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136B1 - 전수로형 펌프 - Google Patents

전수로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136B1
KR101333136B1 KR1020120002950A KR20120002950A KR101333136B1 KR 101333136 B1 KR101333136 B1 KR 101333136B1 KR 1020120002950 A KR1020120002950 A KR 1020120002950A KR 20120002950 A KR20120002950 A KR 20120002950A KR 101333136 B1 KR101333136 B1 KR 10133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cover
diaphrag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874A (ko
Inventor
방성배
Original Assignee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로펌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1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6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storag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10Metals, alloys or intermetallic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40Organic materials
    • F05D2300/43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전수로형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코일의 리드선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부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코일의 리드선의 접속 공정이 간편하고 코일의 리드선 부위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적게 소요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체와 항상 접촉하는 고정자가 내장된 모터의 케이스의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일단면(一端面)에 접촉 결합되는 제 1 외측프레임 및 프레임의 타단부측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 2 외측프레임은 알루미늄재로 형성되며, 제 1 외측프레임의 일측과 프레임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 1 커버 및 프레임의 타단부측을 수용하는 제 2 커버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의 케이스 전체를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수로형 펌프 {WATER COOLING JACKET TYPE PUMP}
본 발명은 전수로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란 모터의 작용으로 액체를 수송하는 장치이다. 펌프에는 공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냉각하는 공냉식과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모터를 냉각하는 수냉식이 있다. 전수로형은 수냉식의 일종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수로형 펌프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수로형 펌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상부하우징(11a)과 하부하우징(11b)을 가지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 케이스(21)의 상하면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3), 회전축(23)에 고정되어 회전축(23)을 회전시키는 회전자(미도시) 및 케이스(21)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미도시)를 가진다.
케이스(21)의 상면으로는 상기 고정자의 코일(미도시)의 리드선(25a)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는 콘덴서(27)가 설치되고,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콘덴서(27)를 밀폐 보호하는 커버(29)가 결합된다. 리드선(25aa) 중, 다른 하나는 커버(29) 및 상부하우징(11a)을 통과하여 외부의 리드선(15)과 접속된다.
하부하우징(11b)의 내부에는 회전축(23)에 결합되어 회전축(23)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13)가 설치된다. 임펠러(13)는 하부하우징(11b)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강제로 상부하우징(11a)의 상면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하부하우징(11b)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케이스(21)의 외면 사이로 유입된 후, 상부하우징(11a)의 상면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모터를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수로형 펌프는 리드선(25a)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어느 하나의 리드선(25a)을 케이스(21)의 상측으로 관통시켜 콘덴서(27)에 접속하고, 다른 리드선(25a)들을 커버(29) 및 상부하우징(11a)의 상측으로 관통시켜 외부의 리드선(15)과 접속한다. 그러므로, 리드선(15)의 접속 작업이 복잡하고, 리드선(15)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많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 17은 스트레이너이고, 19는 오링이다.
전수로형 펌프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5790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수로형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일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면 타측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된 제 1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코일을 가지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유입구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액체를 강제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로 유입시켜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자가 지지된 원통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면(一端面)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연통공이 형성된 제 1 외측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 내면에 삽입 결합된 제 2 외측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측프레임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면측 외면에는 제 1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 외면에는 제 2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 1 외측프레임 및 상기 제 2 외측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며, 제 1 커버에는 상기 제 1 연통공과 연통된 제 2 연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코일의 리드선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부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코일의 리드선의 접속 공정이 간편하고 코일의 리드선 부위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적게 소요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체와 항상 접촉하는 고정자가 내장된 모터의 케이스의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일단면(一端面)에 접촉 결합되는 제 1 외측프레임 및 프레임의 타단부측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 2 외측프레임은 알루미늄재로 형성되며, 제 1 외측프레임의 일측과 프레임의 일측을 수용하는 제 1 커버 및 프레임의 타단부측을 수용하는 제 2 커버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의 케이스 전체를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수로형 펌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의 "A-A"선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성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등과 같은 설치 장소에 놓이는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하우징(110)은 임펠러(미도시)가 내장되는 제 1 하우징(111)과 모터(130)가 내장되는 제 2 하우징(115)을 가진다. 제 1 하우징(111)의 좌측면에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11)과 우측면과 인접하는 제 2 하우징(115)의 외면에는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6)가 형성된다.
