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24B1 -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24B1
KR101327524B1 KR1020110063143A KR20110063143A KR101327524B1 KR 101327524 B1 KR101327524 B1 KR 101327524B1 KR 1020110063143 A KR1020110063143 A KR 1020110063143A KR 20110063143 A KR20110063143 A KR 20110063143A KR 101327524 B1 KR101327524 B1 KR 10132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ingerprint information
fingerprint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01A (ko
Inventor
안건준
김재한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1006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장치는 사용자 단말 간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버 장치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판단부 및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SERVER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BETWEEN USER TERMINALS AND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트렌드 중 하나로서 대두되고 있는 것은 바로'이전보다 간편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예로, 범프(Bump) 서비스가 있다.
범프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충격 감지 센서를 필수 요건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범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스마트폰 간에 범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충돌시킨다. 여기서, 충돌은 가볍게 서로 부딪히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러면, 서버 측에서는 같은 시간, 같은 오차 범위 내에서 위치에서 충돌이 발생한 두 스마트폰을 검색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범프 서비스는 GPS라는 오차 범위가 존재하는 서비스 이용으로 인해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다른 사용자와 혼동 가능성이 존재하고, GPS 값을 얻어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소요되어 서비스 오류가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일한 사용자 지문 정보를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서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이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부; 및 상기 지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장치-상기 서버 장치는 서로 일치하는 지문 정보를 전송한 단말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처럼 오차 발생 확률이 큰 위치 정보가 아닌 지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오류 발생 확률이 낮으면서도 간편하게 데이터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 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예컨대 개인 휴대 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과 상대방 단말(100b)로 구분된다.
서비스 신청 단말(100a) 및 상대방 단말(100b)에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여 지문 정보와, 사용자가 전송을 선택한 데이터를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대방 단말(100a) 역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여 지문 정보를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 장치(300)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 및 상대방 단말(100b)으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100a) 및 상대방 단말(100b)에 지문을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자신의 단말(100a)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신청 단말(100a) 또는상대방 단말(100b)로서 동작할 수 있음)은 표시부(101), 입력부(103), 지문 인식부(105), 처리부(107), 저장부(109), 전송부(111), 수신부(113)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부(101)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13)가 출력하는 데이터,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이미지, 아이콘 및 메뉴 항목 등이 포함된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1)는 사용자가 전송을 희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Interface) 화면을 제공한다.
입력부(103)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버튼으로 구비되거나 표시부(101)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이거나 손가락과 같은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지문 인식부(105)는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지문 센서(미도시) 및 획득한 지문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미도시)는 2048Bit 형식의 지문의 특장점이 담긴 바이너리(Binary) 데이터를 지문 정보로 생성한다. 이러한 2048Bit 형식의 특장점으로 구성된 지문 정보는 어떠한 기기에서 지문을 스캔하더라도 값은 값이 나올 확률이 100%에 가깝다는 특징이 있다.
처리부(107)는 지문 인식부(105)가 획득한 지문 정보를 SHA256, SHA512와 같은 해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시 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해시 값은 복호화가 불가능하나 지문 정보에 1:1매칭되어 있어 입력받은 지문 정보들의 일치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HA256, SHA512와 같은 복호화가 불가능한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지문 정보를 원본 데이터의 추적이 불가능한 고유한(Unique) 해쉬 코드 키(hashcode key)값 형태로 가공하여 데이터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109)는 제어부(115)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 예컨대 사진 파일,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09)는 마스터 사용자가 지문 인식부(105)를 통해 입력한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09)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이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해시값으로 변환한 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고, 서버 장치(300)로부터 상대방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서비스 신청 단말(100a) 및 상대방 단말(100b)은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서버 장치(300)와 통신한다.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처리부(107)가 출력하는 해시 값 및 사용자가 전송하기로 선택한 데이터를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부(111)는 데이터를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혹은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처리부(107)가 출력하는 해시 값 및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주소만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
수신부(113)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다른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109)에 저장한다.
이때, 수신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표시부(101), 입력부(103), 지문 인식부(105), 처리부(107), 저장부(109), 전송부(111), 수신부(113) 및 제어부(115)와 연결되어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5)는 입력부(103)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기 설치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지문 인식부(105)를 통하여 지문 정보가 전달되면, 저장부(109)에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외부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전송하기로 선택한 데이터와 처리부(107)가 출력하는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전송부(111)에게 요청한다.
