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32B1 -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32B1
KR101328032B1 KR1020100107233A KR20100107233A KR101328032B1 KR 101328032 B1 KR101328032 B1 KR 101328032B1 KR 1020100107233 A KR1020100107233 A KR 1020100107233A KR 20100107233 A KR20100107233 A KR 20100107233A KR 101328032 B1 KR101328032 B1 KR 10132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600A (ko
Inventor
정진
홍성철
송만종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 있어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적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AR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 의한 증강현실 서비스는, 인쇄서적의 페이지를 펼쳐 이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재생장치가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페이지 내에 특정 마커(marker)가 기록되어 있음에 따라 촬영된 영상 내에서 특정 마커가 인지되면 해당 마커에 연결된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실제 영상 즉 페이지를 촬영한 영상 위에 그려주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의 마커란 실제로 2차원 평면 위에 존재하면서, 자신과 연결된 3차원 그래픽모델이 그려질 크기,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헌데, 전술한 종래의 증강현실 서비스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예 : PC, 모바일 단말)에 한정된 플랫폼으로 인해 타 단말 특히 일반적인 사용자가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과의 연동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예 : PC, 모바일 단말)와 별도의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결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 및 상기 연결지원부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기능부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상기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지원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출력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기능 수행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된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결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장치(100)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단말장치(100)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쇄서적(10)은, 텍스트 및/또는 그림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오프라인 도서이다. 이러한 인쇄서적(10)은 페이지에 적어도 하나의 증강 현실용의 마커(marker; 1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서적(1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가 펼쳐진 채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촬영구역(1)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쇄서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쇄서적(10)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서적식별정보 또는 해당 페이지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페이지식별정보 또는 특정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특정 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증강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10a)를 갖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인쇄서적(10)은 별도의 마커(10a)를 페이지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이다.
즉,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 시, 또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금번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내장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콘솔(Console)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PC장치와, 스마트폰장치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되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또는 스마트폰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예 : 페이지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인쇄서적(10)의 해당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대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110)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120)와,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내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설치기능부(120)를 제어하는 연동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연결지원부(110)는,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능부로서,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다.
설치기능부(120)는,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설치하는 기능을 갖는 인스톨러(Insta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연동제어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연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부이다.
이에,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동제어부(130)는, 연결지원부(110)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컨텐츠 내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기능부(120)로 제공하여 설치기능부(120)로 하여금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설치기능부(120)에 의해 기 설치된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서적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페이지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연동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 즉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조작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입력정보 포함)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제어부(240)와, 연결지원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 저장된 광고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반영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210)를 포함할 것이다.
연결지원부(250)는, 외부의 단말장치(100)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능부로서,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다.
촬영부(210)는,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 및/또는 연동제어부(240)로 제공한다. 이러한 촬영부(210)는, 카메라 및 캠(Cam) 및 스캐너 등과 같이 영상을 촬영/인식하여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기능장치이면 가능할 것이다.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촬영영상 내의 마커를 인지한 인지 결과 즉,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존재하는 경우 어떤 마커가 존재하는지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확인한다.
그리고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전술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의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또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촬영영상 내에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이처럼,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의 마커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고,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하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동제어부(240)는,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제어동작 또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240)는,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로 하여금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기 설정된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제어부(240)는,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연동을 위한 단말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연동제어부(240)는,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한다.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근접 거리 이내의 단말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제어부(24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단말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을 원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리스트에서 특정 단말장치(100)가 선택되면, 연동제어부(240)는,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여 연결지원부(25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면, 연동제어부(240)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연동선택화면을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동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로 하여금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동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동이 선택되면, 현재 연결된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함으로써, 전술한 단말장치(100)의 연동제어부(13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
한편,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연동제어부(240)는, 전술의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인쇄서적(1)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인쇄서적(1)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동제어부(130)는,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후 단말장치(100)에 설치되어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가상객체를 출력하기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일 것이다.
한편, 연동제어부(130)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동제어부(240)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연동제어부(240)는, 인쇄서적(1)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기울여지거나 회전되거나 촬영부(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른 조작정보(예 : 실제좌표 및/또는 가상좌표 변경정보), 특정 조작기능으로 설정된 마커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마커대응 제어정보), 기 설정된 사용자 손동작 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손동작대응 제어정보) 등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여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연동제어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한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거나 또는 확대시켜 변경/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제어부(240)는, 조작정보를 토대로 조작정보에 포함된 입력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상호 연결된다(S10).
그리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하고(S20),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수행한다(S30).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S40).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가상객체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이다.
즉,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다양한 마커프리(marker free) 또는 마커리스(marker-less) 기반의 기 설정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서적(10)에 마커(10a)가 포함되어 마커 인식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 시, 또는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금번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50).
이러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는, 증강현실 구현기능을 내장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콘솔(Console)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PC장치 또는 스마트폰장치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S60).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또는 스마트폰 또는 PDA장치와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된다(S1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유선 접속을 통한 연결을 지원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을 지원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S110), 수신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S13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컨텐츠 내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내장된 설치기능부(120)에 따른 설치 기능을 통해 자동 설치할 수 있다(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S130단계에 있어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특정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설치기능부(120)에 의해 기 설치된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서적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페이지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즉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 즉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S140),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S16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 즉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조작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조작정보(입력정보 포함)를 생성하여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을 촬영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2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S210단계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연결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에서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S220),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S290).
한편, 사용자에 의해 연동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확인하여(S220),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기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단말장치(10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230).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S250)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S25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57).
즉,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연동을 위한 단말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예 :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근접 거리 이내의 단말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단말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을 원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리스트에서 특정 단말장치(100)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S230단계의 존재 여부 확인 결과, 연결된 단말장치(100)가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연동선택화면을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S240), 연동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1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S29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S240), 연동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S260)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S270)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S265).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연동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동이 선택되면, 현재 연결된 단말장치(100)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이에,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함으로써, 전술한 단말장치(100)와 기 설정된 방식을 통해 동기설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와의 동기화를 지원할 것이다(S265).
한편,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7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인쇄서적(1)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와, 인쇄서적(1)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와,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예 : 작가관련정보, 출판관련정보, 줄거리관련정보 등) 및 서적부가정보(예 : 마커정보, 서평정보, 독자층관련정보, 관련타도서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적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인쇄서적(10)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예 : 페이지줄거리정보 등) 및 페이지부가정보(예 : 페이지 마커정보, 단어관련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지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토대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가상객체관련정보 및/또는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후 단말장치(100)에 설치되어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및/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가상객체를 출력하기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일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8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기울여지거나 회전되거나 촬영부(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른 조작정보(예 : 실제좌표 및/또는 가상좌표 변경정보), 특정 조작기능으로 설정된 마커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마커대응 제어정보), 기 설정된 사용자 손동작 인식에 따른 조작정보(예 : 손동작대응 제어정보) 등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중,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이에 대응하여 제공된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켜 변경/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S270단계와 더불어,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220)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S290단계를 함께 병행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함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에 대한 증강현실컨텐츠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0),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S310).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기 위한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조작정보를 토대로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에서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예 : 촬영영상 + 가상객체) 또는 가상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거나 또는 확대시켜 변경/출력하도록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230)의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에 표시/출력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조작정보를 토대로 조작정보에 포함된 입력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조작/정보제공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조작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이동성을 갖는 단말장치 간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여 단말장치에서도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출력/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적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 정보를 이동성의 별도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증강현실 서비스의 다양성 확장 및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단말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 인쇄서적
100 : 단말장치
200 :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Claims (24)

