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359B1 -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359B1
KR101329359B1 KR1020120046799A KR20120046799A KR101329359B1 KR 101329359 B1 KR101329359 B1 KR 101329359B1 KR 1020120046799 A KR1020120046799 A KR 1020120046799A KR 20120046799 A KR20120046799 A KR 20120046799A KR 101329359 B1 KR101329359 B1 KR 10132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se
diagnostic kit
conveyor bel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576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2004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된 스트립이 안착되는 키트의 케이스가 컨베이어벨트의 진행 방향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이동 중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서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고, 안전하게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A case carrying apparatus for diagnostic kits}
본 발명은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된 스트립이 안착되는 키트의 케이스가 컨베이어벨트의 진행 방향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이동 중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서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고, 안전하게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이나 혈액을 이용하여 간염, 에이즈 등과 같은 질환이나 임신 여부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키트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기판 상면에 소변이나 혈액과 같은 액체가 흡수될 수 있는 재질의 멤브레인이 부착된 스트립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멤브레인의 일측에 진단 시약이 묻어 있다.
이러한 진단 키트는 멤브레인의 타측에 소변이나 혈액을 묻히면 소변이나 혈액이 멤브레인의 일측까지 흡수이동되어 시약과 반응하게 되며, 소변이나 혈액 중의 특정 성분이 시약과 반응할 때 시약의 색깔이 변화되는 것에 의해 임신 또는 질병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딱딱한 재질, 주로 합성수지 재질의 카세트 내에 스트립을 수용한 진단 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카세트는 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케이스 내에 스트립을 수용한 다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스냅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카세트 내에 스트립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상, 하부 케이스를 조립하는 진단 키트 제조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진단 키트를 생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진단 키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진단 키트를 생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단 키트의 생산과정은 상,하부 케이스와 스트립이 각각의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고, 상, 하부 케이스와 스트립이 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하부 케이스에 수용시키고, 스트립이 하부 케이스에 수용 완료된 후에는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단 키트가 완성된다.
그러나, 진단 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하고 있다.
이때,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되는 케이스(C)가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2)에 접촉하는 등의 이유로 케이스(C)가 유동하게 되어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에서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케이스(C)의 내측에 스트립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대로 안착되지 않게 되어 진단 키트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를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이동 중에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흐트러짐 없이 안전하게 이송 공급하여 진단 키트의 조립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양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동시에 2개가 나란히 안착된 상태로 공급하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 키트의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공급부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가 공급되는 방향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부재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로 실린더에 의해 케이스가 이동할 때 차단부재에 접촉됨과 동시에 차단부재를 회동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공급하고,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를 공급한 후에는 차단부재가 원상복귀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케이스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고, 안전하게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한 쌍의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는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컨베이어벨트로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로드에 슬라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한 쌍의 상판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에 설치되되, 공급부와 이송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베이스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면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부재를 단속하는 단속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부가 베이스의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의 상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차단부재는 상단 양측부에 고정부재에 형성된 설치돌기에 안착되어 힌지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케이스를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이동 중에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흐트러짐 없이 안전하게 이송 공급하여 진단 키트의 조립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양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동시에 2개가 나란히 안착된 상태로 공급하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 키트의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급부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가 공급되는 방향에 회동가능하게 회동부재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로 실린더에 의해 케이스가 이동할 때 차단부재에 접촉됨과 동시에 차단부재를 회동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공급하고,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케이스를 공급한 후에는 차단부재가 원상복귀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케이스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고, 안전하게 