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231B1 -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231B1
KR101329231B1 KR1020110014038A KR20110014038A KR101329231B1 KR 101329231 B1 KR101329231 B1 KR 101329231B1 KR 1020110014038 A KR1020110014038 A KR 1020110014038A KR 20110014038 A KR20110014038 A KR 20110014038A KR 101329231 B1 KR101329231 B1 KR 10132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jk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fungi
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647A (ko
Inventor
김영권
홍석일
최재필
박정현
이재준
이현수
임근환
윤여준
Original Assignee
고려바이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바이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바이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2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32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길항능력을 갖는 바실러스 속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 상기 균주 또는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여, 고추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토마토 잎마름역병 등의 식물병원균에 대해 넓은 생육저지 효과를 나타내어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생물학적 방제에 있어 길항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여 친환경 미생물농약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and microbial agent for preventing plant phthogenic fungi}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길항능력을 갖는 바실러스 속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 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토마토 잎마름역병 등의 진균에 대한 길항능력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균주, 이의 대량 배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병해 방제용 제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환경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과 인식에도 불구하고, 식물병해의 방제를 위해 96.5% 이상이 화학농약에 의존하고 있으며, 단지 0.5%의 생물농약 및 3% 정도의 친환경농자재가 이용되어지고 있다. 화학농약의 과잉 사용은 환경오염,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 병원균 내성 발생에 의한 방제효과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어 식물병해의 친환경 생물농약이 대두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식물병충해 방제를 위해 등록된 생물농약은 30여 종에 달하며, 이 중 16개 품목이 식물병해 방제를 목적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현재 Bacillus sp., Pseudomonas sp., Streptomyces sp., Agrobacterium sp. 등의 세균류와 Tricoderma sp., Gliocladium vireus 등의 곰팡이류가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이 중 바실러스 속(Bacillus sp.)을 이용한 미생물농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대상병원균은 주로 과채류의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역병 등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대상 병해인 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등에는 적용 사례가 미진하여 일반 화학농약 또한 방제 효과가 미흡하여 재배농가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길항미생물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균주를 분리하여 난방제 병해인 탄저병, 흰가루병, 잎마름역병 등에 방제 효과가 특히 우수하고, 그 외의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미생물제제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균주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2)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로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토마토 흰가루병균(Golovinimyces cichoracea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3) 상기 (2)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는, 고추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토마토 잎마름역병 등의 식물병원균에 대해 넓은 생육저지 효과를 나타내어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생물학적 방제에 있어 길항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여 친환경 미생물농약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콜로니 특징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낸 서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gyrB 유전자의 염기서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gyrB 유전자의 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낸 서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길항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작물재배 중인 토양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TSA 배지(Triptic Soy Agar; 리터당 Trypton 17g, Soytone 3g, Glucose 2.5g, NaCl 5g, K2HPO4 2.5g 및 Agar 18g 포함)를 제조 및 멸균 후 페트리디쉬에 약 20㎖씩 분주하였다. 한편, 채취한 토양시료 1g을 멸균생리식염수에 100㎖에 현탁하고 104배까지 연속 희석한 희석액 100㎕를 상기 TSA 배지에 도말하였다. 상기 도말한 배지를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나타나는 바실러스 균주의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 만을 따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바실러스 균주들을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식물병원균과 25℃에서 4~5일 간 대치 배양하였으며,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를 비교하여 항균활성 여부를 확인하고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상기 생육저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식물병원균은 배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kikuchiana), 감귤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 배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nashicola), 사과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inaequalis),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토마토 잎곰팡이병균(Cladosporium fulvum),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coccodes),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감자 시들음병균(Fusarium solani),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토마토 잎마름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토마토 균핵병균(Sclerotinia minor), 벼 키다리병균(Fusarium moniliforme), 잔디 탄저병균(Colletotrichum caudatum), 잔디 피시움잎마름병균(Pythium sp.) 및 잔디 갈색퍼짐병균(Rhizoctonia solani)의 16종을 사용하였다.
