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656B1 -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8656B1 KR101328656B1 KR1020120045429A KR20120045429A KR101328656B1 KR 101328656 B1 KR101328656 B1 KR 101328656B1 KR 1020120045429 A KR1020120045429 A KR 1020120045429A KR 20120045429 A KR20120045429 A KR 20120045429A KR 101328656 B1 KR101328656 B1 KR 1013286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weight
- vertical frame
- weight body
- fr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조로 낙하되며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중량체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를 수직이동시키는 이송기구로 이루어지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이 구비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돌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조절공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중량체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관통공 및 조절공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걸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는 타측의 연결부재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도록하여 상기 중량체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자유낙하 실험시 중량체의 각도를 변화시키므로 선박의 운항중 다양한 각도로 부딪히는 파랑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이 가능하며, 중량체의 무게중심이 변화하기 않고, 중량체의 자유낙하시 최소한의 저항으로 실험을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실험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체의 각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유체표면에 자유낙하시켜 중량체에 대한 충격시험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고, 충격시험에 의한 중량체의 충격강도 특성을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슬로싱 충격하중을 흡수하게 되는 중량체의 성능을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이하 LNG)}는 1950년대 중반부터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여, 초기에는 고압가스의 상태로 해상운송을 하는 방식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내부압력을 견디도록 구성되어 선체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냉각에 의해 체적을 1/600로 감소시킨 후, 극저온(-163℃)의 대기압 상태로 수송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는 바, 현재의 LNG 운반선은 탱크 형식에 따라 독립구형 탱크방식과 멤브레인 탱크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독립구형 탱크방식은 화물창이 구형 구조를 가지므로 열수축 및 팽창에 대한 장점을 갖지만, 제작기간이 길고 탱크의 용량이 작은 단점이 있다.
멤브레인 탱크방식은 독립구형 탱크방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설계변형도 비교적 자유로워 LNG를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 탱크방식의 LNG 운반선은 LNG를 액화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해 영하 163도를 유지시키는 단열구조를 갖도록 화물창이 형성된다. 이 화물창은 그 폭만 수십미터에 달하고, 파랑 등으로 인한 선박의 움직임이 화물창 내부에서 슬로싱(sloshing)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슬로싱 현상은 액체가 부분적으로 저장된 용기가 강제운동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자유표면의 유동을 말한다.
이와 같이 선박이 해상에서 운항하며 운동하는 주기가 LNG 탱크에 있는 액체화물의 고유주기와 같아지게 되면 액체화물의 유동은 탱크 상부 또는 벽면에서 심각한 충격하중을 유발할 수 있어 액체화물의 충격에 대한 충격성능의 검증을 요구하게 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 내부에 일정거리 이격 되게 쌍으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과, 상기 수직프레임(2) 내측을 따라 낙하되는 중량체(3)와, 상기 수직프레임(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3)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송기구(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기구(4)는 상기 중량체(3) 상측에 설치되어 중량체(3)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실험 위치되는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3)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를 구비하여, 유체에 낙하되는 시점에 각종 데이터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4)에 의해 상기 중량체(3)의 높이가 조절되어, 이송기구(4)에서 중량체(3)를 분리시켜 중력에 자유낙하되는 방법을 통해 충격시험을 하여 왔다.
그러나, 선박과 같이 파랑이 발생되는 지역을 항행하는 구조물은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되며, 구조물에는 슬래밍, 슬로싱과 같은 유체 거동에 따른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어 구조물의 변형과 손상을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동적인 문제로서 유체와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이 복잡하고 어렵다.
다시말해, 구조물의 6자유도 운동에 의해 내부의 유체는 다양한 각도로 슬래밍, 슬로싱 같은 충격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거동이 다양한 각도로 발생되기 때문에 자유낙하 실험에 사용되는 중량체 하부에 다양한 경사부재를 덧되는 실험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량체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낙하실험을 통해 정확한 실험데이터를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량체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경사부재는 중량체에 용접으로 결합되므로 다양한 각도로 실험을 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유체의 슬래밍, 슬로싱에 따른 다양한 각도에서 발생되는 충격강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실험에 사용되는 중량체의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시켜 충격시험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충격시험이 안정되게 수행될 있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조로 낙하되며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중량체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를 수직이동시키는 이송기구로 이루어지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이 구비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돌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조절공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중량체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관통공 및 조절공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걸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는 타측의 연결부재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도록하여 상기 중량체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LM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의 수직프레임 하부에는 상기 중량체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의 연결부재에 의해 중량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낙하실험이 가능하므로, 구조물의 6자유도 운동에 따른 다양한 각도에서 유체의 슬래밍, 슬로싱되는 조건에 동일하게 실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항상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험이 행해지고, 수직 프레임을 LM가이드를 사용하므로 최소한의 저항이 중량체에 가해지므로 정확한 실험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의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의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는 수조(10)와, 상기 수조(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조(10)로 낙하되며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중량체(30)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30)를 수직이동시키는 이송기구(40)로 이루어지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에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122)이 구비된 제1브라켓(120) 및 상기 제1브라켓(120)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돌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조절공(132)이 구비된 제2브라켓(13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중량체(30)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12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관통공(122) 및 조절공(132)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걸이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100)는 타측의 연결부재(100)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도록하여 상기 중량체(30)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수조(10), 수직프레임(20), 중량체(30) 및 이송기구(4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조(10)는 강도와 경도가 강한 콘크리트의 다면체 구조이고,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기 수조(10) 내측에 결합되어 일부가 유체에 접촉되며, 유체표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양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게 되며, 이격된 공간 사이로 상기 중량체(30)가 가이드되게 된다.
