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288B1 -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88B1
KR101326288B1 KR1020110116629A KR20110116629A KR101326288B1 KR 101326288 B1 KR101326288 B1 KR 101326288B1 KR 1020110116629 A KR1020110116629 A KR 1020110116629A KR 20110116629 A KR20110116629 A KR 20110116629A KR 101326288 B1 KR101326288 B1 KR 10132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air
unit
coupl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337A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11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2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를 교대 부양하는 매트리스부와, 매트리스부에 공압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압조절부와, 공압조절부에 연결되고 공압을 생성하는 공압생성부 및 매트리스부가 안착되고 매트리스의 각도를 변경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매트리스부가 교대로 부양되어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고, 베이스부가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BED FOR PREVENTING BEDSORE}
본 발명은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 조절을 통해 환자의 자세를 조절하면서 욕창을 방지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장시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마다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변환시켜 압박부위의 부담을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환자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욕창이 주로 발생하는 등 및 엉덩이의 압박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일정 시간마다 좌측이나 우측을 향하여 옆으로 눕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인접한 셀부재가 교차로 팽창 및 수축되는 것에 의해 환자가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도 하중이 매트리스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20162호(2003.03.08 공개, 발명의 명칭: 욕창방지용 침대)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욕창 방지용 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자세를 변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압 조절을 통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자세 변화를 유도하고, 교대부양을 통해 환자와의 접촉시간을 단축하여 욕창 생성을 억제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를 교대 부양하는 매트리스부; 상기 매트리스부에 공압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압조절부;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고, 공압을 생성하는 공압생성부; 및 상기 매트리스부가 안착되고, 상기 매트리스의 각도를 변경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매트리스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쿠션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며, 공압차로 인해 교대 부양되는 에어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리스부는 상기 에어쿠션부를 받쳐주며, 상기 메모리쿠션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조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리스부는 상기 보조쿠션부를 받쳐주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환자의 자세를 조절하는 조절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쿠션부는 연접되는 복수의 에어판; 상기 에어판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에어돌기; 및 상기 에어판에 일단부가 번갈아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한 쌍의 에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쿠션부는 상기 에어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조바닥판; 및 상기 보조바닥판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에어판의 측면을 커버하는 보조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쿠션부는 상기 보조바닥판에 부착되어 환자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의 정상호흡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응급신호를 발생하는 응급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쿠션부는 상기 에어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조절판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일측조절관; 및 상기 조절판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타측조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 중 어느 하나의 경사방향은 근접 위치되는 상기 구획판과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매트리스부가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축;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동링크; 상기 이동링크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기;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작대; 및 상기 이동링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이동링크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조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에어돌기가 교대로 부양되어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메모리쿠션부와 보조쿠션부가 메모리폼 소재로 제작되어, 에어쿠션부가 손상되더라도 환자의 2차 감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센서부가 환자의 정상 호흡유무를 감지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신속히 간병인에게 호흡 이상을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조절쿠션부의 공압 조절로 인해 환자의 자세를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길이조절기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제1조작대와 제2조작대가 회전되어 메트리스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은 메모리쿠션부와 보조쿠션부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매트리스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서 매트리스부를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환자가 우측으로 자세가 변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환자가 좌측으로 자세가 변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베이스부가 작동되어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서 매트리스부를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환자가 우측으로 자세가 변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서 환자가 좌측으로 자세가 변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에서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베이스부가 작동되어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1)에는 매트리스부(10), 공압조절부(20), 공압생성부(30) 및 베이스부(4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이란, 욕창 방지용 침대와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매트리스부(10)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공압에 의해 환자를 교대로 부양한다.
공압생성부(30)는 자체적으로 공압을 생성하고, 공압생성부(30)에 연결된 공압조절부(20)는 매트리스부(10)에 공압을 조절하여 공급한다.
베이스부(40)에는 매트리스부(10)가 안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40)는 상측에 안착된 매트리스부(10)의 일부를 들어올려 매트리스부(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부(10)에는 메모리쿠션부(11) 및 에어쿠션부(12)가 구비된다.
