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80B1 -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80B1
KR101330680B1 KR1020120049075A KR20120049075A KR101330680B1 KR 101330680 B1 KR101330680 B1 KR 101330680B1 KR 1020120049075 A KR1020120049075 A KR 1020120049075A KR 20120049075 A KR20120049075 A KR 20120049075A KR 101330680 B1 KR101330680 B1 KR 10133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ook management
trauma
depos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복
고대식
Original Assignee
고대식
이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식, 이명복 filed Critical 고대식
Priority to KR102012004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외상장부를 기록/조회/정산/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상 관련 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외상 관련 정보를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외상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기업체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상 관련 정보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a)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b)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c)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관련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d) 마감시간까지, 상기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일일 외상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e) 상기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된 일일 총거래액에서 소정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f) 상기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 및 (g)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한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 FOR MANAGING CHARGE ACCOUNT}
본 발명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상에서 외상장부를 기록/조회/정산/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외상장부 기록의 전산화를 통해 외상 결제 대금을 당일 또는 익일에 즉시 결제 처리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체와 거래처(예를 들면, 식당) 간의 외상 거래는 수기(手記) 외상장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현재의 이러한 수기 외상장부를 통한 외상 거래는 기업체의 입장과 거래처의 입장 모두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예컨대, 거래처의 입장에서는 첫째, 수기 외상장부 다량 보유로 인해 관리/분실의 위험이 커지게 되고, 둘째, 외상 내역 수기 정산 및 집계에 따른 누락 가능성이 크며, 셋째, 판매 내역을 조회하기가 곤란하고, 넷째, 외상장부 분실시에는 증빙자료 청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컨대, 기업체의 입장에서는 첫째, 거래처의 외상장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고, 둘째, 신뢰성 문제로 인해 거래처를 옮기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도 국세청에서는 거래처의 세금 신고 누락을 포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고, 신뢰성 문제로 인해 외상 대금 청구소송 등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상거래를 행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외상거래방법은 VAN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는 VAN사가 각 카드사와 신용카드 거래승인 정보 중계처리 및 자동이체 서비스 계약(DDC 계약)을 체결하고, 매일 외상 거래 정보를 VAN사 서버 컴퓨터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 컴퓨터(31,32,33)로 전송하여 카드사가 가맹점(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입금하고 구매자에게 신용카드 사용 대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외상거래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고율의 카드수수료 발생으로 인해 거래처의 수익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만큼 거래처의 서비스 품질(예를 들면, 식당의 음식 품질)도 떨어지게 되므로 기업체와 거래처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외상 거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상에서 외상장부를 기록/조회/정산/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상 관련 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예를 들면, VAN 서버 등)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외상 관련 정보를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외상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기업체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상 관련 정보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a)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b)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c)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관련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d) 마감시간까지, 상기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일일 외상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e) 상기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된 일일 총거래액에서 소정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f) 상기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 및 (g)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한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f) 동작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가 아닌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g) 동작은, (g1) 상기 자동 이체용 서버로부터 입금 처리 결과를 통지받는 동작; 및 (g2) 상기 자동 이체용 서버로부터 통지받은 처리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업데이트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h) 상기 기업체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i) 상기 기업체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의 검색을 위한 각종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동작; (j) 상기 기업체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조회 조건에 따른 외상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서는, 신용카드단말기, 노트북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 POS(Point Of Sales) 단말기,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의 상기 (b) 동작은, 인증 수단을 통해 입력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 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사원증 RF 기능, 사원 번호, 바코드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전자 태그 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식별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식별카드는 개인별 카드이거나 단체 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는,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체의 명칭, 아이디, 주소지,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체 식별 정보와, 해당 기업체 소속 구성원의 성명, 근무 부서, 사원번호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원 