(1) 선발된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콜로니 형태 및 세포 형태 특성을 조사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A 평판배지에 형성된 콜로니 형태는 연한 노란색의 불규칙적인 형태의 콜로니로 관찰되었다.
한편,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을 통해 세포 형태를 관찰하였다. 주사현미경 관찰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콜로니를 중심으로 배지를 도려낸 후 2.5%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에 넣어 4℃에서 15~24시간 동안 전고정한 후, 0.1M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pH 7.0)fh 10분씩 3회 세척하고 다음 1% 오스뮴 테트록사이드(osmium tetroxide)를 넣어 4℃에서 2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이러한 고정된 세균을 50% 에탄올에서 100% 에탄올까지 순차적으로 탈수시킨 후 50% 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yl acetate; isoamyl acetate:alcohol=1:1)로 10분 동안 복분해시키고, 100% 이소아밀 아세테이트로 5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임계점건조장치(critical point dryer; CPD 030)로 임계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시료를 시료대에 흡착시킨 후 스퍼터 코팅기(sputter coater; SCK 005)를 이용하여 금으로 코팅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 형태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API 50CHE Kit를 이용하여 KB-MJK 601 균주의 당분해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glycerol, L-arabinose, ribose, D-xylose, glucose, fructose, mannose, insitol, mannitol, sorbitol, α-methyl-D-glucoside, N-acethyl-glucosamine, amygdalin, arbutin, esculin, salicin, cellobiose, maltose, lactose, melibiose, sucrose, trehaolse, melezitose, raffinose, glycogen, gentiobiose 및 D-turanose를 분해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계통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의 경우, erythritol, amygdalin, arbutin 및 gluconate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KB-MJK 601 균주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고, KB-MJK 601의 경우, L-arabinose, cellobiose, inulin 및 D-turanose에는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은 음성반응을 보여, 계통학적으로는 유사하나, 표현형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동정
선발된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 동정을 16S rRNA와 gyrase subunit B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ibosomal DNA 시퀀싱(sequencing) 수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Benzyl chloride법을 변형한 방법을 이용하여 chromosomal DNA를 추출하고 16S rRNA 시퀀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라이머(primer)인 27F(5'-AGAGTTTGATCCTGGCTCAG-3')와 1492R(5'-GGTTACCTTGTTACGACTT-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94℃에서 30초간 변성(denaturation), 58℃에서 30초간 어닐링(annealing) 및 72℃에서 45초간 중합(polymerization)시키는 조건에서 PCR로 증폭하였다. 상기 증폭된 PCR 결과물을 0.8%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수행한 후 약 1400bp의 16S ribosomal DNA를 분지 정제하여 Genetic analyzer 310A(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NCBI/Genebank 및 Ribosomal Database Project Ⅱ(RDP Ⅱ)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동성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발된 균주 KB-MJK 601의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Bacillus 속의 종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RC 15535T(AB255669)와 99.85%, Bacillus vallismortis DSM11031T(AB021198)와 99.70% 및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DSM10T(AJ276351)와 99.62%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효균주 KB-MJK 601은 Bacillus subtilis 그룹들의 근연종 간에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사용되고 있는 DNA gyrase subunit B(gyrB) 유전자에 의한 동정이 요구되었다. 이하, 선발된 KB-MJK 601의 gyrB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를 설명한다.