메모리쿠션부(11)는 복수개가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메모리쿠션부(11)에는 복수의 관통홀(111)이 일렬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쿠션부(11)는 머리, 상체, 엉덩이 및 다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4개가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메모리쿠션부(11)는 메모리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경도와 밀도는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메모리쿠션부(11)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면, 베이스부(40)에 의해 환자의 상체와 다리가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메모리쿠션부(11)의 설치각이 안정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에어쿠션부(12)는 관통홀(111)을 관통하고, 공압조절부(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에어쿠션부(12)는 공압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어 환자를 교대로 부양한다.
따라서,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메모리쿠션부(11)의 상측 방향으로 팽창된 에어쿠션부(12)가 교대로 부양되어 환자를 지지하고, 에어쿠션부(12) 손상 발생시 메모리쿠션부(11)가 환자를 지지하여 환자의 2차 감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부(10)에는 보조쿠션부(13)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쿠션부(13)는 메모리쿠션부(11)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보조쿠션부(13)는 메모리쿠션부(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메모리쿠션부(11)와 함께 일부의 설치각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부(10)에는 조절쿠션부(14)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조절쿠션부(14)는 보조쿠션부(13)의 저면에 위치되어 보조쿠션부(13)를 받쳐준다.
조절쿠션부(14)는 내부가 구획된다. 이러한 조절쿠션부(14)는 공압조절부(20)에 의해 일측이 팽창되고 타측이 수축되어 환자의 자세를 좌우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부(12)에는 에어판(121), 에어돌기(122) 및 에어관(123)이 구비된다.
에어판(121)은 복수개가 연접된다. 이러한 에어판(121)의 폭은 메모리쿠션부(11)의 폭에 대응된다.
각 에어판(121)에는 복수개의 에어돌기(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돌기(122)는 메모리쿠션부(11)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관통홀(11)에 각각 삽입되어 메모리쿠션부(11)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에어관(123)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에어판(12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공압조절부(20)에 결합된다. 이러한 에어관(123)은 에어판(121)에 번갈아 결합된다.
따라서, 각 에어관(123)을 통해 에어판(121)에 공기가 번갈아 가며 공급되고, 각 에어판(121)에 형성되는 에어돌기(122)가 교대로 팽창되어 환자를 교대 부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쿠션부(13)에는 보조바닥판(131) 및 보조측판(132)이 구비된다.
보조바닥판(131)은 에어판(121)의 저면을 지지하고, 보조측판(132)은 보조바닥판(131)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에어판(121)의 측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보조쿠션부(13)는 메모리쿠션부(11) 및 에어쿠션부(1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메모리쿠션부(11) 및 에어쿠션부(12)의 손상 발생시 환자의 압력을 분산시켜 환자의 추가 감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쿠션부(13)에는 센서부(133), 제어부(134) 및 응급신호부(135)가 구비된다.
센서부(133)는 보조바닥판(131)에 부착된다. 이러한 센서부(133)는 보조바닥판(13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착되어 환자의 압력을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33)가 환자의 등 수직 아래에 배치되어 환자의 호흡으로 인한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33)로는 로드셀을 사용한다.
제어부(134)는 센서부(133)의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4)는 센서부(133)의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의 호흡주기를 데이터값으로 저장하고, 센서부(133)에서 수신된 신호가 데이터값과 상이한 경우, 환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응급신호부(135)는 제어부(1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응급신호를 발생한다. 즉, 응급신호부(135)는 미리 설정된 전화기에 전화를 걸거나 문자로 응급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외 경고음을 통해 주위 사람들에게 환자의 위급함을 알려줄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쿠션부(14)에는 조절판(141), 구획판(142), 일측조절관(143) 및 타측조절관(144)이 구비된다.
조절판(141)은 에어판(12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연접된다.