혹은,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되면, 처리부(107)가 출력하는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네트워크 주소를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전송부(111)에게 요청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주소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정보로서, 예컨대 MAC address 일 수 있으나 상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0)과 직접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라면 모두 포함하며,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15)는 외부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지문 정보의 해시값만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전송부(111)에게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신청 단말(100a) 또는 상대방 단말(100b)로서 동작할 수 있음)은 표시부(101), 입력부(103), 지문 인식부(105), 처리부(107), 저장부(109), 전송부(111), 수신부(113), 제어부(115) 및 위치 측정부(117)를 포함한다.
이때, 표시부(101), 입력부(103), 지문 인식부(105), 처리부(107), 저장부(109), 전송부(111), 수신부(113)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측정부(117)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위치 측정부(117)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115)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다만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는 정보에 위치 측정부(117)가 측정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는 수신부(301), 데이터베이스(303), 판단부(305), 전송부(307) 및 데이터 관리부(3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부(301)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로부터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대방 단말(100b)로부터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수신한다.
물론, 이때, 서비스 신청 단말(100a)과 상대방 단말(100b)의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신청 단말(100a)과 상대방 단말(100b)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3)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DB 형태로 저장한다. 예컨대, 지문 정보의 해시값, 서비스 신청 단말(100a)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위치 정보, 네트워크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판단부(305)는 두가지 실시예로 동작할 수 있는데, 먼저 한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301)가 수신한 각각의 지문 정보의 해시값이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301)는 지문 정보의 해시값 외에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한다. 따라서, 판단부(305)는 수신부(301)가 수신한 각각의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각각의 단말 위치 정보를 각각 서로 비교하여 기 정의된 특정 시간 내에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로부터동일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305)는 판단 결과에 따라 처음 지문 정보를 입력받은 기기에서 나중에 지문 정보를 입력받은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전송부(307)에게 요청한다.
전송부(307)는 판단부(305)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된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이 전송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
혹은, 전송부(307)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는 상대방 단말(100b)의 네트워크 주소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100b)에게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네트워크 주소를 전송해줌으로써, 상대방 단말(100b)과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이 상대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직접 통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309)는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 데이터를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폐기한다.
그러면, 이상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에 대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4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제어부(115)가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한다(S101).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제어부(115)는 지문 인식부(105)를 통하여 지문이 입력(S103)되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105).
그리고 사용자는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한다(S107). 이 단계는 사용자가 표시부(101)에 출력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일 수 있다. 혹은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제공하는 임시 저장 공간에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을 희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임시 저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범프(Bump) 서비스에서 전송을 희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비스 화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S107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암호화한다(S109). 그리고 암호화된 데이터와, S105 단계에서 변환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111).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수신부(301)는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암호화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다(S113).
한편, 상대방 단말(100b)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115)한 상태에서 지문이 입력(S117)되면, 처리부(107)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S119)한다. 그리고 전송부(111)가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S121).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판단부(305)는 S111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S121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S123)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25).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127).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S12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일치하면, S111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S129)한다.
그러면, 상대방 단말(100b)의 수신부(113)는 S117 단계에서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131).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201)한 상태에서 지문 인식부(105)를 통해 지문이 입력(S203)되면, 처리부(107)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205). 그리고 위치 측정부(117)가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207).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S209)하면,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S107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암호화한다(S211).
그러면, 전송부(111)는 암호화된 데이터와, S205 단계에서 변환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S207 단계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213).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수신부(301)는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암호화된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다(S215).
한편, 상대방 단말(100b)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217)한 상태에서 지문이 입력(S219)되면, 처리부(107)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221). 또한, 위치 측정부(117)가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223).
그러면, 전송부(117)가 S221 단계에서 변환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S223 단계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225).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판단부(305)는 S213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S225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S227)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29).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231).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S229 단계에서 판단 결과 일치하면, S213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와 S225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가 기 정의된 위치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33).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235).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일치하면, S213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들과 S225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들이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7).
이때, 기 정의된 특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239).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로 판단되면, 전송부(307)가 S215 단계에서 저장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S241).