이하, 하우징(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좌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좌측면 및 좌측",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우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우측면 및 우측", 하우징(110)의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우징(110)의 반경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제 1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임펠러는 회전하면서 유입구(112)로 유입된 액체를 강제로 하우징(110)과 모터(130) 사이로 유입시켜 배출구(116)로 배출시킨다.
제 2 하우징(115)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30)는 케이스(131), 제 1 커버(134), 제 2 커버(135), 회전축(139), 회전자(미도시) 및 고정자(미도시)를 가진다.
케이스(131)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131a), 프레임(131a)의 일단면(一端面)측에 결합된 제 1 외측프레임(131b) 및 프레임(131a)의 타단면(他端面)측 내부에 삽입 결합된 제 2 외측프레임(131c)을 가지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스(131)의 프레임(131a)의 외면은 제 2 하우징(115)의 내면과 간격을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스(131)의 프레임(131a)과 제 2 하우징(115) 사이로 유입된 액체는 케이스(131)를 냉각시켜 모터(130)를 냉각시킨다.
제 1 커버(134)는 제 1 외측프레임(131b)의 외면 및 프레임(131a)의 일단면측 외면을 수용하여 결합되고, 제 2 커버(135)의 내주면에는 프레임(131a)의 우측 단부측 외주면이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커버(134)와 제 2 커버(135)는 체결부재(136)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호 결합된 제 1 커버(134)와 제 2 커버(135)에 의하여 제 1 외측프레임(131b) 및 제 2 외측프레임(131c)이 프레임(131a)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131a)과 제 1 커버(134)의 접촉면 사이 및 프레임(131a)과 제 2 커버(135)의 접촉면 사이에는 프레임(131a)과 제 1 외측프레임(131b) 사이 및 프레임(131a)과 제 2 커버(135)의 사이를 각각 실링하는 실링부재(137)가 개재된다.
회전축(139)은 케이스(131)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축(139)의 좌측 부위는 제 1 외측프레임(131b)을 관통하면서 제 1 외측프레임(131b)에 지지되고, 우측 부위는 제 2 외측프레임(131c)에 지지 설치된다.
제 2 하우징(115)의 내면에는 제 2 하우징(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117)가 형성되고, 지지리브(117)에는 제 1 및 제 2 커버(134, 135)의 외주면이 접촉 지지된다. 이로 인해, 제 2 하우징(115)의 내면과 케이스(131)의 프레임(131a)의 외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프레임(131a)의 외주면에는 프레임(13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의 복수의 엠보싱(131aa)이 형성된다. 제 1 커버(134)측과 인접한 엠보싱(131aa)은 제 1 커버(134)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제 2 커버(135)측과 인접한 엠보싱(131aa)은 제 2 커버(135)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회전축(139)의 좌측 단부측에는 상기 임펠러가 설치되며, 회전축(139)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유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된 액체를 강제로 하우징(110)과 케이스(131) 사이로 유입시켜 배출구(116)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회전자는 회전축(139)에 설치되어 회전축(139)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고정자는 프레임(131a)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자를 감싸는 코어(미도시)와 상기 코어에 권선된 코일(미도시)을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39)을 회전시킨다.
모터(130)의 부위 중,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자의 부위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자가 설치된 프레임(131a)은 액체에 의하여 냉각되므로, 모터(130)가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액체와 항상 접촉하는 프레임(131a)은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되고, 제 1 커버(134)의 내부에 일측 삽입 결합되어 실링되는 제 1 외측프레임(131b) 및 프레임(131a)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실링되는 제 2 외측프레임(131c)은 알루미늄재로 형성되며, 제 1 커버(134) 및 제 2 커버(135)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31) 전체를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제 1 외측프레임(131b), 제 1 커버(134) 및 제 2 하우징(1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제 2 하우징(115)의 외면, 제 1 외측프레임(131b) 외면 및 제 1 커버(134)의 외면에는 상호 연통된 제 1 관통공(115a), 제 1 연통공(131ba) 및 제 2 연통공(134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제 1 연통공(131ba) → 제 2 연통공(134a) → 1 관통공(115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외측프레임(131b)이 제 1 커버(134)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고, 제 1 외측프레임(131b)과 제 1 커버(134)에는 상호 연통되는 제 1 연통공(131ba) 및 제 2 연통공(134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외측프레임(131b)이 제 1 커버(134)의 내부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어야 제 1 연통공(131ba)과 제 2 연통공(134a)이 상호 연통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외측프레임(131b)의 외면과 제 1 커버(134)의 내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결합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홈(131bb) 및 위치표시레일(134b)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관통공(115a)이 형성된 제 2 하우징(115)의 외면에는 제어부(140)가 설치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제어부(140)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제 2 하우징(115)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부(140)에 접속되므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의 접속 공정이 간편하다.
