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379B1 -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379B1
KR101331379B1 KR1020060044583A KR20060044583A KR101331379B1 KR 101331379 B1 KR101331379 B1 KR 101331379B1 KR 1020060044583 A KR1020060044583 A KR 1020060044583A KR 20060044583 A KR20060044583 A KR 20060044583A KR 101331379 B1 KR101331379 B1 KR 10133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overmold
cavity
end section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707A (ko
Inventor
웨스틸 스테판
Original Assignee
아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플릭스 filed Critical 아플릭스
Publication of KR2006012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14Anchoring by foaming into a preformed part, e.g. by penetrating throug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61Avoiding impregnation of a preformed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한편에 발포체 내에 몰딩된 물체에 고정되기 위한 오버몰드와, 다른 한편에 상기 오버몰드가 고정되게 하는 몰딩된 물체를 몰딩을 통해 형성하는 몰드를 포함하는 조립체이며, 상기 오버몰드는 셀프 파지 부재의 수형 부분을 형성하는 후크가 돌출하는 제1 측면으로부터의 중앙 섹션과 중앙 섹션의 횡방향으로 양 측면에서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2개의 섹션을 갖는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바닥부에서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드는 공동상에 배열되고,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 및 공동 내부의 후크와 접촉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과, 자석이 오버몰드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공동의 바닥부에 배열되고 동시에 자석에 의해 오버몰드에 고정되도록 끌어당길 수 있는 재료를 가지는 조립체에 있어서, 각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일부가 조립체 몰드의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접촉 섹션과, 공동의 외측 횡방향 측면상에 벽을 넘어서 돌출하는 제2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이들 단부 섹션은 천공되고, 특정 천공 정도는 천공된 섹션의 면적과 단부 전체 면적의 비율이 5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체, 몰드, 오버몰드, 가장자리부, 셀프 파지 부재, 발포체, 공동, 자석

Description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MOULD AND OVERMOULD ASSEMBLY WITH ANTI-LIFT AC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몰드가 조립체의 몰드의 하부에 배열된 후크 보호 공동의 벽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단면도.
도2는 발포체의 응고 후에 얻어진 몰딩된 물체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조립체의 오버몰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버몰드
2 : 기부
3 : 후크
4 : 하부 측면
5 : 중앙 섹션
6, 7 : 가장자리부
8 : 상부 측면
9 : 공동
10, 11 : 수직벽
12, 13 : 상부 표면
14 : 바닥부
15 : 금속 함유 수지
26, 27, 36, 37 : 섹션
30 : 자석
40 : 천공부
50, 51 : 횡방향 단부 에지
[문헌 1] 프랑스 특허 출원 제0213217호
[문헌 2] 일본특허출원 제2003-019006호
본 발명은 한편에 발포체 내에 몰딩된 물체에 고정되기 위한 오버몰드와, 다른 한편에 상기 오버몰드가 고정되게 하는 몰딩된 물체를 몰딩을 통해 형성하는 몰드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오버몰드는 셀프 파지 부재(self-gripping member)의 수형 부분을 형성하는 후크가 돌출하는 제1 측면으로부터의 중앙 섹션과 상기 중앙 섹션의 양측의 횡방향으로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2개의 섹션을 갖는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예컨대 바닥부에서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드는 공동상에 배열되고, 공동의 벽의 상부 에지 및 공동 내부의 후크와 접촉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과, 자석이 오버몰드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공동의 바닥부에 배열되고 동시에 자석에 의해 오버몰드에 고정되도록 끌어당길 수 있는 재료를 갖는다.
