(110)가 전가동타 타입인 경우, 추진 프로펠러(10)의 설치나 수리 또는 교체 작업 시 러더(110) 전체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추진 프로펠러(10)의 설치나 수리 또는 교체 작업 시 작업의 신속성, 안정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이 구비된 러더(110)를 선체(1)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러더(110)의 전체 표면적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렇게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해 러더(110)의 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전기 하우징(120)의 길이(Lh)는 러더(110)의 코드길이(Lr)의 30% 이상 150%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길이(Lh)가 러더(110)의 코드길이(Lr)의 30%보다 짧은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 내에 에너지 회수부(140)를 수용하기가 어려우며, 발전 프로펠러(130)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120)이 존재함으로 인해 생성되는 양력을 증가시키기 어렵다. 또한, 발전기 하우징(120)의 길이(Lh)가 러더(110)의 코드길이(Lr)의 150%보다 긴 경우, 추진 프로펠러(10)의 추력을 저감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윤곽선은 선체(1)의 정면에서 볼 때 추진 프로펠러(10)의 직경 안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발전기 하우징(120)의 윤곽선이 추진 프로펠러(10)의 직경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후류 영역(미도시)을 벗어나 저항체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발전기 하우징(120)의 윤곽선의 직경은 추진 프로펠러(10)의 직경의 7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발전기 하우징(120)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볼 때,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에 대해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 영역(선체의 좌현측 영역)이 좌측 영역(선체의 우현측 영역)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전기 하우징(120)는 추진 프로펠러(10) 후류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우측 영역(선체의 좌현측 영역)이 좌측 영역(선체의 우현측 영역)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에 포함된 발전기 하우징(120)의 변형례를 선체의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B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전기 하우징(120)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발전기 하우징(120)의 예와 마찬가지로, 전방에서 볼 때,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에 대해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 영역(선체의 좌현측 영역)이 좌측 영역(선체의 우현측 영역)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발전기 하우징(120)은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에 대해 발전기 하우징(120)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에 비해 전방에서 볼 때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의 상하를 기준으로 추진 프로펠러(10) 후류의 속도 분포를 살펴보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 분포를 갖는 경향이 있다.
즉,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센 회전 성분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속 분포는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과 무관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체(1)의 전방에서 볼 때, 발전기 하우징(120)이 추진 프로펠러(10) 후류의 회전 성분의 세기에 비례하는 표면적 분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추진 프로펠러(10) 후류의 회전 성분이 발전기 하우징(120)과 간섭되어 효과적으로 상쇄되고 정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 프로펠러(10)의 추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의 러더(110)를 선체의 우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의 러더(110)를 선체의 좌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추진 프로펠러(10)가 선체(10)의 우현으로 정회전하는 경우(즉, 선체의 후방에서 추진 프로펠러(10)을 바라볼 때, 추진 프로펠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은 선체(1)의 전방에서 볼 때,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 영역(선체의 우현측 영역) 및 우측 영역(선체의 좌현측 영역) 중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영역, 즉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 영역(선체의 좌현측 영역)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전단(122)과 후단(124)을 잇는 가상선(126)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에서 후방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영역, 즉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 영역(선체의 우현측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122)과 후단(124)을 잇는 가상선(126)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에서 후방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박(100) 좌우측의 비대칭적인 유체흐름에 따라 발전기 하우징(120)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발전 프로펠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프로펠러(10)와 대향하도록 발전기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2)에 결합되며,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후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32)의 일단부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 상에 위치하며, 회전축(132)의 타단부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발전 프로펠러(130)는 추진 프로펠러(10)와 대향하도록 회전축(13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참고로,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에 따라 그 후방에는 소용돌이 형태의 후류(즉, 회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후류의 축방향 성분은 선체(1)의 추진에 사용되나, 후류의 회전성분은 선체(1)의 추진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버려지므로 그 에너지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발전 프로펠러(130)는 이러한 회전류를 받아 회전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회전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발전 프로펠러(130)의 직경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진 프로펠러(10) 직경의 80 내지 90%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후류 영역(미도시)은 추진 프로펠러(10) 직경의 80 내지 90% 영역 내에서 형성된다. 발전 프로펠러(130)는 이러한 후류 영역(미도시) 내에 존재하여야 하며, 일부라도 후류 영역(미도시)을 벗어나면 저항체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발전 프로펠러(130)의 직경은 후류 영역(미도시) 내에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에너지 회수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132)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성한다.