안착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단 키트용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와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공급부와 제어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와 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공급부와 제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는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이 한 쌍의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상판(112)이 구비되고, 이 상판(112)의 상부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14)가 설치된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판(112) 외측부에 설치되어 진단 키트용 하부케이스(C)를 공급하는 공급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210)는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214)가 구비되되, 이 이송컨베이어(214)의 일측은 상판(112)의 상부면과 동일 높이 또는 상판(112)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이 구비된 상판(112)의 대응면이 개방되게 서로 대응되는 절개구(112a)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112)의 측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14)에 의해 상판(112)의 상부로 공급된 하부케이스(C)를 실린더로드(216a)에 의해 공급시키는 실린더(2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리더(216)의 실린더로드(216a)에는 하부케이스(C)를 밀어 투입시키는 슬라이드부재(2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공급부(210)에 의해 투입된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켜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이송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310)는 베이스(110)의 상판(112), 즉 한 쌍의 상판(112)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하부케이스(C)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312)가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는 일정간격, 즉 하부케이스(C)의 길이 간격으로 다수개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판(31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10)로 하부케이스(C)가 이송컨베이어(214)에 의해 이송되고, 상판(112)의 상부로 공급된 하부케이스(C)는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에 의해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로 투입되어 컨베이어벨트(312)의 작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지 및 운행을 반복하면서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가 인출될 때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로 투입되는 하부케이스(C)는 길이 방향이 컨베이어벨트(312)의 진향 방향을 향하도록 안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 다수개의 가이드판(314)이 구비되어 실린더로드(216a)의 인출에 의해 하부케이스(C)가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 안착될 때 이 가이드판(314)의 사이에 위치되게 되어 컨베이어벨트(312)의 작동에 의해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하부케이스(C)가 유동하여 비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의 진단 키트가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되, 공급부(210)와 이송부(310)의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부(210)로부터 이송부(310)로 공급되는 하부케이스(C)를 단속하는 제어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0)는 베이스(110)의 상판(112)에 일측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재(4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12)는 일측부에 베이스(110)의 가이드부재(114)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412a)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412a)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가 통행하는 통로(412b)가 형성되며, 이 통로(412b)의 상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돌기(412c)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12)의 전면으로 돌출된 설치돌기(412c)에 힌지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4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414)는 상단 양측부가 고정부재(412)의 설치돌기(412c)가 안착되는 절개홈(414a)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414a)에 힌지(412d)를 구비하여 설치돌기(412c)에 회동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10)로부터 이송부(310)로 하부케이스(C)가 공급될 때 하부케이스(C)가 차단부재(414)와 접촉되어 흐트러지지 않고 반듯하게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C)가 차단부재(414)와 접촉함과 동시에 차단부재(414)가 힌지(412d)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부재(412)의 통로(412b)가 개방되어 하부케이스(C)가 용이하게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되고, 공급완료 후에는 차단부재(414)는 원상복귀하여 컨베이어벨트(312)로 투입된 하부케이스(C)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고정부재(412)의 전면으로 돌출된 설치돌기(412c)가 형성된 중앙부 상단에 설치되어 차단부재(414)의 회동을 제어하는 단속바(4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10)에 의해 하부케이스(C)가 이송부(31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차단부재(414)가 회동하여 고정부재(412)의 통로(412b)를 개방할 때 이 차단부재(414)의 회전 반경을 단속바(416)가 단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는 먼저, 이송컨베이어(214)를 타고 공급부(210)로 하부케이스(C)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210)로 공급된 하부케이스(C)는 상판(112)에 안착되되,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에 구비된 슬라이드부재(218)와 차단부재(414)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드부재(218)와 차단부재(414)의 사이에 위치한 하부케이스(C)는 실린더(216)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216a)가 인출됨과 동시에 실린더로드(216a)에 구비된 슬라이드부재(218)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스(C)를 밀어 고정부재(412)의 통로(412b) 및 상판(112)의 절개구(112a)를 통하여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C)는 컨베이어벨트(312)의 양측부에서 동시에 공급되어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 나란하게 한 쌍이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216a)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18)가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스(C)를 밀어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할 때 하부케이스(C)가 차단부재(414)에 1차로 접촉하여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게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되고, 이 상태로 슬라이드부재(218)의 전진으로 인해 차단부재(414)가 회전하여 고정부재(412)의 통로(412b)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414)는 슬라이드부재(218)에 의해 