그러면, 상대방 단말(100b)의 수신부(113)는 S117 단계에서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243).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301)한 상태에서 지문 인식부(105)를 통하여 지문이 입력(S303)되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305).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S307)하면,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S307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암호화한다(S309). 그리고 암호화된 데이터와, S105 단계에서 변환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네트워크 주소를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311).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수신부(301)는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암호화된 데이터 및 네트워크 주소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다(S313).
한편, 상대방 단말(100b)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315)한 상태에서 지문이 입력(S317)되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처리부(107)를 통하여 해시값으로 변환(S319)한다. 그리고 전송부(111)가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네트워크 주소를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S321).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판단부(305)는 S311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S321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S323)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25).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버 장치(300)의 전송부(307)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327).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S32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일치하면, 서버 장치(300)의 전송부(307)는 321 단계에서 수신한 상대방 단말(100b)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성공 응답 반환을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전송한다(S329). 또한, 서버 장치(300)의 전송부(307)는 S311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 및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네트워크 주소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S331).
그러면, 상대방 단말(100b)의 수신부(113)는 S317 단계에서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333).
이후, 서비스 신청 단말(100a)과 상대방 단말(100b)은 서로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S335)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S337)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전송부(111)는 입력(S339)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S337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암호화(S341)한 후,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S343).
또한, 상대방 단말(100b)은 입력(S345)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S343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347).
한편, 도 7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가 S311 내지 S331 단계를 통해 서버 장치(300)를 거쳐 상대방 단말(100b)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S343 단계와 같이 서버 장치(300)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S311 단계에서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해시값 및 네트워크 주소 정보만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이 서버 장치(300)로부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면(S323 단계에서 해시값이 일치한 경우), S335 단계의 통신 연결 과정을 거친 뒤, 암호화된 데이터를 직접 상대방 단말(100b)로 전송할 수도 있다.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일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401)한 상태에서 지문 인식부(105)를 통해 지문이 입력(S403)되면, 처리부(107)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405).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S407)하면, 전송부(111)는 제어부(115)의 요청에 따라 S407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암호화한다(S409).
그리고 위치 측정부(117)가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S411)하면, 전송부(111)는 위치 정보, 암호화된 데이터,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413).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수신부(301)는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암호화된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다(S415).
한편, 상대방 단말(100b)의 제어부(115)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417)한 상태에서 지문이 입력(S419)되면, 처리부(107)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해시값으로 변환한다(S421). 또한, 위치 측정부(117)가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423).
그러면, 전송부(117)가 S421 단계에서 변환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S423 단계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425).
그러면, 서버 장치(300)의 판단부(305)는 S413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S425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S427)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429).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431).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S429 단계에서 판단 결과 일치하면, S413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와 S425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가 기 정의된 위치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433).
이때, 일치하지 않으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435).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일치하면, S413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들과 S425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들이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37).
이때, 기 정의된 특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실패 응답을 반환한다(S439). 그러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은 데이터 전송 요청이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기 정의된 특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로 판단되면, 서버 장치(300)의 전송부(307)는 425 단계에서 수신한 상대방 단말(100b)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성공 응답 반환을 서비스 신청 단말(100a)에게 전송한다(S441). 또한, 서버 장치(300)의 전송부(307)는 S413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 및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네트워크 주소를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S443).
그러면, 상대방 단말(100b)의 수신부(113)는 S417 단계에서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445).
이후, 서비스 신청 단말(100a)과 상대방 단말(100b)은 서로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S447)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S449)하면, 서비스 신청 단말(100a)의 전송부(111)는 입력(S451)받은 지문 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여 S449 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암호화(S453)한 후, 상대방 단말(100b)에게 전송한다(S455).
또한, 상대방 단말(100b)은 입력(S457)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화키로 사용하여 S455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한다(S459).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2 또는 도 3의 구성 요소와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15)는 입력부(103)의 요청에 따라 기 설치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501).
이때, 제어부(115)는 최초 실행인지 판단(S503)하여 최초 실행이면, 표시부(101)를 통해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 등록을 안내하여 지문 인식부(105)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저장부(107)에 저장한다(S505).
이후, 제어부(115)는 지문 인식부(105)로부터 지문 정보가 전달(S507)되면, 전달받은 지문 정보가 S505 단계에서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S509)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511).
이때, 일치하는 경우,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된 경우로 판단(S513)하여 마스터 사용자의 데이터 이동 프로세스 즉 지문 정보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S515). 이 단계는 도 5 및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부 사용자의 지문 인식으로 판단(S517)하여 지문 정보만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519).