상기 중량체(30)는 실험에 이용되는 부재로 상기 수직프레임(20)을 내측을 따라 수직 이동함에 따라 유체에 자유낙하되어 충격시험이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30)는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를 구비하여, 유체에 낙하되는 시점에 각종 데이터를 얻게 된다.
즉, 상기 중량체(30)가 유체에 낙하되는 시점의 속도, 충격량등의 물리적 데이터를 상기 충격 측정용 센서가 측정하게 된다.
상기 이송기구(40)는 상기 수직프레임(2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량체(3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 높이에서 중량체(30)를 낙하시키게 된다.
상술하면, 낙하된 중량체(30)를 상기 수직프레임(2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실험자가 원하는 일정 높이에 도달하여 중량체(30)를 분리시켜 하측 방향으로 자유낙하되도록 한다.
보통, 상기 이송기구(40)는 걸이형 호이스트 또는 마그네틱 호이스트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40)가 걸이형 호이스트인 경우 상기 중량체(30)는 상부에 걸이형 호이스트가 탈착되도록 별도의 체결구(3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10), 상기 수직프레임(20), 상기 중량체(30) 및 상기 이송기구(40)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의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0)는 플레이트(110), 제1브라켓(120) 및 제2브라켓(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기구(4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유낙하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실험이 복수번 행해지므로 강도와 경도가 강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제1브라켓(12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로 결합용홈(1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20)이 상기 수조(10)에서 구비되므로 상기 플레이트(110) 또한 수직프레임(20) 내주 양측에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1브라켓(120)은 상기 플레이트(110)에 돌출 형성되며 관통공(122)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브라켓(120)은 상기 중량체(30)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상기 걸이구(200)에 힌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20)은 상기 결합용홈(112)에 삽입시킨 후, 용접하여 체결강도를 더 높일 수도 있지만, 결합용홈(112)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는 직접 상기 플레이트(110)에 용접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은 상기 플레이트(110)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브라켓(120)보다 더 돌출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브라켓(120)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130)은 상기 제1브라켓(12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복수 개의 조절공(132)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중량체(30)의 일측 또는 타측중 어느 한곳을 원하는 각도만큼 리프트시켜 상기 걸이구(200)를 상기 높이에 해당되는 조절공(132)에 힌지 결합시키므로 중량체(3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공(132)의 간격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중량체(30)의 유체표면과 각도 조절시 상기 조절공(132)의 위치에 따라 각도 변화가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브라켓(130)도 상기 제1브라켓(120)과 동일하게 체결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용홈(1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200)는 상기 중량체(30)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제1브라켓(12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이격된 간격과 동일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구(200)는 상기 제1브라켓(12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관통공(122) 및 조절공(132)과 각각 힌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구(200)은 상기 제1브라켓(120)과는 상기 중량체(30)을 지지하기 위하여 항상 고정되게 힌지 결합된다.
특히, 상기 걸이구(200)는 상기 중량체(30)가 유체표면에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제2브라켓(130)의 조절공(132)에 힌지 결합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종합하면, 상기 연결부재(100)는 상기 수직프레임(20) 내주 양측에 쌍으로 수직 이동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100)는 타측의 연결부재(100)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 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100)는 타측의 연결부재(100)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일측의 제1브라켓(120)과 타측의 제1브라켓(120)과 일측의 제2브라켓(130)과 타측의 제2브라켓(130)은 엑스자형상으로 교차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구(200)는 상기 제2브라켓(130)의 조절공(132)에 위치를 다르게 힌지 결합시켜, 상기 중량체(30)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부가하면, 상기 중량체(30)에 형성된 걸이구(200)는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1브라켓(120)의 상가 관통공(122)에 항상 위치가 고정되게 힌지 결합되고, 일측 타측에 위치한 제2브라켓(130)의 상기 조절공(132)에 위치를 달리 힌지 결합함으로 상기 중량체(30)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를 도시하는 실시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연결부재(100)와 타측의 연결부재(100)를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일측의 제2브라켓(130)과 타측의 제2브라켓(130)이 엑스자로 대향되게 교차된다.
