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615B1 -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615B1
KR101280615B1 KR1020110094914A KR20110094914A KR101280615B1 KR 101280615 B1 KR101280615 B1 KR 101280615B1 KR 1020110094914 A KR1020110094914 A KR 1020110094914A KR 20110094914 A KR20110094914 A KR 20110094914A KR 101280615 B1 KR101280615 B1 KR 10128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shion
air
coo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158A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9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6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1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 patient is supported on a free, unbounded, film or cush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 에어쿠션이 일렬로 배치되는 셀부가 복수로 배치되는 쿠션부와, 각 셀부에 대한 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조절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조절부의 공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급부와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공압을 조절하여 쿠션부에 앉은 환자의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SEAT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자세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를 감지하여 공압을 조절함으로써, 환자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장시간 휠체어 및 전동휠체어에 앉아있는 환자들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마다 압박부위에 대한 부담을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수동휠체어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자세 보정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전동휠체어의 경우 사용자가 적절한 착석자세를 취하지 못할 경우 욕창 발생이 쉽게 일어나고 앉은 자세의 이상으로 호흡장애와 척추 측만 및 후만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69071호(2004.08.04 공개, 발명의 명칭: 욕창방지 치료를 위한 시트쿠션의 공기압 제어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공압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환자의 척추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압을 측정하여 시트쿠션에 대한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욕창 방지 뿐만 아니라 자세 교정을 유도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쿠션이 일렬로 배치되는 셀부가 복수로 배치되는 쿠션부; 상기 각 셀부에 대한 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조절부의 공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제공한다.
상기 셀부는 상기 에어쿠션이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셀판; 상기 셀판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셀판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쿠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메인조절관; 상기 메인조절관에 구비되고, 상기 셀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서브조절관; 및 상기 서브조절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브조절관을 개폐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메인조절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쿠션 사이로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셀부의 상측에 부착되고, 상기 에어쿠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냉각공이 형성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을 상기 조절부에 연결하는 냉각연결관; 및 상기 냉각연결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연결관을 개폐하는 냉각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쿠션 손상시 환자를 지지하는 보조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환자의 엉덩이를 교대로 부양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욕창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냉각부가 환자의 엉덩이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환자의 엉덩이 냉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보조쿠션부가 쿠션부에 장착됨으로써, 에어쿠션의 손상으로 쿠션부가 환자를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조쿠션부가 환자를 지지하여 환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은 환자의 자세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경우 공압조절을 통해 환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서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서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에서 쿠션부에 대한 교대부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에서 쿠션부을 이용한 환자 자세 교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및 이러한 시트쿠션의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서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에서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에서 쿠션부에 대한 교대부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에서 쿠션부을 이용한 환자 자세 교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1)에는 쿠션부(10), 조절부(20), 공급부(30), 감지부(40) 및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쿠션부(10)에는 에어쿠션(12)이 일렬로 배치되는 셀부(11)가 복수로 배치되어 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준다.
조절부(20)는 셀부(11)에 대한 공압을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부(20)는 셀부(11)의 각각에 대한 공압을 조절하여 쿠션부(10)를 교대부양 시킨다.
공급부(30)는 조절부(20)에 연결되어, 조절부(20)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부(30)로는 에어펌프가 사용된다.
감지부(40)는 조절부(20)에 연결되어 조절부(20)의 공압을 측정하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공급부(30)와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조절부(20)의 공압을 조절하고, 쿠션부(10)의 교대부양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부(11)에는 셀판(111), 연결관(112) 및 유입관(113)이 구비된다.
셀판(111)은 인접한 셀판(111)과 연접된다. 예를 들어 셀판(111)은 8개가 서로 연접되고, 각 셀판(111)의 길이방향으로 에어쿠션(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쿠션(12)은 복수개가 이격되면서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에어쿠션(12)에 공기가 유입되면, 에어쿠션(12)은 셀판(111)의 상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엉덩이를 받쳐준다.
한편, 복수의 에어쿠션(12)은 엉덩이를 받쳐주어 척추 교정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다르며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도 1 및 도 2 참조).
연결관(112)은 셀판(111)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112)은 일렬로 배치되는 에어쿠션(12)을 서로 연결한다.
유입관(113)은 셀판(111)에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관(113)은 조절부(2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에어쿠션(12) 중 어느 하나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조절부(20)에서 분배된 공기가 유입관(113)을 통해 어느 하나의 에어쿠션(12)으로 공급되면, 어느 하나의 에어쿠션(12) 및 연결관(112)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에어쿠션(12)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셀판(11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에어쿠션(12)이 팽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에는 메인조절관(21), 서브조절관(22) 및 조절밸브(23)가 구비된다.