구획판(142)은 각 조절판(141)의 내부를 구획한다. 이러한 구획판(142)은 경사를 갖는다. 이때, 구획판(142) 중 어느 하나의 경사방향은 근접 위치되는 구획판(142)의 경사방향과 대칭된다.
일측조절관(143)의 일단부는 각 조절판(14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일측조절관(143)의 일단부는 수렴된 후 공압조절부(20)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타측조절관(144)의 일단부는 각 조절판(14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타측조절관(144)의 타단부는 수렴된 후 공압조절부(20)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일측조절관(143)을 통해 공압이 공급되고, 타측조절관(143)을 통해 공압이 배출되면, 각 조절판(141)의 일측이 팽창되고 타측이 수축되어 환자는 수축된 방향으로 자세가 변화된다.
한편, 공압조절부(20)에는 제1 내지 제5밸브(21,22,23,24,25) 및 조절케이스(26)가 구비된다.
조절케이스(26)는 공압생성부(30)와 연결되어 생성된 공압이 공급된다. 이러한 조절케이스(26)에는 제1 내지 제5밸브(21,22,23,24,25)가 장착되어 공압을 분배한다.
제1밸브(21)와 제2밸브(22)는 한 쌍의 에어관(123)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1밸브(21)와 제2밸브는 각각의 에어관(123)에 교대로 공압을 공급하여, 에어쿠션부(12)가 환자를 교대 부양한다.
제3밸브(23)와 제4밸브(24)는 일측조절관(143)과 타측조절관(144)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3밸브(23)와 제4밸브(24)는 구획판(142)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조절판(141) 일측과 타측에 교대로 공압을 공급하여,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한편, 제5밸브(25)는 공압을 배출하여 공압조절부(20)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에는 메인프레임(41), 바퀴(42), 제1회전축(43), 제2회전축(44), 이동링크(45), 연결링크(46), 길이조절기(47), 제1조작대(48) 및 제2조작대(49)가 구비된다.
메인프레임(41)은 매트리스부(10)를 지지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41)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매트리스부(10)의 저면을 지지하고, 매트리스부(10)의 측면을 커버한다.
바퀴(42)는 메인프레임(41)에 설치된다. 이러한 바퀴(42)는 메인프레임(41)에 복수개로 장착된다. 이때, 바퀴(42)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41)은 지면과 근접 배치되므로, 환자는 좌식용으로 매트리스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제1회전축(43)과 제2회전축(44)은 메인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6과 도 7에서, 메인프레임(41)의 중앙지점을 기준점이라고 할때, 기준점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제1회전축(43)이 배치되고, 기준점에서 우측으로 치우쳐 제2회전축(44)이 배치된다.
이동링크(45)는 메인프레임(41)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이동링크(45)는 메인프레임(4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연결링크(46)는 이동링크(45)의 좌측단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회전축(43)과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링크(46)의 중앙부가 제1회전축(43)과 결합된다.
길이조절기(47)는 일단부가 연결링크(46)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링크(4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길이조절기(47)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어 제1회전축(43)에 결합된 연결링크(46)를 회전시킨다. 연결링크(46)가 회전되면, 이와 결합된 이동링크(45)가 이동된다.
제1조작대(48)는 제1회전축(4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조작대(48)는 메인프레임(41)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1회전축(43)이 회전됨에 따라 매트리스부(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2조작대(49)는 이동링크(45)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2조작대(49)는 제2회전축(44)에 결합되고, 절곡되어 매트리스부(10)를 지지한다.
이동링크(45)가 이동되어 제2회전축(44)이 회전되면, 제2조작대(49)의 설치각도가 변경되어 매트리스부(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프레임(41)에는 바퀴(42)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메인프레임(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친 제1회전축(43)과 우측으로 치우친 제2회전축(44)이 메인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회전축(43)에는 연결링크(46)가 결합되되, 연결링크(46)의 상단부는 길이조절기(47)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링크(46)의 하단부는 메인프레임(41)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동링크(45)의 좌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길이조절기(47)는 이동링크(45)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회전축(43)에는 제1조작대(48)가 결합되어 제1회전축(43)과 연동되어 회전되고, 제2회전축(44)에는 제2조작대(49)가 결합되어 제2회전축(43)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제2조작대(49)의 하단부는 이동링크(45)의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조작대(48)와 제2조작대(49)의 상측으로 매트리스부(10)가 안착된다.