식별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고객정보 DB;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체 및/또는 해당 기업체 소속 구성원의 포인트 적립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포인트 적립 DB; 및 일일 외상 정보와, 소정 기간동안의 외상 이력 정보와, 소정 기간동안의 결제 이력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웹북 D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외상장부 관리 수수료율과 입금 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외상거래에 관한 입금 예정액과 입금 완료 금액을 나타내는 정보를 캘린더 형상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캘린더 형상 중의 특정 날짜에 표시된 상기 입금 예정액 또는 상기 입금 완료 금액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이루어진 외상 거래에 관한 전체 정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상 거래에 관한 전체 정보는 상기 특정 날짜에 외상 거래를 한 전체 기업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체 기업체의 각각에 대한 입금 예정액과 입금 완료 금액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외상 거래에 관한 일자별, 기업체별, 사원별 입금 예정액 및 입금 완료 금액을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금 완료 금액은 실통장 입금액이며, 상기 실통장 입금액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등록한 입금 계좌에서 해당 정보를 스크래핑하여 가져오는 것을 통해 상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기업체의 상대방인 거래처의 입장에서 볼 때, ⅰ) 외상 고객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고, ⅱ) 예상 매출 수익 확인이 용이하고, ⅲ) 잠재 고객 확보가 용이하고, ⅳ) 카드 수수료 발생 방지로 인한 수익성이 증가하며, ⅴ) 별도의 수기 장부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기업체의 입장에서 볼 때, ⅰ) 신뢰성있는 외상 정보를 획득 가능하고, ⅱ) 경리 및 정산 업무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고, ⅲ) 무분별한 식대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ⅳ) 직원들의 애사심을 고취시킬 수 있고, ⅴ) 거래처의 선택폭을 확대할 수 있는(즉, 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모든 거래처로 선택폭을 확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외상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적용되는 가맹점 단말기(10), 서비스사업자 서버(20), 및 기업체 단말기(3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적용되는 외상장부 관리 DB(21)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가맹점 단말기(10)를 통해 제공하는 구체적인 메뉴 화면들을 나타낸 각각의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그 작용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복합상가 아파트 단지 내, 회사 밀집지역 음식점, 공단지역 가맹점, 사내 식당, 사내 복지 시설, 예비군 훈련장 식당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맹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상술한 업체들(복합상가 아파트 단지 내의 상가, 회사 밀집지역 음식점, 공단지역 가맹점, 사내 식당, 사내 복지 시설, 예비군 훈련장 식당 등)에서 이용하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업체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기업체 또는 그에 준하는 단체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가맹점 단말기(10), 서비스사업자 서버(20), 및 기업체 단말기(3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가맹점 단말기(10), 서비스사업자 서버(20), 기업체 단말기(30), 및 상기 장치들(10, 20, 30) 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서비스사업자 서버(20)와 물리적으로 직접 접속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20)와 연동되는 외상장부 관리 DB(21)를 더 포함한다.
도 3a를 함께 참조하면, 가맹점 단말기(10)는 고객 인증 수단을 통해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S201).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기(10)는 인증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21)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적용되는 인증 수단으로서는 사원증 RF 기능, 사원 번호, 바코드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맹점 단말기(10)는 사원증의 RF 기능을 통해 전달되는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그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21)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맹점 단말기(10)는 회사 코드와 사원 번호의 키인(KEY-IN)을 통해 전달되는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그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21)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가맹점 단말기(10)는 직원 고유 바코드 또는 QR 코드(즉, 휴대가 용이한 카드/스티커 형태)를 통해 전달되는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그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21)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 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타 가능한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에 구비된 전자 태그 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0)는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외상 관련 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20)로 전송하는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S20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외상 관련 정보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그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기(10)는 인증 수단을 통해 대상 고객의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 및 그 고객이 이용한 외상 금액에 관한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0)는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20)로부터 외상 관련 정보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S203). 상술한 바와 같이, 외상 관련 정보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그 대상 고객이 이용한 외상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이러한 외상 관련 정보의 처리 결과를 전표 형태로 가맹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서비스사업자 서버(20; 예컨대 VAN 서버 등)는 가맹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그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a)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301)과, (b)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S302)과, (c)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그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하는 동작(S303)과, (d) 마감시간(예컨대, 24시)까지, 상기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의 상기 일일 외상 정보를 누적하여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하는 동작(S304)과, (e) 상기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점(예컨대, 익일 01시)에,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된 일일 총거래액에서 소정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S305)과, (f) 상기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S306)과, (g)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한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업데이트하는 동작(S307)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f) 