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661B1 - 자동차용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661B1
KR101328661B1 KR1020110131098A KR20110131098A KR101328661B1 KR 101328661 B1 KR101328661 B1 KR 101328661B1 KR 1020110131098 A KR1020110131098 A KR 1020110131098A KR 20110131098 A KR20110131098 A KR 20110131098A KR 101328661 B1 KR101328661 B1 KR 10132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g
protruding
light source
moving par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469A (ko
Inventor
김창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6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을 에이밍하기 위한 에이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부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고정점을 제시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포함되는 결합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에이밍 수단과 상기 결합홀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고, 에이밍 수단 및 결합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A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를 에이밍하기 위한 에이밍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대향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빛의 조사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상향램프와 하향램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하향램프의 일례로써, 차량용 램프 상단 가장자리에 컷오프 라인(cutoff line)을 갖는 하향램프용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반대측 차량의 운전자들을 눈부시게 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하향램프가 설치된 차량의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고, 따라서,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복수의 광원 유닛의 광조사 패턴을 중합시킴으로써, 하향램프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패턴(patter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유닛의 광조사 패턴을 중합시킴으로써 하향램프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때, 복수의 광원 유닛의 광조사 패턴은 컷오프 라인(cutoff line)을 갖는 L1, L2 및 L3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 유닛의 광조사 패턴을 중합시켜 배광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광원 유닛의 설치 정밀도에 따라, 각각의 광조사 패턴이 원하는 형상으로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3의 광조사 패턴은 L1 및 L2의 광조사 패턴과 ΔL만큼의 어긋남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헤드램프는 차량의 상태에 맞게 상하 및 좌우로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조절하는 것을 에이밍(aiming)이라고 하며, 보통 에이밍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조정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광원 유닛의 설치 정밀도에 따라, 각각의 광조사 패턴이 원하는 형상으로 얻어지지 않는 경우를 보상하기 위해, 에이밍 수단을 구비하여 광원 유닛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3의 광조사 패턴의 ΔL만큼의 어긋남을 보상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에이밍 수단을 통해 각 광원 유닛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각 광원 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광원 유닛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복수의 광원 유닛의 광조사 패턴을 중합시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광원 유닛이 아닌, 단일의 광원 유닛에서도 에이밍 수단을 통해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의 광원 유닛에서도 상술한 문제점은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에이밍 작업시 광원 유닛의 이동이 자유로운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을 에이밍하기 위한 에이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부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고정점을 제시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포함되는 결합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상기 에이밍 수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슬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 유닛은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광원; 상기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리플렉터; 및 상기 광원의 전면에 장착되어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을 조사할 수 있도록 투과시켜주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리플렉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는 돌출단부 및 돌출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중심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단부는 제1돌출단부 및 제2돌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단부의 돌출높이보다 높거나,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이고,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경사면의 형태이거나,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에이밍 수단과 상기 결합홀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고, 에이밍 수단 및 결합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함에 있어서,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통해, 상기 에이밍 수단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따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되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이 흐름이 가장 자연스러운 지점을 이동부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패턴(patter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반적인 구조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c는 상기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1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2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3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부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일반적인 구조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10)의 광원 유닛은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광원을 제공하는 LED 모듈 및 상기 광원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리플렉터(11),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장착되어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을 조사할 수 있도록 투과시켜주는 렌즈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부의 구성 및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a에서는 단수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복수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광원 유닛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램프(10)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차량에 직접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부(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용 램프는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램프(10)는 에이밍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부(30)는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며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40), 상기 제1고정부(20)와 연결되며 고정점을 제시하는 제2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및 제2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는 리플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 수단은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에이밍 수단(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을 차량의 상태에 맞게 상하 또는 좌우로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명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에이밍 수단의 볼트 또는 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명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50)는 고정점을 제시하며, 상기 볼트 또는 나사의 회전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가 전후 방향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조명부가 이동하여 에이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0)는 고정된 제1수직축(Y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50)은 상기 제1수직축(Y1)과 평행을 이루는 제2수직축(Y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이밍 수단(60)은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축(X)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직축 및 제2수직축은 고정축을 제공하면서, 상기 회전축(X)을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여 에이밍될 수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이 수직 에이밍 수단인 경우, 상기 광원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에이밍 수단이 수평 에이밍 수단인 경우, 상기 광원 유닛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40)는 조명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플렉터와 연결되어, 에이밍 시 이동이 가능한 부분으로써,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이동부의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41)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41)에 형성되는 결합홀(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41)는 상기 조명부, 보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은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에서의 결합홀은 원형의 결합홀에 해당하며, 상기 원형의 결합홀에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일반적인 구조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을 도시한 사진이다. 이때, 도 2c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를 좁게 한 경우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2d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를 넓게 한 경우를 도시한 사진이다.