이때, 길이조절기(47)의 길이가 줄어들면(도 6 참조), 제1조작대(48)와 제2조작대(49)가 메인프레임(41)의 내부에 위치되어 매트리스부(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길이조절기(47)의 길이가 늘어나면(도 7 참조), 연결링크(46)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링크(45)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회전축(43) 및 제2회전축(44)이 각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조작대(48)와 제2조작대(49)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조작대(48)와 제2조작대(49)에 안착된 매트리스부(10)의 설치각도가 변경된다.
한편, 매트리스부(10)에는 보조쿠션부(13), 보조쿠션부(13)에 안착되고 공압에 의해 일렬로 배치되는 에어돌기(122)가 교대로 부양되는 에어쿠션부(12) 및 에어돌기(122)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되는 메모리쿠션부(11)가 구비된다.
따라서, 공압조절부(20)에서 에어돌기(122)가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판(121)에 공압을 번갈아 공급하면, 에어돌기(122)가 교대로 부양되어 환자를 지지한다.
이때, 에어쿠션부(12)가 파손되더라도 메모리폼 소재를 사용하는 메모리쿠션부(11) 및 보조쿠션부(13)에 의해 환자의 추가적인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보조쿠션부(13)에 설치되는 센서부(133)는 환자의 등과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환자의 호흡에 따른 압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환자의 호흡에 의한 압력에 따라 환자의 호흡주기가 데이터화된다.
제어부(134)는 데이터화된 환자의 호흡주기가 센서부(133)에서 측정된 값과 상이할 때, 환자의 호흡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하여 응급신호부(135)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리하면, 응급신호부(135)가 주위의 간병인에게 응급신호를 보내어 환자의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한다.
보조쿠션부(13)의 하부에는 조절쿠션부(14)가 배치된다. 이러한 조절쿠션부(14)는 보조쿠션부(13)와 에어쿠션부(12)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조절쿠션부(14)에는 연접되는 다수의 조절판(141), 조절판(141)을 구획하는 구획판(142) 및 조절판(14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일측조절관(143)과 타측조절관(144)이 구비된다.
따라서, 공압조절부(20)에서 구획판(142)에 의해 구획된 조절판(141)에 공압을 번갈아 공급하면, 환자의 자세가 변환된다.
예를 들어, 구획판(142)의 우측에 위치되는 조절판(141)에 연결된 일측조절관(143)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고, 구획판(142)의 좌측에 위치되는 조절판(141)에 연결된 타측조절관(144)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환자는 우측방향으로 자세가 변환된다(도 4 참조).
반대로, 구획판(142)의 우측에 위치되는 조절판(141)에 연결된 일측조절관(143)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고, 구획판(142)의 좌측에 위치되는 조절판(141)에 연결된 타측조절관(144)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환자는 좌측방향으로 자세가 변환된다(도 5 참조).