따라서 가장자리부는 밀착성을 보장하고, 발포체가 몰딩된 물체를 형성하도록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벽의 상부 에지에 대하여 가압되어, 발포체가 공동 내부로 침투하지 않고 후크와 접촉하지 않고 그 체결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 사용되기 위한 오버몰드와, 상기 발명에 따라 오버몰드가 고정되는 몰딩된 발포체 물체를 포함하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조립체는 특히 본 출원인 명의로 2002년 10월 23일에 출원된 프랑스특허출원 제0213217호로부터 이미 공지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기술의 조립체는 후술하는 결점을 갖는다. 가장자리부가 후크 보호 공동의 경계를 정하는 벽의 상부 표면상에서 이들 벽을 넘어서 공동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으면서 평평하게 배치될 때, 발포체가 전달되거나 주조될 경우, 발포체는 상부 측면(후크가 형성되는 곳의 대향 측면)에 의해 단독으로 이들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게 되고, 발포체가 이 상부 측면상의 오버몰드와 단지 접촉하기 때문에 몰딩된 물체는 오버몰드에 양호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발포체가 또한 하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에서 가장자리부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서, 오버몰드가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때, 가장자리부가 공동의 외부 측면상의 벽을 넘게 될 필요가 있다. 가장자리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연장 되면, 발포체가 주입될 때, 발포체는 우선 몰드의 바닥부로, 오버몰드 아래로 그리고 특히 가장자리부의 아래로 이동하여 발포체가 벽의 상부 표면의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하고, 그 후 전체 몰드를 채우기 위해 이 수위를 통과한다. 몰드의 바닥부에서 최초로 주조된 발포체는 전체로 취급하기 시작하는 반면에 보다 많은 액체 발포체가 여전히 몰드 내부로 전달된다. 바닥부에서 이 발포체는 더욱 풀(paste)과 같이 되고 상승하기 쉬워진다. 오버몰드의 바닥부로부터 나오는 발포체는 벽을 넘어서 돌출하는 가장자리부의 섹션에 의해 이후의 발포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것은 가장자리부와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 사이의 경계면에서 밀착성의 열화를 일으키고, 그 후 전달되는 더 많은 액체 발포체는 더욱 용이하게 공동 내부로 침투되기 쉬고 후크를 오염시키기 쉽다. 결론적으로, 현 시점에서 몰딩된 물체에 오버몰드의 보다 양호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를 연장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일본특허출원 제2003-019006호는 가장자리부가 몰드의 벽의 상부 표면상에 평평하게 놓이지 않지만, 단지 내부 에지와 접촉한 채로 경사진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경사는 오버몰드에 형성된 보다 작은 두께의 홈에 의해 지지된다. 천공부는 경화된 후에 발포체 내의 오버몰드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이들 천공부는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조금 언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체가 최종 제품에 있어서 오버몰드의 가장자리부의 하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 섹션과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하고, 따라서 가장자리부와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에지 사이의 경계면에서 밀착성이 열화되지 않으면서, 결론적으로 발포체가 공동 내부로 침투할 수 없고 후크를 오염시키지 않고, 오버몰드가 몰딩된 물체에 보다 양호하게 고정되는 제품을 얻는 것이며, 상기 후크는 종래 기술의 오버몰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셀프 파지 부재의 루프와 관련하여 동일한 체결 품질을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체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에 한정된 바와 같다.
청구항 제1항 발명은 발포체 내에 몰딩된 물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고, 셀프 파지 부재의 수형 부분을 형성하는 후크가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앙 섹션과 상기 중앙 섹션의 횡방향으로 양 측면에서 가장자리부(6, 7)를 형성하는 2개의 섹션을 갖는 기부(2)를 포함하는 오버몰드(1)와, 다른 한편에 상기 오버몰드가 고정되게 하기 위한 몰딩되는 물체를 몰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고, 벽(10, 1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9)을 바닥부(14)에 포함하는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드는 공동 상에 배치되고, 공동의 벽 상부 표면 및 공동 내부의 후크와 접촉하는 가장자리부(6, 7)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을 갖고, 자석(30)이 오버몰드를 끌어당기기 위해 공동의 바닥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버몰드에는 자석(30)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재료(15)가 상기 재료(15)의 접착 또는 응고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장자리부(6, 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몰드의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는 제1 접촉 섹션(26, 27)을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가장자리부는 공동의 외측 횡방향 측면 상에 벽을 넘어서 돌출하는 제2 단부 섹션(36, 37)을 더 포함하고, 이들 단부 섹션은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2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섹션이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33%보다 크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3항 발명은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이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50%보다 크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4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벽의 상부 표면이 2mm보다 넓은 폭 측정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5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6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6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섹션의 횡방향 단부 경계부(50, 51)가 직선이거나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7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천공된 섹션(40)이 전부 상기 단부 섹션의 비천공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청구항 제8항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섹션이 상기 접촉 섹션보다 큰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이다.