그리고, 일측의 제2브라켓(130)과 타측의 제2브라켓(130) 및 일측의 제2브라켓(130)과 타측의 제1브라켓(120)이 수평을 이루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130)은 조절공(132)이 상기 플레이트(110)쪽에서 중량체(30)쪽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 걸이구(200)가 상기 플레이트(110)쪽 조절공(132)에 힌지결합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중량체(30)는 유체표면과 각도가 0°인 수평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30)는 유체표면과 일정 각도 조절이 되는 바,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1브라켓(120)과 걸이구(200)는 힌지 결합은 그대로 유지한채,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2브라켓(130)과 걸이구(200)는 힌지 결합을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120)은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중량체(30)가 상기 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중량체(30) 일측 또는 타측만 원하는 각도만큼 리프트시켜 상기 걸이구(200)를 상기 조절공(132)에 다시 힌지 결합하게 되면 각도 조절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에 놓여 있던 중량체(30)가 일측 또는 타측이 리프트 되어 사선 방향으로 놓이게 됨에 따라 걸이구(200)가 상기 조절공(132)에 힌지 결합되는 위치는 플레이트(110)쪽에서 중량체(30)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200)는 직접 상기 중량체(3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중량체(30)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판(210)을 통해 중량체(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걸이구(200)를 상기 연결판(210)에 먼저 결합시킨 후, 연결판(210)을 직접 상기 중량체(30)에 결합하므로 자유낙하 실험시 중량체(30)가 이탈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은 LM가이드인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을 LM가이드로 사용함으로 플레이트(110)와 수직프레임(20)과의 마찰계수가 줄어들어, 마찰저항력을 최소가 되므로 실험에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선박의 운항중 파랑에 의해 유체가 선박 벽면에 슬래밍, 슬로싱되는 경우 저항 없이 직접적으로 충격을 전달하기 때문에 상기 중량체(30)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의 가이드 없이 직접 낙하되는 것이 좋으나, 중량체(30)의 조건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수직프레임(20)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30)가 자유낙하 되는 경우는 어느 정도 저항은 존재하게 되나,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을 LM가이드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110)의 후면은 상기 LM가이드에 결합되기 위해 LM가이드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는 것은 당연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10)의 수직프레임(20) 하부에는 상기 중량체(30)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30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는, 유체가 상기 중량체(30)가 자유낙하할 경우 충격흡수를 하게 되나, 중량체(30)는 상당하게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서 자유낙하할 경우 유체만으로 충격흡수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10) 하부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300)를 구비하여, 상기 중량체(30)가 수조(10) 바닥에 부딪히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300)는 유압으로 구동되거나,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중량체의 각도를 달리하여 자유낙하 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조
20: 수직 프레임
30: 중량체
40: 이송기구
100: 연결부재
110: 플레이트
112: 결합공
120: 제1브라켓
122: 관통공
130: 제2브라켓
132: 조절공
200: 걸이구
210: 연결판
300: 댐퍼
20: 수직 프레임
30: 중량체
40: 이송기구
100: 연결부재
110: 플레이트
112: 결합공
120: 제1브라켓
122: 관통공
130: 제2브라켓
132: 조절공
200: 걸이구
210: 연결판
300: 댐퍼
Claims (3)
- 유체를 수용하는 수조(10)와, 상기 수조(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조(10)로 낙하되며 내부에 충격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중량체(30)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30)를 수직이동시키는 이송기구(40)로 이루어지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에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122)이 구비된 제1브라켓(120) 및 상기 제1브라켓(120)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돌출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조절공(132)이 구비된 제2브라켓(13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중량체(30)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12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관통공(122) 및 조절공(132)과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걸이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연결부재(100)는 타측의 연결부재(100)와 상하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도록하여 상기 중량체(30)와 유체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은 LM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의 수직프레임(20) 하부에는 상기 중량체(30)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5429A KR101328656B1 (ko) | 2012-04-30 | 2012-04-30 |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5429A KR101328656B1 (ko) | 2012-04-30 | 2012-04-30 |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2250A KR20130122250A (ko) | 2013-11-07 |