설치돌기(412c)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단속바(416)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로 공급되는 한 쌍의 하부케이스(C)는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판(314)과 이웃하는 가이드판(314)의 사이에 컨베이어벨트(312)의 진행 방향으로 길게 안착함으로써, 하부케이스(C)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짐 없이 안전하게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312)는 하부케이스(C)를 공급하는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가 인출 및 삽입되는 동작에 맞추어 정지 및 운행을 반복하여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판(314)의 사이에 안전하게 하부케이스(C)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216)의 실린더로드(216a)에 의해 하부케이스(C)가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완료 후에는 실린더로드(216a)는 실린더(216)로 삽입됨과 동시에 차단부재(414)가 하강하여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하부케이스(C)가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되고,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된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이 안착되고, 스트립이 안착완료된 후에는 하부케이스(C)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 이송되는 상부케이스(C)를 하부케이스(C)의 상부에 조립하여 진단 키트가 완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는 하부케이스(C)를 컨베이어벨트(312)로 폭 방향으로 안착시켜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베이어벨트(312)의 진행방향, 즉 하부케이스(C)가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하부케이스(C)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312)의 상부로 양측에서 하부케이스(C)를 공급하여 한 쌍이 동시에 이송되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 키트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C)를 공급하는 공급부(210)와 하부케이스(C)를 이송시키는 이송부(310)와의 사이에 제어부(410)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12)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하부케이스(C)가 공급부(210)로 역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부(210)로부터 하부케이스(C)를 이송부(310)로 공급할 때 하부케이스(C)가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반듯하게 컨베이어벨트(312)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10 : 베이스 112 : 상판
114 : 가이드부재 210 : 공급부
214: 이송컨베이어 216 : 실린더
216a : 실린더로드 218 : 슬라이드부재
310 : 이송부 312 : 컨베이어벨트
314 : 가이드판 410 : 제어부
412 : 고정부재 412a : 고정구
412b : 통로 412c : 설치돌기
412d : 힌지 414 : 차단부재
414a : 절개홈 416 : 단속바

Claims (10)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공급부와 이송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베이스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면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부재를 단속하는 단속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단 양측부에 고정부재에 형성된 설치돌기에 안착되어 힌지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한 쌍의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베이스에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에는 베이스의 컨베이어벨트로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는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로드에 슬라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한 쌍의 상판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부가 베이스의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통로가 형성되며, 이 통로의 상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10. 삭제
KR1020120046799A 2012-05-03 2012-05-03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KR10132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799A KR101329359B1 (ko) 2012-05-03 2012-05-03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799A KR101329359B1 (ko) 2012-05-03 2012-05-03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76A KR20130123576A (ko) 2013-11-13
KR101329359B1 true KR101329359B1 (ko) 2013-11-14

Family

ID=4985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799A KR101329359B1 (ko) 2012-05-03 2012-05-03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997A (zh) * 2017-12-22 2018-05-04 苏州苏铸重工有限公司 一种铸件挡料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22U (ko) * 1986-07-11 1988-01-29
JPH08300075A (ja) * 1995-05-09 1996-11-19 Honda Motor Co Ltd パネル積込み装置
JP2007131373A (ja) * 2005-11-08 2007-05-31 Fuji Mach Co Ltd 包装機の物品供給装置
KR20090103583A (ko) * 2008-03-28 2009-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22U (ko) * 1986-07-11 1988-01-29
JPH08300075A (ja) * 1995-05-09 1996-11-19 Honda Motor Co Ltd パネル積込み装置
JP2007131373A (ja) * 2005-11-08 2007-05-31 Fuji Mach Co Ltd 包装機の物品供給装置
KR20090103583A (ko) * 2008-03-28 2009-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76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5972B2 (en) Conveyor belt and belt constituent members
US9227784B2 (en) Convey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TW201540455A (zh) 切斷裝置
US6317969B1 (en) Slider-pull-assembling unit
WO2015136708A1 (ja) 切断装置
KR102101925B1 (ko) 와이어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가공 방법
KR101170985B1 (ko) 정렬부재를 구비한 자재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이송 방법
KR101329359B1 (ko) 진단 키트용 케이스 이송장치
KR20200118485A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US6745541B2 (en) Lid feeding apparatus
KR20200118484A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KR840002262Y1 (ko) 간헐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제조장치
KR20120108368A (ko) 형강 자동 절단 시스템
CN110143422B (zh) 一种翻板机组件和翻板机
US6964334B2 (en) Slider block for pusher lug
JP2565777B2 (ja) 間欠搬送装置
KR20170065866A (ko)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CN108464584B (zh) 拉链牙链带搬送用引导装置
KR101938448B1 (ko) 롤러 트랙의 자동 롤러 결합 장치
JP3550895B2 (ja) 自動現像機におけるラックの固定装置
TWI606796B (zh) Zipper fastener chain guide
WO2019198244A1 (ja) 搬送装置
JP2018115069A (ja) 部品供給装置
JP2016030678A (ja) ワーク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