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808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808B1
KR101332808B1 KR1020060071942A KR20060071942A KR101332808B1 KR 101332808 B1 KR101332808 B1 KR 101332808B1 KR 1020060071942 A KR1020060071942 A KR 1020060071942A KR 20060071942 A KR20060071942 A KR 20060071942A KR 101332808 B1 KR101332808 B1 KR 10133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havior pattern
time zone
abnorm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521A (ko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80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은, 행동패턴 설정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소정 기간 동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과정과,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이상행동 패턴을 감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개개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마이닝, 친구찾기, 행동패턴, 위치정보, 단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PATTERN OF USER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분석된 행동패턴을 벗어났을 경우를 감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 경박화됨에 따라 휴대의 편리성이 증가되 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부가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위치 추적 서비스는 단순히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 추적을 하더라도 상기 다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만을 알 수 있을 뿐,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현재 사용자들은 주변의 특정인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자신이 알길 원하고, 자신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길 원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이상패턴 발생시,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은, 행동패턴 설정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소정 기간 동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지역 정보를 설정받는 과정과,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설정된 시간대별 지역 정보 중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 설정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소정 기간 동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행동패턴 분석부와,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지역 정보를 설정받고, 상기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이상패턴 감지부와,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설정된 시간대별 지역 정보 중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행동패턴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쉽게 드러나지 않는 유용한 패턴과 상관관계를 발견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이용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행동패턴 분석부(102), 이상패턴 감지부(104), 통신모듈(106), 저장부(108), 표시부(110), 입력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의 행동패턴 파악에 필요한 정보 수집 기간을 입력받기 위한 창을 상기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112)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을 입력받아 상기 행동패턴 분석부(102)로 상기 소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행동패턴을 분석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이상패턴 감지부(104)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행동패턴 분석부(102)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행동패턴 분석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소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각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확인하거나 혹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수신기를 구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 정보의 아이템화가 미리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정보의 아이템화란 각각의 기지국을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GPS수신기는 GPS위성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행동패턴 분석부(102)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행동패턴 결과를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연관 규칙, 빈발 항목 및 이상 패턴 감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상패턴 감지부(104)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시간에 따라 확인된 위치정보가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에서 벗어나는지 유무를 검사한다. 즉, 사용자의 위치 이동 패턴이 상기 확인된 행동패턴에서 벗어난 이상행동패턴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가 상기 행동패턴에서 벗어날 경우, 상기 이상패턴 감지부(104)는 상기 시간에 따라 확인된 위치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제약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가 상기 제약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이상패턴 감지부(104)는 이상행동패턴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이상패턴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 및 저장된 행동패턴이 서울에 한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일요일에 한해서 인천으로의 이동 가능하도록 제약조건을 설정하였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인한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가 '토요일, 인천'이면, 상기 확인된 정보는 상기 행동패턴은 물론 제약조건에도 벗어나므로, 이상행동패턴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6)은 안테나(116)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108)는 상기 행동패턴 분석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약조건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을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1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 자의 행동패턴 파악에 필요한 정보 수집 기간을 입력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약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112)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112)는 상기 소정 기간과 상기 제약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행동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위치정보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을 입력받는다.