메인조절관(21)은 공급부(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메인조절관(21)에는 공급부(30)에서 생성된 공기가 유입된다.
서브조절관(22)은 메인조절관(2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셀부(11) 각각의 유입관(113)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조절밸브(23)는 서브조절관(22)에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밸브(23)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서브조절관(22)을 개폐한다.
따라서, 각 조절밸브(23)의 개폐시기에 따라 쿠션부(10)가 교대부양되어, 환자가 장시간 쿠션부(10)에 앉아 있더라도 엉덩이 부분에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에는 배출밸브(24)가 더 구비된다. 배출밸브(24)는 메인조절관(21)에 장착되고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어 메인조절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밸브(24)는 메인조절관(21)을 직접 개폐하거나, 메인조절관(21)에 장착된 배출관(25)에 설치되어 배출관(25)을 개폐할 수 있다.
배출밸브(24)에 의해 메인조절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메인조절관(21)의 공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쿠션부(10)에 대한 교대부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1)에는 냉각부(6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냉각부(60)는 쿠션부(10)에 장착되고, 조절부(20)에 연결되어 에어쿠션(12) 사이로 공기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60)에는 냉각관(61), 냉각연결관(62) 및 냉각밸브(63)가 구비된다.
냉각관(61)은 셀부(11)의 셀판(111) 상측에 부착된다. 이러한 냉각관(61)은 에어쿠션(12)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냉각공(6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냉각관(61)은 쿠션부(10)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고, 냉각공(6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환자의 엉덩이를 냉각시킨다.
냉각연결관(62)은 일단부가 메인조절관(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냉각관(61)과 연결된다.
냉각밸브(63)는 냉각연결관(62)에 결합되고,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냉각연결관(62)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1)에는 보조쿠션부(7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쿠션부(70)는 쿠션부(10)에 장착되어 에어쿠션(12) 손상시 환자를 지지한다.
보조쿠션부(70)는 메모리폼과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에어쿠션(1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쿠션(12)의 손상으로 에어쿠션(12)이 환자를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보조쿠션부(70)가 환자를 지지하여 환자를 보호한다.
한편, 에어쿠션(12)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관(61)이 셀판(111)에 결합되는 경우, 보조쿠션부(70)는 냉각관(61)을 커버하면서 셀판(111)에 결합된다. 이때, 보조쿠션부(70)에는 냉각공(6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환자의 엉덩이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관통홀(7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30)에서 생성된 공기가 메인조절관(21)으로 유입되고, 메인조절관(21)에 결합된 서브조절관(22)에는 조절밸브(23)가 장착되어 서브조절관(22)을 개폐한다.
서브조절관(22)은 각 셀부(11)의 유입관(113)과 연결되고, 조절밸브(23)들의 개폐 여부에 따라 에어쿠션(12)이 교대로 부양되어 환자를 지지한다. 이때, 메인조절관(21)에는 배출밸브(24)가 형성되어 메인조절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에어쿠션(12) 사이로 냉각관(61)이 배치되고, 냉각연결관(62)은 메인조절관(21) 내부 공기를 냉각관(61)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냉각연결관(62)에 구비된 냉각밸브(63)가 냉각연결관(62)을 개방하면, 공기가 냉각관(61)으로 유입된 후, 냉각공(64)을 통해 환자의 엉덩이 부분으로 배출되어 환자의 엉덩이를 냉각시킨다.
에어쿠션(12) 사이에는 보조쿠션부(70)가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쿠션부(70)는 에어쿠션(12) 손상시 환자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환자를 보호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으로는 교대부양단계(S10) 및 자세교정단계(S20)가 있다.
교대부양단계(S10)에서는 제어부(50)가 공급부(30)와 조절부(20)를 제어함으로써, 쿠션부(10)의 각 셀부(11)로 공기가 교대로 공급되어, 환자를 교대부양한다.
자세교정단계(S20)에서는 제어부(50)가 쿠션부(10)에 앉은 환자의 일측으로 편중됨을 감지하여 공압을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단계(S10)를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50)의 제어로 공급부(30)가 구동된다(S110). 이러한 공급부(30)의 구동으로 조절부(20)에 공기가 공급된다.
공급부(30)가 구동된 후,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조절밸브(23)가 개폐되어 각 셀부(11)로 공기가 분배되어 공급된다(S120). 이때, 각 셀부(11)에 교대로 공기가 공급되면, 각 셀부(11)에 구비되는 에어쿠션(12)이 환자의 엉덩이를 교대로 부양하여 환자의 욕창 생성을 억제한다.