따라서 커다란 천공부로로 천공된 단부 섹션을 갖는 가장자리부를 제공함으로써, 오버몰드가 벽을 넘어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승하는 발포체가 몰드의 바닥부로부터 오버몰드에 도달할 때, 오버몰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지 않으면서 발포체가 오버몰드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몰드의 바닥부로부터 상승하는 발포체에 의해 오버몰드에 대해 상방으로 미는 힘은 천공부의 존재로써 제거되고, 오버몰드는 자석의 인력에 의해 오버몰드의 자성 재료 상에서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에 대해 계속 가압된 채로 유지되며, 발포체는 공동 내부로 침투될 수 없다. 결국, 얻어진 몰딩된 물체는 오버몰드에 더욱 양호하게 고정되고, 특히 종래 기술의 몰딩된 물체에 대해 후크가 그 체결 능력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다시 말해 발포체가 후크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일부의 2개의 상부 및 하부 측면을 통해 오버몰드와 접촉한다. 지금까지 종래 기술에 의해, 가장자리부가 몰드의 수직벽의 상부 표면상에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지 않으면, "커다란" 천공부가 또한 제공되지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 섹션의 횡방향 단부 경계부는 직선이거나 미소한 만곡부를 갖는다.
따라서 천공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오버몰드는 발포체의 효과를 통해 비틀림 변형을 겪지 않으면서 매우 간결한 방식으로 벽에 잘 지지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빈 섹션은 단부 섹션의 전체 섹션에 의해 둘러싸인다.
천공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오버몰드는 발포체의 효과를 통해 비틀림 변형을 겪지 않으면서 벽에 훨씬 더 양호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오버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명을 따르는 오버몰드가 고정되는 몰딩된 발포체 물체에 관한 것이며, 발포체가 하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 섹션과 상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 섹션에 의하여 오버몰드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단순히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다.
도면은 특히 가장자리부 및 중앙 섹션의 다른 섹션에 대한 치수에 관하여는 일정한 배율이 아니다.
도면에서 오버몰드는 대체로 평면인 기부(2)를 포함한다. 후크(3)는 기부의 하부 측면(4)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스트립 내에 배열되어, 기부의 중앙 섹션(5)을 형성한다. 후크가 없는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영역(6, 7)은 중앙 섹션(5)의 각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들 두 가장자리부(6, 7)는 발포체가 주형으로 주입될 때 후크를 보호하기 위한 공동(9)을 경계를 정하고 수직벽(10, 11)의 상부 표면(12, 13)에 놓여지고, 수직벽의 바닥부는 도면부호 14로 지시된다. 상부 표면(12, 13)은 몰드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거리, 특히 보다 높은 높이에 있다. 리브 형태의 금속 함유 수지(15)는 기부의 하부 측면(4)에 대향된 상부 측면(8)에 특히 수지의 접착 또는 단순한 응고에 의해 고착된다. 후크는 도면에 도시된 3개의 열로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기부(2)는 그 폭보다 훨씬 긴 길이(도면에서의 수직 방향으로)를 갖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후크의 열들은 길이가 폭보다 긴 스트립에 배열된다.