이상 설명한 모든 단계는 도 5 및 도 8에서 설명한 단계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일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의 수신부(301)가 지문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S601)하면, 데이터 관리부(309)는 일정 시간 동안의 타이머를 구동한다(S603).
이후, 데이터 관리부(309)는 S601 단계에서 수신된 지문 정보가 다른 단말에서 수신되는지를 판단(S605)한다.
이때, 수신하면, 데이터 이동 프로세스로 동작(607)하는데, 상세한 동작은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반면, 수신되지 않으면, 타이머 만료 여부를 판단(S609)하여 타이머가 만료하면, S601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지문 정보를 포함)를 폐기한다(S611).
이상 설명한 모든 단계는 도 5 및 도 8에서 설명한 단계에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각각 지문 정보의 해시값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서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 지문 정보의 해시값과,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각각 지문 정보의 해시값 및 상기 각각의 단말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기 정의된 특정 시간 내에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각각 지문 정보의 해시값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서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서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각각의 지문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 이전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지문 정보를 폐기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기 정의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장치.
  8.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부; 및
    상기 지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장치-상기 서버 장치는 서로 일치하는 지문 정보를 전송한 단말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가 지문 정보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정의된 시간 내에 동일한 지문 정보를 전송한 상대방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지문 정보를 암호키로 사용하는 기 정의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지문 정보와 동일한 지문 정보가 입력된 상대방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복호키로 사용하는 기 정의된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정보와 동일한 지문 정보가 입력된 상대방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부가 생성한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기 정의된 해시 알고리즘을 적용한 해시값을 출력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처리부가 출력하는 지문 정보의 해시값을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8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입력부;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 등록을 안내하고,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마스터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하여 상기 지문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외부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단하여 입력받은 지문 정보만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10063143A 2011-06-28 2011-06-28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10132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43A KR101327524B1 (ko) 2011-06-28 2011-06-28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143A KR101327524B1 (ko) 2011-06-28 2011-06-28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01A KR20130002101A (ko) 2013-01-07
KR101327524B1 true KR101327524B1 (ko) 2013-11-08

Family

ID=4783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43A KR101327524B1 (ko) 2011-06-28 2011-06-28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7156A1 (zh) * 2020-09-21 2022-03-24 闻泰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装置、耳机盒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937B1 (ko) * 2013-01-11 2014-10-15 크루셜텍 (주)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81799B1 (ko) * 2014-04-28 2020-11-24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교환 방법
KR102190436B1 (ko) * 2014-07-29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79626B1 (ko) * 2017-01-06 2020-04-0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 인증 기반 경량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한 정보 은닉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46A (ko) * 2002-04-23 2003-11-01 (주)텔쿼스 지문인식 휴대폰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6420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디젠트 지문인증을 이용한 전자메일의 보안방법
KR20070020339A (ko) * 2005-09-22 2007-02-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전자인증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신청서 전산화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20080079761A (ko) * 2007-02-28 2008-09-02 이주형 지문정보 기반의 본인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46A (ko) * 2002-04-23 2003-11-01 (주)텔쿼스 지문인식 휴대폰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6420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디젠트 지문인증을 이용한 전자메일의 보안방법
KR20070020339A (ko) * 2005-09-22 2007-02-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전자인증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신청서 전산화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20080079761A (ko) * 2007-02-28 2008-09-02 이주형 지문정보 기반의 본인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7156A1 (zh) * 2020-09-21 2022-03-24 闻泰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装置、耳机盒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01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613B2 (en) Pairing management metho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apparatus
US9128644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portable terminal
KR101327524B1 (ko) 단말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500834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2014021876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RU2013140972A (ru)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интерфейсная плат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чатью в сетевой системе и программа
EP2879326B1 (en) Unlocking method, unlocking key, and unlocking device of electronic device
EP321762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JP201703736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US10067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ased device login
JP201606224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6058072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4029126A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2017229031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397441B2 (en) Informa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use approval/disapproval information, information equipment, personal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5201094A (ja) サーバ装置、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66806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control instruction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5479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06716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510318B1 (ko)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 원격제어방법
JP6619775B2 (ja) 通信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49970A (ja) 情報コード読取システム
JP6072093B2 (ja) 印刷システム
JP2019049779A (ja) 印刷管理装置
US9106653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