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344B1 -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44B1
KR101630344B1 KR1020150127903A KR20150127903A KR101630344B1 KR 101630344 B1 KR101630344 B1 KR 101630344B1 KR 1020150127903 A KR1020150127903 A KR 1020150127903A KR 20150127903 A KR20150127903 A KR 20150127903A KR 101630344 B1 KR101630344 B1 KR 10163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ice
platform
information
te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선
Original Assignee
윤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선 filed Critical 윤기선
Priority to KR102015012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4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989 priority patent/WO20170438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리비 절감 시스템, 관리비 절감 방법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및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System for reducing maintenance cost and method for cloud-based approving service associated with platform server}
본 발명은 기업 폐쇄몰을 사업모델로 하는 플랫폼 시스템과 클라우드 서버 내 그룹웨어 결재 시스템의 연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소기업과 같은 입주사가 여러 가지 상품 및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구매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 구매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입주사에 관리비와 같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 및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기안 상신을 하기 위해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그룹웨어의 결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이 중소기업 형태인 지식산업센터의 입주기업들은 상품 및 서비스 사용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기업활동을 위하여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한 비용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비용절감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나, 각 입주기업이 사용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양이 때문에 비용절감을 위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고 또한 개별 협상마저도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각 입주기업들은 기업활동을 위한 소모품(상품) 및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의 구매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s) 공급업체와 계약을 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를 검색하여 구매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각 입주기업의 임직원들은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소요된 비용처리를 하기 위해서 각자의 내부 결재 시스템에 따라 기안 상신의 과정을 통하여 구매활동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대한 의사 결정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검색 및 비교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한 기안서를 작성하고, 승인된 기안서의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고, 구매 대금을 금융 기관을 통하여 결재하는 등 일련의 활동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된다. 게다가 기업의 내부 보안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 각종 저장매체의 사용 제한으로 사진첨부 및 데이터 작성편집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실행 프로그램의 연동 문제로 인해 첨부파일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입주기업에 있어서 기업운영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있어 비용절감을 달성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 10-2012-0022344(2012.03.12. 공개)
공개특허 10-2015-0021147(2015.03.02. 공개)
공개특허 10-2014-0068335(2014.06.09. 공개)
공개특허 10-2014-0059979(2014.05.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식산업센터의 입주기업들이 기업운영에 필요한 여러 가지 상품 및 서비스를 일괄하여 구매할 수 있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입주기업들이 기업운영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 서버에서 소비한 구매 금액의 일정 부분을 포인트화하고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지식산업센터 관리사무소로부터 청구된 관리비를 차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비 지출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관리비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장바구니와 같은 구매 대기 페이지와 클라우드 서버를 연동하여, 장바구니에 수록된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 내 그룹웨어 결재부의 기안서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결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중소규모 여러 업체를 하나의 지식산업센터 단위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개인, 회사 및 단체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및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금융결제기관 서버로부터의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도록 함으로서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통합 구매 및 구매업무 간소화를 통해 관리비를 절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주사의 기본적인 정보나,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에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입주사 단말에 의해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의거하여 과금하고,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하는 과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입주사별 포인트를 산정 및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관리비 정보가 입력되면, 누적된 포인트를 차감한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는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 및 결제 서비스와의 연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결재 버튼을 가지는 구매 대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결재 버튼이 활성화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결재 양식을 호출함과 더불어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제공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로부터의 결재 양식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가지는 결재 양식을 작성하며 상기 입주사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결재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로 결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각각 푸시부를 구비하며,
결제 과정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입주사 단말로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은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그리고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관리비 절감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융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플랫폼 서버에 설정된 포인트 정책에 따라 서비스 결제금액의 일정 비율이 포인트로 적립하는 과정;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된 관리비에서 취합된 포인트 정보를 차감하여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상기 입주사 단말로 청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방법은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개인, 회사 및 단체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그리고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그룹웨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가지는 구매 대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대기 페이지에서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결재 양식을 호출하고 상기 구매 대기 페이지에 수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기안서를 작성하여 상기 입주사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입주사 단말이 기안 승인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기안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기안 완료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기안 완료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과금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안 완료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입주사 단말로 결재 승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결재 허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과금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기안서 작성 및 결재 과정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메시지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중소규모 여러 업체를 하나의 지식산업센터 단위로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매력을 높이고 불필요한 비용을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에 따르면, 입주사들은 기업활동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포인트를 차감하여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재 연동 방법에 의하면 클라우드 서버와 플랫폼 서버를 연동하여 그룹웨어 결재를 할 수 있는 웹 또는 스마트폰 형태의 입주사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 선택뿐만 아니라 상품 선택 이후의 기안서 결재 기능을 제공하여 상품선택 및 의사결정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입주자의 기안작성을 단순화하고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 기능을 활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내부 기안 과정을 단순화하고 상품구매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주사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의 연동에 따른 DB(데이터베이스) 흐름과 DB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시스템의 연동에 필요한 고유값 동기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플랫폼의 결재(기안)하기 버튼을 눌렀을 경우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 창을 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입주사 단말(100), 플랫폼 서버(200),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 금융결제기관 서버(400), 클라우드 서버(500)를 포함한다.