각 가장자리부(6, 7)는 각 표면(12, 13)과 접촉하는 섹션(26, 27)을 포함하는데, 즉 표면(12, 13) 상에 위치되기 위한 가장자리부의 두 섹션은 공동(9)의 바닥부에 배열된 자석(30)에 의해 금속성 수지의 자기적 인력의 영향으로 상기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가장자리부(6, 7)는 또한 공동(9)의 외측에서 공동(9)의 벽(10, 11)을 넘어서 돌출하는 단부 섹션(36, 37)을 포함한다. 원형 천공부(그러나 예컨대 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 될 수 있음)가 단부 섹션(36, 37)에 형성된다. 이들 천공부(40)는 가장자리부의 단부 섹션(36, 37)의 전체 면적 중 절반보다 더 큰 부분에 상응하는 전체 면적을 갖는다. 모든 이들 개구 천공부(40)들은 기부(2)의 재료에 의해 완전하게 둘러싸인다. 가장자리부의 단부 섹션(36, 37)의 횡방향 단부 에지(50, 51)는 직선 또는 만입부가 없는 미소한 원호이다.
발포체가 몰드 내로 주입될 때, 이것은 몰드의 바닥부를 충진함으로써 시작되고, 그 후 몰드의 상부로 상승한다. 발포체가 오버몰드의 수위에 도달할 때, 발포체가 가장자리부의 단부 섹션의 하부 측면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이 오버몰드를 상향으로 압박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는 발포체가 천공부(40)를 가로질러 통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버몰드는 공동(9)의 벽(10, 11)의 상부 표면(12, 13)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가장자리부 및 벽의 상부 표면들 사이의 경계면의 밀착성이 저해되지 않고 적절하게 유지되며, 발포체는 공동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후크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일단 몰드가 완전히 채워지고 발포체가 응고된 발포체에 의해 형성된 유닛을 응고시키면, 오버몰드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가 예컨대 루프에 의한 천을 부착하기 위하여 예컨대 자동차 쿠션의 경우의 셀프 파지 부재의 수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루프를 체결하는 완전한 능력을 보유한 오버몰드를 포함하는 몰딩된 발포체 물체가 얻어진다. 동시에, 오버몰드는 발포체 또는 쿠션에 절절하게 부착되는데, 그 이유는 쿠션의 발포체가 두 개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을 덮는다.
기부(2)를 위해 사용된 재료는 폴리아미드 6, 11 또는 12(12가 양호함) 또는 폴리아미드 6-6이 양호하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폴리에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발포체 주조물은 오버몰드의 재료와 호환성이 있는 재료인데, 즉 발포체 주조물은 오버몰드와 접촉한 상태로 응고될 때 잘 고정된다. 특히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재료들도 물론 가능하다. 몰드의 두 개의 횡방향 벽은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고, 상기 거리는 12mm 이하, 양호하게는 10mm 이하가 될 수 있고, 예컨대 6mm가 될 수 있다. 후크의 스트립의 전체 폭은 약 3 내지 10mm 사이, 또는 그 보다 클 수 있다. 각 가장자리부의 폭은 2 내지 30mm 사이이다. 특히 각 가장자리부의 단부 섹션의 폭은 1 내지 15mm 사이이다. 단부 섹션의 횡방향 연장부(단부 섹션의 폭)와 접촉 섹션의 횡방향 연장부(접촉 섹션의 폭)와의 비율은 0.1 내지 15 사이, 양호하게는 2 내지 8 사이가 될 수 있다.
후크는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단면인 줄기를 포함하는 전나무 형상이고, 두 개의 보강부를 줄기의 양측에 형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줄기의 단면보다 큰 기부로부터 돌출하여 결합하는 지점에서 두 개의 경사진 표면을 갖는 정상부에 의해 형성된 헤드부 상태로 단부를 이룬다. 대략 중간 높이에서, 아래로 만곡된 형태로 줄기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날개가 있다. 이들 후크는 압출을 통해 실현된다. 후크의 다른 형태도 또한 가능하다.