상기 추출된 chromosomal DNA를 분리한 후 gyrB 시퀀싱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로 UP-1S(5'-GAAGTCATCATGACCGTTCTGCAYGCNGGNGGNAARTTYGA-3') 및 UP-2R(5'AGCAGGGTACGGATGTGCGAGCCRTCNACRTCNGCRTCNGTCAT-3')를 사용하여 94℃에서 30초간 변성, 61℃에서 30초간 어닐링 및 72℃에서 1분간 중합시키는 조건에서 PCR로 증폭하였다. 상기 증폭된 PCR 결과물을 0.8%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약 1100bp의 DNA gyrase subunit B를 분리 정제하여 Genetic analyzer 310A(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도 5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NCBI/Genebank 및 Ribosomal Database Project Ⅱ(RDP Ⅱ)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동성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발된 균주 KB0MJK 601의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Bacillus 속의 종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GU568215)와 99.02%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KB-MJK 601 균주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로 명명하고 2010년 08월 17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a)에 기탁하고 KCTC 11748BP의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4)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균체 지방산 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균체 지방산 조성 분석을 위하여 TSB(Trypticase Soy Broth)에 agar 1.5%를 첨가한 평판배지에 균체를 접종하고 28℃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대수기의 균체를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균체 약 50㎎(wet weight)을 teflon-lined screw cap tube(13×100㎜, pyrex)에 옮긴 후, Ikemoto & Miyagawa의 방법에 의해 균체지방산을 메틸에스테르(methyl ester)화 시켜 추출하였다. 상기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분석에는 Micobial Identification System(MIDI; Microbial ID, Inc.,Newark, Del., USA)을 이용하여 6890N Gas chromatograph(Agilent Technologies)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선발된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체 지방산 분석결과, 주요 지방산으로 C15:0 anteiso 39.65%, C15:0 iso 23.31%를 나타내었으며, C16:0, C17:0 iso, C17:0 anteiso 등과 같은 다양한 지방산을 함유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표준균주의 주요 균체지방산 조성과도 유사한 균체지방산 조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길항미생물 KB - MJK 601 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배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kikuchiana), 감귤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 배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nashicola), 사과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inaequalis),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토마토 잎곰팡이병균(Cladosporium fulvum),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coccodes),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감자 시들음병균(Fusarium solani),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토마토 잎마름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토마토 균핵병균(Sclerotinia minor), 벼 키다리병균(Fusarium moniliforme), 잔디 탄저병균(Colletotrichum caudatum), 잔디 피시움잎마름병균(Pythium sp.) 및 잔디 갈색퍼짐병균(Rhizoctonia solani)의 16종을 사용하였다. 먼저, PDA 배지(Potato Dextrose Agar)를 제조 및 멸균 후 페트리디쉬에 약 20㎖씩 분주하고, 식물병원균이 붙어있는 2개의 agar piece를 양쪽 가장자리에 접종하고 가운데에는 길항미생물 1개의 single colony를 접종하였다.(도 7 참조) 이후 25℃에서 4~5일간 대치배양하여 식물병원균에 대한 생육저지 효과를 비교하여 항균활성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은 감귤 검은점무늬병균, 잿빛곰팡이병균, 고추 탄저병균, 토마토 균핵병균, 잔디 갈색퍼짐병균 등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감귤 검은점무늬병균, 고추 탄저병균 등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길항미생물 KB - MJK 601 균주의 배양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을 MY-2(표 4 참조)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포자생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배양은 25℃ 및 250ℓ 발효기(Fermenter)에서 160rpm, 1.0~1.5vol/vol/min 및 pH 6.0~7.0에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현미경(400배)을 통하여 포자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양액 내의 포자수는 ㎖당 2.0×109~1.0×1010CFU(Colony Forming Unit)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4
실시예 4: 길항미생물 KB - MJK 601 균주의 고추 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및 토마토 잎마름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된 길항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의 배양액을 고추 탄저병, 토마토 흰가루병 및 토마토 잎마름역병이 발병된 포장에서 방제효과를 이하에서와 같이 확인하였다.