입주자란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에 들어가 영업활동을 하는 개인, 회사 및 단체를 말하며, 이러한 입주자가 소지하는 단말을 입주사 단말(100)이라 칭한다.
입주사 단말(100)은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로서, 예를 들어 애플사의 iOS, 구글사의 안드로이드(Android)등과 같은 휴대 단말용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 마이크로 소프트 OS가 설치된 범용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중 하나일 수 있다.
플랫폼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은 입주사 단말(100)에 미리 탑재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플랫폼 서버(200)나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입주사 단말(100)은 입주자가 플랫폼 서버(200)에 플랫폼 서비스의 제공을 신청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입주자가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한다면,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하고,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선택하여 신청을 하게 된다.
다음, 플랫폼 서버(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업체란 플랫폼 서버(200)에 등록(플랫폼 서버 운영업체와 계약)되어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 등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업체로써,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나, 차량관리 서비스나, 인테리어 서비스나, 배송 서비스나, MRO 용품공급 서비스나, 클라우드 서비스나 통신서비스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나, 광고 서비스나, 교육 서비스나, 지식산업센터 또는 아파트형 공장 특성에 맞는 개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업체를 말한다.
플랫폼 서비스는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들로부터의 서비스들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후술할 클라우드 서버(5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플랫폼 서버(200)는 상품구매 대기 기능 일명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하고 후술할 클라우드 서버(500)에 입주자가 선택한 상품 및 서비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클라우드 서버(500) 내 그룹웨어 결재부에 접속하여 즉시 기안 결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는 플랫폼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운영하는 독립된 단일 서버일 수도 있으나 후술할 클라우드 서버(500)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플랫폼 서버(200)를 활용할 수도 있다. 즉, 그 형태를 특정 유형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 클라우드 서버(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 등을 통합된 서버에서 할당받아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서버들이 통합된 형태를 띠며, 각종 운영체제, 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도구 및 장치를 포함하여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500)의 그룹웨어는 상술한 바와 클라우드 서버(500)를 활용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 중 그룹웨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업활동에 필요한 파일전송, 메일전송, 채팅, 화상회의, 일정관리, 팀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결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서버(200)와 입주사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광통신,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이 현재 구축되어 있거나 추후 구축이 예측되는 유선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랫폼 서버(200)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할 수 있는 각종 서버를 포함한다.
복수의 클라우드 서버(500)는 입주사의 경영 활동에 필요한 그룹웨어 결재 기능을 포함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관리 사무소가 입주사 및 빌딩 관리에 필요한 정보의 저장, 가공, 송수신 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 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명시하는 클라우드 서버(500)는 관리사무소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칭한다. 플랫폼 서버(200)에서 클라우드 서버(500)와 입주사의 재화, 서비스 구매 활동에 따른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이에 따라 후술할 관리비 절감 시스템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란 상기 소개한 입주자가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안서를 작성, 결재하는 활동을 그룹웨어 결재로 통칭하며 클라우드 서버(500)에 각종 정보의 저장 등록을 한다.
입주자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비용결제 및 물품 선정에 대한 기안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500)를 호출, 접속하여 내부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안서 상신 및 결재 활동을 진행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일련의 활동 중이나 완료되었을 경우, 다시 클라우드 서버(500)에서 플랫폼 서버(200)로 신호를 송신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입주사와 금융 결제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와 금융 결제 기관, 관리사무소와 금융결제기관 사이의 결제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주사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각각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구매를 일괄하여 통합적으로 신청한다. (step ①)
플랫폼 서버(200)는 입주사 단말(100)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로 제공한다. (step ②)
서비스 제공업체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를 통하여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에 상응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입주자에게 제공한다. (step ③)
입주사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금융 결제 기관(400)으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을 결제한다. (step ④)
금융 결제 기관 서버(400)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에 제공한다. (step ⑤)
또한, 금융 결제 기관 서버(400)는 플랫폼 서버(200)에 상품 및 서비스 결제 금액을 정산한다. (step ⑥)
플랫폼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에 결제 금액을 정산한다. (step ⑦)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500)뿐만 아니라.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들 각각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상품 및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200)를 구비함으로써 관리비 절감 및 구매업무 간소화를 통해 관리비를 절감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복잡한 구매 절차를 제거하고 구매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되고 효율적인 구매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시스템은 보험, 인테리어, 사무용품, 차량, 배송, 클라우드, 그룹웨어, 협업 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하나의 통합 서비스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을 보인다.