상기 소정 기간을 입력받은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서 상기 소정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확인하거나 혹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지국에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기지국의 아이템화가 미리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각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행동패턴을 저장부(108)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에서 제약조건 설정 여부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제약조건을 설정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제약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에서 제약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을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약조건은 특정 지역을 허가지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금지지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지역에 있을 경우, 상기 행동패턴과 상관없이 무조건 이상행동패턴이 아니라고 판단하도록 상기 A지역을 A지역을 허가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A지역에 있을 경우, 무조건 이상행동패턴이라고 판단하도록 상기 A지역을 금지구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지역의 허가 여부를 특정 시간에 한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7시부터 21시 사이에 A지역 이외의 지역에 있을 경우를 모두 이상행동패턴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약조건을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확인하거나 혹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만족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에서 기 설정된 제약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 설정된 제약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제약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309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상행동패턴 감지 알림 신호는 알람 호일 수도 있고, 단문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행동패턴 감지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행동패턴 분석 및 이상행동 패턴 감지를 모두 수행하였으나, 통신 사업자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이상행동패턴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분석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상패턴을 감지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통신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이상행동 패턴을 감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개개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 분석함으로써, 통신 사업자는 사용자 개개인의 행동패턴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행동패턴 설정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소정 기간 동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지역 정보를 설정받는 과정과,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설정된 시간대별 지역 정보 중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지역 정보를 설정받는 과정은,
    상기 시간대별 지역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시간대별로 사용자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 및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간대별 지역은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관계없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지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리지 않음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림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연관 규칙, 빈발 항목 및 이상 패턴 감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 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동패턴 설정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소정 기간 동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는 행동패턴 분석부와,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지역 정보를 설정받고, 상기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 감지 이벤트가 발생될 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하는 이상패턴 감지부와,
    상기 행동패턴을 만족하지 않을 시, 상기 설정된 시간대별 지역 정보 중에서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연관 규칙, 빈발 항목 및 이상 패턴 감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대별 지역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상패턴 감지부는 시간대별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 및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지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허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리지 않음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 정보가 사용자 방문을 금지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릴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의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이상행동패턴이 감지됨을 알림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KR1020060071942A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33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2A KR101332808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2A KR101332808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1A KR20080011521A (ko) 2008-02-05
KR101332808B1 true KR101332808B1 (ko) 2013-11-27

Family

ID=3934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42A KR101332808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87B1 (ko) * 2007-01-03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행적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129808B1 (ko) * 2010-06-29 2012-03-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인맥 추천 방법
CN113704771B (zh) * 2021-08-31 2022-04-22 西安明赋云计算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分析的服务漏洞挖掘方法及大数据挖掘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3959A (ja) * 2001-11-28 2003-06-06 Nec Corp 移動通信機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090235A (ko) * 2004-03-08 2005-09-13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과거의 위치 값을 기반으로 한 휴대폰용 적응형 위치추적 방법
KR20060001473A (ko)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로 설정된 안전구역에 대한이탈경보 서비스 방법
KR20060019008A (ko) * 2004-08-2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패턴에 의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3959A (ja) * 2001-11-28 2003-06-06 Nec Corp 移動通信機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090235A (ko) * 2004-03-08 2005-09-13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과거의 위치 값을 기반으로 한 휴대폰용 적응형 위치추적 방법
KR20060001473A (ko)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로 설정된 안전구역에 대한이탈경보 서비스 방법
KR20060019008A (ko) * 2004-08-2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패턴에 의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1A (ko) 200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90071B (en) Positioning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156179B (zh) 远程操作设备和服务中心
US2011024483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 limitation control
US20090042585A1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terminal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server, and program
CN105988836B (zh) 一种应用推荐方法及装置
US67354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device using a local wireless link
KR10133280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이상패턴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4023315A (zh) 一种基于地理位置信息的密码输入方法及装置
JP2017224877A (ja) 通信装置、データ収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安否確認システム
JP2008153858A (ja) 携帯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品質収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164486A (ja) 通報装置
JP4727448B2 (ja) 震災情報提供システム、地震監視局及び基地局
KR1006003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냄새 식별 장치
US96419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heuristic location tracking
KR101487208B1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US20160073238A1 (en) Portable typ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650872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01542A1 (en) System for monitoring mobile personal items
CN115665657A (zh) 无线配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333353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ユニット
JP2004021847A (ja) 位置監視システム
JP2004280498A (ja) 異常事態通報装置
JP4302291B2 (ja) 移動体捜索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捜索方法
JP5142562B2 (ja) 物品監視システム
KR10187450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