먼저, 도 2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를 좁게 한 경우, 상기 이동부는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나, 새로운 회전축 X'을 따라 이동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d를 참조하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제2고정부의 이격거리를 넓게 한 경우에도, 상기 이동부는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나, 새로운 회전축 X''을 따라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즉,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가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해야 하나, 새로운 회전축 X' 또는 X''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이동부에서의 결합홀이 원형 형상으로,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에이밍 수단의 직경과 상기 결합홀의 직경이 동일하여, 결합홀과 결합홀에 삽입된 에이밍 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다.
때문에,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이동부의 이동시, 그 이동 거리만큼 회전축도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의 탭핑(tapping)이 수직이 되지 않았다.
즉,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의 탭핑(tapping)이 수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에이밍 수단과 상기 결합홀 간의 마찰저항이 과다해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음은 리플렉터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결국, 에이밍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에이밍 수단과 결합홀의 마찰저항이 과다한 이유로, 에이밍 수단 및 결합홀이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c는 상기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1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는 상술한 도 2a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상술한 도 2a에서와 같이, 광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원 유닛은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광원을 제공하는 LED 모듈 및 상기 광원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리플렉터,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장착되어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을 조사할 수 있도록 투과시켜주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광원 유닛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램프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차량에 직접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용 램프는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에이밍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부는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며,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제1고정부와 연결되며, 고정점을 제시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및 제2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리플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 수단은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이밍부에서의 이동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부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이동부(100)는 조명부, 예를 들면, 리플렉터와 연결되어, 에이밍 시 이동이 가능한 부분으로써,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이동부의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형성되는 결합홀(120)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상기 조명부, 보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은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부에서의 결합홀이 슬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상기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가 상기 슬롯에 삽입시, 상기 슬롯과 상기 에이밍 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게 된다.
즉,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에이밍 수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슬롯 형상의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롯과 슬롯에 삽입된 에이밍 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게 된다.
이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 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하게 하기 위함으로, 이에 대해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100)는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120)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는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131)은 상기 결합홀(120)과 동일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는 제1돌출단부(130a), 제2돌출단부(130c) 및 돌출중심부(13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중심부(130b) 및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을 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중심부(130b)는 상기 제1돌출단부(130a)의 돌출높이보다 높고, 또한, 상기 돌출중심부(130b)는 상기 제2돌출단부(130c)의 돌출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의 돌출 상면은 곡선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볼록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따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에이밍 수단은 고정되고, 이동부가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2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에서의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제3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230)는 제1돌출단부(230a), 제2돌출단부(230c) 및 돌출중심부(23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중심부(230b) 및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을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중심부(230b)는 상기 제1돌출단부(230a)의 돌출높이보다 높고, 또한, 상기 돌출중심부(230b)는 상기 제2돌출단부(230c)의 돌출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230)의 돌출 상면은 평면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경사면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따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에이밍 수단은 고정되고, 이동부가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240)는 제1돌출단부(240a), 제2돌출단부(240c) 및 돌출중심부(24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중심부(240b) 및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을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중심부(240b)는 상기 제1돌출단부(240a)의 돌출높이보다 낮고, 또한, 상기 돌출중심부(240b)는 상기 제2돌출단부(240c)의 돌출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240)의 돌출 상면은 곡면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오목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따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에이밍 수단은 고정되고, 이동부가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도 3c,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는 돌출단부 및 돌출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중심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부는 제1돌출단부 및 제2돌출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단부의 돌출높이 보다 높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이 평면인 경우 경사면의 형태이고,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이 곡면인 경우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 미설명 부호 231, 및 241은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부는 조명부와 연결되며,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에 고정점을 제시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리플렉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 수단은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00)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포함되는 슬롯 형상의 결합홀(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120)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130)는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131)은 상기 결합홀(120)과 동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에이밍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을 차량의 상태에 맞게 상하 또는 좌우로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명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에이밍 수단의 볼트 또는 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명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40)는 고정점을 제시하며, 상기 볼트 또는 나사의 회전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100)가 전후 방향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조명부가 이동하여 에이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부는 상기 이동부(100) 및 상기 고정부(1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탄성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160)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동부와 고정부의 이격거리가 좁혀지거나 넓어지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의 흐름이 가장 자연스러운 지점을 이동부의 위치로 결정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5a 및 도 5b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고정부의 이격거리를 좁게 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 및 도 5d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고정부의 이격거리를 넓게 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0)는 고정된 수직축(Y)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이밍 수단(150)은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축(X)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축은 고정축을 제공하면서, 상기 회전축(X)을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여 에이밍될 수 있다.