여기서, 입주사와 금융 결제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와 금융 결제 기관, 관리사무소와 금융결제기관 사이의 결제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업체의 포인트 정책도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지식산업센터의 입주사 정보는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저장되고, 은행과 PG사와 같은 금융 결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이하 서비스 결제 정보라 함)를 바탕으로 플랫폼 서버(200)에 설정된 포인트 정책에 따라 서비스 결제 금액의 일정 비율이 포인트로 적립되며, 적립된 포인트에 관한 정보(이하, 포인트 정보라 함)는 플랫폼 서버(200)에 저장된다.
플랫폼 서버(200)는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관리비에서 취합된 포인트 정보를 차감하여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산출하게 된다.
클라우드 서버(500)는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입주사에 청구하게 된다.
먼저, 입주사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상품 및 서비스의 구매를 신청한다. (step ①)
플랫폼 서버(200)는 입주사 단말(100)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로 제공한다. (step ②)
서비스 제공업체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를 통하여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에 상응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입주자에게 제공한다. (step ③)
입주사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금융 결제 기관(400)으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을 결제한다. (step ④)
금융 결제 기관 서버(400)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에 제공한다. (step ⑤)
금융 결제 기관 서버(400)는 플랫폼 서버(200)에 상품 및 서비스 결제 금액을 정산한다. (step⑥ )
플랫폼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에 결제 금액을 정산한다. (step ⑦)
여기서, 금융 결제 기관(300)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에 직접으로 서비스 결제 금액을 정산하지 않고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간접으로 서비스 결제 금액을 정산하는 이유는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포인트를 산출하기 때문이다. 만일, 직접 정산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 타 입주자의 구매내역을 누적할 수 없고 관리비에서 차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별로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포인트 누적 및 차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포인트 관리와 구매 협상에 대한 주관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포인트란 플랫폼 서버(200)를 운영하는 주체와 서비스 제공업체간의 공급계약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금의 일정비율을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입주자에게 돌려주는 것을 지칭한다. 여기서, 포인트를 돌려주는 방식은 각 입주자에게 부여받는 관리비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사례로 일반적으로 종래의 플랫폼의 경우 다른 재화를 구매할 때 포인트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입주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입주자에 정기적으로 부여되는 관리비에서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포인트를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관리해야하는 이유는 크게 목적과 기능적인 차이로 인하여 설명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500)와 금융결제기관 서버(400)는 각각 고유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데이터를 누적하는 기능이 있지만 서비스 제공업체의 상품 및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기는 어렵다. 복수의 클라우드 서버(500)와 금융결제 기관(400)에서 개별 서비스 제공업체와 계약 운영할 수 없고, 서비스 제공업체 및 다른 입주사의 이용정보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종합할 수 플랫폼 서버(200)를 매개체로 포인트를 차감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플랫폼 서버(200)를 거쳐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500)는 관리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에 제공한다. (step ⑧ )
여기서 관리비란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의 빌딩 운영에 필요한 공용관리비 예컨대 인건비, 수리비, 감가상각비, 공용물품관리비, 보험료, 차입금의 이자, 잡비등을 포함하며, 각종 공과금 예컨대 전기사용료, 수도광열비 등을 포함한 비용을 칭한다.
이에 상응하여 플랫폼 서버(200)는 포인트가 차감된 관리비 정보(이하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라 함)를 클라우드 서버(500)에 제공한다. (step ⑨)
관리비에서 포인트를 차감하는 주체가 플랫폼 서버(200)이기 때문에 플랫폼 서버(200)로 관리비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서버(500)는 포인트가 차감된 관리비(이하 포인트 차감 관리비)를 입주사 단말(100)로 청구한다. (step ⑩)
차감된 관리비를 산출하는 주체는 클라우드 서버(500)가 될 수도 있고 플랫폼 서버(200)가 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차감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서버(200)에서 주체가 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서비스 이용업체와 포인트 정보가 플랫폼 서버(200)에 저장되며 또한 차감 정보의 집계가 플랫폼 서버(200)에서 이루어진다.