단계의 상기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S306)이 서비스사업자 서버(20)와 연결된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외상장부 관리 DB(21)는 전용 케이블 등을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20) 자체에 직접 물리적으로 연결된 DB 이거나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원격으로 연결된 별도의 DB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상장부 관리 DB(21)가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2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외상장부 관리 DB(21)가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서비스사업자 서버(20)의 제어를 받는 것을 전제로 본 시스템(1)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외상장부 관리 DB(21)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의 관련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301)은, 가맹점 단말기(10)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등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10)가 서비스사업자 서버(20)로의 접속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S302)은, 인증 수단을 통해 입력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원증 RF 기능, 사원 번호, 바코드 중의 어느 하나의 인증 수단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10) 또는 이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서 확인된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21)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 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고객임을 나타내는 취지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상기 S302의 동작을 통해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고객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한다(S303).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마감시간까지, 상기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일일 외상 정보를 누적하여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하는 동작(S304)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감시간은 서비스사업자 서버(20)의 관리자가 선택한 일정한 시간(예컨대, 24시)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된 일일 총거래액에서 소정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S305)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정한 시점은 서비스사업자 서버(20)의 관리자가 선택한 상기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간(예컨대, 익일 01시)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상기 S305 동작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S306)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S306 동작은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직접 수행하거나 서비스사업자 서버(20)와 연결된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306 동작이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경우에는,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상기 S305 동작을 통해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로 전송하고, 자동 이체용 서버는 상기 입금 예정액에 관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에 그 처리 결과를 서비스사업자 서버(20)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상기 S306 동작을 통해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한 결과를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업데이트하는 동작(S307)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S306 동작이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는,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상기 자동 이체용 서버로부터 입금 처리 결과를 통지받은 후에 그 처리 결과를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기업체 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외상장부 관리 DB(21)에 저장되어 있는 외상 정보를 예를 들어, 일별, 주별, 월별 단위의 조회 항목에 따라, 또는 직원별 거래처별 조회 항목에 따라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기업체 단말기(30)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결제 예정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a) 기업체 단말기(30)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401)과, (b) 접속이 허용된 기업체 단말기(30)의 요청에 따라, 외상장부 관리 DB(21)의 검색을 위한 각종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동작(S402)과, (c) 상기 접속이 허용된 기업체 단말기(30)에 의해 선택된 조회 조건에 따른 외상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S403)의 처리들을 수행한다.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기업체 단말기(30)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S401)은, 기업체 단말기(30)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등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기업체 단말기(30)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기업체 단말기(30)가 서비스사업자 서버(20)로의 접속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접속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외상장부 관리 DB(21)의 검색을 위한 각종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동작(S402)은, 예를 들어, 서비스사업자 서버(20)가 기업체별 외상 정보, 부서별 외상 정보, 개인 별 외상 정보, 일일 외상 정보, 주간 외상 정보, 월간 외상 정보, 연간 외상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그들의 조합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기업체 단말기(30)가 선택한 조회 조건에 따른 외상 정보를 기업체 단말기(30)에게 제공하는 동작(S403)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업체 단말기(30)를 통해 자신의 외상 정보를 확인한 기업체는 월별, 분기별, 반기별, 또는 연별에 따라 서비스사업자 서버(20)의 관리자가 지정한 계좌로 외상 대금을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적용되는 외상장부 관리 DB(21)는 세부 구성요소로서 고객정보 DB(211), 포인트 적립 DB(212), 및 웹북(web book) DB(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북 DB(213)는 일일 외상 정보 DB(213a), 외상 이력 DB(213b), 결제 이력 DB(213c)를 세부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 DB(211)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된 기업체(거래처)와 관련한 고객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고객정보는 기업체의 명칭(기업체 코드 포함), 아이디, 주소지,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등의 기업체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체 소속 구성원의 성명(구성원 코드 포함), 근무 부서, 사원번호 등의 구성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사업자 서버(20)는 고객정보 DB(211)에 포함된 기업체 정보 및 구성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체에게 근무 부서별 또는 구성원별 외상 거래 내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고객정보 DB(211)는 서비스사업자 서버(20)에 접속한 고객(예컨대, 가맹점 또는 기업체(거래처))이 신규 고객인 경우 새로운 고객 정보를 생성하며, 고객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고객 정보를 갱신하여 가장 최근의 고객 정보를 유지한다.