한편, 매트리스부(10)에는 항균 및 방충 재질이 포함된다. 이로 인해 환자가 장시간 매트리스부(10)에 누워있더라도 매트리스부(10)의 자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부(10)는 별도의 커버에 내장되어 하나의 단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 또한 항균 및 방충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매트리스부 11 : 메모리쿠션부
12 : 에어쿠션부 13 : 보조쿠션부
14 : 조절쿠션부 20 : 공압조절부
30 : 공압생성부 40 : 베이스부
41 : 메인프레임 42 : 바퀴
43 : 제1회전축 44 : 제2회전축
45 : 이동링크 46 : 연결링크
47 : 길이조절기 48 : 제1조작대
49 : 제2조작대

Claims (10)

  1. 환자를 교대 부양하는 매트리스부;
    상기 매트리스부에 공압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압조절부;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고, 공압을 생성하는 공압생성부; 및
    상기 매트리스부가 안착되고, 상기 매트리스의 각도를 변경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쿠션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며, 공압차로 인해 교대 부양되는 에어쿠션부; 및
    상기 에어쿠션부를 받쳐주며, 상기 메모리쿠션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조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쿠션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조바닥판;
    상기 보조바닥판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에어쿠션부의 측면을 커버하는 보조측판;
    상기 보조바닥판에 부착되어 환자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의 정상호흡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응급신호를 발생하는 응급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부는
    상기 보조쿠션부를 받쳐주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연결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환자의 자세를 조절하는 조절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부는
    연접되는 복수의 에어판;
    상기 에어판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에어돌기; 및
    상기 에어판에 일단부가 번갈아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한 쌍의 에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쿠션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조절판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일측조절관; 및
    상기 조절판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공압조절부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기가 출입되는 타측조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중 어느 하나의 경사방향은 근접 위치되는 상기 구획판과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매트리스부가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축;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동링크;
    상기 이동링크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기;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작대; 및
    상기 이동링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매트리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이동링크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조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KR1020110116629A 2011-11-09 2011-11-09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KR10132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29A KR101326288B1 (ko) 2011-11-09 2011-11-09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29A KR101326288B1 (ko) 2011-11-09 2011-11-09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37A KR20130051337A (ko) 2013-05-20
KR101326288B1 true KR101326288B1 (ko) 2013-11-11

Family

ID=4866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29A KR101326288B1 (ko) 2011-11-09 2011-11-09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73B1 (ko) 2014-02-21 2015-01-22 백창현 의료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6973A (zh) * 2017-10-11 2018-02-27 华东师范大学 一种设有反馈信息的防压疮床
EP3723689A1 (en) 2017-12-14 2020-10-21 Tidewave R&D AS Pressurization of a support structure for handling of a person
KR102075761B1 (ko) * 2018-07-06 2020-02-11 박재원 욕창방지매트
KR102235062B1 (ko) * 2019-09-17 2021-04-01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능동적 체압 분산형 에어 셀 매트리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80A (ja) * 1994-08-12 1996-02-27 Molten Corp エアマット
KR100671285B1 (ko) * 2003-01-28 2007-01-18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침대용 무전단 등받이 기구
KR20080105749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KR20110018603A (ko) * 2009-08-18 2011-02-24 김주영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80A (ja) * 1994-08-12 1996-02-27 Molten Corp エアマット
KR100671285B1 (ko) * 2003-01-28 2007-01-18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침대용 무전단 등받이 기구
KR20080105749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체위변환용 매트리스
KR20110018603A (ko) * 2009-08-18 2011-02-24 김주영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73B1 (ko) 2014-02-21 2015-01-22 백창현 의료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37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88B1 (ko)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US7975335B2 (en) Pulmonary mattress
JP6865310B2 (ja) エアセル制御装置及びエアマットレス装置
US9782312B2 (en) Patient support
JP5537806B2 (ja) 病院用ベッドの圧力制御
US8752222B2 (en) Adaptable surface for use in beds and chairs to reduc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US8601622B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including a lateral tilt device
US5794289A (en) Mattress for relieving pressure ulcers
CA3115317C (en) Patient support with cushioning layer and foam crib
KR101280615B1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US7954186B2 (en) Inflatable mattress with uniform restraint
KR101257716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US20100281619A1 (en) Air mattress system with inflatable limb chamber
KR20130050848A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
JP6716814B2 (ja) 伸縮セルモジュールおよび緩衝デバイス
WO1997012531A1 (en) Pressure ulcer-relieving mattress
EP2465480B1 (en) Inflatable mattress
JP6832771B2 (ja) エアマット装置
EP14323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nt of a support surface
TW201818901A (zh) 照護裝置
KR20110000199A (ko)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장치
JP2024051342A (ja) エアマットレス
JPH08154961A (ja) 褥創防止用パッド及び褥創防止用おむつ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