입주사는 입주사 단말(100)를 통하여 금융 결제 기관(400)으로 관리비를 입금한다. (step ⑪)
금융 결제 기관은 클라우드 서버(500)로 관리비를 정산한다. (step )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관리비 청구 방식은 클라우드 서버(500)를 통해 관리사무소에서 입주사로 청구하는 방식을 명시하였지만 관리사무소 또는 입주사 대표로부터 그 권한을 위임받아 플랫폼 서버(200)에서 각 입주사로 청구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비 절감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입주사 단말(100)에서 플랫폼 서버(200)로 상품 및 서비스 신청이 접수되면, 플랫폼 서버(200)는 상품 및 서비스 신청 내역을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300)로 제공한다. (S202)
서비스 제공업체는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를 해당 입주사에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입주사로 상품 및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입주사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금융결제기관 서버(400)에 상품 및 서비스 대금을 결제하거나 혹은 직접 금융결제기관(400)에 결제한다. 입주사가 직접 금융결제기관에 결제하는 경우 결제 내역이 금융결제기관 서버(400)에 입력된다. (S204)
입주사로부터 금융결제기관(400)으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이 결제되면, 금융결제기관 서버(400)는 결제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에 제공한다. (S206)
금융결제기관 서버(400)로부터 플랫폼 서버(200)로 입주사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플랫폼 서버(200)는 입력된 결제 정보를 참조하며 입주사별 포인트를 산정 및 누적한다. (S208) 산출된 포인트 정보는 플랫폼 서버(200)에 저장된다.
관리사무소는 클라우드 서버(5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입주사의 관리비를 입력한다. (S210)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플랫폼 서버(200)로 입주사의 관리비 정보가 입력되면, 플랫폼 서버(200)는 입주사별로 누적된 포인트를 참조하여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500)에 제공한다. (S212)
이후, 클라우드 서버(500)는 포인트 차감된 관리비를 입주사 단말(100)로 청구한다. (S214)
입주사는 입주사 서버(100)를 통하여 금융 결제 기관(400)으로 관리비를 입금한다. (S216)
금융 결제 기관은 클라우드 서버(500)로 관리비를 정산한다. (S218)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은 입주사 단말(100), 플랫폼 서버(200), 그룹웨어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주사 단말(100)에 설치된 플랫폼 서버 접속용 애플리케이션 및 웹프로그램,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웹프로그램의 최초 구동시 입주사 단말에 관한 식별 정보(이하,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라 함)가 후술하는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며,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에서 입주자 및 입주사 단말을 식별함에 있어서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를 활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는 입주사 단말의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장치 제조업체 혹은 통신사에서 부여한 고유값인 토큰(token)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은 결재 내역을 알릴 수 있도록 통신부-푸시부 연결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500)가 일괄 전송시 입주사 단말(100)이 실시간으로 결재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푸시 알림 기능은 클라우드 서버(500)의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결재정보를 전송받은 플랫폼 서버(200)가 수행할 수 있고, 다르게는 클라우드 서버(500)의 자체 푸시부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이 설치된 입주사 단말(100)과 플랫폼 서버(200)의 구성과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서비스 신청과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의 결재 기능의 연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입주사가 입주사 단말(100) 및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상품 및 서비스의 구매를 신청한다. (step )
상품 및 서비스의 구매는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에 의해 수행된다. 플랫폼 서비스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 각각에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일괄하여 통합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입주사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로그인한 후,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구매 대기 페이지 즉, 장바구니 기능을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구매 대기 페이지에는 클라우드 서버(500)의 그룹웨어 결재 기능과 연동될 수 있게 하는 결재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구매 대기 페이지에서 결재 버튼이 눌려지면, 플랫폼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결재 양식(기안서)을 호출하고 구매 대기 페이지에 수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클라우드 서버(500)로 전송한다. (step )
클라우드 서버(500)는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기안서를 완성한 후 입주사 단말(200)로 전송한다. (step )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결재자가 기안서를 결재하면, 입주사 단말(200)은 기안 승인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500)로 전송한다. (step )
여기서, 기안작성자와 결재자는 모두 입주사 단말(100)을 이용하여 결재를 수행하므로 분리하여 표현하지 않고 입주사 단말(200)로 통칭하여 표현하였다. 기안작성자와 결재자는 역할이 지정되지 않고, 작성 및 결재의 주체에 따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성 및 결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입주사 단말(100)로부터 기안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클라우드 서버(500)는 결재 완료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전송한다. (step )
결재 완료 정보가 접수되면, 플랫폼 서버(200)는 금액 결제가 가능함을 입주사 단말(100)에 통지하여 기안작성자 및 결재자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가능 통지에 응답하여, 기안작성자 및 결재자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통지한다(step )
이때 금액 결제가 가능함을 푸시 알람기능, 메시지 송신, 기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접속시 활성화되는 결제 버튼 등에 의해 표기하고, 기안작성자 및 결재자는 활성화된 결제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금액 결제를 승인한다. 금액 결제가 가능함을 표기하는 방법은 특정방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명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업체는 금액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를 입주자에게 제공한다. (step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주사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주사 단말(100)은 통신부, 표기부 그리고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 표기부 그리고 입력부는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다. 즉, 플랫폼 서버용 통신부(102), 플랫폼 서버용 표기부(104), 플랫폼 서버용 입력부(106), 클라우드 서버용 통신부(112), 클라우드 서버용 표기부(114)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용 입력부(116)가 마련된다.