이때, 도 5b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이밍 수단이 수직 에이밍 수단인 경우, 상기 광원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에이밍 수단이 수평 에이밍 수단인 경우, 상기 광원 유닛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고정부의 이격거리를 좁게 한 경우, 상기 이동부는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이동부와 고정부의 이격거리를 넓게 한 경우에도, 상기 이동부는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에이밍 수단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가 이동함에 있어서, 새로운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닌, 상기 이동부는 고정된 회전축 X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에서의 결합홀이 슬롯 형상이기 때문으로,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에이밍 수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슬롯 형상의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롯과 슬롯에 삽입된 에이밍 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게 되고,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이동부에서의 결합홀이 원형 형상으로,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에이밍 수단의 직경과 상기 결합홀의 직경이 동일하여, 결합홀과 결합홀에 삽입된 에이밍 수단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어,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이동부의 이동시, 그 이동 거리만큼 회전축도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에이밍 수단인 볼트 또는 나사의 탭핑(tapping)이 수직이 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에이밍 수단과 상기 결합홀 간의 마찰저항이 과다해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에이밍 수단과 결합홀의 마찰저항이 과다한 이유로, 에이밍 수단 및 결합홀이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이밍 수단을 회전시켜 에이밍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에이밍 수단과 상기 결합홀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고, 에이밍 수단 및 결합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마찰없이 이동함에 있어서,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통해, 상기 에이밍 수단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따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되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하면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와 에이밍 수단이 상호 접촉이 흐름이 가장 자연스러운 지점을 이동부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부를 비교한 사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밍부는 이동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 포함되는 슬롯 형상의 결합홀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부 110 : 플레이트부
120 : 결합홀 130, 230, 240 :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
131, 231, 241 : 삽입홀 140 : 고정부
150 : 에이밍 수단

Claims (8)

  1.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을 에이밍하기 위한 에이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부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고정점을 제시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에이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포함되는 결합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상기 에이밍 수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슬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부는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에이밍 수단이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광원; 상기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리플렉터; 및 상기 광원의 전면에 장착되어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을 조사할 수 있도록 투과시켜주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리플렉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는 돌출단부 및 돌출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중심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돌출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부는 제1돌출단부 및 제2돌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단부의 돌출높이보다 높거나, 상기 돌출중심부는 상기 제1돌출단부 및 상기 제2돌출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이고,
    상기 에이밍 수단 가이드 리브의 상면은 경사면의 형태이거나,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수단은 볼트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10131098A 2011-12-08 2011-12-08 자동차용 램프 KR10132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98A KR101328661B1 (ko) 2011-12-08 2011-12-08 자동차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98A KR101328661B1 (ko) 2011-12-08 2011-12-08 자동차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69A KR20130064469A (ko) 2013-06-18
KR101328661B1 true KR101328661B1 (ko) 2013-11-14

Family

ID=4886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98A KR101328661B1 (ko) 2011-12-08 2011-12-08 자동차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5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9980052771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대형 차량용 헤드램프
JP2003178609A (ja) * 2001-12-07 2003-06-27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08234861A (ja) * 2007-03-16 2008-10-0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5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9980052771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대형 차량용 헤드램프
JP2003178609A (ja) * 2001-12-07 2003-06-27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08234861A (ja) * 2007-03-16 2008-10-0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69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081B1 (ko) 차량용 전조등
KR100645864B1 (ko) 차량용 전조등
JP694192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8708539B2 (en) Vehicular lamp
CN105737059B (zh) 车用头灯模块的发光结构
US20050094413A1 (en) Vehicular headlamp
JP666316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8104938B2 (en) Vehicle headlamp
EP1985915B1 (en) Vehicle headlight
GB2375599A (en) Auxiliary headlamp with inclined axis adjusts beam for corners
CN1128306C (zh) 车辆前照灯
CN109307235A (zh) 车辆用灯具
CN105246739B (zh) 用于汽车前照灯的灯光模块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7600904B2 (en) Vehicle headlamp
CN204437916U (zh) 车辆用头灯
KR101328661B1 (ko) 자동차용 램프
US9175823B2 (en) Vehicular headlamp
JP6825308B2 (ja) 車両用灯具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20140014513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110115017A (ko) 광원모듈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KR20080076040A (ko) 복수의 빔 패턴을 제공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KR101369976B1 (ko)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