포인트 적립 DB(212)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된 기업체 및/또는 회원의 포인트 적립 정보를 저장하고, 그 포인트 적립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정보를 갱신하여 가장 최근의 포인트 적립 정보를 유지한다.
웹북 DB(213)는 유/무선 네트워크(40)를 통해 각각의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일일 외상 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기준에 따라 상기 일일 외상 정보를 분류 및 갱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웹북 DB(213)는 각각의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일일 외상 정보를 각 기업체별 외상 정보, 각 부서별 외상 정보, 각 개인별 외상 정보, 소정 기간별 외상 정보, 및 각각의 외상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처리 여부 정보로 분류한 후 가장 최근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갱신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웹북 DB(213)는 각각의 가맹점 단말기(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일일 외상 정보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저장 또는 갱신하는 일일 외상 정보 DB(213a)와, 과거 외상 이력 및/또는 현재까지의 외상 이력을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저장 또는 갱신하는 외상 이력 DB(213b)와, 각각의 외상 항목에 대한 결제 처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저장 또는 갱신하는 결제 이력 DB(213c)를 포함할 수 있다.
웹북 DB(213)에 저장된 일일 외상 정보, 외상 이력 정보, 결제 이력 정보는 기업체 단말기(30)를 통해, 신뢰성 있는 외상 정보로서 기업체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체는 무분별한 식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경리 및 정산 업무의 간편화를 달성하기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외상장부 관리 데이터베이스(21)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사업자 서버(20)의 설치 환경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메뉴 화면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가맹점 단말기(10) 및/또는 기업체 단말기(30)를 통해 제공하는 구체적인 메뉴 화면들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상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제공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는, 가맹점 단말기(10) 및/또는 기업체 단말기(30)의 사용자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홈페이지(410)를 통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상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이 제공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는 익일부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를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가맹점 등록 화면(420)으로서, 예를 들어, 가맹점인 사업자의 타입(예를 들면, 단독사업자 또는 관리사업자)을 등록할 수 있는 화면과,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 가입한 가맹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독사업자란 가맹점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단일사업자인 경우에 선택하는 항목이고, 복수사업자란 가맹점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복수사업자인 경우에 선택하는 항목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가맹점 등록 화면(420)으로서, 예를 들어, 외상장부 관리 수수료율과 입금 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상장부 관리 수수료율이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가 기업체(거래처)를 대신하여 외상 대금을 납부해주는 대신에 원금인 외상 대금 금액으로부터 차감되는 금액을 의미하며 이 수수료율은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와 가맹점(10) 간의 내부 계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입금 주기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가 기업체(거래처)를 대신하여 외상 대금을 납부해주는 주기(예컨대, 외상 거래가 이루어진 날로부터 1일 이내)를 의미한다. 즉,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는 기업체(거래처)를 대신하여 외상 대금을 납부해 주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을 통해 자신의 외상 정보를 확인한 기업체는 월별, 분기별, 반기별, 또는 연별에 따라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에게 그 납부된 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사업자가 지정한 계좌로 송금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가맹점 메뉴 화면(430)으로서, 예를 들어, 조회 메뉴 항목(431), 부가 서비스 메뉴 항목(432), 고객 지원 메뉴 항목(433) 및 정보 변경 메뉴 항목(434)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조회 메뉴 항목(431)은 예를 들어, 입금 캘린더(431a), 승인 캘린더(431b), 입금 내역 조회(431c), 승인 내역 조회(431d), 승인 캘린더 상세(미도시), 입금 캘린더 상세(미도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서비스 메뉴 항목(432)은 매출 통계(432a), 세무서 신고서식(432b), 실통장 입금 내역(432c)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지원 메뉴 항목(433)은 공지 사항(433a), 질문과 답변(433b), FAQ(433c), 자료실(433d)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변경 메뉴 항목(434)은 