금속 함유 수지는 선형 미터 당 적어도 10g의 금속 함유 수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선형 미터 당 적어도 4g의 종래의 수지가 혼합된 금속 함유 분말 6g, 예컨대 선형 미터 당 8.4g을 포함한다.
단부 섹션에 대하여, 전체 면적은 라인(60, 도3의 점선) 또는 가장자리부의 도면에서 한계 곡선으로부터 가장자리부의 면적으로서 형성되고, 후크의 외측인 상기 라인의 일측에서 가장자리부의 라인 또는 단부 한계 곡선[횡방향 경계부(50, 51)]인 한 가장자리부의 간극 또는 천공부가 있고, 한계 곡선 또는 라인의 다른 측에서 가장자리부는 가득 차고, 천공부의 면적은 전체 면적 내에서 빈 섹션 또는 천공부의 면적이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자리부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양호하게는 적어도 세 개 또는 네 개의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후크와 같이 동일한 기부측에서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한다.
오버몰드가 고정되는 몰딩된 물체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의 바닥부에서 오버몰드가 후크 보호 공동의 경계 벽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때, 감압 챔버는 가장자리부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리브와 공동의 경계 벽의 상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감압 챔버는 가장자리부 및 상부 에지 사이의 경계면의 밀착성이 증가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는 동일한 자력으로 된다. 사실상 한편으로는, 포인트 효과에 의해 자력은 현재 표면 위 대신에 (리브의 정상부를 따라서) 포인트들이나 라인으로 분배되고, 따라서 이들 포인트들이나 라인들은 동일한 자력에 의해 표면 위로의 압력보다 큰 인가력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발포체가 주조될 때, 저압 공기 주머니는 보다 양호한 방식으로 벽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오버몰드를 유지시키는 일종의 흡인기 효과를 갖는 감압 챔버로 형성된다. 게다가 리브 중 하나가 발포체의 압력의 효과를 통해 접촉을 잃어버리고 후크에 대한 최외측 리브가 제1 챔버로 침투할 때, 일종의 감압 또는 발포체의 팽창이 생성되어 후속하는 챔버를 향한 진행을 막으려고 한다.
서로 평행한 종방향 리브(40, 41, 42)(즉 도1에 수직으로 연장됨)는 기부(2)의 동일 측상에서 후크로서 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이들 3개의 리브(40, 41, 42) 사이에서, 2개의 홈부(50, 51)가 형성된다. 리브는 가장자리부(6, 7)에 대해 수직하게 계산된 0.2mm 내지 4mm 사이의 높이를 갖는다. 특히 이들 리브는 후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 특히 후크의 절반보다 낮은 높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후크의 높이의 4분의 1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리브(40, 41, 42)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지점은 하방으로 향한다. 가장자리부는 후크로부터 1 내지 15mm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떨어진 리브의 측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이 거리는 후크와 리브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리브는 가장자리부의 평면 섹션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이 평면 섹션은 예컨대 0.3mm 내지 2mm 사이가 될 수 있는 거리 이상으로 연장된다.
천공된 단부 섹션[라인(60) 및 라인(50 또는 51) 사이]의 폭 측정치는 1 내지 20mm 사이, 특히 6 내지 8mm 사이이다.
접촉 섹션[라인(60) 및 후크를 갖는 중앙 영역의 에지 사이]의 폭 측정치는 1 내지 20mm 사이, 특히 2 내지 6mm 사이이다. 특히, 벽의 상부 표면은 양호한 밀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2mm 보다 큰, 양호하게는 3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천공된 단부 섹션은 양호하게 접촉 섹션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가장자리부(6, 7)는 각각 적어도 2개의 리브, 양호하게는 적어도 3개 또는 4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이들 리브는 기부의 동일 측상에서 후크로서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하고, 가장자리부는 이들 리브에 의해 벽의 상부 에지와 접촉한다.