KR101328656B1 true KR101328656B1 (ko) | 2013-11-14 |
Family
ID=498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5429A KR101328656B1 (ko) | 2012-04-30 | 2012-04-30 |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865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931B1 (ko) * | 2014-12-10 | 2015-04-2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슬로싱 충격 구현용 낙하실험 장비 |
KR20170020050A (ko) * | 2015-08-13 | 2017-02-22 | 김승만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중력현상 낙하관찰 실험교구 |
KR20190138127A (ko) | 2018-06-04 | 2019-12-1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극저온 구조물의 슬로싱 충격 시험 장치 |
KR20230047799A (ko) | 2021-10-01 | 2023-04-10 |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충격 시험 지그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6928A (ko) | 2015-03-03 | 2016-09-13 | 화이버텍(주) | 충격시험장치 |
WO2021046848A1 (zh) * | 2019-09-14 | 2021-03-18 | 南京东南建筑机电抗震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建筑抗震支吊架的性能检测方法 |
CN110553815B (zh) * | 2019-10-18 | 2024-08-06 | 大连理工大学 | 一种适用于楔形体加速倾斜入水的试验装置 |
CN111735597B (zh) * | 2020-05-20 | 2022-02-25 | 上海交通大学 | 一种适用于核电设备抗震安全性检验的跌落交互试验台 |
CN113503769B (zh) * | 2021-07-20 | 2022-10-25 | 哈尔滨工业大学 | 基于轻气炮的冲击力测量实验装置及其安装方法 |
CN114791350A (zh) * | 2022-03-30 | 2022-07-26 | 武汉理工大学 | 自动化磁吸垂向释放砰击入水试验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0040A (ja) * | 1984-08-20 | 1986-03-12 | Mitsubishi Heavy Ind Ltd | 衝撃液圧試験機 |
JPH052051U (ja) * | 1991-04-01 | 1993-01-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衝撃試験装置 |
KR20110058431A (ko) * | 2009-11-26 | 2011-06-0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
-
2012
- 2012-04-30 KR KR1020120045429A patent/KR1013286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0040A (ja) * | 1984-08-20 | 1986-03-12 | Mitsubishi Heavy Ind Ltd | 衝撃液圧試験機 |
JPH052051U (ja) * | 1991-04-01 | 1993-01-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衝撃試験装置 |
KR20110058431A (ko) * | 2009-11-26 | 2011-06-0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931B1 (ko) * | 2014-12-10 | 2015-04-2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슬로싱 충격 구현용 낙하실험 장비 |
KR20170020050A (ko) * | 2015-08-13 | 2017-02-22 | 김승만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중력현상 낙하관찰 실험교구 |
KR101721922B1 (ko) | 2015-08-13 | 2017-03-31 | 김승만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중력현상 낙하관찰 실험교구 |
KR20190138127A (ko) | 2018-06-04 | 2019-12-1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극저온 구조물의 슬로싱 충격 시험 장치 |
KR20230047799A (ko) | 2021-10-01 | 2023-04-10 |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충격 시험 지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2250A (ko) | 2013-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8656B1 (ko) |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장치 | |
KR101110110B1 (ko) |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 |
KR101358326B1 (ko) | 슬로싱 억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방법 | |
KR101514931B1 (ko) | 슬로싱 충격 구현용 낙하실험 장비 | |
CN103562463B (zh) | 用于桩的测量系统 | |
ES2913427T3 (es) | Aparato y método de ensayo de choque | |
CN109855837B (zh) | 用于航行器出入水试验的模型半约束发射装置及试验方法 | |
Chuang et al. | Impact pressure and void fraction due to plunging breaking wave impact on a 2D TLP structure | |
CN107807054B (zh) | 多功能抗冲击性能测试装置 | |
JP6821890B2 (ja) | 水槽模型係留試験装置及び水槽模型係留試験方法 | |
CN103759872A (zh) | 用于海洋平台模型振荡试验的多自由度测力装置 | |
CN104081108B (zh) | 液化天然气运输船货物集装箱内晃荡现象的测量装置及方法 | |
US9310282B2 (en) | Impact testing device | |
KR101259142B1 (ko) | 슬로싱 테스트 장치 | |
Wei et al.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ntrapped air on the hydroelasticity induced by liquid slamming under shallow-water condition | |
CN102680316A (zh) | 用于测试金属棒材试样拉伸应力-拉伸应变的测试夹具 | |
KR101243786B1 (ko) | 해양구조물의 유체 정하중 계측장치 | |
CN204535957U (zh) | 一种液舱晃荡实验装置 | |
Cheung et al. | Hydrodynamic response of a pneumatic floating platform | |
Bogaert et al. | Full and large scale wave impact test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loshing: results of the sloshel project | |
CN104764587B (zh) | 一种液舱晃荡实验装置 | |
CN102114898B (zh) | 一种浮筒模型质量分布调节装置 | |
KR101259146B1 (ko) | 슬로싱 테스트 장치 | |
KR102127190B1 (ko) | 스프링을 이용한 절단계류 모형시험 장치 | |
Iwasaki et al. | Core seismic experiment of a full-scale single model for a fast re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