플랫폼 서버용 표기부(104), 플랫폼 서버용 입력부(106) 클라우드 서버용 입력부(116), 클라우드 서버용 표기부(114)는 하드웨어가 아닌 입주자가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에 전달하고, 전달받고자 하는 정보의 Input, Output의 의미로서 입주자가 입주사 단말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플랫폼 서버용, 클라우드 서버용으로 구분한 것은 각각의 입력과 출력의 표현방식은 각각 개별로 구현되며 입주자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각 기능을 실현하기 때문에 구분하였다. 상기 설명한 입력부의 입력되는 예로는 서비스 신청정보, 구매정보 입력, 기안상세정보 입력, 기안결재 입력 등이 있을 수 있고, 표기부의 표기되는 예로는 서비스 신청정보 상세내역, 구매정보 상세내역, 결제내역, 기안상세내역, 기안결재 내역이 있을 수 있다.
입주사 단말(100)이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면, 입주자 정보와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 정보는 후술하는 플랫폼 서버(200)의 통신부(22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500)에 제공된다. 기안서 결재 과정이 개시되면, 클라우드 서버(500)는 입주자가 등록한 결재자 즉, 입주사 단말(100)에게 결재 내역이 도착했음을 푸시하게 된다.
즉, 플랫폼 서버용 및 클라우드 서버용의 통신부(102, 112)를 통해 입주사 단말(100)에 결재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입주사 단말(100)은 푸시 알림 기능을 통해 화면에 그 내용을 표시한다. 플랫폼 서버용 및 클라우드 서버용의 통신부(102, 112)를 통해 결재 사항이나 입주자에 의해 작성된 결재 의견이 수신된 경우, (부가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았더라도) 푸시 기능이 활성화되고, 해당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는 각각의 통신부(220, 504)를 갖고 있어서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푸시 알림서비스는 어느 한 서버에서 제공함을 단정하지 않으며 각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 플랫폼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500)의 통신부(220, 504)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입주사 단말(100)과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 간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용 및 클라우드 서버용의 통신부(102, 112)는 등록된 입주자 정보와 입주자에 의한 결재 의견을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플랫폼 서버(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로 전송한다.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는 입주사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전화번호, MIN, 토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표기부(104, 114)는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고,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 각각을 통해 수신되거나 후술하는 입력부(106, 116)를 통해 입력한 정보나 데이터 및 결재 의견을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다음 프로세스 예를 들어 금액 결제 및 재기안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버튼 아이콘 또는 별도의 메뉴 항목을 표기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입력부(106, 116)는 별도의 메뉴 항목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입주자가 해당 버튼 아이콘 혹은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플랫폼 서버(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로 결재의견 및 기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200)는 플랫폼 서비스부(210), 통신부(220), 푸시부(230), 고객 데이터기록부(240), 표기부(250) 그리고 과금부(260)를 포함한다.
우선, 플랫폼 서비스부(210)는 플랫폼 서버(200)에 등록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형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결제 서비스나, 차량관리 서비스나, 인테리어 서비스나, 배송 서비스나, MRO 용품공급 서비스나, 클라우드 서비스나 통신서비스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나, 광고 서비스나, 교육 서비스나, 지식산업센터 또는 아파트형 공장 특성에 맞는 개발 서비스를 포함하며 유형의 상품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고, 무형의 입주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을 포함하며 각 서비스 유형을 특정 서비스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부(210)는 플랫폼 서버(200)를 이용하는 입주자가 확인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사진, 이미지, 상품명, 상품 수량, 단위당 가격 정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형태는 플랫폼 서비스에 맞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특정 규격과 항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 통신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의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입주사 단말(200) 및 클라우드 서버(5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통신부(220)는 입주사 단말(100)로부터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함과 아울러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공지 사항이나 결재 정보를 각각의 입주사 단말(100)에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각의 입주사 단말(100)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입주사 단말(100)의 메시지 및 결재 의견으로 입력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입주사 단말(100)과 클라우드 서버(500)의 통신부가 있어서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와 입주사 단말(100)은 상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음, 푸시부(230)는 플랫폼 서버(200)에 의해 입주사 단말(100)에 공지 사항이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푸시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푸시란 한 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으로 입주자에게 정보를 노출하고, 일종의 알림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칭한다.