상기 포장에서의 방제효과 검정은 본 발명에 따른 길항미생물 KB-MJK 601의 배양액을 500배로 희석하여 고추탄저병에 대하여는 발병 초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 하였고,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7일 간격으로 3회 관주처리 하였으며, 토마토 잎마름역병에 대하여는 발병 직전 5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 하였다. 시험구는 난괴법으로 3회 반복 처리하였으며, 대조약제로서 고추탄저병에 대해서는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를,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해서는 사이플루페나미드·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를, 토마토 잎마름역병에 대해서는 디메쏘모로프·티디아논 수화제로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각 병원에 대한 방제효과를 하기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5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6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7
표 5 내지 표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을 이용한 방제효과는 고추탄저병에 대해 70.1%,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해 88.6% 및 토마토 잎마름역병에 대해 69.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화학 제제를 사용할 경우의 방제효과에 근접한 우수한 방제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길항미생물 KB - MJK 601 균주의 제형화
길항미생물 KB-MJK 601 균주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길항력 제고에 효과적이고 산업화가 가능한 L-glutamica acid 1% 및 글루코오스(glucose) 1%를 첨가한 영양배지(NB)에 상기 KB-MJK 601 균주를 접종하여 28℃ 및 125rpm에서 5일간 진탕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액으로 이용하여 액상수화제, 수화제 및 유상현탁제로 제조하였다.
상기 액상수화제는, 상기 진탕배양액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 소르빈산칼륨(sodium sorbate), 프로피온산나트륨(sodium propionate) 등의 안정제를 0.1~0.5% 첨가하여 상온에서의 안정성을 도모하였으며, 분산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tridecyl ether) 및 amines coco alkyl ethoxylated를 2~5% 사용하였고, 제조시 길항미생물의 기주에서의 안정적 생육을 위해 보습제로 소듐피씨에이(sodium-PCA), 셀로겐, 콜라겐 등을 0.1~0.5%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길항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기 위해 EFKA-UVALINK ADP 등의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액상수화제 배합을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8
상기 수화제는, 상기 진탕배양액 200㎖에 고령토, 제오라이트, 대두분, 밀가루 등의 증량제 중에서 예비실험 결과 제형화 용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고령토와 FeSo4·7H2O 및 MnCl2·4H2O의 미량원소, 수화성 및 분산성 촉진을 위한 도데실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소듐솔트(sodium salt) 등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하기 표 9와 같이 조성하고, 40℃에서 48시간 건조 후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09
한편, 미생물에 의한 효과를 보조하기 위해 항균성오일과의 합제 형태의 유상현탁제를 개발하였다. 상기 유상현탁제 제조를 위해 유칼리유(eucalyptus oil), 카놀라유(carnola oil), 쿠르쿠마유(curcuma oil) 및 피마자유(castor oil)을 이용하였고, 친환경자재로의 사용이 가능한 EPA List 4A 및 4B를 이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최종 유상현탁제 배합을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1360838-pat000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748BP 20100817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3)

  1. 삭제
  2.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로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Golovinimyces cichoracearum을 병원체로 하는 토마토 흰가루병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
  3. 제2항의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MJK 601(수탁번호: KCTC 11748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0110014038A 2011-02-17 2011-02-17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32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38A KR101329231B1 (ko) 2011-02-17 2011-02-17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38A KR101329231B1 (ko) 2011-02-17 2011-02-17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47A KR20120094647A (ko) 2012-08-27
KR101329231B1 true KR101329231B1 (ko) 2013-11-13

Family

ID=4688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38A KR101329231B1 (ko) 2011-02-17 2011-02-17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3054A (zh) * 2016-01-04 2016-04-13 河北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解淀粉芽孢杆菌ws-8及其应用
KR20240010217A (ko) 2022-07-15 2024-01-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e 100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진균병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식물 진균병 방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08B1 (ko) * 2012-11-15 2014-12-31 고려바이오주식회사 미생물과 천연물 유래 물질을 이용한 과채류 흰가루병 방제제
WO2014129680A1 (ko) * 2013-02-21 2014-08-28 (주)한국바이오케미칼 식물 병원균 방제기술, 방제방법 및 조성물
KR101466219B1 (ko) * 2013-12-23 2014-11-28 충청남도 밤나무 종실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능을 갖는 친환경 방제제
KR101670592B1 (ko) * 2015-04-24 2016-10-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트로페우스 lb14 균주
CN114507614A (zh) * 2021-07-30 2022-05-17 河北农业大学 一种降解秸秆并抑制植物病原真菌的芽孢杆菌及其应用
CN114250171B (zh) * 2021-12-08 2023-07-18 海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海南省农业科学院农产品质量安全与标准研究中心) 一种解淀粉芽孢杆菌Yb-2及其分离方法与应用