에너지 회수부(140)는, 회전축(132)의 회전속도를 증속하는 증속기(142) 및 증속기(142)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증속기(142)는 발전 프로펠러(130)의 느린 회전수(즉, 주파수)를 발전기(144)에서 발전하기 알맞은 회전수로 회전축(132)의 회전 속도를 증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회수부(140)로서 발전기(144)가 증속기(142)를 구비한 경우(즉, 기어타입 발전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에너지 회수부(140)는 인버터(inverter, 미도시)를 구비한 기어리스타입(gearless type) 발전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전 프로펠러(130)의 느린 회전수로 인해 발전기(144) 측에서 생성된 저주파수는 인버터(미도시)를 거쳐서 상용주파수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가 협소한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하는 증속기(142)와 발전기(144)에 의해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발전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 온도를 낮추는 냉각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부(140)는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발전기 하우징(120)의 단면폭이 협소하여 증속기(142)와 발전기(144)를 직렬로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증속기(142)는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축(132)에 직렬로 연결하고, 증속기(142)에 베벨기어 시스템을 도입하여 증속기(142)의 상부에 발전기(144)를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증속기(142)는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축(132)에 직렬로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미도시)와, 기어축이 제1 베벨기어의 기어축과 교차되도록 제1 베벨기어에 기어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144)는 제2 베벨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전기(144)는 선체(1)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회수부(140)를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하여 발전 프로펠러(130)와 에너지 회수부(140) 간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축계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화된 축계 시스템은 발전 프로펠러(130)를 통해 회수된 에너지의 축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132)의 타단에 증속기(142)와 발전기(144)를 직렬로 배치하여 축의 연결에 따른 축 손실과 축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에 포함된 핀(150)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외주면에는 익형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핀(150)이 설치될 수 있다.
핀(150)은 발전기 하우징(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150)은 발전 프로펠러(130)의 회전방향의 에너지를 선체(1)의 길이방향으로 변환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며, 결과적으로 추진 프로펠러(10)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킨다.
핀(15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측 단부(152)의 적어도 일부가 러더(110)의 전단(116)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150)이 배치됨에 따라, 핀(150)은 러더(1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고, 핀(150)을 지나는 유체가 러더(110)와 간섭을 일으켜 와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핀(150)의 연장방향은 후방측을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핀(150)은 일종의 스큐백(skew-bac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더(110)가 회동하는 경우 핀(150)이 추진 프로펠러(1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핀(150)의 외측 단부(153)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더(110)가 회동하는 경우 핀(150)이 추진 프로펠러(1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50)의 외측 단부(153)는 선체(1)의 전방에서 볼 때 발전 프로펠러(130)의 직경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150)의 외측 단부(153)가 발전 프로펠러(130)의 직경 밖으로 돌출하여 유체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핀(150)은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 중 추진 프로펠러(10)의 정회전 시 발생되는 회전류가 상대적으로 큰 측부에는 회전류가 상대적으로 작은 측부에 비해 많거나 적어도 동일한 개수의 핀(1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이란 선박을 전진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을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핀(150)은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 추진 프로펠러(10)가 후방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정회전 한다고 가정하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회전류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에 비해 좌측에서 강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한 회전류가 발생되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에는 두 개의 핀(150a)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약한 회전류가 발생되는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부에는 하나의 핀(15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핀(150a)의 길이(S1)는 추진 프로펠러(10)의 반경(RP)의 50% 이하일 수 있고, 발전기 하우징(120)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핀(150b)의 길이(S2)는 추진 프로펠러(10)의 반경(RP)의 30%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진 프로펠러(10)의 반경(RP)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중심선(CP)으로부터 추진 프로펠러(10)의 날개의 외측 단부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하며, 핀(150)의 길이는 내측 단부(152)와 외측 단부(153)의 최대 수직 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핀(150a)이 우측부에 위치하는 핀(150b)보다 크기 때문에 발전기 하우징(120)의 좌측부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회전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핀(150)의 개수, 배치, 크기 등은 추진 프로펠러(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회전류를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200, 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2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러더(110)와 발전기 하우징(120)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10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 또는 유사함으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200)의 경우, 러더(210)는 혼타 타입(horn rudder type)으로서,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선체(1)에 결합되는 러더 혼(212)과; 러더 혼(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2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러더 혼(212)에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의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다양한 변형례들이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가 구비된 선박(3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러더(110)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10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 또는 유사함으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300)의 경우, 러더(310)는 혼타 타입으로서, 추진 프로펠러(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선체(1)에 결합되는 러더 혼(312)과; 러더 혼(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 하우징(320)은 러더 