에어쿠션(12)의 교대 부양을 위해, 제어부(50)는 배출밸브(24)를 제어하여 메인조절관(21)의 공기를 배출한다.
각 셀부(11)로 공기가 분배되어 공급된 후, 제어부(50)는 공급부(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30).
따라서, 홀수열에 배치되는 셀부(11)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이와 연계되는 조절밸브(23)가 서브조절관(22)을 개방하면, 홀수열에 배치되는 셀부(11)의 에어쿠션(12)이 팽창되도록 메인조절관(21)의 공압이 상승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짝수열에 배치되는 셀부(11)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이와 연계되는 조절밸브(23)가 서브조절관(22)을 개방하면, 짝수열에 배치되는 셀부(11)의 에어쿠션(12)이 팽창되도록 메인조절관(21)의 공압이 상승된다.
이때, 쿠션부(10)의 홀수열에서 짝수열로 공기가 분배되기 전, 배출밸브(24)에 의해 메인조절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홀수열의 셀부(11)에서 공기가 배출되어 에어쿠션(12)이 수축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감지부(40)를 통해 메인조절관(21)의 공압 저하 신호를 수신한 후 메인조절관(21)의 공기 배출을 차단하고, 홀수열 및 짝수열의 조절밸브(23) 개폐를 변경한 후, 공급부(30)를 구동시켜 홀수열 또는 짝수열의 에어쿠션(12)이 팽창하도록 메인조절관(21)의 공압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단계(S10)에는 조절부의 공압을 기준공압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가 더 포함된다.
기준공압설정 단계는 공급부(30) 정지 후, 환자가 쿠션부(10)에 앉았을 때 에어쿠션(12)의 가압으로 상승한 메인조절관(21)의 공압값으로써, 제어부(50)는 이를 통해 환자가 정상적으로 쿠션부(10)에 앉은 상태에서의 공압 정도를 알 수 있다.
기준공압은 제어부(50)에 저장되며,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기준공압설정 단계(S140)는 환자가 최초 사용시 제어부(5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기준공압설정단계(S140)는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감지부(40)가 측정한 공압이 제어부(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단계(S20)를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부(10)가 교대부양을 하면서 환자를 받쳐주는 동안, 감지부(40)는 조절부(20)의 공압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한다(S210).
이때, 조절부(20)의 메인조절관(21) 공압이 기준공압 보다 상승하면(S220), 공급부(30)가 구동되어 조절부(20)로 공기를 공급한다(S230)
즉, 환자가 정상자세로 쿠션부(10)에 앉았을 때 측정된 기준공압 보다 공압이 상승하면, 제어부(50)는 환자의 자세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에어쿠션(12)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공급부(3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공급부(30)가 추가로 조절부(20)의 메인조절관(21)에 공기를 공급하면, 메인조절관(21)의 공압이 추가로 상승하여 압박받는 에어쿠션(12)을 팽창시키므로, 환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40)가 감지한 공압이 설정공압에 도달되면(S240), 제어부(50)는 공급부(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250).
이때, 설정공압이란 제어부(50)에 저장된 값으로서, 쿠션부(10)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에어쿠션(12)의 팽창을 확보하는 공압값을 의미하며, 이는 쿠션부(10)의 재질이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쿠션부 11 : 셀부
12 : 에어쿠션 20 : 조절부
21 : 메인조절관 22 : 서브조절관
23 : 조절밸브 24 : 배출밸브
30 : 공급부 40 ; 감지부
50 : 제어부 60 : 냉각부
61 : 냉각관 62 : 냉각연결관
63 : 냉각밸브 64 : 냉각공
70 : 보조쿠션부

Claims (7)

  1. 에어쿠션이 일렬로 배치되는 셀부가 복수로 배치되는 쿠션부;
    상기 각 셀부에 대한 공압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조절부의 공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쿠션 사이로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부; 및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쿠션 손상시 환자를 지지하는 보조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셀부의 상측에 부착되고, 상기 에어쿠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냉각공이 형성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을 상기 조절부에 연결하는 냉각연결관; 및
    상기 냉각연결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연결관을 개폐하는 냉각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냉각관이 상기 셀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쿠션부는 상기 냉각관을 커버하면서 상기 셀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쿠션부에는 상기 냉각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환자의 엉덩이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는
    상기 에어쿠션이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셀판;
    상기 셀판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셀판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쿠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메인조절관;
    상기 메인조절관에 구비되고, 상기 셀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서브조절관; 및
    상기 서브조절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브조절관을 개폐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메인조절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94914A 2011-09-20 2011-09-20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KR10128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14A KR101280615B1 (ko) 2011-09-20 2011-09-20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14A KR101280615B1 (ko) 2011-09-20 2011-09-20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58A KR20130031158A (ko) 2013-03-28