제어부(140)에는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 또는 압력센서 등과 같은 압력감지수단(미도시)이 접속 설치된다.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13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임펠러가 회전 또는 정지된다.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에는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된 압력탱크(150)가 설치된다. 압력탱크(150)는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흡수 또는 보충하여 보정함으로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이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의 미설명 부호 143은 실링부재이다.
압력탱크(150)는 지지프레임(151), 커버(153), 다이아프램(155), 탄성부재(157) 및 압력전달판(159)을 가지며, 제 2 하우징(115)의 외측에서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에 설치된다.
압력탱크(150)에 대하여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에는 제 2 하우징(115)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제 2 관통공(118)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51)은 단면(斷面) 형상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 2 관통공(118)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관통공(118)과 동심을 이룬다.
커버(153)는 좌측면이 개방되어 지지프레임(151)의 외면에 내면이 삽입 결합된다. 그러므로, 커버(153)도 제 2 관통공(118)을 감싸면서 제 2 관통공(118)과 동심을 이루며,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에 결합된 형태가 된다.
다이아프램(155)은 지지프레임(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이아프램(155)은 외면이 지지프레임(151)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제 2 관통공(118)을 기준으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도 3 참조) 사이의 공간과 지지프레임(15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그리하여,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상승하여 제 2 관통공(118)을 통하여 액체가 지지프레임(151)의 내부로 유입되면 수축되면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흡수하고,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하강하면 팽창되면서 지지프레임(151) 내부의 액체를 제 2 관통공(118)을 통하여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로 배출시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보충한다.
다이아프램(155)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2 하우징(115)의 우측면과 대향하는 다이아프램(155)의 좌측면은 밀폐되고, 커버(153)의 우측면과 대향하는 다이아프램(155)의 우측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다이아프램(155)은 안정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57)는 다이아프램(155)의 좌측면과 커버(153)의 우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다이아프램(155)을 제 2 관통공(118)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압력전달판(159)은 다이아프램(155)의 내부에 설치된다. 압력전달판(159)은 외면이 다이아프램(155)의 내면과 접촉하여 다이아프램(155)을 지지함과 동시에, 다이아프램(155)의 수축력을 탄성부재(157)로 전달하고, 탄성부재(157)의 탄성력을 다이아프램(155)으로 전달한다.
탄성부재(157)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압력전달판(159) 및 커버(153)의 우측면에는 탄성부재(157)의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가 각각 삽입 지지되는 지지관(159a) 및 지지홈(153a)이 각각 형성된다.
다이아프램(155)의 우측 단면(端面) 외주면에는 실링테(155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실링테(155a)는 지지프레임(151)의 단면(端面)과 커버(153)의 우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다이아프램(155)과 지지프레임(151) 사이 및 다이아프램(155)과 커버(153) 사이를 실링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155)에 의하여, 제 2 관통공(118)을 기준으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 및 지지프레임(151)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것이다.
실링테(155a)에 의하여 다이아프램(155)과 지지프레임(151) 사이 및 다이아프램(155)과 커버(153) 사이가 더욱 견고하게 실링되도록, 지지프레임(151)의 단면(單面) 및 커버(153)의 우측면에는 실링테(155a)가 삽입 안치되는 안치홈(151a, 153b)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수로형 펌프는 압력탱크(150)가 커버(153)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압력탱크(150)가 손상되지 않는다.
압력탱크(1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터(130)가 정지되어 있고, 다이아프램(155)의 좌측면이 하우징(110)의 우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모터(130)가 구동하여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면, 상기 임펠러에 의하여 액체가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로 유입된다. 그러면,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고,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 2 관통공(118)을 통하여 액체가 지지프레임(15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다이아프램(155)이 수축되면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흡수한다.