가맹점 정보 변경(434a), 서비스 형태 변경(434b), 수신 정보 변경(434c), 관리 사업자 정보 변경(434d), 단독사업자 단말기 관리(434e)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입금 캘린더 화면(431a)으로서, 예를 들어, 입금 예정 금액(4311)과 입금 처리된 금액(4312)을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금 캘린더 화면(431a)은, 사용자가 입금 캘린더 내의 소정 날짜에 표시된 입금 예정 금액(4311) 또는 입금 처리된 금액(4312)을 클릭하는 경우 입금 내역 조회(431c; 도 5e 참조)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금 캘린더 화면(431a)은, 사용자가 입금 캘린더 내의 소정 날짜에 표시된 입금 예정 금액(4311) 또는 입금 처리된 금액(4312)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경우, 그 날짜에 해당하는 외상거래 세부 내역(4313), 즉 입금 예정 금액의 세부 내용 또는 입금 처리된 금액의 세부 내용이 별도의 창을 통하여 입금 캘린더 위의 소정 부분에 보여지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금 캘린더 화면(431a)은, 전체 단말기/각 단말기별, 해당 기업체 별(기업체A, 기업체B, 기업체C 등...) 및 월별로 각각의 날짜에 대한 외상장부 검색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금 캘린더 화면(431a)은 입금 예정 금액(4311)과 입금 처리된 금액(4312)이 서로 구별되도록 각각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입금 내역 조회 화면(431c)으로서, 예를 들어, 전체 단말기/각 단말기별, 해당 기업체 별(기업체A, 기업체B, 기업체C 등...) 및 소정 기간에 대한 외상장부의 상세 검색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금 내역 조회 화면(431c)은, 전체 단말기/각 단말기별, 해당 기업체 별(기업체A, 기업체B, 기업체C 등...) 및 소정 기간에 대한 총합계 금액(건수), 정상 합계 금액(건수), 취소 합계 금액(건수), 비정상 합계 금액(건수), 수수료, 입금 예정액, 합계, 및 실통장 입금액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총합계 금액(건수)은 정상 합계 금액(건수)에서 취소 합계 금액(건수)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입금 예정액은 총합계 금액과 비정상 합계 금액을 더한 후에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합계는 입금 예정액과 수수료를 더한 금액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비정상 합계 금액(건수)은 반송, 보류, 취소 반송, 취소 보류, 음수, 초과에 대한 금액(건수)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수수료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의 제공 업체와 가맹점 간에 맺어진 수수료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실통장 입금액 정보는 입금 계좌 조회 서비스를 이용한 실통장 입금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통장 입금액은 가맹점(10)이 등록한 입금 계좌에서 해당 정보를 스크래핑하여 가져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래핑이란 화면에 출력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는 기술로서, 예컨대 계좌 번호와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해당 은행의 간편 조회 페이지에 접속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가 입금 내역 조회 화면(431c) 내의 입금 예정 일자에 표시된 일자들 중의 어느 하나의 일자를 클릭(C)하는 경우, 그 일자에 이루어진 외상 거래 내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입금내역 세부 조회 화면(440; 도 5f 참조)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입금 내역 세부 조회 화면(440)으로서, 예를 들어, 거래 일자 정보, 승인번호 정보, 해당 기업체 정보, 사원 번호 정보, 승인 금액 정보, 청구 일자 정보, 입금 예정일 정보, 실통장 입금일 정보, 처리 상태 정보, 단말기 번호 정보, 가맹점 번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상태 정보는 처리중/완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f의 입금 내역 세부 조회 화면(440)은 2012년 3월 8일 12시 20분 29초에 기업체A 소속의 사원번호 4553-1241-****-7091을 사용하는 사원이 10,000원의 외상 거래를 하였으며, 2012년 3월 9일에 서비스사업자 서버(20) 또는 서비스사업자 서버(20) 관리자가 사용하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외상 거래에 관한 금액(예를 들어, 10,000원에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이 가맹점(10)의 계좌로 입금 처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5g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외상 거래 통계 조회 화면(450)으로서, 예를 들어, 해당 기업체 별(기업체 전체 또는, 기업체A, 기업체B, 기업체C 등...) 및 소정 기간에 대한 외상 거래 통계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상 거래 통계 조회 화면(450)은, 외상 거래 기업체별 전체 승인, 취소 금액을 집계해서 보여주는 외상 거래 기업체 전체 통계 화면(450a)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소정 기간(예컨대, 월별 또는 분기별) 동안의 외상 거래 기업체별 승인, 취소 금액을 집계해서 보여주는 외상 거래 기업체별 년월 통계 화면(450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상 거래 통계 조회 화면(450)을 통하여 가맹점(10) 측에서는 외상 거래 내역 조회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기업체(30)의 입장에서는 신뢰성있는 외상 정보를 획득 가능하며 또한 경리 및 정산 업무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기업체 단말기(3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업체 또는 이에 준하는 단체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심지어, 기업체 단말기(30)는 어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개인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상정될 수도 있다.