가장자리부와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에지 사이의 경계면에서 밀착성이 열화되지 않으면서, 결론적으로 발포체가 공동 내부로 침투할 수 없고 후크를 오염시키지 않고, 오버몰드가 몰딩된 물체에 보다 양호하게 고정되는 제품을 얻는 것이며, 상기 후크는 종래 기술의 오버몰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셀프 파지 부재의 루프와 관련하여 동일한 체결 품질을 보유한다.

Claims (8)

  1. 한편에, 발포체 내에 몰딩된 물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고, 셀프 파지 부재의 수형 부분을 형성하는 후크가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앙 섹션과 상기 중앙 섹션의 횡방향으로 양 측면에서 가장자리부(6, 7)를 형성하는 2개의 섹션을 갖는 기부(2)를 포함하는 오버몰드(1)와, 다른 한편에 상기 오버몰드가 고정되게 하기 위한 몰딩되는 물체를 몰딩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고, 벽(10, 1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9)을 바닥부(14)에 포함하는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드는 공동 상에 배치되고, 공동의 벽 상부 표면 및 공동 내부의 후크와 접촉하는 가장자리부(6, 7)의 적어도 일부의 섹션을 갖고, 자석(30)이 오버몰드를 끌어당기기 위해 공동의 바닥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버몰드에는 자석(30)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재료(15)가 상기 재료(15)의 접착 또는 응고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장자리부(6, 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몰드의 후크 보호 공동의 벽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는 제1 접촉 섹션(26, 27)을 각각 포함하는 조립체이며,
    각각의 가장자리부는 공동의 외측 횡방향 측면 상에 벽을 넘어서 돌출하는 제2 단부 섹션(36, 37)을 더 포함하고, 이들 단부 섹션은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은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33%보다 크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은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50%보다 크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부 표면은 2mm보다 넓은 폭 측정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공된 섹션(40)의 면적과 단부 섹션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 6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섹션의 횡방향 단부 경계부(50, 51)는 직선이거나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천공된 섹션(40)은 전부 상기 단부 섹션의 비천공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은 상기 접촉 섹션보다 큰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060044583A 2005-05-27 2006-05-18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KR101331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5373A FR2886200B1 (fr) 2005-05-27 2005-05-27 Assemblage moule-surmoule a action anti remontee
FR0505373 200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07A KR20060122707A (ko) 2006-11-30
KR101331379B1 true KR101331379B1 (ko) 2013-11-20

Family

ID=3553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583A KR101331379B1 (ko) 2005-05-27 2006-05-18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269634A1 (ko)
EP (1) EP1726230B1 (ko)
JP (1) JP5008895B2 (ko)
KR (1) KR101331379B1 (ko)
CN (1) CN1868360A (ko)
AT (1) ATE547022T1 (ko)
CA (1) CA2546255C (ko)
ES (1) ES2383287T3 (ko)
FR (1) FR2886200B1 (ko)
PL (1) PL172623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00B1 (ko) * 2007-08-30 2007-10-29 유영현 인조 보석 몰드 제조 공구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제조 방법
US20110027417A1 (en) 2009-07-31 2011-02-03 Patrick Joseph Corrigan Process for Dusting Animal Food
US8691303B2 (en) 2009-07-31 2014-04-08 The Iams Company Dusted animal food
FR2955234B1 (fr) * 2010-01-20 2012-04-27 Aplix Sa Assemblage d'un surmoule a crochets et d'un moule comportant un piedestal
US20130295227A1 (en) 2012-05-01 2013-11-07 Robbert H. ter Haar Composition Comprising a Sensitive Ingredient
TWI548360B (zh) * 2012-10-15 2016-09-11 台灣百和工業股份有限公司 用於與發泡材料嵌合之黏扣組件及具有黏扣組件之座墊
