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322A -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322A
KR20120035322A KR1020100096764A KR20100096764A KR20120035322A KR 20120035322 A KR20120035322 A KR 20120035322A KR 1020100096764 A KR1020100096764 A KR 1020100096764A KR 20100096764 A KR20100096764 A KR 20100096764A KR 20120035322 A KR20120035322 A KR 2012003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rker
augmented reality
content
real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박새이
시아오 리우
한호선
정진
홍선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322A/ko
Publication of KR2012003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특정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인지되는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AR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인쇄서적의 페이지를 펼쳐 이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페이지 내에 특정 마커(marker)가 기록되어 있음에 따라 촬영된 영상 내에서 특정 마커가 인지되면 해당 마커에 연결된 3차원 그래픽 모델을 실제 영상 즉 페이지를 촬영한 영상 위에 그려주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의 마커란 실제로 2차원 평면 위에 존재하면서, 자신과 연결된 3차원 그래픽모델이 그려질 크기,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헌데, 전술한 종래의 증강현실 구현 방법은, 인쇄서적의 페이지 또는 페이지 상에 증강된 가상 객체(예 : 3차원 그래픽 모델)를 확대 또는 축소 또는 회전하여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 인쇄서적을 카메라에 가깝게 가져가거나 또는 멀리 가져가거나 또는 직접 회전시켜야만 한다. 즉, 현재 사용자가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그와 상응하는 다양한 증강현실 구현을 원하고 있지만, 현재의 증강현실 구현 방법에서는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다는 점에서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특정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인지되는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제어용 마커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하며 실재감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제어용 마커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제어용 마커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하며 실재감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대상체; 및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는,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영상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마커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통한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변경/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은,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특정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출력단계; 제어용 마커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지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능 수행단계는, 상기 제어용 마커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통한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변경/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대상체(20...30)와,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마커대상체(20...30)는, 기 할당된 특정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가 기록된 대상체로서, 예를 들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카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마커대상체(20)는 자신에 기 할당된 특정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20a)가 기록되는 카드일 수 있고, 마커대상체(30)는 자신에 기 할당된 특정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30a)가 기록되는 카드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용 마커(20a...30a)를 설명하면, 최소 크기가 4cm * 4cm 정사각형이며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으며 테두리 안의 이미지는 사용자가 다양한 이미지, 글자 등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이때, 마커 테두리 및 마커 이미지는 원색이며, 바탕으로 흰색으로 해야 해당 마커의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용 마커(20a...30a)는, 자신에 해당되는 특정 컨텐츠 제어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인쇄서적(10)은, 텍스트 및/또는 그림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오프라인 도서로서,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 현실용의 마커(marker)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서적(1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가 펼쳐진 채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촬영구역(1)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인쇄서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쇄서적(10)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서적식별정보 또는 해당 페이지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페이지식별정보 또는 특정 가상 객체(예 : 2D 또는 3D의 그래픽 모델)을 특정 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증강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10a)를 갖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전술과 같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정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마커대상체(예 : 20) 상에 기록된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130)와, 영상분석부(130)를 통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며, 제어용 마커(예 : 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영상분석부(130) 및/또는 장치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이러한 촬영부(110)는, 카메라 및 캠(Cam) 및 스캐너 등과 같이 영상을 촬영/인식하여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기능장치이면 가능할 것이다.
영상분석부(130)는,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촬영영상 내의 마커를 인지한 인지 결과 즉,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존재하는 경우 어떤 마커가 존재하는지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장치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장치제어부(150)는,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제어부(150)는,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의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또한, 장치제어부(150)는,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촬영영상 내에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이처럼, 장치제어부(150)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제어부(150)는, 제어용 마커(예 : 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장치제어부(150)는, 제어용 마커(예 : 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서 금번 인지된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컨텐츠 제어기능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1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회전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장치제어부(150)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예 :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회전과정을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장치제어부(150)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2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이동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장치제어부(150)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이동/표시하고, 사용자가 마커대상체(예 : 20)를 이동시킴에 따른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이동과정을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장치제어부(150)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특정 좌표(예 : 중앙 좌표)를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함께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가상 객체 만을 함께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3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축소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장치제어부(150)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축소과정을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장치제어부(150)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켜 기 설정된 최소축소비율까지 축소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켜 기 설정된 최소축소비율까지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4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확대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장치제어부(150)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확대과정을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장치제어부(150)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켜 기 설정된 최대확대비율까지 확대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켜 기 설정된 최대확대비율까지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장치제어부(150)는, 제어용 마커(예 : 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50)는,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해당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마커대상체(예 : 20)가 촬영구역(1)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영상분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되지 않게 되면, 장치제어부(150)는, 제어용 마커(예 : 20a)에 대응하여 수행하던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
더 나아가, 장치제어부(150)는, 정보저장부(140)에 저장된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통한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변경/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장치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 실행이 입력되면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설정정보 조정메뉴를 표시함으로써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기능설정정보 조정메뉴를 조작하여, 각 제어용 마커(예 : 제1/2/3/4제어용 마커) 별로 원하는 컨텐츠 제어기능을 매칭/조정할 수 있고, 각 컨텐츠 제어기능(예 : 컨텐츠 회전/이동/축소/확대기능) 별로 설정 파라미터(예 : 회전속도, 회전방향, 최종회전각, 프레임레이트, 축소비율, 최소축소비율, 확대비율, 최대확대비율, 적용대상(예 : 증강현실 컨텐츠 전체 또는 가상 객체) 등)을 설정/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커대상체(20...30) 중 마커대상체(2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을 촬영한다(S10).
여기서, 인쇄서적(10)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가 펼쳐진 채로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촬영구역(1)에 놓이게 될 것이다.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한다(S20).
이에,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분석 결과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하여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함으로써,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이동에 의해,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예 : 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20)는 특정 촬영구역(1)으로 진입할 수 있다(S30). 이러한 마커대상체(20)는, 예를 들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카드 형태일 수 있다.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전술과 같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S20단계를 수행하는 중, 소정 마커대상체(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마커대상체(20) 상에 기록된 제어용 마커(20a)가 인지되면(S40),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S50).
바람직하게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는, 제어용 마커(20a)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해당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기 저장한다(S100).
여기서,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지정된 특정 촬영구역(1)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구역(1)에 위치한 인쇄서적(10)을 촬영한다(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촬영구역(1)에 위치하는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S120)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한다(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촬영영상 내에 마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증강 없이 그대로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의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촬영영상 내에 마커(예 : 10a)가 존재하면 해당 마커(예 : 1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예 : 3D의 그래픽 모델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영된 실시간 촬영영상 즉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증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컨텐츠가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응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인쇄서적(10)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20a)가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만약, 사용자가 제어용 마커(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20)를 촬영구역(1)으로 이동시켜 마커대상체(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어용 마커(20a)를 인지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어용 마커(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S150).
S15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1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회전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예 :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회전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왼쪽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2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이동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이동/표시하고, 사용자가 마커대상체(예 : 20)를 이동시킴에 따른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이동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특정 좌표(예 : 중앙 좌표)를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함께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제어용 마커(예 : 20a)의 이동에 따라 가상 객체 만을 함께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3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축소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축소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켜 기 설정된 최소축소비율까지 축소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켜 기 설정된 최소축소비율까지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용 마커(예 : 20a)가 제4제어용 마커에 해당되어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확대제어기능이 검색된 경우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현재 제공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내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을 수행하여 이에 따른 확대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 증강현실 서비스에 따라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에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를 렌더링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되어 가상 객체(예 : 3D의 그래픽 모델)가 증강된 촬영영상(예 : 인쇄서적(10)의 펼쳐진 페이지)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전체 화면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켜 기 설정된 최대확대비율까지 확대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촬영영상 + 가상 객체)의 화면에서 가상 객체 만을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켜 기 설정된 최대확대비율까지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어용 마커(20a)가 기록된 마커대상체(20)가 촬영구역(1)에 진입함에 따라,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20a)가 인지되면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어용 마커(20a)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해당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50단계를 통해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어기능을 실행한 후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용 마커(20a)의 인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160). 이에 판단 결과 제어용 마커(20a)가 인지되지 않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어용 마커(20a)에 대응하여 수행하던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S1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은,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촬영구역에 위치한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있어서,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카드 형태의 마커대상체를 사용자가 촬영구역 내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에서 인지되는 마커대상체의 제어용 마커에 따른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인쇄서적을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고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증강현실 구현의 다양성 확장 및 제어 편의성,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 인쇄서적
20...30 : 마커대상체
100 :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Claims (12)