그 후,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하강하면, 탄성부재(157)의 탄성력 및 다이아프램(155)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155)이 팽창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151)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제 2 관통공(118)을 통하여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 2 하우징(115)과 케이스(13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보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하우징
130: 모터
131: 케이스
131a: 프레임
131b: 제 1 외측프레임
131c: 제 2 외측프레임
134: 제 1 커버
135: 제 2 커버

Claims (13)

  1. 일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면 타측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통된 제 1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 1 연통공과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코일을 가지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유입구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액체를 강제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로 유입시켜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자가 지지된 원통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면(一端面)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연통공이 형성된 제 1 외측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 내면에 삽입 결합된 제 2 외측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측프레임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면측 외면에는 제 1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 외면에는 제 2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 1 외측프레임 및 상기 제 2 외측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며,
    제 1 커버에는 상기 제 1 연통공과 연통된 제 2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의 외면 및 상기 제 2 커버의 외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의 복수의 엠보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면측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제 1 커버의 내면과 접촉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면측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제 2 커버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1 커버 사이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재이고, 상기 제 1 외측프레임 및 상기 제 2 외측프레임은 알루미늄재이며,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제 1 커버의 내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결합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홈 및 위치표시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는 상기 제 2 관통공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흡수 또는 보충하여 보정하는 압력탱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는,
    상기 제 2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내면이 삽입 결합된 커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지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흡수하고, 팽창되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압력을 보충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기 제 2 관통공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대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면은 밀폐되고, 상기 커버와 대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타면은 개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아프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아프램의 수축력을 상기 탄성부재로 전달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전달하는 압력전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판 및 상기 커버의 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 지지되는 지지관 및 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타면 외주면에는 실링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테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면(端面)과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커버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커버에는 상기 실링테가 삽입 안치되는 안치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수로형 펌프.
KR1020120002950A 2012-01-10 2012-01-10 전수로형 펌프 KR10133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50A KR101333136B1 (ko) 2012-01-10 2012-01-10 전수로형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50A KR101333136B1 (ko) 2012-01-10 2012-01-10 전수로형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74A KR20130081874A (ko) 2013-07-18
KR101333136B1 true KR101333136B1 (ko) 2013-11-26

Family

ID=4899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950A KR101333136B1 (ko) 2012-01-10 2012-01-10 전수로형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32B1 (ko) 2016-08-31 2018-10-23 이오플로우(주) 전기 삼투 펌프
KR101866225B1 (ko) * 2018-01-26 2018-06-12 (주)오비스 클로즈드 임펠러를 지닌 오배수 펌프의 실링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193A (ja) * 1996-04-16 1997-10-28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
KR20100065468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20110057910A (ko) * 2009-11-25 2011-06-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KR20110057904A (ko) * 2009-11-25 2011-06-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193A (ja) * 1996-04-16 1997-10-28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
KR20100065468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20110057910A (ko) * 2009-11-25 2011-06-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KR20110057904A (ko) * 2009-11-25 2011-06-0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74A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1054B (zh) 电驱动泵
JP6082476B2 (ja) 液体圧送用ポンプの冷却構成
EP3382858A1 (en) Cooling of an electric motor
JP2017127183A (ja) 電動モータで駆動される液体ポンプ
EP2903142A1 (en) Water-cooled electrical motor
US9825503B2 (en) Motor with cooling system
CN103826419A (zh) 连接结构和逆变器
CN202817966U (zh) 电动机
CN203574501U (zh) 一种冷却电机
KR20200006090A (ko) 전자 팽창 밸브, 열 관리 조립체, 냉각 시스템, 및 전자 팽창 밸브의 제조 방법
KR101333136B1 (ko) 전수로형 펌프
CN107565756B (zh) 油泵电机、变速箱及汽车
EP2731236B1 (en) Motor
JP6582468B2 (ja) 回転電機構造
JP2014093816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TWI629860B (zh) 電動機
JP2018059497A (ja) モータポンプ及びこれを備える排水設備
CN104047930A (zh) 一种高集成型液压泵站
CN102350403A (zh) 一种碟式分离机传动机械的冷却装置
US9564788B2 (en) Motor with cooling device
JP2008167575A (ja) 直駆式液体冷却モータの固定子
CN111654162A (zh) 一种集成式水冷电机壳体结构
CN205377521U (zh) 一种屏蔽式电子水泵电机
JP2010206994A (ja) 電動機
CN103390965A (zh) 一种液冷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