JP6404010B2 (ja) * 2014-06-24 2018-10-1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8347B2 (ja) * 2015-05-12 2018-12-1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10694821B2 (en) 2016-12-21 2020-06-30 Ykk Corporation Fastening ta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006A (ja) 2001-07-09 2003-01-21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6720059B2 (en) * 2001-05-04 2004-04-13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US20040137192A1 (en) * 2002-12-23 2004-07-15 Mcvicker Henry J. Injection molded fastening article for use as a mold inser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916A (en) * 1987-01-19 1989-06-27 Kuraray Company Ltd. Separable fastener component & moldings attached with such fastener component
US5061540A (en) * 1990-01-25 1991-10-29 Velcro Industries B.V. Separable fasteners for attachment to other objects
JP4368473B2 (ja) * 1999-11-17 2009-11-18 株式会社クラレ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JP2001190311A (ja) * 2000-01-11 2001-07-17 Bridgestone Corp ファスニング部材及びその一体発泡成形品への取付方法
JP3699896B2 (ja) * 2000-06-30 2005-09-28 Ykk株式会社 シート用面ファスナー
JP3886965B2 (ja) * 2001-10-05 2007-02-28 Ykk株式会社 磁性体を有するファスナーストリップ
JP4108319B2 (ja) * 2001-11-16 2008-06-25 株式会社クラレ モールドイン用の係止部材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FR2846274B1 (fr) * 2002-10-23 2004-12-17 Aplix Sa Surmoule a petite bande a croche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0059B2 (en) * 2001-05-04 2004-04-13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JP2003019006A (ja) 2001-07-09 2003-01-21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40137192A1 (en) * 2002-12-23 2004-07-15 Mcvicker Henry J. Injection molded fastening article for use as a mold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46255C (fr) 2013-09-10
EP1726230A1 (fr) 2006-11-29
JP2006327192A (ja) 2006-12-07
FR2886200B1 (fr) 2009-10-16
US20060269634A1 (en) 2006-11-30
ES2383287T3 (es) 2012-06-20
CA2546255A1 (fr) 2006-11-27
ATE547022T1 (de) 2012-03-15
EP1726230B1 (fr) 2012-02-29
CN1868360A (zh) 2006-11-29
KR20060122707A (ko) 2006-11-30
PL1726230T3 (pl) 2012-08-31
FR2886200A1 (fr) 2006-12-01
JP5008895B2 (ja)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379B1 (ko) 안티 리프트 작용을 하는 몰드 및 오버몰드 조립체
KR100685334B1 (ko) 성형물을 위한 오버캐스팅용 구성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US5900303A (en) Fastener assembly with mechanical end seals
US5795640A (en) Method of fabricating a fastener assembly for being molded into a foamed cushion
KR101345515B1 (ko) 반침투 리브를 구비한 오버몰드
US5606781A (en) Separable fastener having a bald perimeter rib bounded by fastening elements
WO1996025063A9 (en) Separable fastener having a bald perimeter rib bounded by fastening elements
JP4751015B2 (ja) 成型品をオーバー成型する台となる被オーバー成型基材、発泡材の成形品、型及び成型品を製造する方法
JP4117763B2 (ja) 発泡成形品に対する面ファスナの取付け方法
MXPA06005998A (en) Mould and overmould assembly with anti-lift action
MX2012008493A (es) Montaje de un objeto moldeado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elementos de gancho sobremoldeados y que comprende adicionalmente una cubierta.
WO2007046211A1 (en) Fastener strip for a moulded foam seat bun
JP2007098776A (ja) シート用パッド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
JP3975291B2 (ja) 発泡成形品への係合部材の取付け成形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型部材並びに発泡成形品
JP4569974B2 (ja) 発泡成形品に対する面ファスナの取付け方法、及びこの方法で成形した面ファスナ付き発泡成形品
WO2003086132A1 (en) Strip member supporting guide
JP2008296438A (ja) 係止部材を配置するための配置具および該配置具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NL1022503C2 (nl) Versterkt element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 element.
JPH11350581A (ja) グレーチング用メインバーとその製造方法
JP2006192740A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
JP2006069158A (ja) 成形用の金型及び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