  1.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대상체; 및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2.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영상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며,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마커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통한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변경/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
  7.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특정 촬영구역으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가 상기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방법.
  8. 특정 촬영구역에 위치하는 인쇄서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증강현실 구현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촬영영상에 적용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출력단계;
    제어용 마커(marker)가 기록된 마커대상체가 상기 촬영구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지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제어용 마커가 인지되면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능 수행단계는,
    상기 제어용 마커의 인지가 유지되는 인지시간 동안 상기 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 제어기능의 수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용 마커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는,
    제1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rendering)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컨텐츠 회전제어기능, 제2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제2제어용 마커가 인지된 인지위치로 맵핑시켜 상기 제2제어용 마커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컨텐츠 이동제어기능, 제3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마다 기 설정된 축소 비율로 축소시키는 컨텐츠 축소제어기능, 제4제어용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내 상기 촬영영상에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기 설정된 프레임레이트 마다 기 설정된 확대 비율로 확대시키는 컨텐츠 확대제어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에 대한 설정정보를 조정하는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 조정기능을 통한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용 마커 별 제어기능정보를 변경/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96764A 2010-10-05 2010-10-05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5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64A KR20120035322A (ko) 2010-10-05 2010-10-05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64A KR20120035322A (ko) 2010-10-05 2010-10-05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322A true KR20120035322A (ko) 2012-04-16

Family

ID=4613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764A KR20120035322A (ko) 2010-10-05 2010-10-05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3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56B1 (ko) * 2012-02-23 2013-10-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트롤 마커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98293A (ko) * 2018-02-12 2019-08-22 박상현 프로젝션 매핑 장치 및 시스템
KR102177384B1 (ko) * 2020-05-19 2020-11-12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56B1 (ko) * 2012-02-23 2013-10-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트롤 마커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98293A (ko) * 2018-02-12 2019-08-22 박상현 프로젝션 매핑 장치 및 시스템
KR102177384B1 (ko) * 2020-05-19 2020-11-12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1299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CN107852443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7251101B (zh) 针对使用具有参数的标记的增强现实的场景修改
US10963140B2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creation via tapping virtual surfaces in augmented reality
US8749712B2 (en) Method for processing on-screen display and associated embedded system
US20020118217A1 (en) Apparatus, method, program code,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processing
US20100153847A1 (en) User deformation of movie character images
KR101248736B1 (ko) 도서형 증강현실에서 페이지 전환에 따른 증강현실 방법 및 시스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 처리장치
CN10878058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案以及程序
CN113286138A (zh) 一种全景视频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216221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5322A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WO2015072091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3296721A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多屏幕联动系统
KR20120082622A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789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101211178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5321A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101246304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66349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2022260A1 (zh) 图像风格迁移方法及其装置
KR101242512B1 (ko) 증강 현실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6535801B1 (ja)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拡張現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1547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8032B1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