즉,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모든 공지 사항이나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후 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상술한 통신부(220)를 통해 입주사 단말(100)에 분류된 상기 공지 사항 및 플랫폼 서비스 정보를 각각 송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플랫폼 서비스부(210)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면, 물품 할인 정보 등)는 입주자에게 필요한 정보로 분류하고 입주사 단말(100)에 각각 플랫폼 서비스 정보로서 송신하게 된다. 또한, 푸시알림 기능을 통해 입주사 단말(100)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지 않더라도 플랫폼 서버(200)와 연동된 클라우드 서버(500)에서 이루어지는 결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푸시부(230)는 각각의 입주사 단말(100)에 관한 식별 정보(입주사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서 알릴 공지사항이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푸시 알림 기능을 통해 입주사 단말(100)에 알릴 수 있다.
다음, 데이터 기록부(DB)(240)는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들, 예를 들면, 입주사, 입주사 임직원, 관리사무소 직원의 기본적인 정보나, 사용자가 선택한 플랫폼 서버(200)의 플랫폼 서비스부(210)에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과금부(260)는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 또는 수신된 입주사 단말(100)에 의해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과금하고, 입주자가 입주사 단말(100)을 통해 승인된 카드결제정보 또는 입금 내역을 통하여 상품 및 서비스 과금을 처리하고 상기 언급된 데이터 기록부(240)에 결제정보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500)에 연동하는 플랫폼 서버(20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클라우드 기반 그룹웨어 결재 서버의 통신부 데이터 기록부(DB) 표기부 푸시부의 구성 또한 유사한 구성을 가짐은 자명하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 등을 통합된 서버에서 할당받아서 사용하는 서버 유형으로 복수의 형태를 띠며, 각종 운영체제, 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도구 및 장치를 포함하여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입주사의 그룹웨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도 5의 클라우드 서버는 그룹웨어 기능을 수행하거나 관리비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일 기능을 포함하여 플랫폼 서버(200)에 연동되어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500)는 그룹웨어 서비스부(502), 통신부(504), 데이터 기록부(DB)(506), 표기부(508), 푸시부(510)를 포함한다.
우선, 그룹웨어 서비스부(502)는 그룹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플랫폼 서버(200)의 플랫폼 서비스부(502)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기업활동에 필요한 파일전송, 메일전송, 채팅, 화상회의, 일정관리, 팀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결재서비스를 제공함로써 결재 양식을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는 입주자의 특성에 맞게 편집할 수 있고, 특정 서비스로 한정되어 있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500)의 통신부(504), 데이터 기록부(DB)(506), 표기부(508) 그리고 푸시부(510)들은 각각 플랫폼 서버(200)의 통신부(220), 데이터 기록부(240), 표기부(250) 그리고 푸시부(230)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것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흐름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안자는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로그인 후(S702) 플랫폼 서비스부(210)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즉, 플랫폼 서비스를 선택하고(S704), 플랫폼 서비스에서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한다(S704).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는 구매 대기 페이지(장바구니)에 수록된다. (S706) 기안자는 구매 대기 페이지에서 결재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결재 버튼이 눌려지면(S708), 플랫폼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500)로 결재 시스템을 호출하고 아울러 클라우드 서버(500)로 구매 대기 페이지에 수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송신한다. (S710) 클라우드 서버(500)의 결재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참조하여 기안서를 작성한다. (S712)
기안자가 기안서를 제출하면(S714), 클라우드 서버(500)는 통신부(504)를 활용하여 결재가 진행중임을 플랫폼 서버(200)에 알리고, 플랫폼 서버(200)는 결재가 진행중임을 데이터 기록부(240)에 기록한다. 결재선이 제출된 기안서를 승인(결재)하면(S716), 클라우드 서버(500)는 통신부(504)를 활용하여 기안서가 승인되었음을 플랫폼 서버(200)에 통지한다.