KR101280615B1 true KR101280615B1 (ko) 2013-07-02

Family

ID=4818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14A KR101280615B1 (ko) 2011-09-20 2011-09-20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6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27U (ko) * 2016-01-21 2017-07-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세 교정 장치
KR20180124629A (ko) * 2017-05-12 2018-11-21 노근호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KR20180128662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249207B1 (ko) 2021-01-15 2021-05-07 이승협 욕창 방지용 쿠션
KR20230123156A (ko) 2022-02-16 2023-08-23 구도영 욕창 방지용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01B1 (ko) * 2013-05-15 2014-1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석자 체형 자동 맞춤형 의자 시스템
KR101652437B1 (ko) * 2014-07-09 2016-08-31 주식회사 마르페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102315718B1 (ko) * 2021-07-13 2021-10-20 (주) 에어로싸 공기 교대 부양식 욕창방지 매트
KR102433795B1 (ko) * 2021-08-27 2022-08-18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욕창 예방용 쿠션 구조체
KR102401478B1 (ko) * 2021-11-22 2022-05-24 (주)에어로싸 욕창방지 에어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670A (ko) * 2001-10-24 2003-05-01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방석용 공기조절장치
JP2003159286A (ja) 2001-11-26 2003-06-03 Kyushu Hitachi Maxell Ltd 床ずれ防止マット
KR20040069071A (ko) * 2003-01-28 2004-08-04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치료를 위한 시트쿠션의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방법
JP2009106723A (ja) * 2007-10-11 2009-05-21 Kyushu Hitachi Maxell Ltd 椅子用床ずれ防止クッショ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670A (ko) * 2001-10-24 2003-05-01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방석용 공기조절장치
JP2003159286A (ja) 2001-11-26 2003-06-03 Kyushu Hitachi Maxell Ltd 床ずれ防止マット
KR20040069071A (ko) * 2003-01-28 2004-08-04 산재의료관리원 욕창방지 치료를 위한 시트쿠션의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방법
JP2009106723A (ja) * 2007-10-11 2009-05-21 Kyushu Hitachi Maxell Ltd 椅子用床ずれ防止クッション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27U (ko) * 2016-01-21 2017-07-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자세 교정 장치
KR20180124629A (ko) * 2017-05-12 2018-11-21 노근호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KR102001634B1 (ko) * 2017-05-12 2019-07-18 노근호 형상기억 장치, 차량 시트용 커버, 의자용 방석 및 매트리스
KR20180128662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63816B1 (ko) 2017-05-24 2019-03-29 한국전기연구원 자세 교정을 위한 피드백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249207B1 (ko) 2021-01-15 2021-05-07 이승협 욕창 방지용 쿠션
KR20230123156A (ko) 2022-02-16 2023-08-23 구도영 욕창 방지용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58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15B1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US7849544B2 (en) Support device of the mattress type comprising a heterogeneous inflatable structure
JP6865310B2 (ja) エアセル制御装置及びエアマットレス装置
US10555617B2 (en) Air pocket module and air mattress including same
EP1906793B1 (en) Pressure control for a hospital bed
US7380302B2 (en) Bolster system and method
US7155766B1 (en) Bolster system and method
US20070061976A1 (en) Dynamically inflatable therapeutic suppo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954186B2 (en) Inflatable mattress with uniform restraint
EP2892490B1 (en) Patient support
EP3071480B1 (en) Self-adjusting vehicle seat
JP2009535149A (ja) マットレス
US8037563B2 (en) Multiple air source mattress control system
KR20130050848A (ko)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
US20090106898A1 (en) Adaptable mattress conversion
US20230027288A1 (en) Multi-air chamber mattress with localized support
US20230017015A1 (en) Mattress with stacked air chambers
KR20170109928A (ko) 욕창방지매트를 구비한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KR101326288B1 (ko) 고령자 케어용 엠보싱 공기셀 매트리스 부착형 초저상 전동침대 시스템
KR20190072755A (ko) 욕창방지침대
KR101257716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JP6832771B2 (ja) エアマット装置
JP2009112463A (ja) クッション
KR102406794B1 (ko) 욕창 방지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