  1. 삭제
  2.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연결지원부;
    상기 연결지원부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설치기능부; 및
    상기 연결지원부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에,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기능부를 제어한 후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서적관련정보 및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설치기능부에 대한 제어와 무관하게 상기 서적관련정보 및 상기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삭제
  6.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서적관련정보 및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설치와는 무관하게 상기 서적관련정보 및 상기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에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이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1. 삭제
  12.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서비스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13. 삭제
  14. 외부의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연결 지원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정보에,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수행되는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및
    설치한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서적관련정보 및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와 무관하게 상기 서적관련정보 및 상기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7. 삭제
  18.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기능 수행단계;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위해 단말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제어동작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연동 제어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정보 또는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이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에 따른 서적관련정보 및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설치와는 무관하게 상기 서적관련정보 및 상기 페이지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컨텐츠 정보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 기능 수행되면,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어동작 또는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와의 연동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연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의 동기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제2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비정상적인 비 정상적인 동기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재 동기설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단계는,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동기능 이용상태로 설정된 경우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단말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와의 기 설정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대응하여, 촬영된 인쇄서적에 대한 표지이미지 및 서적내용정보 및 서적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서적관련정보와, 상기 인쇄서적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이미지 및 페이지내용정보 및 페이지부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페이지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정보와,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렌더링되는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객체관련정보와, 상기 증강현실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23. 삭제
  24.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조작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조작정보를 토대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에 렌더링된 가상객체를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정보에 따른 정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107233A 2010-10-29 2010-10-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2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ko) 2010-10-29 2010-10-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ko) 2010-10-29 2010-10-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00A KR20120045600A (ko) 2012-05-09
KR101328032B1 true KR101328032B1 (ko) 2013-11-13

Family

ID=4626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33A KR101328032B1 (ko) 2010-10-29 2010-10-29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94B1 (ko) * 2016-03-08 2017-04-12 주식회사 아이아라 통신 단말기간 식별 방법
KR102109499B1 (ko) 2019-05-10 2020-05-12 이성진 신체 균형 유지를 위한 보정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보정기의 사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069A (ko) * 2008-04-04 2009-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검색방법
KR20100092712A (ko) *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069A (ko) * 2008-04-04 2009-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검색방법
KR20100092712A (ko) *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공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하태진 외 3명, 상호작용형 증강현실 기반 디지로그 북의 연구동향 및 전망,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제13권제3호(2009년 9월), 89-98 페이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00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5111B2 (ja) 端末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端末画面表示方法
CN104350736B (zh) 附近位置信息的增强现实布置
EP3518080A1 (en) Human-body-gesture-based region and volume selection for hmd
JP2008211379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100131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20133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ctionary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US105042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diting map acquired from server
JP2003288005A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地図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328032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038728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86050A (ja) 情報処理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46304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789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101211178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2009129224A (ja) 画像操作装置と画像操作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操作方法
KR20120035322A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6535801B1 (ja)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拡張現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45293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プログラム
JP6193180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端末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
JP621869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25622A (ja) 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グラフィック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42512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201309764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10698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2101585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