플랫폼 서버(200)는 기안서가 승인되었음을 데이터 기록부(240)에 기록한다. 데이터 기록부(240)를 참조하여 기안서가 결재 승인되었음을 확인하면, 플랫폼 서버(200)는 푸시부(230)를 이용하여 결재 승인 정보를 입주사 단말(100)에 통지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200)는 과급부(260)로 결재 완료를 송신한다. 과금부(260)는 금액결제버튼을 활성화한다. (S72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의 연동에 따른 DB(데이터베이스) 흐름과 DB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DB(데이터베이스)의 흐름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주사 단말(100)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200)에 로그인시 데이터 기록부(DB)(240)에 저장된 회원 DB를 호출하고, 플랫폼서비스부(210)를 통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회원 DB 내 임시저장 공간인 구매 대기 페이지(상품 DB)에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500)의 결재 시스템을 호출함과 동시에 상품 DB를 전송하여 결재시스템의 기안서에 자동으로 표기되게 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500)의 결재양식(기안서DB)을 호출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도 10과 같이 플랫폼 서버(200)부터 쿼리(query)를 송신하여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의 고유값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기화한다.
클라우드 서버(500)에서 결재 프로세스가 완료되었을 경우 결재 내역을 클라우드 서버(500)의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하는 한편, 플랫폼 서버(200)의 금액 결제를 완료시 회원DB, 상품 DB, 결제 DB를 플랫폼 서버(200) 내 데이터 기록부(240)에 저장한다. 만약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500)와 연동되지 않을 경우, 클라우드 서버(500)의 그룹웨어 결재 프로세스를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플랫폼 서버(200) 내 과금(결제)부가 활성화되어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은 플랫폼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시스템의 연동에 필요한 고유값 동기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플랫폼 서버(200)의 데이터기록부와 클라우드 서버(500)의 데이터기록부에 입주자 정보를 명시할 수 있는 고유값을 설정한다. 이때 플랫폼 서버(200)에의 로그인 또는 그룹웨어의 결재 호출과정에서 각각의 서버로 쿼리(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며, 각각의 고유값이 일치할 경우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의 동기화가 이루이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플랫폼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500)는 각각의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플랫폼의 결재(기안)하기 버튼을 눌렀을 경우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 창을 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플랫폼 서버(200)에서 클라우드 서버(500)의 그룹웨어 결재시스템을 호출하는 예를 살펴보면, 플랫폼 서버(200) 내 서비스 및 상품을 구매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품을 선택하여 장바구니에 서비스 및 상품정보를 담을 경우 상기 명시된 클라우드 서버의 결재양식(기안서DB)이 호출되는 기안버튼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의 그룹웨어 결재 프로세스를 수행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는 플랫폼 서버(200)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500)의 결재양식(기안서DB)을 호출하였을 경우 상품 및 서비스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명시된 상품 및 서비스 정보는 사진, 이미지와 가격과 수량과 총가격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어떠한 제품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항목과 형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은 웹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결재 서비스를 연동함으로써 각종 부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또는 스마트폰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00...입주사 단말 200...플랫폼 서버
300...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400...금융결제기관 서버
500...클라우드 서버

Claims (14)

  1.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각 입주기업들이 기업운영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 구매 금액의 일정 부분을 포인트화하고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지식산업센터 관리사무소로부터 청구된 관리비를 차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비 지출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에 있어서,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개인, 회사 및 단체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및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며 관리비 정보를 발생하는 클라우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금융결제기관 서버로부터의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도록 함으로서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통합 구매 및 구매업무 간소화를 통해 관리비를 절감하게 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입주사별 포인트를 산정 및 누적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관리비 정보가 입력되면, 누적된 포인트를 차감한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포인트 차감 관리비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주사의 기본적인 정보나,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에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입주사 단말에 의해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의거하여 과금하고,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하는 과금부;를 포함하며, ,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을 정산하고,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는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 및 결제 서비스와의 연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결재 버튼을 가지는 구매 대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결재 버튼이 활성화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결재 양식을 호출함과 더불어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로부터의 결재 양식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가지는 결재 양식을 작성하여 상기 입주사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결재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주사 단말은 기안승인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플랫폼 서버로 결재 완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플랫폼서버는 금액결제가 가능함을 입주사 단말에 통지하여 기안작성자 및 결재자가 입주사 단말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각각 푸시부를 구비하며,