블레이드(314)에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의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다양한 변형례들이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항 안전성 및 조종운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 프로펠러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를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증가된 토오크로 인하여 발전 프로펠러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 프로펠러의 후방에 발전기 하우징이 배치되면, 추진 프로펠러와 러더 사이의 압력장이 증가됨으로, 추진 프로펠러의 허브에서 발생하는 허브 볼텍스(hub vortex)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추진 프로펠러의 추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기 하우징은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부 공간(즉, 작업공간)을 가지고 있음으로, 에너지 회수부의 설치나 유지 또는 보수 측면에서 사람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러더가 전가동타 타입인 경우, 추진 프로펠러의 설치나 수리 또는 교체 작업 시 러더 전체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추진 프로펠러의 설치나 수리 또는 교체 작업 시 작업의 신속성, 안정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전방에서 볼 때 선박의 발전기 하우징이 추진 프로펠러 후류의 회전 성분의 세기에 비례하는 표면적 분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추진 프로펠러 후류의 회전 성분이 발전기 하우징과 간섭되어 효과적으로 상쇄되고 정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 프로펠러의 추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핀이 발전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되는 회전류를 상쇄하여 추진 프로펠러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선체 10 : 추진 프로펠러
100 :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110 : 러더
116 : 전단 120 : 발전기 하우징
122 : 전단 124 : 후단
126 : 가상선 130 : 발전 프로펠러
132 : 회전축 140 : 에너지 회수부
142 : 증속기 144 : 발전기
150 : 핀 152 : 내측 단부
153 : 외측 단부

Claims (11)

  1. 선체;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프로펠러;
    상기 선체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된 러더;
    상기 러더에 형성된 유선형의 발전기 하우징;
    상기 추진 프로펠러와 대향하도록 상기 발전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되는 후류에 의해 회전하는 발전 프로펠러; 및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전방에서 볼 때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는, 전가동타 타입(Full-Spade Rudder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는 혼타 타입(Horn Rudder type)으로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러더 혼과;
    상기 러더 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러더 혼 또는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상측 영역은 하측 영역에 비해 전방에서 볼 때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하우징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영역은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선이 후방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후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영역은 전단과 후단을 잇는 가상선이 후방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익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외측 단부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직경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길이는 상기 러더의 코드길이의 3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발전기 하우징의 윤곽선은 상기 추진 프로펠러의 직경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회수부는,
    상기 발전 프로펠러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증속하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110055059A 2011-06-08 2011-06-08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33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59A KR101334345B1 (ko) 2011-06-08 2011-06-08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59A KR101334345B1 (ko) 2011-06-08 2011-06-08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67A KR20120136067A (ko) 2012-12-18
KR101334345B1 true KR101334345B1 (ko) 2013-11-29

Family

ID=4790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059A KR101334345B1 (ko) 2011-06-08 2011-06-08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716B1 (fr) * 2014-10-06 2017-12-29 Sagem Defense Securite Gouvernail a hydrogenerateur integre et navire comportant un tel gouvernail
JP6203349B1 (ja) * 2016-09-06 2017-09-27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用舵
DE102017213414A1 (de) * 2017-08-02 2019-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ktivrudernachrüstung
KR102027524B1 (ko) * 2017-12-27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600U (ko) * 1986-06-02 1987-12-12
JPH11222188A (ja) * 1998-02-09 1999-08-17 Hitachi Zosen Corp 船舶におけるチップ渦エネルギーの回収装置
KR20010009113A (ko) * 1999-07-07 2001-02-05 권상문 선박의 방향타
KR20100112276A (ko) * 2009-04-09 2010-10-19 한국해양연구원 양력 손실 및 캐비테이션을 저감시키는 분리형 방향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600U (ko) * 1986-06-02 1987-12-12
JPH11222188A (ja) * 1998-02-09 1999-08-17 Hitachi Zosen Corp 船舶におけるチップ渦エネルギーの回収装置
KR20010009113A (ko) * 1999-07-07 2001-02-05 권상문 선박의 방향타
KR20100112276A (ko) * 2009-04-09 2010-10-19 한국해양연구원 양력 손실 및 캐비테이션을 저감시키는 분리형 방향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67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45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3751260B2 (ja) 大型船用二枚舵システム
JPWO2015114916A1 (ja) 操舵装置及びその操舵方法
JP2014040169A (ja)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CN102056793B (zh) 为轮船提供大直径螺旋桨的方法和具有大直径螺旋桨的轮船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23828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2023532147A (ja) 船用推進システムの二重ストラット伝動装置ハウジング構造
KR101225169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WO2012053378A1 (ja) 推進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船舶
WO2017098595A1 (ja) 船舶用舵、操舵方法及び船舶
KR101236944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399960B1 (ko) 러더 벌브가 부착된 러더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78664B1 (ko) 복합추진기동력계 구동장치
KR101215610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2014019199A (ja) 船舶
KR101302035B1 (ko) 선박
JP2013252774A (ja) 船舶
CN111806664A (zh) 一种增加水动力性能的吊舱推进器鳍板结构
KR20220055019A (ko) 공기 윤활 시스템 및 로터 세일 동시 적용 선박의 구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6800A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CN212423430U (zh) 一种组合式对转桨电力推进系统
KR20150135906A (ko) 외측 핀이 장착된 프로펠러 덕트
KR101422151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2012096751A (ja) 船舶の推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