1: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 가맹점 단말기
20: 서비스사업자 서버 21: 외상장부 관리 DB
30: 기업체 단말기 40: 유/무선 네트워크

Claims (16)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상 관련 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외상 관련 정보를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외상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기업체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외상 관련 정보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와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금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a)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b)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이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c)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 고객에 대한 외상 관련 정보를 일일 외상 정보로서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d) 마감시간까지, 상기 접속이 허용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일일 외상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하는 동작;
    (e) 상기 마감시간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저장된 일일 총거래액에서 소정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f) 상기 입금 예정액으로 확정하는 동작 이후의 일정한 시점에, 확정된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하는 동작; 및
    (g) 상기 입금 예정액을 자동으로 입금 처리한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동작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가 아닌 별도의 자동 이체용 서버를 통해 수행되며,
    상기 (g) 동작은,
    (g1) 상기 자동 이체용 서버로부터 입금 처리 결과를 통지받는 동작; 및
    (g2) 상기 자동 이체용 서버로부터 통지받은 처리 결과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에 업데이트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h) 상기 기업체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i) 상기 기업체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의 검색을 위한 각종 조회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동작; 및
    (j) 상기 기업체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조회 조건에 따른 외상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서는, 신용카드단말기, 노트북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 POS(Point Of Sales) 단말기,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의 상기 (b) 동작은,
    인증 수단을 통해 입력된 대상 고객의 식별 정보가, 외상장부 관리 DB에 등록된 서비스 이용 가능한 고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사원증 RF 기능, 사원 번호, 바코드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전자 태그 칩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단으로서는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식별카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식별카드는 개인별 카드이거나 단체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장부 관리 DB는,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체의 명칭, 아이디, 주소지,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체 식별 정보와, 해당 기업체 소속 구성원의 성명, 근무 부서, 사원번호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원 식별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고객정보 DB;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체에 관한 정보 및 해당 기업체 소속 구성원의 포인트 적립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포인트 적립 DB; 및
    일일 외상 정보와, 소정 기간동안의 외상 이력 정보와, 소정 기간동안의 결제 이력 정보를 저장, 갱신 및 삭제하는 웹북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상기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외상장부 관리 수수료율과 입금 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외상거래에 관한 입금 예정액과 입금 완료 금액을 나타내는 정보를 캘린더 형상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캘린더 형상 중의 특정 날짜에 표시된 상기 입금 예정액 또는 상기 입금 완료 금액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특정 날짜에 이루어진 외상 거래에 관한 전체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 거래에 관한 전체 정보는 상기 특정 날짜에 외상 거래를 한 전체 기업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체 기업체의 각각에 대한 입금 예정액과 입금 완료 금액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외상 거래에 관한 일자별, 기업체별, 사원별 입금 예정액 및 입금 완료 금액을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 완료 금액은 실통장 입금액이며,
    상기 실통장 입금액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등록한 입금 계좌에서 해당 정보를 스크래핑하여 가져오는 것을 통해 상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120049075A 2012-05-09 2012-05-09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33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75A KR101330680B1 (ko) 2012-05-09 2012-05-09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75A KR101330680B1 (ko) 2012-05-09 2012-05-09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680B1 true KR101330680B1 (ko) 2013-11-19