    결제 과정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입주사 단말로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아파트형 공장 또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하는 개인, 회사 및 단체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입주사 단말,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플랫폼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접수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신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입주자에 의해 결제된 상품 및 서비스 결제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제공하고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을 정산하며 하기의 클라우드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금융결제기관 서버, 입주사나 입주사 직원에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을 제공하며 관리비 정보를 발생하는 클라우드 서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와 플랫폼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입주사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주사의 기본적인 정보나, 상기 플랫폼 서비스부에서 제공되는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기록부, 그리고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입주사 단말에 의해 신청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의거하여 과금하고, 상품 및 서비스 구매 비용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하는 과금부를 포함하는 관리비 절감 시스템의 플랫폼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입주사 단말에게 선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 및 결재 서비스와의 연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결재버튼을 가지는 구매 대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대기 페이지에서 상기 결재 버튼이 활성화되어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결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결재 양식을 호출하고 상기 구매 대기 페이지에 수록된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의 결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상품 및 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기안서를 작성하여 상기 입주사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입주사 단말이 기안 승인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기안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기안 완료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기안 완료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입주사 단말로 결재 승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입주사 단말로부터 결재 허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과금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서버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기안서 작성 및 결재 과정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메시지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입주사 단말에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KR1020150127903A 2015-09-09 2015-09-09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KR10163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03A KR101630344B1 (ko) 2015-09-09 2015-09-09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PCT/KR2016/009989 WO2017043847A1 (ko) 2015-09-09 2016-09-07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03A KR101630344B1 (ko) 2015-09-09 2015-09-09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344B1 true KR101630344B1 (ko) 2016-06-24

Family

ID=5634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903A KR101630344B1 (ko) 2015-09-09 2015-09-09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344B1 (ko)
WO (1) WO20170438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040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국민은행 클라우드기반 일반 사업자에게 금융회사의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결제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53775A (ko) * 2019-11-03 2021-05-12 주식회사 로랩스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154A (zh) * 2017-04-12 2018-03-23 广州思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装修服务监管平台及实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914A (ko) * 2000-06-30 2002-01-10 김진기 인터넷 환경에서의 아파트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70032207A (ko) * 2005-09-16 2007-03-21 주식회사 영조주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010676A (ko) *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고객 서비스 통합 시스템
KR20120088015A (ko) * 2010-10-07 2012-08-08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결제단말을 이용한 포인트 사용방법 및 시스템과 결제단말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483B1 (ko) * 2010-09-02 2012-03-30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가맹점 카드 결제금액의 아파트 관리비 통합정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914A (ko) * 2000-06-30 2002-01-10 김진기 인터넷 환경에서의 아파트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70032207A (ko) * 2005-09-16 2007-03-21 주식회사 영조주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010676A (ko) * 2010-07-27 2012-02-06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고객 서비스 통합 시스템
KR20120088015A (ko) * 2010-10-07 2012-08-08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결제단말을 이용한 포인트 사용방법 및 시스템과 결제단말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040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국민은행 클라우드기반 일반 사업자에게 금융회사의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결제서비스 제공방법
KR102398576B1 (ko) * 2019-11-01 2022-05-13 주식회사 국민은행 클라우드기반 일반 사업자에게 금융회사의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결제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53775A (ko) * 2019-11-03 2021-05-12 주식회사 로랩스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58790B1 (ko) 2019-11-03 2022-02-07 주식회사 로랩스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847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34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ecure ordering, payment and delivery of goods or services
CN109559166A (zh) 一种线上线下会员积分推广一体化系统及方法
CN106169987A (zh) 一种公共服务平台及其使用方法
CN105976133A (zh) 一种线上线下服务平台的系统架构
CN107292589B (zh) 一种全产业链信息化云服务平台
KR102033981B1 (ko) 렌트 차량 승계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및 인터넷 사이트 운영 방법
CN106022807A (zh) 基于线上线下服务平台的现场办理业务处理的方法
US20110246342A1 (en) Consolidated invoicing and payment system for communities of multiple members
US20150220904A1 (en) Account Management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651899B1 (ko) 생활 밀접형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JP5831373B2 (ja) 売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0027485A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30344B1 (ko) 관리비 절감 시스템 그리고 플랫폼 서버 연동 클라우드 기반 결재 서비스 방법
KR20120130106A (ko) 부동산 신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92158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共享式租房系统
TW201426615A (zh) 資產管理網路系統平台及方法
KR102187419B1 (ko) 문화예술공연 및 이벤트 참여자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62644B1 (ko) 집합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36461B1 (ko) 주거 생활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 서비스 중개 방법
CN106056472A (zh) 基于线上线下服务平台的线上直通业务处理的方法
JP6730019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方法
KR102056738B1 (ko) 가맹점 마케팅 및 회원관리 대행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13152598A (ja) 物件情報マッチングシステム
WO2016134535A1 (zh) 一种施工过程控制方法
KR102158367B1 (ko) 지역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