CN114891702B (zh) * 2022-06-30 2023-06-09 河北农业大学 一株具有生防作用的解淀粉芽孢杆菌l19、菌剂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624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케이티지비0202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KR20050095059A (ko) * 2004-03-24 2005-09-29 한국화학연구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KR20080010191A (ko) * 2006-07-26 2008-01-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lp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0838103B1 (ko) * 2007-06-29 2008-06-16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션스 씨씨178 및 이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 방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624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케이티지비0202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KR20050095059A (ko) * 2004-03-24 2005-09-29 한국화학연구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KR20080010191A (ko) * 2006-07-26 2008-01-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lp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0838103B1 (ko) * 2007-06-29 2008-06-16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션스 씨씨178 및 이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 방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3054A (zh) * 2016-01-04 2016-04-13 河北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解淀粉芽孢杆菌ws-8及其应用
CN105483054B (zh) * 2016-01-04 2019-05-24 河北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解淀粉芽孢杆菌ws-8及其应用
KR20240010217A (ko) 2022-07-15 2024-01-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e 100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진균병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식물 진균병 방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47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31B1 (ko)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Trotel-Aziz et al. Characterization of new bacterial biocontrol agents Acinetobacter, Bacillus, Pantoea and Pseudomonas spp. mediating grapevine resistance against Botrytis cinerea
Mbarga et al. Trichoderma asperellum: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for Pythium myriotylum, causal agent of cocoyam (Xanthosoma sagittifolium) root rot disease in Cameroon
KR101089149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s3-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EP3178920A1 (en) Paenibacillus polymyxa schc 33 bacterial strain, and use thereof to combat phytopathogenic fungi in fruits, vegetables or plants
Li et al. Assessment of antifungal activities of a biocontrol bacterium BA17 for managing postharvest gray mold of green bean caused by Botrytis cinerea
KR20050095059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KR101101783B1 (ko) 항균활성과 살충력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0812649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vsv-12 kctc10936b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
Andargie et al.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otential bio-control fungal endophytes against Ustilagonoidea virens on rice plants
Yang et al. Screening potential bacterial biocontrol agents towards Phytophthora capsici in pepper
CN107142226B (zh) 一种枯草芽胞杆菌atr2及制备方法和应用
Radhika et al. Evaluation of larvicidal activity of soil microbial isolates (Bacillus and Acinetobactor Sp.) against Aedes aegypti (Diptera: Culicidae)-the vector of Chikungunya and Dengue
KR101181756B1 (ko) 항진균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수화제
Zhang et al. Isolation of an anti-entomopathogenic fungal protein secreted from Pseudomonas aeruginosa BGf-2: an intestinal bacteriam of Blattella germanica (L.)
KR100735572B1 (ko)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스트렙토마이세스 파다누스 vsp-32 및 이를 이용한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Mu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acillus atrophaeus strain J-1 as biological agent of apple ring rot disease
Vehapi et al. Production of Bacillus subtilis soil isolate as biocontrol agent under bioreactor conditions
KR100914225B1 (ko)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sm008s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Mushtaq et al. Antagonisitic potential of soil bacteria against food borne fungi
Akrof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from different cacao progenies and thei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the black pod disease pathogen, Phytophthora palmivora
KR20100116023A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Mouloud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hizospheric Streptomyces spp. for the biocontrol of Fusarium wilt (bayoud) disease of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