Family

ID=4985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75A KR101330680B1 (ko) 2012-05-09 2012-05-09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77B1 (ko) * 2014-09-25 2015-03-12 주식회사 에프아이티 휴대기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전자장부 관리 시스템
KR20160096338A (ko) * 2015-02-05 2016-08-16 마송훈 온라인 단체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0749A (ko) * 2021-09-16 2023-03-23 김동욱 대표 결제를 통한 근로자 통합 식권 관리 시스템
KR20230040750A (ko) * 2021-09-16 2023-03-23 김동욱 온라인 대표 결제 기반의 상품 공동거래 관리 서비스 시스템
CN116362905A (zh) * 2023-04-08 2023-06-30 广州智卡物流科技有限公司 基于物流产业链的财务管理方法和系统
KR20230159184A (ko) 2022-05-13 2023-11-21 윤경민 물품 구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533A (ja) 2000-11-16 2002-05-31 Chuo Mitsui Trust & Banking Co Ltd 売掛債権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245284A (ja) 2001-02-19 2002-08-30 Yoshio Kondo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100047598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앤티 Pos단말기와 엠디비 데이터베이스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533A (ja) 2000-11-16 2002-05-31 Chuo Mitsui Trust & Banking Co Ltd 売掛債権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245284A (ja) 2001-02-19 2002-08-30 Yoshio Kondo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100047598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앤티 Pos단말기와 엠디비 데이터베이스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77B1 (ko) * 2014-09-25 2015-03-12 주식회사 에프아이티 휴대기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전자장부 관리 시스템
KR20160096338A (ko) * 2015-02-05 2016-08-16 마송훈 온라인 단체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028B1 (ko) 2015-02-05 2016-10-17 마송훈 온라인 단체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0749A (ko) * 2021-09-16 2023-03-23 김동욱 대표 결제를 통한 근로자 통합 식권 관리 시스템
KR20230040750A (ko) * 2021-09-16 2023-03-23 김동욱 온라인 대표 결제 기반의 상품 공동거래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631561B1 (ko) * 2021-09-16 2024-01-31 박성진 대표 결제를 통한 근로자 통합 식권 관리 시스템
KR102631567B1 (ko) * 2021-09-16 2024-02-06 박성진 온라인 대표 결제 기반의 상품 공동거래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30159184A (ko) 2022-05-13 2023-11-21 윤경민 물품 구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6362905A (zh) * 2023-04-08 2023-06-30 广州智卡物流科技有限公司 基于物流产业链的财务管理方法和系统
CN116362905B (zh) * 2023-04-08 2024-03-19 广州智卡物流科技有限公司 基于物流产业链的财务管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4172B2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KR101330680B1 (ko) 외상장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US20210312413A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US20190205834A1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US201600634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ecure ordering, payment and delivery of goods or services
US20160125486A1 (en) Settlement operations support system and settlement operations support method
US20220335374A1 (en) Distributed network of order systems
CN101071481A (zh) 一种差旅服务系统和方法
KR2015007424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가맹점 관리 방법
KR100865226B1 (ko) 수금 대행 및 배달사원 공유를 위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US201600786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et Parking
CN110852545A (zh) 统一服务管理方法和平台
KR20130065744A (ko) 아이피 교환기를 이용한 배달주문 중개를 통한 포인트 적립과 그것의 사용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JP6315349B2 (ja) 購買決済システム
KR101630344B1 (ko)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JP6730019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方法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KR20030033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원관리방법 및 그 자원을 관리하는시스템
US11710165B2 (en) Independently procurable item compliance information
KR102476031B1 (ko) 영업 기회의 기한을 모니터링하는 전사적 관리 시스템
KR102476029B1 (ko) 영업 기회를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KR101499177B1 (ko) 휴대기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전자장부 관리 시스템
KR102476030B1 (ko) 영업 기회의 현황을 분석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JP7236122B1 (ja) 販売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販売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